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369A -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 Google Patents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369A
KR20160085369A KR1020167017708A KR20167017708A KR20160085369A KR 20160085369 A KR20160085369 A KR 20160085369A KR 1020167017708 A KR1020167017708 A KR 1020167017708A KR 20167017708 A KR20167017708 A KR 20167017708A KR 20160085369 A KR20160085369 A KR 2016008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unit
switching
switching unit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424B1 (ko
Inventor
토요시 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Publication of KR2016008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6Switches for conn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or electric motors to measuring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1C13/02Structural combinations of 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복수의 저항기가 배열된 부하 시험기에서, 효율적으로 내부 배선이 가능한 부하 시험기를 제공한다. 부하 시험기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저항 유닛과,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며,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Load Testing Apparatus and Coupling Switch Unit for Load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류 발전기 등의 전원에 대한 전기 부하 시험에 사용되는 부하 시험기 등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 유닛을 사용한 건식 부하 시험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5752호
부하 시험기에서는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과, 전력을 공급하는 저항기군(또는 저항기)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선을 배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저항기가 배열된 부하 시험기에서, 효율적으로 내부 배선이 가능한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저항 유닛과,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碍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제 1 버스 바와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접속 절환부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부하 시험기를 구성하는 부재 배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짧은 접속 부재(케이블 등)를 사용하여 저항기와 스위칭부,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는 저항 유닛의 배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중간부와, 저항 유닛의 측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제 1 측면부와 제 2 측면부를 가지고, 중간부가 제 1 면을 형성하고 제 1 측면부가 제 2 면을 형성하며, 중간부와 제 1 측면부와 제 2 측면부가 ㄷ자 또는 C자의 단면 형상을 형성한다.
본체부의 중간부는 본체부의 제 1 측면부와 저항 유닛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부에 스위칭부가 장착되기 때문에 스위칭부의 교환과 수리 등 유지 보수를 수행할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가 중간부에 장착되고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에 장착 금구가 장착되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와 장착 금구를 통하여 본체부가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와 저항기를 접속하는 케이블과,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를 접속하는 케이블은, 중간부와 제 1 측면부와 제 2 측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고, 스위칭부의 제어 신호선은 중간부와 제 1 측면부와 제 2 측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통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제어 신호선은 커넥터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상태로 스위칭부와 접속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위칭부는 스위칭부의 케이스 내부로부터 연장되고, 일방 단자로서 고정 접점의 일방과 제 1 버스 바를 접속하는 제 1 케이블과, 타방 단자로서 고정 접점의 타방과 저항기를 접속하는 제 2 케이블을 가지고, 케이스 내부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영역은 내부 케이스로 덮이고, 내부 케이스의 내측은 불활성 가스가 충전(充塡)되며,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로서 적어도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 사이를 포함하는 영역은 절연 물질이 충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저항기군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기가 y 방향에 수직한 x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직렬 접속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제 1 저항 유닛과, 제 1 저항 유닛과 별체로 구성되고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제 2 저항 유닛과,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제 2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로서,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구비하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저항 유닛과,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제 1 저항 유닛과, 제 1 저항 유닛과 별체로 구성되고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제 2 저항 유닛과,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제 2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는,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로서, 본체부와,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구비하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본체부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저항기가 배열된 부하 시험기에서, 효율적으로 내부 배선이 가능한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기로서, 각 토대부를 인접시키기 전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기로서, 각 토대부를 인접시킨 후의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제 1 저항 유닛 ~ 제 6 저항 유닛, 제 1 토대부 ~ 제 6 토대부, 애자, 제 1 냉각팬 ~ 제 6 냉각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제 1 저항 유닛과 제 3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3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기로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토대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접속 케이블을 단락 바로 치환한 형태의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스위칭 부재를 사용한 접속 형태로,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위칭 부재를 사용한 접속 형태로,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스위칭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스위칭 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스위칭 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기로서, 각 토대부를 인접시킨 후의 상태의 상면도로서, 전원 접속부와 저항 유닛 사이의 배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제 1 저항 유닛 ~ 제 6 저항 유닛, 제 1 토대부 ~ 제 6 토대부, 애자, 제 1 냉각팬 ~ 제 6 냉각팬, 접속 절환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속 절환부가 제 1 저항 유닛과 제 3 저항 유닛과 제 5 저항 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속 절환부가 제 1 저항 유닛의 측부(側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접속 절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부하 시험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속 절환부가 제 1 저항 유닛의 후부(後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중간부가 저항 유닛의 측면에 평행한 상태로, 접속 절환부가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 2 측면부에 설치되며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를 사용하여 접속 절환부가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제 2 커넥터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선이 접속된 접속 절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일 단의 저항기군에 대응하는 스위칭부의 제어 신호선을 단락하여 제어 장치와 접속시킨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접속부와 저항 유닛 사이의 배선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4는 동일 단의 저항기군에 대응하는 스위칭부의 제어 신호선을 단락하여 제어 장치와 접속시킨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저항 유닛 ~ 제 6 저항 유닛, 제 1 토대부 ~ 제 6 토대부, 애자, 제 1 냉각팬 ~ 제 6 냉각팬, 접속 절환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저항기군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 유닛 옆에 냉각팬을 배치한 형태로,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덕트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저항기군이 연직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 유닛 옆에 냉각팬을 배치한 형태로,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애자, 제 1 토대부와 제 2 토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건식 부하 시험기(1)는 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 간격 조정 부재(20),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 전원 접속부(40), 애자(碍子, 50), 접속 케이블(60)을 구비한다(도 1 ~ 도 13).
