KR20160090837A -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837A
KR20160090837A KR1020167016242A KR20167016242A KR20160090837A KR 20160090837 A KR20160090837 A KR 20160090837A KR 1020167016242 A KR1020167016242 A KR 1020167016242A KR 20167016242 A KR20167016242 A KR 20167016242A KR 20160090837 A KR20160090837 A KR 2016009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frame
pipe
attaching uni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사 미야따
미찌히로 이자와
마사미쯔 이마가와
슈지 기도구찌
Original Assignee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6009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15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23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가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고,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가 제공된다.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주행 장치(12tr)의 주행 프레임(15)이 위치하게 된다.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가 차량의 중앙 측으로 확대되어 확대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삽입되는 장공(22)이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형성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의 개방된 인출공(14b)에서부터 인출되어 상면 판(15a)의 장공(22)과 단면 플레이트(15b)의 개방된 장공(15c)을 거쳐 주행 모터 부착부(18) 속으로 삽입된다.

Description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무한궤도형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 장치(1)는, 차량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2)의 좌우 양측에 무한궤도 벨트를 부착하기 위한 주행 프레임(3)의 상면 판(4)가 일체로 설치되고; 주행 프레임(3)의 일단 측에 주행 모터 부착 유닛(5)이 일체로 설치되며; 주행 모터 부착 유닛(5)에 부착된 유압 주행 모터, 감속기 및 스프로킷을 포함한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미도시)에 의해 주행 프레임(3)을 따라 부착된 무한궤도 벨트(미도시)가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2)에서부터 주행 프레임(3)의 내측면의 개구를 거쳐 주행 모터 부착 유닛(5)의 유압 주행 모터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6)이 배치된다.
이러한 굴삭기 하부의 주행 장치(1)에서는, 중앙 프레임(2)에서부터 주행 프레임(3)까지 배치된 주행 모터 유압 배관(6)이 굴삭 작업시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행 모터 유압 배관(6)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6)을 덮는 배관 덮개를 설치한 종래의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또한, 배관 덮개 이외의 유압 배관 보호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들이 존재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내지 5 참조). 구체적으로는, 주행 장치(1)의 중앙 프레임(2) 내부에서부터 주행 프레임(3) 내부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위한 호스 삽입 공간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프레임 내부의 호스 삽입 공간을 통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배치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번호 제S63-086168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6-219871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2-339402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4-060210호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9-191555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배관 덮개는 큰 장애물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손상 및 차량 외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은 좌우 주행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는 확폭식(가변 궤간식) 주행 장치라고 알려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확대시 및 축소시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여유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축소시에는 배관의 여유분을 구부리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부러진 배관의 여유 길이를 충분히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배관 덮개가 대형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애물과의 충돌 기회가 더 높아진다. 따라서, 배관 덮개가 손상 및 변형되기 쉽고, 덮개 내부의 주행 모터 유압 배관도 손상될 수 있다.
특허 문헌 3 내지 5는 중앙 프레임 내부에서부터 주행 프레임 내부까지 설치된 호스 삽입 공간을 통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구성은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유압 배관의 조립 작업을 실시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면, 예컨대,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5의 구성은, 호스 삽입 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홀을 형성하고, 호스 삽입 공간 내에 배관 안내면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구조적으로 어려운 변경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고,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 중앙 프레임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 상면 판을 포함한 주행 프레임; 주행 프레임을 따라 부착된 무한궤도 벨트; 주행 프레임의 일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주행 모터 부착 유닛에 부착된 유압 주행 모터를 이용하여 무한궤도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 및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을 거쳐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의 유압 주행 모터까지 배치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이며, 중앙 프레임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확대부; 및 확대부를 따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에 형성되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삽입 관통하게 되는 장공(long hole)을 더 포함하는 주행 장치이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발명은,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의 장공 주위에 배치된 지지부 부착 유닛; 및 지지부 부착 유닛에 부착되어 장공 내에 위치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유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주행 장치이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발명은,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의 장공 주위에 배치된 덮개 부착 유닛; 및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 상의 덮개 부착 유닛까지 부착되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보호하는 배관 덮개를 더 포함하는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주행 장치이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발명은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된 작업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이다. 차량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행 장치를 포함한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면 판을 포함한 주행 프레임이 중앙 프레임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중앙 프레임과 주행 프레임의 일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확대부가 형성된다. 