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71A - 보틀 카토너 - Google Patents

보틀 카토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71A
KR20210112171A KR1020200027385A KR20200027385A KR20210112171A KR 20210112171 A KR20210112171 A KR 20210112171A KR 1020200027385 A KR1020200027385 A KR 1020200027385A KR 20200027385 A KR20200027385 A KR 20200027385A KR 20210112171 A KR20210112171 A KR 20210112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product
supply unit
conveyor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311B1 (ko
Inventor
김희열
박장성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20002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205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45Feeding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65B43/185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specially adapted f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65B43/305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specially adapted for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5Adjustable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와 문헌지, 포장박스가 공급되는 구조 및 포장방식을 간소화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보틀 카토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약이나 캡슐을 용기에 담은 상태의 제품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와, 상기 제품을 투입하여 포장하기 위한 카톤을 공급하는 카톤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 공급부는 제품을 개별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제품과 카톤을 매칭하여 제품을 카톤에 투입시키는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공급부는 카톤을 공급하는 매거진과, 매거진으로부터 카톤을 개별인출 공급하는 인출장치와, 인출된 카톤을 제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벌리는 성형장치와, 제품이 투입된 상태의 카톤의 날개를 접어서 접착이나 끼우는 방식으로 마감하는 마감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품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제품을 카톤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카톤에 삽입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틀 카토너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의 매거진은 카톤의 연속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적재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인출장치는 카트리지의 하단에서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최하단의 카톤을 개별 인출하는 흡착기를 장착하며, 성형장치는 인출장치의 흡착기를 통하여 하강된 카톤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카톤의 상단을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기립장치를 포함하며, 이송컨베이어의 상단에는 카톤의 상면을 안내하는 보조컨베이어를 더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에는 카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어태치를 형성하여 기립장치를 통하여 기립된 카톤이 벌어짐 상태의 정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틀 카토너의 기계장치를 간소화함은 물론,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승강장치를 장착하여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간격을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조작하고, 어태치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축을 회전시켜 어태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카톤의 규격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틀 카토너{Bottle cartoner}
본 발명은 정제된 얄약이나 캡슐 등과 같은 제약제품이 담긴 용기와 문헌지를 포장박스에 포장하는 보틀 카토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와 문헌지, 포장박스가 공급되는 구조 및 포장방식을 간소화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보틀 카토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정제된 알약이나 캡슐과 같은 제약제품은 일정한 기간동안 복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를 정량으로 포장할 때 보틀 형태의 용기에 담겨지는 것으로, 보틀 형태의 용기의 가장 일반적인 포장형태는, 알약이나 캡슐을 원통형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은 상태(이하 '제품'이라 함)로 별도의 종이재질의 포장박스(이하 '카톤'이라 함)에 삽입하고, 의약품의 복용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문헌지(설명서)를 함께 포장박스에 투입한다.
즉, 카톤에는 제품과 함께 문헌지가 삽입되는데, 불필요하게 포장부피가 커지거나 유통과정에서 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카톤의 크기는 용기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공간을 갖도록 제작되어 빡빡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이렇게 한정된 크기를 갖는 내공간이 협소한 카톤에 용기와 문헌지를 투입하는 공정은 대량생산을 위하여 자동화 기계에 의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포장하는 방식의 자동화 기계를 보틀 카토너라 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602호(2013.03.14.), 대한민국 특허 제10-2005092호(2019.07.23.)에서 적재된 카톤을 하나씩 펼치면서 카톤을 공급하여 제품 및 설명서를 투입할 수 있는 카톤 성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즉, 매거진에 적재되어 있는 카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카톤을 흡착하는 흡착부와, 흡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그리고 회전되어 컨베이어에 올려진 카톤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성형부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것의 문제가 회전 방식에 의하여 카톤을 공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어느정도의 회전반경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대형화가 필연적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카토너는 기설정된 한 종류의 카톤만 취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며, 다른 사이즈의 카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부속을 분해한 후 변형된 카톤의 사이즈에 맞는 부속으로 교체한 후 재조립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위와 같은 카톤 크기 설정 변경은 기계장치의 분해 조립을 수반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관리자가 하기는 불가능하고, 기계제조업체에 의뢰하여야만 설정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틀 카토너는 모터를 이용하여 체인 구조방식에 의하여 기계식으로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라인을 따라가면서 버켓을 이용하여 공급하고 상호 연동구조로 이루어지고 푸셔가 따라가면서 밀어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포장박스를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 버켓을 포함한 연동구성들을 모두 다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카톤포장을 위한 생산라인은 가동이 중지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량에 크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타격이 매우 크고, 기계가동이 중단되면 납기를 맞추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사와의 거래관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포장상자를 적재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매거진은 흡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장착함을 원판 구조로 돌면서 하나씩 포장상자를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전판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장착암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포장박스를 장착대로 공급하기 때문에 기계장치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정제는 작은 충격에도 깨지거나 손상되는데, 위와 같이 삽입방식에서는 충격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우려가 있다.
