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204A -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 Google Patents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204A
KR20160087204A KR1020150006070A KR20150006070A KR20160087204A KR 20160087204 A KR20160087204 A KR 20160087204A KR 1020150006070 A KR1020150006070 A KR 1020150006070A KR 20150006070 A KR20150006070 A KR 20150006070A KR 20160087204 A KR20160087204 A KR 2016008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guide
cartons
pulley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493B1 (ko
Inventor
강은식
김종백
전춘식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to KR102015000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카톤이송부 및 제2카톤이송부에 연결되고 제1카톤이송부의 동력을 제2카톤이송부에 전달하며 제2카톤이송부가 제1카톤이송부보다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하는 가속부; 제2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을 수직으로 세우는 카톤세움부; 카톤세움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양측면이 접촉되며 카톤세움부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이 이미 세워진 카톤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들이 그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카톤쓰러짐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하나씩 배출되는 카톤이 카톤세움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되어서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정렬된 다수의 카톤들을 포장박스에 투입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이에 따라 포장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해진다. 또한, 이미 세워진 카톤들에 충격이 발생되어도 브러시모와 카톤 측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저항에 의해 쓰러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Carton standing device for Cartoner}
본 발명은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하여서 배출되고, 제1카톤이송부보다 제2카톤이송부가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하여서 카톤이 세워지는 동안 후속으로 이송되는 카톤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출되는 카톤들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카톤 크기에 맞게 카톤의 배출 높이 및 배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 중에 약이나 건강식품을 구입하여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캡슐(Capsule)이나 테블럿(Tablet) 형식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 10알 단위로 포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슐과 테블럿 등을 PVDC나 PP혹은 PVC와 은박지를 이용하여, 일정의 포장 단위로 볼록하게 포장하는 방법을 블리스터(Blister) 포장이라 한다. 포장된 블리스터는 설명서와 함께 종이로 만들어진 사각 형태의 갑(Carton)단위로 포장된다. 이러한 포장을 카톤(Carton) 포장이라 한다.
이와 같은 포장 방법은 장비가 요구되는데, 포장 기계를 블리스터장치(Blister machine)와, 카토너장치(Cartoner machine)라 하며 주로 제약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블리스터장치에서 완성된 팩(Pack)은 블리스터팩 피딩장치(Blister Pack Feeding machine)인 스태커(Stacker)에 적재되고 스태커는 블리스터 인피드 컨베이어(Blister Infeed Conveyor)에 정해진 수량을 세팅(Setting)된 구간 값의 버켓 가이드(Bucket Guide)에 뿌려준다. 버켓 가이드에 내려진 팩(Pack)은 수량 체크장치에 의해 정해진 수량이면 접지기에서는 리플릿(Leaflet)을 접어서 공급하고 카톤 메거진(Carton Magazine)에서는 카톤을 공급 성형을 거쳐 인서트(Insert) 장치인 푸셔(Pusher)로 팩엔리플릿(Pack & Leaflet)을 카톤 안으로 집어넣는다. 팩엔리플릿이 수납된 카톤은 플랩(Flap)이 닫히기 전에 필요에 따라 압인 방식은 엠보싱 코딩(Embossing Coding)을 하거나, 잉크젯 프린터(Ink Jet Printer)로 인쇄를 한 후 플랩이 접히고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이 된다. 이로써 완성된 카톤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카톤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된 카톤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위 묶음씩 세워서 포장박스에 투입하여서 포장한다.