우선 각 부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각 부의 구조에 관한 설명 후에 전원 접속부(40)와 각 저항 유닛 사이의 배선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14 ~ 도 24 참조). 따라서 도 1 ~ 도 13에서는 접속 절환부(70) 등 배선에 관한 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제 1 토대부(1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1 토대부(11) 내 상부에 제 1 냉각팬(31)이 설치되고, 제 1 토대부(11)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1 냉각팬(31)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1 냉각팬(31)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1 토대부(11)의 상부에는 제 1 저항 유닛(21)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제 2 토대부(12)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2 토대부(12) 내 상부에 제 2 냉각팬(32)이 설치되고, 제 2 토대부(12)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2 냉각팬(32)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2 냉각팬(32)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2 토대부(12)의 상부에는 제 2 저항 유닛(22)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제 3 토대부(1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3 토대부(13) 내 상부에 제 3 냉각팬(33)이 설치되고, 제 3 토대부(13)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3 냉각팬(33)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3 냉각팬(33)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3 토대부(13)의 상부에는 제 3 저항 유닛(23)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제 4 토대부(14)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4 토대부(14) 내 상부에 제 4 냉각팬(34)이 설치되고, 제 4 토대부(14)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4 냉각팬(34)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4 냉각팬(34)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4 토대부(14)의 상부에는 제 4 저항 유닛(24)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제 5 토대부(15)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5 토대부(15) 내 상부에 제 5 냉각팬(35)이 설치되고, 제 5 토대부(15)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5 냉각팬(35)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5 냉각팬(35)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5 토대부(15)의 상부에는 제 5 저항 유닛(25)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제 6 토대부(16)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제 6 토대부(16) 내 상부에 제 6 냉각팬(36)이 설치되고, 제 6 토대부(16) 내 하부 측면과 저면에는 제 6 냉각팬(36)의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제 6 냉각팬(36)의 배기구가 설치된다. 제 6 토대부(16)의 상부에는 제 6 저항 유닛(26)이 애자(50)를 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애자(50)와 각 토대부 사이에 베이스판과 방진 절연 고무 등(미도시)이 설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도 1 ~ 도 24에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가 배열되는 수평 방향을 x 방향, 제 1 토대부(11), 제 3 토대부(13), 제 5 토대부(15)가 배열되는 수평 방향을 y 방향, y 방향과 x 방향에 수직한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이 있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전원 접속부(40)가 있는 측을 후방으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의 제 1 프레임(21a)의 배면은 제 3 저항 유닛(23)의 제 3 프레임(23a)의 전면과 대향하고, 제 1 저항 유닛(21)의 제 1 프레임(21a)의 측면 일방은 제 2 저항 유닛(22)의 제 2 프레임(22a)의 측면 타방과 대향한다.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는 x 방향으로 간극을 두지 않고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는 x 방향으로 간극을 두지 않고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는 x 방향으로 간극을 두지 않고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1 토대부(11)와 제 3 토대부(13)와 제 5 토대부(15)는, 간격 조정 부재(20)를 사이에 끼우고 y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 2 토대부(12)와 제 4 토대부(14)와 제 6 토대부(16)는, 간격 조정 부재(20)를 사이에 끼우고 y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된다.
간격 조정 부재(20)는 y 방향의 폭이 w1인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토대부 사이에 배치하여 토대부 사이에 폭 w1 이상인 이격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 w1은, 후술하는 제 2 거리(d2)보다 길다(예를 들면 510 mm).