그리고 문헌지 공급방식이 버킷 하단에 강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으로 접어주는 방식인데, 강판이 탄성을 잃거나 약간만 쓰러지더라도 비틀리고, 포장할 때 문헌지가 편심되게 삽입되거나 포장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기계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하고, 카톤의 공급 및 성형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관리자가 카톤 크기설정 등의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보틀 카토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의 푸셔를 이용하여 푸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속 또는 간헐식으로 쉽게 푸신하고 생산중단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푸셔의 속도를 유연성있게 제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틀 카토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알약이나 캡슐을 용기에 담은 상태의 제품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와, 상기 제품을 투입하여 포장하기 위한 카톤을 공급하는 카톤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 공급부는 제품을 개별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제품과 카톤을 매칭하여 제품을 카톤에 투입시키는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공급부는 카톤을 공급하는 매거진과, 매거진으로부터 카톤을 개별인출 공급하는 인출장치와, 인출된 카톤을 제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벌리는 성형장치와, 제품이 투입된 상태의 카톤을 접어서 마감하는 마감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품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제품을 카톤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카톤에 삽입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틀 카토너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의 매거진은 카톤의 연속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적재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인출장치는 카트리지의 하단에서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최하단의 카톤을 개별 인출하는 흡착기를 장착하며, 성형장치는 인출장치의 흡착기를 통하여 하강된 카톤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카톤의 상단을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기립장치를 포함하며, 이송컨베이어의 상단에는 카톤의 상면을 안내하는 보조컨베이어를 더 구성하되,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에는 카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어태치를 형성하여 기립장치를 통하여 기립된 카톤이 벌어짐 상태의 정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틀 카토너의 기계장치를 간소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승강장치를 장착하여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간격을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조작하고, 어태치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와 보조컨베이어의 축을 회전시켜 어태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카톤의 규격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 의하면, 기계 부피를 최소화하고 기계 기장을 짧게 함으로써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원헤드 푸셔 방식으로 제품 삽입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빠른 속도로 포장이 이루어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규격이 변경되거나 다른 제품을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련부속 들을 분해, 재조립할 필요가 없이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그 포장 규격설정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중단 시간이 거의 없이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틀 카토너가 적용된 포장라인 전체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도조
도 3은 본 발명의 보틀 카토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보틀 카토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이송장치의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이송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이송장치의 브라켓 조정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품 공급부의 투입장치의 구조도
도 11은 도 10의 투입장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투입장치의 확대도
도 13은 도 10의 투입장치의 작동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카톤 공급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도 14의 인출장치 구조도
도 16은 도 14의 인출장치의 작동구조도
도 17은 도 14의 성형장치 구조도