따라서, 카톤을 포장박스에 투입하여 포장하려면 눕혀진 상태로 연속 배출되는 카톤을 작업자가 일일히 세워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602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하여서 배출되도록 한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카톤이송부보다 제2카톤이송부가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하여서, 카톤이 세워지는 동안 후속으로 이송되는 카톤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출되는 카톤들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카톤 크기에 맞게 카톤의 배출 높이 및 배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는, 카톤 배출통로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 양측면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제1카톤이송부; 제1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눕혀진 상태의 카톤 양측면을 밀어서 이송시키며 카톤을 제1카톤이송부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출시키는 제2카톤이송부; 제1카톤이송부 및 제2카톤이송부에 연결되고 제1카톤이송부의 동력을 제2카톤이송부에 전달하며 제2카톤이송부가 제1카톤이송부보다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하는 가속부; 제2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을 수직으로 세우는 카톤세움부; 카톤세움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양측면이 접촉되며 카톤세움부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이 이미 세워진 카톤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들이 그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카톤쓰러짐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다른 특징은, 가속부는, 제1카톤이송부에 연결되어서 제1카톤이송부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대풀리와, 제2카톤이송부에 연결되고 대풀리에 연결되어서 대풀리의 회전동력을 제2카톤이송부에 전달되며 대풀리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대풀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풀리와, 대풀리 및 소풀리에 연결되어서 대풀리의 회전동력을 소풀리에 전달하는 전동벨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세움부는, 제2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카톤이 제1카톤이송부보다 빠른 속도록 구동되는 제2카톤이송부에 진입되어서 당겨질 때에 카톤의 전방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카톤이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쓰러짐방지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이 카톤쓰러짐방지부를 통과하는 동안 카톤 양측면 사이에 마찰저항을 갖게 하는 고무재의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쓰러짐방지부는, 상기의 브러시모와, 브러시모가 설치되는 브러시블록과, 브러시블록에 고정되고 브러시모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와, 배출통로에 설치된 배출판에 고정되고 가이드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고정블록에 체결되어서 가이드를 고정블록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배출통로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가이드부는, 배출통로에 설치된 배출판에 고정되는 설치블록과, 설치블록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와, 설치블록에 체결되어서 승강가이드를 설치블록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와, 승강가이드의 하단에 설치되고 카톤의 상부면에 접촉되어서 카톤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배출통로에 설치된 배출판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측면에 접촉되어서 카톤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가이드부는, 배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고, 카톤들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과, 가이드브라켓에 고정되어 있는 조절브라켓과, 조절브라켓 및 배출판에 고정되어서 가이드브라켓을 배출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카톤 배출통로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 양측면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제1카톤이송부와, 제1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눕혀진 상태의 카톤 양측면을 밀어서 이송시키며 카톤을 제1카톤이송부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출시키는 제2카톤이송부와, 제2카톤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을 수직으로 세우는 카톤세움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하나씩 배출되는 카톤이 카톤세움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되어서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정렬된 다수의 카톤들을 포장박스에 투입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이에 따라 포장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해진다.
본 발명은, 제1카톤이송부 및 제2카톤이송부에 가속부가 연결되며, 이 가속부는, 제1카톤이송부에 연결되어서 제1카톤이송부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대풀리와, 제2카톤이송부에 연결되고 대풀리에 연결되어서 대풀리의 회전동력을 제2카톤이송부에 전달되며 대풀리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대풀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풀리와, 대풀리 및 소풀리에 연결되어서 대풀리의 회전동력을 소풀리에 전달하는 전동벨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카톤이송부에 의해 대풀리가 회전되면 전동벨트에 의해 소풀리가 회전되고, 이때 대풀리 및 소풀리의 직경 차에 의해 소풀리가 더 빠르게 회전되므로 제2카톤이송부를 더 빠르게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카톤이 제1카톤이송부를 통과할 때보다 제2카톤이송부를 통과할 때에 더 신속하게 이송된다. 그러므로, 수평으로 누운 상태의 카톤이 제2카톤이송부를 신속히 통과되면서 카톤세움부를 만나게 되면 신속하게 세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카톤이 세워지는 동안 후속으로 이송되는 카톤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카톤세움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양측면이 접촉되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이 쓰러지지 않도록 카톤쓰러짐방지부가 설치되며, 이 카톤쓰러짐방지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이 카톤쓰러짐방지부를 통과하는 동안 카톤 양측면 사이에 마찰저항을 갖게 하는 고무재의 브러시모를 포함한다. 따라서, 카톤세움부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이 이미 세워진 카톤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들에 충격이 발생되어도 브러시모와 카톤 측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저항에 의해 쓰러지지 않으며, 브러시모에 접촉된 카톤들은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카톤들에 의해 밀리면서 브러시모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세워진 카톤들이 다른 카톤들에 의해 쓰러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정렬된 카톤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통로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통로에 설치된 배출판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측면에 접촉되어서 카톤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가이드부의 가이드판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측면가이드부의 한쌍의 가이드브라켓은 이들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카톤의 배출통로에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카톤들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가 설치되므로 수직으로 세워져서 정렬된 카톤들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카톤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경우, 상부가이드부의 가이드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측면가이드부의 가이드브라켓 폭을 조절하여서 카톤의 크기에 맞게 카톤의 배출 높이 및 배출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출되는 카톤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부 및 측면가이드부의 호환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카톤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카톤 세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카톤 세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카톤 세움장치의 내부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카톤 세움장치의 하부를 보인 하부 사시도
도 6은 카톤이 세워지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카톤 세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카톤 세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카톤 세움장치의 내부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카톤 세움장치의 하부를 보인 하부 사시도이며, 도 6은 카톤이 세워지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는, 제1카톤이송부(10), 제2카톤이송부(20), 가속부(30), 카톤세움부(40), 카톤쓰러짐방지부(50), 상부가이드부(60), 측면가이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카톤이송부(10)는, 카톤(6) 배출통로(1)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배출시킨다.