확대부를 따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에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삽입 관통하게 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 속으로 인출되는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최소 지상고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 위치까지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중앙 프레임 내부에서부터 주행 프레임 내부까지 설치된 호스 삽입 공간을 통해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주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주행 장치에서는,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 작업을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에 형성된 장공까지의 개방된 공간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확대부가 형성되고, 확대부를 따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에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확대부에 의해, 주행 프레임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배관 경로설정(piping routing)에 필요한 장공을 확보할 수 있다. 확대부는 아래에서 튀어나온 암석 등의 장애물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중앙 프레임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확대부를 따라 형성된 장공에 의해,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모터 부착 유닛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경로설정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발명에서는,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된 확대부를 따라 상면 판에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공 내에 위치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유지하는 배관 지지부의 지지부 부착 유닛을 상면 판의 확대부 상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장공 주위의 임의의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 부착 유닛에 부착된 배관 지지부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장공 내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이 장공 가장자리와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발명에서는,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된 확대부를 따라 상면 판에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 덮개의 덮개 부착 유닛을 상면 판의 확대부 상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장공 주위의 임의의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상면 판의 확대부는 아래에서 튀어나온 암석 등의 장애물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덮개를 보호할 수 있다. 주행 프레임 위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 상의 덮개 부착 유닛 위에 배관 덮개가 부착된다. 따라서, 전체 배관 덮개가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 위에 위치하게 된다. 모든 것을 고려할 때, 확대부 이외의 부분에서도 배관 덮개가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발명에서는, 차량에 작업 장치가 탑재된 작업 기계에서, 작업 기계가 주행할 때,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가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부에 의해, 주행 프레임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배관 경로설정에 필요한 장공을 확보할 수 있다. 확대부는 아래에서 튀어나온 암석 등의 장애물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모터 유압 배관과 배관 덮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장공에 의해,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모터 부착 유닛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경로설정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장치의 주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주행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주행 장치의 배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주행 장치의 배관 지상고(piping ground clearance)의 비교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a)는 종래의 예를 도시하고, (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기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작업 기계(11)로서의 유압 굴삭기를 도시하고 있다. 작업 기계(11)는 차량(12)과 작업 장치(13)를 포함한다. 차량(12)에서, 하부의 주행 장치(12tr)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12sw)가 선회 베어링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량(12)의 상부 선회체(12sw)에 작업 장치(13)가 탑재된다. 작업 장치(13)에서, 붐 실린더(13bmc)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붐(13bm)의 선단부에 스틱 실린더(13stc)에 의해 회전하는 스틱(13st)이 연결된다. 스틱(13st)의 선단부에 버킷 실린더(13bkc)에 의해 회전하는 버킷(13bk)이 연결된다.
하부의 주행 장치(12tr)는 중앙 프레임(14), (트랙 프레임으로 알려진) 주행 프레임(15), 무한궤도 벨트(17),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 및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포함한다. 중앙 프레임(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주행 프레임(15)은 상면 판(15a)를 포함하며, 중앙 프레임(14)의 좌우 양측이면서 중앙 프레임(14)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주행 프레임(15)을 따라 무한궤도 벨트(17)가 부착된다. 주행 프레임(15)의 일단 측(차량 후방 측)에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이 일체로 설치된다.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은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에 각각 부착된 유압 주행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 무한궤도 벨트(17)를 회전 구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을 거쳐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의 유압 주행 모터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배치된다.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은 유압 주행 모터와, 이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 기구 유닛과, 이 감속 기구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킷을 포함한다.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은 스프로킷을 이용하여 무한궤도 벨트(17)를 회전 구동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중앙 프레임(14)의 선회 중심에 설치된 스위블 조인트(미도시)를 통해 제어 밸브(미도시)에 연결된다. 제어 밸브는 상부 선회체(12sw)에 탑재된다. 상부 선회체(12sw)에 탑재된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제어 밸브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제어 밸브는 좌우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19)의 유압 주행 모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장치(12tr)는 확대부(21)와 장공(22)을 포함한다. 확대부(21)는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위치하는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를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장공(22)은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형성된다. 장공(22)을 통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에 형성된 인출공(14b)에서부터 인출되어 상면 판(15a)의 장공(22)과 단면 플레이트(15b)에 형성된 장공(15c)을 지나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속으로 삽입된다.