도 18은 도 17의 기립장치의 상세 구조도
도 19 및 도 20은 도 17의 성형장치의 작동구조도
도 21 및 도 22는 도 14의 마감장치의 작동구조도
도 23은 본 발명의 문헌지 공급부 구조도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의 문헌지 공급부를 통한 문헌지 공급상태를 나타낸 작동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보틀 카토너가 적용된 포장라인 전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보틀 카토너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틀 카토너(1)는 알약이나 캡슐을 용기에 담은 상태의 제품(P)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100)와, 제품을 투입하여 포장하기 위한 카톤(C)을 공급하는 카톤 공급부(200)와, 문헌지(M)를 접어서 이송하는 문헌지 공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품 공급부(100)의 전단에는 제품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턴테이블(2)과 제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정렬장치(3)가 장착되어 제품 공급부(100)로 제품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카톤 공급부(200)의 후단에는 제품(P)이 카톤(C)에 포장된 상태에서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부에 수납실을 장착하거나 함체를 장착하여 카톤이 포장완료된 상태의 제품을 모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틀 카토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품 공급부(100)는 정제된 알약이나 캡슐이 용기에 담겨진 상태, 즉 제품(P)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20)와, 이송된 제품(P)을 카톤(C)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톤 공급부(200)는 카톤(C)이 적재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거진(220)과, 매거진으로부터 카톤(C)을 개별인출하여 공급하는 인출장치(240)와, 인출장치에서 개별 인출된 카톤에 제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카톤을 벌리는 성형장치(260)와, 제품이 투입된 상태의 카톤의 날개를 접어서 접착하거나 끼우는 방식(tuck in)으로 마감하는 마감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틀 카토너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제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제품(P)이 공급됨과 동시에 카톤 공급부(200)를 통하여 카톤(C)이 공급되고, 카톤 공급부(200)에서는 매거진(220)에서 접힌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카톤(C)을 인출장치(240)에서 낱개로 인출하고, 성형장치(260)에서 카톤(C)을 기립시켜 벌린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제품(P)과 카톤(C)이 제품 공급부(100)의 투입장치(140)에 정렬된 상태에서 투입장치(140)가 작동하여 제품(P)을 카톤(C)에 밀어 넣어서 투입 후 포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카톤(C)에 문헌지(M)를 함께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품 공급부(100)의 일측에 문헌지 공급부(300)를 마련하여 제품(P)과 함께 문헌지(M)가 연속 공급되도록 하고, 투입장치(140)를 이용하여 제품(P)을 카톤(C)에 밀어 넣는 경우 제품(P)과 문헌지(M)가 동시에 밀려 들어가면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제품 공급부(100)와, 카톤 공급부(200)와, 문헌지 공급부(300) 각각의 구성들과 작동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품 공급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장치(120)는 벨트가 기어에 맞물려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공급컨베이어(122)와, 그 공급컨베이어(122)에 장착되어 제품(P)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공급하는 브라켓(12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브라켓(124)은 제품(P)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품(P)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져 이격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제품(P)이 브라켓(124)에 의하여 수납된 상태에서 투입장치(140)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브라켓(1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준브라켓(124a)과 유동브라켓(124b)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컨베이어(122)는 기준벨트(122a)와 유동벨트(122b)로 분할되게 구성하고, 기준벨트(122a)에는 기준브라켓(124a)을 장착하고, 유동벨트(122b)에는 유동브라켓(124b)을 장착함으로써 수동 조작에 의하여 유동벨트(122b)만을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브라켓(124)의 수용공간의 폭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장대상물인 제품(P)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유동밸트(122b)만을 조정하여 전체 브라켓(124)의 수용공간의 폭을 조절하여 브라켓(124)의 수용공간에 제품(P)을 정위치 정렬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장치(120)의 말단에는 브라켓(124)에 수용된 제품(P)을 카톤(C)으로 밀어 넣어서 투입하는 투입장치(140)가 형성된다.