이러한 제1카톤이송부(10)는 배출통로(1)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6)의 양측에 접촉되어서 카톤(6)을 배출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1이송컨베이어(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제1이송컨베이어(11)를 구동시키는 제1롤러(12)들로 이루어진다.
제1이송컨베이어(11)에는 외부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수단은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연결되어서 외부의 회전동력을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축(2)과, 동력전달축(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풀리(3)와, 일단이 구동풀리(3)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의 회전동력에 연결되어서 외부 동력을 구동풀리(3)에 전달하는 구동벨트(4)로 이루어진다.
제2카톤이송부(20)는, 제1카톤이송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를 따라 이송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이송시키며 카톤(6)을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제2카톤이송부(20)는, 제1이송컨베이어(11)와 함께 배출통로(1)를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서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된 카톤(6)을 넘겨 받아서 계속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21)와, 제2이송컨베이어(21)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제2이송컨베이어(21)의 회전시키는 제2롤러(22)로 이루어진다.
가속부(30)는, 제1카톤이송부(10) 및 제2카톤이송부(20)에 연결되고 제1카톤이송부(10)의 동력을 제2카톤이송부(20)에 전달하며 제2카톤이송부(20)가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속부(30)는, 제1카톤이송부(10)에 연결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대풀리(31)와, 제2카톤이송부(20)에 연결되고 대풀리(31)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제2카톤이송부(20)에 전달되며 대풀리(31)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대풀리(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풀리(32)와, 대풀리(31) 및 소풀리(32)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소풀리(32)에 전달하는 전동벨트(33)로 이루어진다.
카톤세움부(40)는, 제2카톤이송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20)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6)을 수직으로 세운다.
이러한 카톤세움부(40)는, 제2카톤이송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카톤(6)이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빠른 속도록 구동되는 제2카톤이송부(20)에 진입되어서 당겨질 때에 카톤(6)의 전방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카톤(6)이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이 카톤세움부(40)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카톤(6)이 제2카톤이송부(20)의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의해 당겨져서 이송되는 동안, 어느 한 시점에서 카톤(6)의 전방 하단부는 카톤세움부(40)에 의해 걸려서 지지되므로 카톤(6)의 전진을 방해한다. 제2카톤이송부(20)로 진입한 카톤(6)은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의해 제1이송컨베이어(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당겨지는데, 카톤의 전방 하단부는 카톤세움부(40)에 걸려서 지지되므로 카톤(6)의 후방부가 일으켜 세워지게 된다. 카톤(6)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카톤(6)의 하단부는 긴 막대 형태의 카톤세움부(40) 상부면에 올라 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의해 계속 이송된다.
카톤쓰러짐방지부(50)는, 카톤세움부(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양측면이 접촉되며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6)이 이미 세워진 카톤(6)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6)들이 그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카톤쓰러짐방지부(50)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통과하는 동안 카톤(6) 양측면 사이에 마찰저항을 갖게 하는 고무재의 브러시모(51)와, 브러시모(51)가 설치되는 브러시블록(52)과, 브러시블록(52)에 고정되고 브러시모(51)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54)와,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에 고정되고 가이드(54)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블록(53)과, 고정블록(53)에 체결되어서 가이드(54)를 고정블록(53)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55)로 이루어진다.
카톤(6)들이 제1카톤이송부(10) 및 제2카톤이송부(20)를 통과할 때에는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21)에 맞물려서 강제로 이송되다가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통과할 때에는 별도의 이송수단없이 뒤에서 배출되는 카톤(6)들에 밀려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카톤쓰러짐방지부(50)의 브러시모(51)는 고무재이므로 카톤(6)의 양측면이 브러시모(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되면 이들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된다. 따라서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6)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통과하는 정렬된 카톤(6)들에 부딪혀도 브러시모(51)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해 정렬된 카톤(6)들이 쓰러지지 않는다.