또한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 사이,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 사이,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 사이에도 간격 조정 부재(20)를 끼우거나 해서 간격을 두고 각 토대부를 설치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 사이,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 사이,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 사이에 케이블 등의 배선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의 각각은, y 방향에 평행한 봉상(棒狀) 저항기(R)가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되어 직렬 접속된 저항기군이, z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되어 병렬 접속 되고, 절연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1 프레임 ~ 제 6 프레임, 21a ~ 26a)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저항기군의 절환을 수행하고 발전기 등 시험 대상 전원의 부하 조건을 바꿔서 시험 대상 전원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 도 24에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의 각각은, y 방향에 평행한 봉상 저항기(R)가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8개 배열되고, 단락 바 등을 사용하여 직렬 접속된 저항기군이 z 방향으로 8단 배열되어 병렬 접속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각 저항기군에 배열되는 저항기(R)의 개수와 저항기군이 적층되는 단 수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저항 유닛(21)이 상단부터 제 11 저항기군(R11) ~ 제 18 저항기군(R18)을 가지고, 제 2 저항 유닛(22)이 상단부터 제 21 저항기군(R21) ~ 제 28 저항기군(R28)을 가지고, 제 3 저항 유닛(23)이 상단부터 제 31 저항기군(R31) ~ 제 38 저항기군(R38)을 가지고, 제 4 저항 유닛(24)이 상단부터 제 41 저항기군(R41) ~ 제 48 저항기군(R48)을 가지고, 제 5 저항 유닛(25)이 상단부터 제 51 저항기군(R51) ~ 제 58 저항기군(R58)을 가지고, 제 6 저항 유닛(26)이 상단부터 제 61 저항기군(R61) ~ 제 68 저항기군(R68)을 갖는 것으로 한다.
저항기군 각각은, 하부에 설치된 냉각팬으로부터의 냉풍을 상부로 흘려보내기 위해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고, 인접한 저항 유닛과의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제 1 프레임(21a) ~ 제 6 프레임(26a))으로 측면이 덮이며, 각 저항기(R)의 양 단자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부분과 배면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저항 유닛(21)의 저항기군(제 11 저항기군(R11) ~ 제 18 저항기군(R18))의 측면을 덮는 제 1 프레임(21a) 중에서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2 저항 유닛(22)과 제 3 저항 유닛(23))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 45 mm 이상)만큼 제 1 토대부(11)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1 토대부(11)와 제 1 저항 유닛(21)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2 저항 유닛(22)의 저항기군(제 21 저항기군(R21) ~ 제 28 저항기군(R28))의 측면을 덮는 제 2 프레임(22a) 중에서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과 제 4 저항 유닛(24))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만큼 제 2 토대부(12)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2 토대부(12)와 제 2 저항 유닛(22)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3 저항 유닛(23)의 저항기군(제 31 저항기군(R31) ~ 제 38 저항기군(R38))의 측면을 덮는 제 3 프레임(23a) 중에서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 제 4 저항 유닛(24), 제 5 저항 유닛(25))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만큼 제 3 토대부(13)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3 토대부(13)와 제 3 저항 유닛(23)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4 저항 유닛(24)의 저항기군(제 41 저항기군(R41) ~ 제 48 저항기군(R48))의 측면을 덮는 제 4 프레임(24a) 중에서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2 저항 유닛(22), 제 3 저항 유닛(23), 제 6 저항 유닛(26))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만큼 제 4 토대부(14)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4 토대부(14)와 제 4 저항 유닛(24)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5 저항 유닛(25)의 저항기군(제 51 저항기군(R51) ~ 제 58 저항기군(R58))의 측면을 덮는 제 5 프레임(25a) 중에서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3 저항 유닛(23)과 제 6 저항 유닛(26))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만큼 제 5 토대부(15)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5 토대부(15)와 제 5 저항 유닛(25)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제 61 저항기군(R61) ~ 제 68 저항기군(R68))의 측면을 덮는 제 6 프레임(26a) 중 적어도 다른 저항 유닛(제 4 저항 유닛(24)과 제 5 저항 유닛(25))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상측에서 봤을 때(수평 방향으로) 제 1 거리(d1)만큼 제 6 토대부(16)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 6 토대부(16)와 제 6 저항 유닛(26)의 치수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R)의 단자는, 각각의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1 프레임(21a) ~ 제 6 프레임(26a))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그 돌출량은 제 1 거리(d1) 보다 짧아지도록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의 치수가 결정된다.
또한 제 1 프레임(21a) ~ 제 6 프레임(26a)에서, 다른 저항 유닛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에 대해서도 상측에서 봤을 때 제 1 거리(d1) 만큼 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 각각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저항 유닛과 토대부 재료를 공통화 할 수 있고, 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의 장소를 바꿔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의 저항기군을 구성하고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R)의 단자의 적어도 일방(후술하는 접속 케이블(60)과 접속되지 않는 측)은, 후술하는 접속 절환부(70)를 통하여 전원 접속부(40)와 접속된다. 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을 구성하고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R)의 단자의 적어도 일방(후술하는 접속 케이블(60)과 접속되지 않는 측)은, 중성점 접속을 위해서 서로 접속된다.