주행 프레임(15)과 상면 판(15a)의 장홀 주위에, 예컨대, 확대부(21) 상에, 지지부 부착 유닛(23)이 설치된다. 지지부 부착 유닛(23)에는 장공(22) 내에 위치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유지하는 2종류의 배관 지지부(24, 25)가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부착 유닛(23)은 나사(26)에 의해 확대부(21)에 고정된 경사판 형상의 부착물이다. 배관 지지부(24)는 나사(27)에 의해 지지부 부착 유닛(23)에 고정된 배관 유지 부재이다. 배관 지지부(25)는 스테이(28)에 의해 지지부 부착 유닛(23)에 고정된 관 형상의 배관 유지 부재이다. 배관 지지부(25)는 사이에 배치된 완충재(29)를 통해 배관을 유지한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주행 프레임(15)의 장공 부분에서 차량 상측으로 들어올려 유지되도록, 장공(22)을 통해 삽입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배관 지지부(24, 25)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은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 중앙 프레임(14)의 스위블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의 장공 주위에는 덮개 부착 유닛으로서의 복수의 부착공(31) 및 부착 블록(32)이 배치된다. 부착공(31) 및 부착 블록(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까지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따라 배관 덮개(33)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배관 덮개(33)는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보호한다.
배관 덮개(33)는 덮개 부재(35), 덮개 부재(37) 및 덮개 부재(38)를 포함한다. 덮개 부재(35)는 중앙 프레임(14)의 단면 플레이트(14a)에 볼트(34)로 고정된다. 덮개 부재(36)는 상면 판(15a)의 부착공(31)에 나사 결합된 볼트(36)에 의해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고정된다. 덮개 부재(35, 37)들 사이에 덮개 부재(38)가 배치된다. 덮개 부재(38)는 볼트(39, 40)에 의해 덮개 부재(35, 37)들 사이에 고정되며, 볼트(41)에 의해 부착 블록(32)에 고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상면 판(15a)를 포함한 주행 프레임(15)이 중앙 프레임(14)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프레임(15)의 일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위치하는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를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확대부(21)가 형성된다.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삽입 관통하게 되는 장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 속으로 인출되는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의 최소 지상고를 도 4의 (a)에 도시된 종래의 높이(h1)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의 높이(h1)까지의 차이(Δh)만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할 가능성이 더 적어진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중앙 프레임(14) 내부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 내부까지 설치된 호스 삽입 공간을 통해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주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주행 장치에서는,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의 조립 작업을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형성된 장공(22)까지의 개방된 공간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면 판(15a)를 통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삽입하는 경우, 장공(22) 대신 절개 홈을 이용하는 구성이 보다 간편하고 일반적이다. 절개 홈을 채용할 경우, 주행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를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확대부(21)가 형성되고, 확대부(21)를 따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에 장공(22)이 형성된다. 모든 것을 고려할 때, 확대부(21)에 의해, 주행 프레임(15)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배관 경로설정에 필요한 배관 공간, 즉, 장공(22)을 확보할 수 있다.