상부가이드부(60)는, 배출통로(1)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부(60)는,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에 고정되는 설치블록(61)과, 설치블록(61)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62)와, 설치블록(61)에 체결되어서 승강가이드(62)를 설치블록(61)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63)와, 승강가이드(62)의 하단에 설치되고 카톤(6)의 상부면에 접촉되어서 카톤(6)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판(64)으로 이루어진다.
측면가이드부(70)는,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의 양측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측면에 접촉되어서 카톤(6)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가이드부(70)는, 배출판(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고, 카톤(6)들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71)과, 가이드브라켓(71)에 고정되어 있는 조절브라켓(72)과, 조절브라켓(72) 및 배출판(5)에 고정되어서 가이드브라켓(71)을 배출판(5)에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외부의 회전동력이 구동벨트(4), 구동풀리(3), 동력전달축(2)을 통해 제1카톤이송부(10)의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전달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를 구동시킨다.
제1카톤이송부(10)가 구동되면 제1롤러(12)가 회전되고 제1롤러(12)에 연결된 가속부(30)의 대풀리(31)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전동벨트(33)가 구동되면서 소풀리(32)를 회전시킨다.
소풀리(32)가 회전되면 제2카톤이송부(20)의 제2롤러(2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이송컨베이어(21)가 구동된다. 여기서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연결된 대풀리(31)보다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연결된 소풀리(32)의 직경이 작으므로 대풀리(31)의 회전속도보다 소풀리(32)가 더 빠르게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카톤이송부(10)보다 제2카톤이송부(20)가 더 빠르게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로 카톤(6)이 유입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세워진 후 최종 배출된다.
먼저, 눕혀진 상태로 배출된 카톤(6)은 양측면이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접촉되면서 제2이송컨베이어(21) 측으로 이송된다.
제2이송컨베이어(21) 측으로 이송된 카톤(6)은 양측면이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접촉되면서 더 빠른 속도로 당겨지면서 제1이송컨베이어(11)를 통과할 때보다 더 빠르게 이송된다.
카톤(6)이 제2이송컨베이어(21)에 진입되어서 당겨질 때에 카톤(6)의 전방 하단부는 카톤세움부(40)에 걸려서 지지된다. 따라서 카톤(6)은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려는 제2이송컨베이어(21)와 카톤(6)의 전방 하단을 지지하는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카톤(6)의 후방이 전방측으로 세워지게 된다.
세워진 상태의 카톤(6)들은 양측면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의 브러시모(51)에 접촉되면서 마찰저항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는 카톤(6)이 이미 정렬된 카톤(6)들에 부딪혀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카톤(6) 배출통로(1)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제1카톤이송부(10)와, 제1카톤이송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를 따라 이송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이송시키며 카톤(6)을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출시키는 제2카톤이송부(20)와, 제2카톤이송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20)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6)을 수직으로 세우는 카톤세움부(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하나씩 배출되는 카톤(6)이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되어서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정렬된 다수의 카톤(6)들을 포장박스에 투입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이에 따라 포장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해진다.
둘째, 본 발명은 제1카톤이송부(10) 및 제2카톤이송부(20)에 가속부(30)가 연결되며, 이 가속부(30)는, 제1카톤이송부(10)에 연결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대풀리(31)와, 제2카톤이송부(20)에 연결되고 대풀리(31)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제2카톤이송부(20)에 전달되며 대풀리(31)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대풀리(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풀리(32)와, 대풀리(31) 및 소풀리(32)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소풀리(32)에 전달하는 전동벨트(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카톤이송부(10)에 의해 대풀리(31)가 회전되면 전동벨트(33)에 의해 소풀리(32)가 회전되고, 이때 대풀리(31) 및 소풀리(32)의 직경 차에 의해 소풀리(32)가 더 빠르게 회전되므로 제2카톤이송부(20)를 더 빠르게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카톤(6)이 제1카톤이송부(10)를 통과할 때보다 제2카톤이송부(20)를 통과할 때에 더 신속하게 이송된다.
그러므로, 수평으로 누운 상태의 카톤(6)이 제2카톤이송부(20)를 신속히 통과되면서 카톤세움부(40)를 만나게 되면 신속하게 세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카톤(6)이 세워지는 동안 후속으로 이송되는 카톤(6)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셋째, 본 발명은 카톤세움부(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양측면이 접촉되어서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이 쓰러지지 않도록 카톤쓰러짐방지부(50)가 설치되며, 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통과하는 동안 카톤(6) 양측면 사이에 마찰저항을 갖게 하는 고무재의 브러시모(51)를 포함한다.