냉각팬에 의한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z 방향에서 봤을 때 저항기군을 구성하는 저항기(R)와 상기 저항기(R)와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기(R)의 중간 위치에, z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기군의 저항기(R)가 배치되도록 각 저항기군의 저항기(R)가 배열된다. 도 1과 도 2에서는 최상단의 저항기(R)를 도시하고, 2단째 이하의 저항기(R)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1 저항 유닛(21),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은, 제 3 거리(d3) 이상 간격을 두고 y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저항 유닛(22), 제 4 저항 유닛(24), 제 6 저항 유닛(26)은 제 3 거리(d3) 이상 간격을 두고 y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3 거리(d3)는 y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 유닛(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이 이격에 의해 절연이 생길 정도의 길이 보다 길고, 또한 토대부 사이(또는 저항 유닛 사이)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배선 등 작업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예를 들면 저항 유닛 사이가 제 3 거리(d3: 600 mm), 토대부 사이가 폭 w1: 510 mm)를 갖는다.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은, 제 2 거리(d2) 이상 간격을 두고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은, 제 2 거리(d2) 이상 간격을 두고 x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은, 제 2 거리(d2) 이상 간격을 두고 x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2 거리(d2)는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 유닛(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과 제 2 저항 유닛, 21과 22)이 이격에 의해 절연이 생길 정도의 길이(예를 들면 90 mm)를 갖는다.
제 2 거리(d2)는 제 1 거리(d1)의 2배와 동일하고, 제 3 거리(d3)는 제 1 거리(d1)의 2배와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w1)의 합과 동일하다(d2 = d1 × 2, d3 = d1 × 2 + w1).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를 x 방향으로 간극 없이 인접시킨 경우에도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은, 적어도 제 2 거리(d2, 제 1 거리(d1)의 2배인 9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를 x 방향으로 간극 없이 인접시킨 경우에도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은, 적어도 제 2 거리(d2, 제 1 거리(d1)의 2배인 9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를 x 방향으로 간극 없이 인접시킨 경우에도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은, 적어도 제 2 거리(d2, 제 1 거리(d1)의 2배인 9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토대부(11)와 제 3 토대부(13)를 간격 조정 부재(20)를 통하여 y 방향으로 간극 없이 인접시킨 경우에도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은, 적어도 제 3 거리(d3, 제1 거리(d1)의 2배와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w1)의 합인 60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의 단자는,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의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1 프레임(21a)과 제 3 프레임(23a))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3 거리(d3) 보다 짧아지지만, 제 2 거리(d2) 보다 긴 폭(w1)을 갖는 간격 조정 부재(20)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2 거리(d2) 보다 길어지고 이격에 의한 절연은 유지할 수 있다.
제 3 토대부(13)와 제 5 토대부(15)를 간격 조정 부재(20)를 통하여 y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한 경우에도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은, 적어도 제 3 거리(d3, 제 1 거리(d1)의 2배와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w1)의 합인 60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의 단자는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의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3 프레임(23a)과 제 5 프레임(25a))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3 거리(d3) 보다 짧아지지만, 제 2 거리(d2) 보다 긴 폭(w1)을 갖는 간격 조정 부재(20)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2 거리(d2) 보다 길어지고 이격에 의한 절연은 유지할 수 있다.
제 2 토대부(12)와 제 4 토대부(14)를 간격 조정 부재(20)를 통하여 y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한 경우에도 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은, 적어도 제 3 거리(d3, 제 1 거리(d1)의 2배와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w1)의 합인 60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의 단자는 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의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2 프레임(22a)과 제 4 프레임(24a))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3 거리(d3) 보다 짧아지지만, 제 2 거리(d2) 보다 긴 폭(w1)을 갖는 간격 조정 부재(20)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2 거리(d2) 보다 길어지고 이격에 의한 절연은 유지할 수 있다.
제 4 토대부(14)와 제 6 토대부(16)를 간격 조정 부재(20)를 통하여 y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한 경우에도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은 적어도 제 3 거리(d3, 제 1 거리(d1)의 2배와 간격 조정 부재(20)의 폭(w1)의 합인 600 mm 이상)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고,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에 6600 V의 고전압을 인가해도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의 단자는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4 프레임(24a)과 제 6 프레임(26a))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3 거리(d3) 보다 짧아지지만, 제 2 거리(d2) 보다 긴 폭(w1)을 갖는 간격 조정 부재(20)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선단끼리의 거리는 제 2 거리(d2) 보다 길어지고 이격에 의한 절연은 유지할 수 있다.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은 R상(R相) 부하 시험에 사용되고,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은 S상(S相) 부하 시험에 사용되며,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은 T상(T相) 부하 시험에 사용된다.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과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사이에는,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으로 유도하는 통상(筒狀) 후드(제 1 후드 ~ 제 6 후드, 31a ~ 36a)가 설치된다(도 1, 도 2의 점선 표시 참조). 상기 통상 후드 상부는, 최하단 저항기군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제 1 프레임(21a) ~ 제 6 프레임(26a))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10 m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도 프레임도 절연 소재로 구성되지만 이격을 형성함으로써 사이에 먼지 등이 축적되지 않고 절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은, 저항 유닛 사이를 직렬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부하 시험을 수행할 때의, 시험 대상 전원의 정격 전압에 대응한 사양(저항기(R) 수와 저항값 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은,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중에서 3개의 저항 유닛을 사용하여 삼상 교류 전원의 부하 시험을 수행할 때의, 시험 대상 전원의 정격 전압에 대응한 사양(저항기(R) 수와 저항값 등)을 갖는다.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 각각은, 전원 부하 시험 시에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을 냉각하기 위한 사양(팬의 냉각 능력 등)을 갖는다.