투입장치(14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레일(142)이 장착되고, 그 레일(142)에 푸셔(144)를 장착하여 푸셔(144)가 레일을 타고 왕복 작동하면서 제품을 카톤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푸셔(144)의 왕복 속도는 이송장치(120)의 제품(P) 공급 속도에 비례하여 왕복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품(P)이나 카톤(C)의 크기 또는 포장속도 설정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그 속도에 따라서 연속 또는 간헐식으로 반복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카톤 공급부(200)에서 카톤이 공급되는 속도가 운행 후 일시정지 하는 등 간헐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푸셔(144)의 왕복 동작만으로도 제품을 투입할 수 있으나, 카톤 공급부(200)에서 카톤이 공급되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장치(140)는 레일(142)의 작동방향과 교호로 배치되는 보조레일(142a)을 더 장착함으로써 카톤 공급부(200)에서의 카톤 공급 속도에 대응하여 푸셔(144)가 움직임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투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톤 공급부(20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 공급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거진(220)과, 인출장치(240)와, 성형장치(260)와, 마감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된 제품(P)을 카톤 공급부(200)에서 카톤(C)에 삽입하여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매거진(220)은 보틀 카토너 포장공정에서 카톤을 연속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카톤(C)의 선단에는 카트리지(222)가 구비되어 카톤이송대(224)를 통하여 공급되어진 카톤(C)이 카트리지(222)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카톤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카톤이송대(224)는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카톤(C)을 연속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22)는 하단에 걸림구조로 카톤(C)이 안착된 상태에서 인출장치(240)에 의해서만 강제로 인출될 수 있는 것으로, 인출장치(240)는 카트리지(222)의 직하방에 흡착기(242)를 장착하고, 흡착기(242)가 상,하로 승강 작동하면서 흡착 방식에 의하여 인출되게 할 수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기(242)를 에어라인(244)에 연결하여 흡착기가 상승하여 카트리지(222)에 적층되어 있는 카톤(C)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톤(C)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상태를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흡착기(242)를 하강시켜서 카톤(C)이 카트리지(222)로부터 강제로 개별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착기(242)가 하강함에 따라 카톤(C)이 성형장치(260)의 이송컨베이어(262)에 안착되는데, 이 상태에서 흡착기(242)의 감압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성형장치(260)에 의하여 카톤(C)이 이송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성형장치(260)는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장치(240)의 흡착기(242)를 통하여 하강된 카톤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62)와, 이송컨베이어(262)의 상단에 배치되는 보조컨베이어(263)와, 이송컨베이어(262)를 통하여 이송되는 카톤의 상단을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기립장치(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262)는 선단이 매거진(220)의 카트리지(222) 하단으로부터 마감장치(280) 까지 배열되어 마감장치(280)에서 접착이나 끼우는 방식으로 마감이 완료된 포장 완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컨베이어(262)의 선단에는 인출장치(240)가 장착되어 카트리지(222)에서 인출한 카톤(C)을 이송컨베이어(262)의 상단에 안착시키는데, 이를 위하여 이송컨베이어(262)는 이격된 두 개의 이송컨베이어(262)를 병렬로 구성하여 그 사이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수용공간에 인출장치(240)를 장착함으로써 병렬구성된 이송컨베이어(262)의 사이 공간에서 흡착기(242)가 승,하강 작동을 하면서 흡착기(242)에 의하여 하부로 개별 인출된 카톤(C)을 이송컨베이어(262)의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62)는 이송되는 카톤(C)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송컨베이어(262)의 상부측에는 카톤의 상부을 지지하는 보조컨베이어(263)가 구성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262)와 보조컨베이어(263)의 상,하 간격은 카톤(C)을 벌려 개방한 상태에서 상,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보조컨베이어(263)의 선단에는 이송되는 카톤(C), 즉 납작하게 접혀있는 카톤을 벌릴 수 있도록 기립장치(264)가 구성된다.