따라서,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6)이 이미 세워진 카톤(6)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6)들에 충격이 발생되어도 브러시모(51)와 카톤(6) 측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저항에 의해 쓰러지지 않으며, 브러시모(51)에 접촉된 카톤(6)들은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카톤(6)들에 의해 밀리면서 브러시모(51)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세워진 카톤(6)들이 다른 카톤(6)들에 의해 쓰러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정렬된 카톤(6)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넷째, 본 발명은 배출통로(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60)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측면에 접촉되어서 카톤(6)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가이드부(60)의 가이드판(64)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측면가이드부(70)의 한쌍의 가이드브라켓(71)은 이들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카톤(6)의 배출통로(1)에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60)가 설치되고 카톤(6)들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70)가 설치되므로 수직으로 세워져서 정렬된 카톤(6)들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카톤(6)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경우, 상부가이드부(60)의 가이드판(6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측면가이드부(70)의 가이드브라켓(71) 폭을 조절하여서 카톤(6)의 크기에 맞게 카톤(6)의 배출 높이 및 배출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출되는 카톤(6)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부(60) 및 측면가이드부(70)의 호환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카톤(6)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1 : 배출통로 2 : 동력전달축
3 : 구동풀리 4 : 구동벨트
5 : 배출판 6 : 카톤
10 : 제1카톤이송부 11 : 제1이송컨베이어
12 : 제1롤러 20 : 제2카톤이송부
21 : 제2이송컨베이어 22 : 제2롤러
30 : 가속부 31 : 대풀리
32 : 소풀리 33 : 전동벨트
40 : 카톤세움부 50 : 카톤쓰러짐방지부
51 : 브러시모 52 : 브러시블록
53 : 고정블록 54 : 가이드
55,63 : 체결스크류 60 : 상부가이드부
61 : 설치블록 62 : 승강가이드
64 : 가이드판 70 : 측면가이드부
71 : 가이드브라켓 72 : 조절브라켓
73 : 고정스크류

Claims (7)

  1. 카톤(6) 배출통로(1)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제1카톤이송부(10);
    제1카톤이송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를 따라 이송된 눕혀진 상태의 카톤(6) 양측면을 밀어서 이송시키며 카톤(6)을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배출시키는 제2카톤이송부(20);
    제1카톤이송부(10) 및 제2카톤이송부(20)에 연결되고 제1카톤이송부(10)의 동력을 제2카톤이송부(20)에 전달하며 제2카톤이송부(20)가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더 빠르게 구동되도록 하는 가속부(30);
    제2카톤이송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카톤이송부(20)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카톤(6)을 수직으로 세우는 카톤세움부(40);
    카톤세움부(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양측면이 접촉되며 카톤세움부(40)에 의해 세워지는 카톤(6)이 이미 세워진 카톤(6)들에 부딪힐 때에 이미 세워진 카톤(6)들이 그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속부(30)는,
    제1카톤이송부(10)에 연결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대풀리(31)와,
    제2카톤이송부(20)에 연결되고 대풀리(31)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제2카톤이송부(20)에 전달되며 대풀리(31)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대풀리(3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풀리(32)와,
    대풀리(31) 및 소풀리(32)에 연결되어서 대풀리(31)의 회전동력을 소풀리(32)에 전달하는 전동벨트(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톤세움부(40)는,
    제2카톤이송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제1카톤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카톤(6)이 제1카톤이송부(10)보다 빠른 속도록 구동되는 제2카톤이송부(20)에 진입되어서 당겨질 때에 카톤(6)의 전방 양측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카톤(6)이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톤쓰러짐방지부(50)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이 카톤쓰러짐방지부(50)를 통과하는 동안 카톤(6) 양측면 사이에 마찰저항을 갖게 하는 고무재의 브러시모(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카톤쓰러짐방지부(50)는,
    상기의 브러시모(51)와,
    브러시모(51)가 설치되는 브러시블록(52)과,
    브러시블록(52)에 고정되고 브러시모(51)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54)와,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에 고정되고 가이드(54)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블록(53)과,
    고정블록(53)에 체결되어서 가이드(54)를 고정블록(53)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통로(1)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상부면을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부(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가이드부(60)는,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에 고정되는 설치블록(61)과,
    설치블록(61)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62)와,