전원 접속부(40)는 진공 차단기(VCB: Vacuum Circuit Breaker, 41), 조작부(미도시), CPU 등의 제어 장치(43)를 갖는다. 시험 대상 전원과의 접속은 진공 차단기(41)를 통하여 수행된다. 조작부는 시험 대상 전원과 접속하는 저항기군의 수를 선택하고, 부하를 바꾸거나 부하 시험기(1) 전원의 온오프 조작과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하에 관한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서 제어 장치(43)가, 후술하는 접속 절환부(70)의 스위칭 장치(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이로써 사용하는 저항기군의 절환이 수행된다.
애자(50)는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과, 주변 기기(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와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 등) 사이의 절연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애자(50)는 후술하는 접속 절환부(70)의 본체부(71)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의 절연과, 본체부(71)와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 등의 목적으로,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 사이,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 사이 및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 사이에도 애자(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도 5 참조).
애자(50)는, x 방향으로 제 2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을 직렬 접속한 저항 유닛군을 사용하여 전원 부하 시험을 수행할 때의, 시험 대상 전원의 정격 전압에 대응한 사양(크기 등)을 갖는다. 특히 저항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는 애자(50)의 z 방향의 치수는, 제 2 거리(d2)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면 애자(50)는, x 방향으로 제 2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과 제 2 저항 유닛(22),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4 저항 유닛(24), 제 5 저항 유닛(25)과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을 직렬 접속한 저항 유닛군 × 3 세트를 사용하여 삼상 교류 전원의 부하 시험을 수행할 때의 시험 대상 전원의 정격 전압에 대응한 사양(크기 등)을 갖는다.
즉, 애자(50)는,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과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 각각의 사양이 대응하는 시험 대상 전원의 2배의 정격 전압에 대응한 사양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이 6600 V의 삼상 교류 전원에 대응한 사양을 갖는 경우에는, 13200 V의 삼상 교류 전원에 대응한 사양을 갖는 애자(50)가 사용된다. 이 경우, 애자(50)는 6600 V의 삼상 교류 전원에 대응한 사양의 것에 비교하여 높이가 수 cm 긴 것이 사용되게 된다.
접속 케이블(60)은, x 방향으로 제 2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에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기군끼리(의 저항기, R)를 2군데 이상 탈착 가능한 상태로 직렬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접속 케이블(60)은,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단 수의 3배(본 실시형태에서는 8단 × 3 = 24개) 준비되고, 접속 케이블(60) 각각은 저항기군을 구성하는 저항기(R) 중에서 접속 상대편의 저항 유닛에 가까운 저항기의 일방 단자와, 상기 단자와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접속 상대편의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을 구성하는 저항기(R) 중에서 상기 단자에 가까운 저항기의 단자를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군의 각 단에서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하여 접속이 수행되는 형태를 설명하지만, 각 단에서 접속이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저항기군의 적어도 2군데 이상에서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져도 된다. 1군데(1개의 저항기(R)의 일방 단자)의 접속만으로 2개의 저항 유닛을 직렬로 접속하는 형태에 비하여, 부하 시험 시의 저항기군의 절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 접속 부분이 많은 편이 절환 제어가 용이해진다.
접속 케이블(60)의 양 단자에는 링터미널(도 3과 도 4에서는 검은 동그라미로 표시)이 설치되고, 상기 링터미널을 저항기(R)의 단자에 걸리게 한 후 나사 고정(또는 볼트 고정)함으로써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기(R)와 접속 케이블(60)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하여 상기 2개의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에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직렬로 접속된다.
이 경우, 1개의 저항 유닛군에서 1개의 저항 유닛의 2배의 저항값이 얻어지게 되고, 1개의 저항 유닛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 전압의 2배인 전원의 부하 시험을 1개의 저항 유닛군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 각각이 6600 V의 삼상 교류 전원에 대응한 사양을 갖는 경우에는, 3개의 저항 유닛군으로 함으로써 13200 V의 삼상 교류 전원의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개의 저항 유닛군에 인가되는 전압은 1개의 저항 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의 2배가 되지만, 애자(50)는 1개의 저항 유닛군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려한 사양의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2배의 전압이 인가되어도 충분이 이격되어 있고, 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와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 등 저항 유닛의 주변 기기와의 절연과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은 유지할 수 있다.