기립장치(26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흡착판이 구성되도록 견인흡착대(264a)가 장착되어 견인흡착대(264a)가 상,하로 승강작동하면서 이송컨베이어(26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카톤(C)을 기립시켜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견인흡착대(264a)는 상단에 캠 작동부(264b)가 구성되어 견인흡착대(264a)의 승강 작동이 원형으로 동작하면서 이송컨베이어(262)의 이송속도에 대응하여 움직임되도록 함으로써 견인흡착대(264a)가 카톤(C) 상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측으로 견인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립장치(264)에 의하여 카톤(C)의 견인이 이루어지기 이전까지는 카통(C)이 납작하게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컨베이어(262)를 타고 이송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이송컨베이어(262a)에는 카톤(C)의 상부를 눌러 지지하는 가이드편(265)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265)에 의하여 카톤이 납장하게 눌린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연속 공급되는 카톤의 공급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가이드편(265)으로부터 카톤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동시에 견인흡착대(264a)가 카톤(C)의 상면에 흡착된 후 카톤 상면을 들어올려 카톤(C)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립장치(264)에 의한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262)에는 표면이 돌출되게 어태치(262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흡착대(264a)에 의하여 카톤이 상부측으로 견인될 때 이송컨베이어(262)의 어태치가 카톤의 하단 후방을 밀어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카톤(C) 자체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사각형 형태로 카톤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컨베이어(263)에도 표면이 돌출되게 어태치(263a)를 형성하면 카톤(C)이 이송될 때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이송컨베이어(262)의 어태치(262a)와 보조컨베이어(263)의 어태치(263a)가 지지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져 정방 또는 장방의 정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성형장치(260)를 통하여 카톤(C)을 펼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투입장치(140)에 의하여 카톤(C)에 제품(P)이 삽입된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장치(280)에 의하여 카톤(C)의 날개가 접힘되면서 카톤(C)의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감장치(280)는 카톤(C)의 양 옆날개와 상단을 접어 접착하기 위하여 날개의 접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장치(260)는 이송컨베이어(262)와 보조컨베이어(263) 간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262) 또는 보조컨베이어(26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승강장치(266)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승강장치(266)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높낮이 조절이 수동조작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262)와 보조컨베이어(263)간 거리 조정이 이루어지고, 카톤(C)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그 규격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262) 또는 보조컨베이어(263)가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송컨베이어(262)의 어태치(262a)와 보조컨베이어(263)의 어태치(263a) 간 대응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보틀 카토너에서 카톤의 규격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부속 전체를 해체한 후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매우 짧은 시간에 카톤 규격을 설정한 후 재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품 공급부(100)와 카톤 공급부(200)는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연동시켜 작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를 들어 카톤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그 카톤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제품 공급부(100)의 이송장치(120)와 카톤 공급부(200)의 매거진(220), 인출장치(240), 성형장치(260), 마감장치(280)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품 공급부(100)의 일측에는 문헌지를 접어서 이송하는 문헌지 공급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문헌지 공급부(3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장치(310)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의 문헌지를 필요한 형상으로 접어서 문헌지 이송대(320)를 통하여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문헌지 이송대(320)는 이송장치(120)와 인접하게 병렬로 문헌지 이송대(320)를 배치하여 제품(P)이 공급될 때 문헌지(M)가 함께 공급되어 투입장치(140)에 의하여 카톤(C)에 삽입될 수 있다.
문헌지 이송대(32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수평상태로 장착된 제1,2벨트(322,324)가 맞물려 장착되도록 하여 문헌지(M)가 공급될 때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입장치(140)의 푸셔(144)를 이용하여 한 번에 제품(P)과 문헌지(M)를 동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품 공급부(100)의 투입장치(140)의 푸셔(144) 위치와 일치되게 문헌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문헌지 이송대(320)에는 스토퍼(326)를 형성함으로써 제품(P)과 카톤(C)의 사이에 문헌지(M)를 공급하여 푸셔(144)의 동작에 의하여 제품이 문헌지를 가압하여 문헌지가 접히면서 일체로 카톤에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푸셔(144)의 일회 동작에 의하여 제품(P)과 문헌지(M)를 동시 삽입될 때 문헌지(M)의 중앙부를 제품(P)의 중앙에 일치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P)이 문헌지(M)의 중앙부를 밀어서 접힘되면서 카톤(C)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문헌지가 편심되게 삽입되거나 삽입 불량의 우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면서 삽입될 수 있다.