상면 판(15a)의 확대부(21)는 아래에서 튀어오른 암석 등의 장애물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덮개(33)는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보다 더 얇은 판으로 형성되지만, 배관 덮개(33)의 하측에 있는 더 두껍고 더 강한 상면 판(15a)의 확대부(21)가 최소 지상고 부분이 된다. 따라서, 상면 판(15a)의 확대부(21)가 배관 덮개(33) 등을 차량 아래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중앙 프레임(14)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 사이에 위치하는 확대부(21)를 따라 형성된 장공(22)에 의해,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경로설정을 확보할 수 있다.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를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된 확대부(21)를 따라 상면 판(15a)에 장공(22)이 형성된다. 장공(22) 내에 위치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유지하는 배관 지지부(24, 25)의 지지부 부착 유닛(23)과, 배관 덮개(33)를 위한 덮개 부착 유닛으로서의 복수의 부착공(31)과 부착 블록(32)을 상면 판(15a)의 확대부(21) 상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장공 주위의 임의의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 부착 유닛(23)에 부착된 배관 지지부(24, 25)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을 장공(22) 내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20)이 장공(22) 가장자리와의 마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행 프레임(15) 위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부착공(31)과 부착 블록(32)까지 배관 덮개(33)가 부착된다. 따라서, 전체 배관 덮개(33)가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 위에 위치하게 된다. 모든 것을 고려할 때, 확대부(21) 이외의 부분에서도 배관 덮개(33)가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2)에 작업 장치(13)가 탑재된 작업 기계(11)에서, 작업 기계(11)가 주행할 때,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가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가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보다 높은 위치에 부착된다. 따라서,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주행 장치 내의 호스 삽입 공간을 통해 배치되지 않는 설계에서도, 최소 지상고를 주행 프레임(15)의 상면 판(15a) 위치까지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가 암석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면 판(15a)의 확대부(21)에 의해, 주행 프레임(15)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배관 경로설정에 필요한 장공(22)을 확보할 수 있다. 확대부(21)는 아래에서 튀어오른 장애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과 배관 덮개(33)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장공(22)은 중앙 프레임(14)에서부터 주행 모터 부착 유닛(18)을 향해 주행 모터 유압 배관(20)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경로설정의 확보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주행 장치 또는 작업 기계의 제조 및 판매와 연관된 사업자들에게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1: 작업 기계
12: 차량
12tr: 주행 장치
13: 작업 장치
14: 중앙 프레임
15: 주행 프레임
15a: 상면 판
17: 무한궤도 벨트
18: 주행 모터 부착 유닛
19: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
20: 주행 모터 유압 배관
21: 확대부
22: 장공
23: 지지부 부착 유닛
24, 25: 배관 지지부
31: 덮개 부착 유닛으로서의 부착공
32: 덮개 부착 유닛으로서의 부착 블록
33: 배관 덮개

Claims (4)

  1. 차량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
    중앙 프레임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 상면 판을 포함한 주행 프레임;
    주행 프레임을 따라 부착된 무한궤도 벨트;
    주행 프레임의 일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주행 모터 부착 유닛에 부착된 유압 주행 모터를 이용하여 무한궤도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 및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을 거쳐 무한궤도 벨트 구동 유닛의 유압 주행 모터까지 배치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로서,
    중앙 프레임과 주행 모터 부착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을 차량 중앙 측으로 확대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확대부; 및
    확대부를 따라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에 형성되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이 삽입 관통하게 되는 장공을 더 포함하는,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의 장공 주위에 배치된 지지부 부착 유닛; 및
    지지부 부착 유닛에 부착되어 장공 내에 위치한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유지하는 배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의 상면 판의 장공 주위에 배치된 덮개 부착 유닛; 및
    중앙 프레임에서부터 주행 프레임 상의 덮개 부착 유닛까지 부착되어 주행 모터 유압 배관을 보호하는 배관 덮개를 더 포함하는,
    주행 장치.
  4.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된 작업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로서,
    차량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행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KR1020167016242A 2013-11-28 2014-11-24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KR20160090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6537 2013-11-28
JP2013246537A JP6032712B2 (ja) 2013-11-28 2013-11-28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PCT/EP2014/075396 WO2015078810A1 (en) 2013-11-28 2014-11-24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837A true KR20160090837A (ko) 2016-08-01

Family

ID=5200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242A KR20160090837A (ko) 2013-11-28 2014-11-24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2497B2 (ko)
EP (1) EP3074301B1 (ko)
JP (1) JP6032712B2 (ko)
KR (1) KR20160090837A (ko)
CN (1) CN105813933B (ko)
WO (1) WO20150788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88B1 (ko) * 2019-10-02 2021-02-16 주식회사 이스쿠스 소형 다용도 건설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899B (zh) * 2016-06-29 2018-03-16 宁波普乐菲智能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机器人驱动轮模块
US10711435B2 (en) * 2016-08-03 2020-07-14 Caterpillar Inc. Frame assembly for machine