접속 케이블(60)은 저항기군의 각각에 접속되기 때문에 1군데(1개의 저항기(R) 의 일방 단자)의 접속만으로 2개의 저항 유닛을 접속하는 형태에 비교하여, 부하 시험 시 저항기군의 절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저항 유닛(21) ~ 제 6 저항 유닛(26)과 제 1 냉각팬(31) ~ 제 6 냉각팬(36)은, 1개의 저항 유닛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의 전압을 고려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저항기(R) 수와 길이를 증가시켜서, 1개의 저항 유닛으로, 1개의 저항 유닛군과 동등한 사양을 얻는 형태에 비하여 기성품을 사용하여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케이블(60)은 간단히 저항기(R)로부터 떼어내어 제 1 저항 유닛(21),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만(또는 제 2 저항 유닛(22), 제 4 저항 유닛(24), 제 6 저항 유닛(26)만) 사용하여,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한 경우의 부하 시험에 비하여 저압 전원을 대상으로 한 부하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거리(d2) 이상의 이격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이격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에 비하여 x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성이 높아진다. 제 3 거리(d3) 이상의 이격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이격을 형성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하여, y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성이 높아지고, 또한 저항 유닛 사이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배선 등의 작업(특히 접속 케이블(60)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각 저항 유닛의 저항기(R)는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는 프레임으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된다(프레임의 y 방향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각 저항 유닛 프레임의 x 방향에 수직한 면에는 단자가 설치되지 않고, x 방향으로 대향하는 저항 유닛 사이에 작업자가 들어갈 기회는 적다. 따라서 x 방향으로 대향하는 저항 유닛의 간격은 최저한의 절연을 위해서 저항 유닛 사이에 이격 거리(제 2 거리, d2)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단, 상술한 것과 같이 케이블 등의 배선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저항 유닛 사이가 제 2 거리(d2)보다 길게 떨어지도록 토대부를 배치하는 형태여도 된다.
제 1 토대부(11) ~ 제 6 토대부(16)는 별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토대부에 저항 유닛과 냉각팬이 장착되고, 또한 다른 토대부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각 토대부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1개의 토대부와 저항 유닛의 전체 치수(폭, 높이, 깊이)가 각각 엘리베이터 등 승강기의 출입구 폭과 높이와 깊이를 하회하는 것이라면 상기 승강기를 사용하여 1개의 토대부와 저항 유닛과 냉각팬 세트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토대부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한 설치와, 저항 유닛 사이의 케이블 접속, 전원 접속부(40)와 제 1 저항 유닛(21) 등 다른 기기와의 접속 등 후술하는 제 1 공정 ~ 제 8 공정은 반입 후에 수행할 필요가 있지만, 저항 유닛과 냉각팬을 토대부에 고정하는 것과 저항 유닛 내부 배선에 비하여 용이한 작업으로, 부하 시험기(1)를 설치할 장소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저항 유닛의 프레임은 토대부보다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대부끼리 접촉되도록 설치해도 저항 유닛끼리는 접촉되지 않고, 제 2 거리(d2) 이상의 간격이 유지된다. 따라서 각 토대부가 별체 구성이라도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을 유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건 발명에서는 제 2 거리(d2)를 90 mm 이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2개의 저항 유닛 각각에 6600 V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도 상기 양 저항 유닛 사이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승강기가, 2개의 토대부를 동시에 반입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경우, 즉 토대부와 저항 유닛과 냉각팬 세트 2쌍을 x 방향으로 인접시킨 경우의 전체 치수(폭, 높이, 깊이)가 각각 승강기의 출입구 폭과 높이와 깊이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x 방향으로 인접시킬 2개의 토대부(예를 들면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대부 상에 장착된 저항 유닛 사이의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한 접속을 수행한 상태로 승강기에 반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는 일체로 구성되는 형태여도 된다(도 7 참조). 도 7은 제 7 토대부(17)가 제 1 토대부(11)와 제 2 토대부(12)를 포함하는 일체적인 토대부이고, 제 8 토대부(18)가 제 3 토대부(13)와 제 4 토대부(14)를 포함하는 일체적인 토대부이며, 제 9 토대부(19)가 제 5 토대부(15)와 제 6 토대부(16)를 포함하는 일체적인 토대부인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군 내의 저항기(R)가 직렬로 접속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저항기(R)의 단자와 다른 저항기(R) 단자의 접속 방법을 바꿈으로써, 일부 또는 전부를 병렬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단락 바를 사용하거나 스위칭 부재를 통해서 저항기군 내 저항기(R)의 접속 방법을 직렬과 병렬로 절환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저항기군 내 병렬로 접속하는 부위를 많게 함으로써 저압의 삼상 교류 전원의 부하 시험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다른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접속을, 접속 케이블(60)을 사용한 형태로 설명했지만, 저항기군 사이의 접속 부재는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저항기(R)의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단락 바와 동일하게 단락 바(61)를 사용하여 저항기군과 다른 저항기군을 접속시키는 형태여도 된다(도 8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저항기(R)의 접속은, 직접 수행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고정 접점(81)과 가동 접점(83)과 가동 접점(83)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85)를 내장하고, 질소 등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케이스(87)를 포함하는 스위칭 부재(80)를 통하여 수행되는 형태여도 된다(도 9 ~ 도 12 참조).