100: 제품 공급부
120: 이송장치
122: 공급컨베이어 122a: 기준벨트 122b: 유동벨트
124: 브라켓 124a: 기준브라켓 124b: 유동브라켓
140: 투입장치
142: 레일 142a :보조레일
144: 푸셔
200: 카톤 공급부
220: 매거진 222: 카트리지 224: 카톤이송대
240: 인출장치 242: 흡착기 244: 에어라인
260: 성형장치
262: 이송컨베이어 262a: 어태치
263: 보조컨베이어 263a: 어태치
264: 기립장치 264a: 견인흡착대 264b: 캠작동부
265 가이드편
266: 승강장치
280: 마감장치
300: 문헌지 공급부
320: 문헌지 이송대
322: 제1벨트 324: 제2벨트 326: 스토퍼

Claims (6)

  1. 알약이나 캡슐을 용기에 담은 상태의 제품(P)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100);
    상기 제품을 투입하여 포장하기 위한 카톤(C)을 공급하는 카톤 공급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 공급부(100)는 제품을 개별이송하는 이송장치(120)와, 제품과 카톤을 매칭하여 제품을 카톤에 투입시키는 투입장치(140)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공급부(200)는 카톤을 공급하는 매거진(220)과, 매거진으로부터 카톤을 개별인출 공급하는 인출장치(240)와, 인출된 카톤을 제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벌리는 성형장치(260)와, 제품이 투입된 상태의 카톤의 날개를 접어서 마감하는 마감장치(2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된 제품(P)을 카톤 공급부(200)를 통하여 공급된 카톤(C)에 삽입하여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틀 카토너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200)의 매거진(220)은 카톤의 연속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적재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22)가 구비되고,
    인출장치(240)는 카트리지(222)의 하단에서 상,하 승강 작동하면서 최하단의 카톤을 개별 인출하는 흡착기(242)가 장착되며,
    성형장치(260)는 인출장치(240)의 흡착기(242)를 통하여 하강된 카톤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62)와, 이송컨베이어(262)를 통하여 이송되는 카톤의 상단을 흡착하여 상승시키는 기립장치(264)를 포함하며, 이송컨베이어(262)의 상단에는 카톤의 상면을 안내하는 보조컨베이어(263)가 더 구성되되, 이송컨베이어(262)와 보조컨베이어(263)에는 어태치(262a,263a)가 형성되어 기립장치(264)를 통하여 기립된 카톤이 벌어짐 상태의 정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200)는 성형장치(260)의 이송컨베이어(262) 또는 보조컨베이어(263)가 수동조작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266)에 장착되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이송컨베이어(262)와 보조컨베이어(263)간 거리 조정이 이루어져 카톤 규격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200)는 이송컨베이어(262) 또는 보조컨베이어(263)가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송컨베이어(262)의 어태치(262a)와 보조컨베이어(263)의 어태치(263a) 간 대응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 공급부(200)로 제품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부(100)는 이송장치(120)가 공급컨베이어(122)에 복수의 브라켓(124)이 장착되어 제품의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컨베이어(122)는 설치방향을 따라서 기준벨트(122a)와 유동벨트(122b)로 분할 구성되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유동벨트(122b)만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24)은 분할된 기준벨트(122a)에 장착되는 기준브라켓(124a)과 유동벨트(122b)에 장착되는 유동브라켓(124b)으로 구성되어 유동벨트(122b)를 조작함에 따라 기준브라켓(124a)과 유동브라켓(124b)의 간격을 조정하여 제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위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5. 상기 제품 공급부(100)는 브라켓(124)에 수용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장치(140)가 형성되되, 투입장치(140)는 제품이나 카톤의 크기 또는 포장속도 설정에 따라서 연속 또는 간헐식으로 반복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레일(142)에 푸셔(144)가 장착되어 푸셔(144)가 레일을 타고 왕복 작동하면서 제품을 카톤에 투입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부(100)의 일측에는 문헌지를 접어서 이송하는 문헌지 공급부(300)가 형성되고, 문헌지 공급부(300)는 이송장치(120)와 인접하게 병렬로 문헌지 이송대(320)가 배치되되,
    문헌지 이송대(320)에는 문헌지(M)를 직립상태로 공급하기 위하여 수평상태로 장착된 제1,2벨트(322,324)가 맞물려 장착되되, 제품 공급부(100)의 투입장치(140)의 푸셔(144) 위치와 일치되게 문헌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스토퍼(326)가 형성되어 제품과 카톤의 사이에 문헌지를 공급하여 푸셔(144)의 동작에 의하여 제품이 문헌지를 가압하여 문헌지가 접히면서 일체로 카톤에 투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카토너.