CN110001810A (zh) * 2018-10-24 2019-07-12 柳工常州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减速机的底盘结构
JP7057310B2 (ja) * 2019-03-22 2022-04-1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7358306B2 (ja) * 2020-08-03 2023-10-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JP2022180239A (ja) * 2021-05-24 2022-12-0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168A (ja) 1986-09-29 1988-04-16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2339402A (ja) 2001-05-15 2002-1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4060210A (ja) 2002-07-26 2004-02-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配管装置及び構造物
JP2006219871A (ja) 2005-02-09 2006-08-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9191555A (ja) 2008-02-15 2009-08-27 Kubota Corp クローラ式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4062U (ja) * 1982-11-27 1984-06-06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式走行車両
JPS6386168U (ko) 1986-11-27 1988-06-06
JPH07238569A (ja) * 1994-02-28 1995-09-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ョベル
JPH0858643A (ja) * 1994-08-25 1996-03-0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走行モータ用カバー装置
CA2192398C (en) * 1995-12-26 2004-08-03 Naoki Matsumoto Crawler-belt vehicle
JP2004060195A (ja) * 2002-07-25 2004-02-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3927477B2 (ja) * 2002-09-27 2007-06-06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ホース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4238802B2 (ja) * 2004-09-06 2009-03-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4640817B2 (ja) * 2005-03-15 2011-03-0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走行体
US7950481B2 (en) * 2005-09-29 2011-05-31 Caterpillar Inc. Electric powertrain for machine
JP4614900B2 (ja) * 2006-03-02 2011-01-19 株式会社クボタ クランプ装置
JP5041747B2 (ja) * 2006-07-11 2012-10-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センターフレーム及びセンター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09249922A (ja) * 2008-04-07 2009-10-29 Komatsu Ltd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EP2275299A4 (en) * 2008-04-11 2017-12-06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Operating machine
CN102046888B (zh) * 2008-05-27 2013-02-06 住友建机株式会社 回转驱动控制装置及包括其的施工机械
CN201362866Y (zh) * 2009-02-09 2009-12-16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挖掘机的管路保护罩
EP2447119A4 (en) * 2009-06-25 2018-04-04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Hybrid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orking machine
US8356680B2 (en) * 2010-12-03 2013-01-22 Caterpillar Inc. Final drive assembly with seal guard features and machine using same
JP5269057B2 (ja) * 2010-12-22 2013-08-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ホース保護構造
US8610382B2 (en) * 2010-12-23 2013-12-17 Caterpillar Inc. Active high voltage bus bleed down
JP5247848B2 (ja) * 2011-03-31 2013-07-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5973979B2 (ja) * 2013-11-21 2016-08-2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駆動装置
WO2016021047A1 (ja) * 2014-08-08 2016-02-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168A (ja) 1986-09-29 1988-04-16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2339402A (ja) 2001-05-15 2002-1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4060210A (ja) 2002-07-26 2004-02-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配管装置及び構造物
JP2006219871A (ja) 2005-02-09 2006-08-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9191555A (ja) 2008-02-15 2009-08-27 Kubota Corp クローラ式走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88B1 (ko) * 2019-10-02 2021-02-16 주식회사 이스쿠스 소형 다용도 건설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05470A (ja) 2015-06-08
WO2015078810A1 (en) 2015-06-04
US20160281325A1 (en) 2016-09-29
JP6032712B2 (ja) 2016-11-30
EP3074301A1 (en) 2016-10-05
CN105813933A (zh) 2016-07-27
EP3074301B1 (en) 2018-10-31
CN105813933B (zh) 2018-05-18
US9732497B2 (en)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837A (ko) 주행 장치 및 작업 기계
CA2514566C (en) Cutter and method for working the soil
EP1770223A2 (en) Construction machine
KR20070109906A (ko) 건설 기계
JP2016088172A (ja) クローラ式走行体を備えた作業機械の駆動スプロケットへの異物浸入防止用のカバー体およびカバー体の組み立て方法
JP4640817B2 (ja) 作業機の走行体
JP6145029B2 (ja) 建設機械
EP1811089A2 (en) Working machine
JP2006219871A (ja)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5046138B2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JP5054802B2 (ja) 建設機械
JPWO2014181708A1 (ja) ミニショベル
JP7129348B2 (ja) テールピース台車および延伸ベルトコンベヤ
JP6117129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6096506A (ja) クレーン
US10384532B2 (en) Work vehicle
KR102017095B1 (ko) 작업 차량
JP7345536B2 (ja) 作業機械
JP2013129997A (ja) 建設機械の油圧ホース配索構造
JP2018197435A (ja) 自走式縦孔掘削機用のケーブルサポート装置
JP2009249922A (ja)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3055385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防音装置
WO2020183959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4623203B2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JP2002348912A (ja) 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