구체적으로는 스위칭 부재(80)는 고정 접점(81), 가동 접점(83), 구동 부재(85), 리드선(86), 케이스(87)를 가지고, 저항기군 중에서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접속하는 저항기(R) 단자의 근방에 설치된다.
스위칭 부재(80)의 고정 접점(81)의 일방으로부터 케이스(87) 외부에 돌출되는 단자(제 1 단자, 81a)는 저항기(R) 단자와 접속되고, 타방으로부터 케이스(87) 외부에 돌출되는 단자(제 2 단자, 81b)는,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의 일방과 접속된다. 저항기(R)와 제 1 단자(81a) 접속은 상시 수행되며,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제 2 단자(81b)의 접속은 저항 유닛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를 제 2 단자(81b)에 장착할 때 잘못해서 제 1 단자(81a)와 접촉되지 않도록, 또한 제 1 단자(81a)와 제 2 단자(81b) 사이에서 단락되지 않도록, 제 1 단자(81a)와 제 2 단자(81b) 사이에는 절연벽(8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가동 접점(83)은 구동 부재(85)에 의해 구동되고, 고정 접점(81)과 접촉되는 온(ON) 상태와, 고정 접점(81)과 접촉되지 않는 오프(OFF) 상태의 절환이 수행된다.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제 2 단자(81b)의 접속은 오프 상태에서 수행된다.
구동 부재(85)는 리드선(제어 신호선, 86)을 통하여 전원 접속부(40)의 제어 장치(43)와 접속되고, 전원 접속부(40)의 제어 장치(43)에 의해 동작이 제어(온 상태와 오프 상태 절환 제어)된다.
케이스(87)는 고정 접점(81), 가동 접점(83), 구동 부재(85)를 내장하고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다.
고정 접점(81)과 가동 접점(83)이 접촉되지 않는 오프 상태에서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스위칭 부재(80, 제 2 단자(81b))의 접속을 수행하면 저항 유닛의 리크(leak) 전류가 외부에 누설되어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를 보유한 사용자를 감전시킬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케이스(87) 내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접점(81)과 가동 접점(83)이 접촉되지 않은 오프 상태(또는 온 상태가 되기 직전)에서 고정 접점(81)과 가동 접점(83) 사이에 스파크가 생길 가능성도 낮다.
더욱이 제 1 단자(81a)와 제 2 단자(81b)로서, 고정 접점(81)으로부터 케이스(87)의 외부에 돌출되는 케이블(제 1 케이블(82a), 제 2 케이블(82b))을 설치하는 형태여도 된다(도 13 참조).
제 1 케이블(82a)의 일방은 고정 접점(81)의 일방에 접속되고, 제 1 케이블(82a)의 타방은 저항기(R)와 접속된다. 제 2 케이블(82b)의 일방은 고정 접점(81)의 타방에 접속되고, 제 2 케이블(82b)의 타방은 접속 케이블(60) 또는 단락 바(61)와 접속된다.
케이스(87) 내부에서 제 1 케이블(82a)의 고정 접점(81)과 접촉하는 영역, 제 2 케이블(82b)의 고정 접점(81)과 접촉하는 영역, 및 고정 접점(81)과 가동 접점(83)을 포함하는 영역은, 밀폐 용기(내부 케이스, 90)로 덮이고, 밀폐 용기(90)의 내측은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다. 밀폐 용기(90)와 케이스(87) 사이에서 적어도 제 1 케이블(82a)과 제 2 케이블(82b) 사이를 포함하는 영역은, 제 1 케이블(82a)과 제 2 케이블(82b)이 단락되지 않도록 부틸 고무 등의 절연 부재가 충전된다.
도 13에서는 밀폐 용기(90)와 케이스(87)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절연 부재가 충전된 형태로, 절연 부재가 충전된 영역을 바둑판 모양으로 도시한다. 케이스(87)의 저부에서 구동 부재(85)로부터 연장되는 제어 단자(89)에는, 다심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 리드선(제어 신호선, 86, 도 13에서는 미도시)이 접속된다.
또한 제 1 케이블(82a)과 고정 접점(81)의 일방, 제 2 케이블(82b)과 고정 접점(81)의 타방은 도 13과 같이 별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제 1 케이블(82a)과 제 2 케이블(82b)의 선단이 고정 접점(81)으로서 기능하고 가동 접점(83)과 접촉하는 형태여도 된다.
다음으로 전원 접속부(40)와 각 저항 유닛 사이의 배선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저항 유닛(21)의 저항기군(제 11 저항기군(R11) ~ 제 18 저항기군(R18)), 제 3 저항 유닛(23)의 저항기군(제 31 저항기군(R31) ~ 제 38 저항기군(R38)), 제 5 저항 유닛(25)의 저항기군(제 51 저항기군(R51) ~ 제 58 저항기군(R58))은 각각 저항 유닛의 프레임(제 1 프레임(21a), 제 3 프레임(23a), 제 5 프레임(25a))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를 통하여 전원 접속부(40)와 접속된다.