KR1020200027385A 2020-03-04 2020-03-04 보틀 카토너 KR10237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85A KR102375311B1 (ko) 2020-03-04 2020-03-04 보틀 카토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85A KR102375311B1 (ko) 2020-03-04 2020-03-04 보틀 카토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71A true KR20210112171A (ko) 2021-09-14
KR102375311B1 KR102375311B1 (ko) 2022-03-17

Family

ID=7777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85A KR102375311B1 (ko) 2020-03-04 2020-03-04 보틀 카토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21A (ja) * 1991-07-19 1993-02-02 Aichi Steel Works Ltd ワーク搬送処理装置
JPH0733118A (ja) * 1993-07-15 1995-02-03 Tomisaburo Iwaki 商品箱詰め機における開箱装置
JP2014221665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オーエム製作所 挿入装置
KR20160087204A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흥아기연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KR102005092B1 (ko) * 2018-04-10 2019-10-01 (주)제이에스아이 범용성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 포장시스템
KR20190118066A (ko) * 2018-04-09 2019-10-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21A (ja) * 1991-07-19 1993-02-02 Aichi Steel Works Ltd ワーク搬送処理装置
JPH0733118A (ja) * 1993-07-15 1995-02-03 Tomisaburo Iwaki 商品箱詰め機における開箱装置
JP2014221665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オーエム製作所 挿入装置
KR20160087204A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흥아기연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KR20190118066A (ko) * 2018-04-09 2019-10-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KR102005092B1 (ko) * 2018-04-10 2019-10-01 (주)제이에스아이 범용성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 포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311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740B2 (ja) 詰め込みカルーセルを有する梱包システム
JP4823356B2 (ja) 装荷回転式コンベヤを有する包装システム
US8015782B2 (en) Case packer
EP1807306B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CARTON
US6571539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carton set up
KR101929419B1 (ko) 랩 어라운드 포장시스템
JP2018090265A (ja) カートニング装置、及び、カートニングシステム
US7093408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forming a carton
KR102375311B1 (ko) 보틀 카토너
JP4521897B2 (ja) 段ボールケーサ
KR101125154B1 (ko) 단위지함 정렬 장치
EP1584561B1 (en) Packag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ckaging lanes
CN208715540U (zh) 一种显示面板自动装箱拆箱装置
EP3969399A1 (en)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in cartons and method for this
CN114126970A (zh) 用于将元件、优选纸箱布置在托盘上的包装机及其方法
JP2002522300A (ja) パッケージング機械
CN115027725A (zh) 一种自动装盒生产线及装盒工艺
CN103126066A (zh) 棒形物搬运箱操纵装置、循环盒及搬运箱装填水平改变法
JP2003524557A (ja) 梱包装置及びカートン形成方法
KR102526097B1 (ko) 용기 자동 적재 및 포장 장치 및 방법
CN220974741U (zh) 一种具有纸盒板供给成型系统的包装机
JP2018177353A (ja) 梱包装置、梱包方法
KR200383062Y1 (ko) 단자식 조제용 약 포장기
JPH09240621A (ja) カートンの集積装置
JP3839511B2 (ja) チューブ状商品の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