    설치블록(61)에 체결되어서 승강가이드(62)를 설치블록(61)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63)와,
    승강가이드(62)의 하단에 설치되고 카톤(6)의 상부면에 접촉되어서 카톤(6)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판(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통로(1)에 설치된 배출판(5)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카톤(6)들의 측면에 접촉되어서 카톤(6)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측면가이드부(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가이드부(70)는,
    배출판(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고, 카톤(6)들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71)과,
    가이드브라켓(71)에 고정되어 있는 조절브라켓(72)과,
    조절브라켓(72) 및 배출판(5)에 고정되어서 가이드브라켓(71)을 배출판(5)에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KR1020150006070A 2015-01-13 2015-01-13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KR10168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70A KR101686493B1 (ko) 2015-01-13 2015-01-13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70A KR101686493B1 (ko) 2015-01-13 2015-01-13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204A true KR20160087204A (ko) 2016-07-21
KR101686493B1 KR101686493B1 (ko) 2016-12-14

Family

ID=5668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70A KR101686493B1 (ko) 2015-01-13 2015-01-13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624A (ko) 2020-02-26 2021-09-03 (주)글로코 포장용 카톤의 이송 간격 조절장치
KR20210112171A (ko) * 2020-03-04 2021-09-14 (주)제이에스아이 보틀 카토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44B1 (ko) 2020-09-29 2021-03-26 윤정원 4면 플랩 타입 박스 클로징 카토너 장치
KR102232942B1 (ko) 2020-09-29 2021-03-26 윤정원 멀티 클로징 카토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05A (ja) * 1989-06-01 1991-01-10 Motoji Ishida 乾燥催芽催根加工種子
JPH0659372U (ja) * 1993-01-22 1994-08-19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動く歩動の連接装置
JPH07232714A (ja) * 1994-02-17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起立装置
KR20100000306U (ko) * 2008-07-01 2010-01-11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크기의 화장품 내부접시를 정렬시키기 위한컨베이어 장착용 가이더
KR101245602B1 (ko) 2010-12-28 2013-03-20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705B2 (ja) * 1990-10-31 2000-01-3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木製パネル用枠組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05A (ja) * 1989-06-01 1991-01-10 Motoji Ishida 乾燥催芽催根加工種子
JPH0659372U (ja) * 1993-01-22 1994-08-19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動く歩動の連接装置
JPH07232714A (ja) * 1994-02-17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起立装置
KR20100000306U (ko) * 2008-07-01 2010-01-11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크기의 화장품 내부접시를 정렬시키기 위한컨베이어 장착용 가이더
KR101245602B1 (ko) 2010-12-28 2013-03-20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624A (ko) 2020-02-26 2021-09-03 (주)글로코 포장용 카톤의 이송 간격 조절장치
KR20210112171A (ko) * 2020-03-04 2021-09-14 (주)제이에스아이 보틀 카토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493B1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493B1 (ko)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US5653671A (en) Carton feeder assembly
US7302787B2 (en) Defect detection device and bag packaging system equipped with defect detection device
KR10058275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약제다발 이송장치
US6725629B2 (en) Horizontal cartoner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RU26835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ачи пакетов к карусели
CN102358445A (zh) 在物品堆周围包裹薄膜的设备和方法
KR20160126217A (ko) 용기 투입장치
FI87062C (fi) Stockningsdetektor i foerpackningsmaskin
CN113120594A (zh) 一种瓦楞纸板的码垛装置
CN205952438U (zh) 包装盒供料装置以及包装盒处理装置
US20230020790A1 (en) Vertical sealer apparatus and methods of vertically sealing
US1113932A (en) Mechanism for packing disks and the like.
JP2009057088A (ja) 餃子のトレー詰めのための起立姿勢保持装置
KR20020094880A (ko) 물품의 자동 포장장치
CN114132567A (zh) 一种制药用全自动铝塑包装设备
KR980009045A (ko) 박스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JP6254041B2 (ja) 物品搬送装置
EP1002727A2 (en) Assembly and conveyor apparatus, particularly for packaging system
JP2010058848A (ja) 箱詰め装置
US3719357A (en) Automatic power feeder
CN116280528B (zh) 一种自动插管机
JP3353073B2 (ja) 包装品の半重ね集積装置
JP7420389B2 (ja) 移送装置
CN219215514U (zh) 一种卷烟包装输送及堆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