접속 절환부(70)는 본체부(71), 제 1 버스 바(bus bar, 73), 장착 금구(75), 제 2 버스 바(77),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를 갖는다.
본체부(71)는 단면이 ㄷ자 또는 C자 형상이고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고, 저항 유닛의 배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중간부(71a)와, 상기 중간부(71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저항 유닛 측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제 1 측면부(71b1)와 제 2 측면부(71b2)로 구성되며, 중간부(71a)와 제 1 측면부(71b1)와 제 2 측면부(71b2)가 상기 ㄷ자 또는 C자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본체부(71)가 스테인리스 등 도전성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도 부하 시험용 전류가 흐르는 제 1 버스 바(73)와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는 애자(50) 등을 통하여 이격되므로, 본체부(71)에 부하 시험용 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또한 본체부(71)가 스테인리스 등 도전성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내부의 제어 신호선을 보호하기 위해서 제 1 측면부(71b1) 등으로부터 접지선을 연장하여 접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7 참조).
중간부(71a, 제 1 면)의 외측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50)가 적어도 2군데 설치되고, 상기 애자(50) 사이에, 통부(筒部)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가 설치된다. 중간부(71a)의 내측에는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의 제어 신호선이 수납된다.
제어 신호선 등이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중간부(71a)의 내측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과 재료로 구성된 커버(71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71c)와 제 2 측면부(71b2)가 일체로 구성되는 등 제 2 측면부(71b2)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과 재료로 구성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는 중간부(71a)와 제 1 측면부(71b1)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71)의 상부는, 내부에 물 등이 침입되지 않도록 덮개(71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71d)는 도 17과 도 22 이외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제 1 측면부(71b1, 제 2 면: 제 1 면과 수직)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50)가 적어도 2군데 설치되고, 제 2 측면부(71b2)는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 또는 제 3 저항 유닛(23) 또는 제 5 저항 유닛(25))의 측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대향된다.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R)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스위칭부가 위치하도록, 중간부(71a)와 제 1 측면부(71b1)가 배치된 상태에서,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된다.
제 1 버스 바(73)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리제 도전 부재이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50)를 통하여 일정 간격(제 2 거리, d2)을 두고 본체부(71, 본체부의 제 1 측면부(71b1))에 장착되며,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U상선(相線)(LU), V상선(相線)(LV), W상선(相線)(LW)) 중에서 1개가 접속된다. 제 1 저항 유닛(21)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는 U상선(LU)과 접속된다. U상선(LU)은 진공 차단기(41)를 통하여 시험 대상 전원의 R상 단자와 접속된다. 제 3 저항 유닛(23)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는 V상선(LV)과 접속된다. V상선(LV)은 진공 차단기(41)를 통하여 시험 대상 전원의 S상 단자와 접속된다.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는 W상선(LW)과 접속된다. W상선(LW)은 진공 차단기(41)를 통하여 시험 대상 전원의 T상 단자와 접속된다.
장착 금구(75)는 스테인리스제이고 단면이 L자 또는 ㄷ자 형상이며 x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부(71)의 배면(중간부, 71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애자(50)와 저항 유닛의 프레임(제 1 프레임(21a), 제 3 프레임(23a), 제 5 프레임(25a))의 배면을 접속하여 접속 절환부(70)를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한다.
제 1 스위칭부(SW1)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1단째 저항기군(제 11 저항기군(R11) 또는 제 31 저항기군(R31) 또는 제 51 저항기군(R51))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2 스위칭부(SW2)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2단째 저항기군(제 12 저항기군(R12) 또는 제 32 저항기군(R32) 또는 제 52 저항기군(R52))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3 스위칭부(SW3)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3단째 저항기군(제 13 저항기군(R13) 또는 제 33 저항기군(R33) 또는 제 53 저항기군(R53))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4 스위칭부(SW4)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4단째 저항기군(제 14 저항기군(R14) 또는 제 34 저항기군(R34) 또는 제 54 저항기군(R54))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5 스위칭부(SW5)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5단째 저항기군(제 15 저항기군(R15) 또는 제 35 저항기군(R35) 또는 제 55 저항기군(R55))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6 스위칭부(SW6)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6단째 저항기군(제 16 저항기군(R16) 또는 제 36 저항기군(R36) 또는 제 56 저항기군(R56))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7 스위칭부(SW7)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7단째 저항기군(제 17 저항기군(R17) 또는 제 37 저항기군(R37) 또는 제 57 저항기군(R57))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제 8 스위칭부(SW8)는 도 13에 도시한 스위칭 부재(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일방 단자는 제 1 버스 바(73)와 케이블 접속되며 타방 단자는 상측으로부터 8단째 저항기군(제 18 저항기군(R18) 또는 제 38 저항기군(R38) 또는 제 58 저항기군(R58))의 저항기(R)와 케이블 접속된다.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73)의 케이블 접속 및 스위칭부와 저항기(R)의 케이블 접속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위칭 부재(80)에 포함되는 고정 접점에 장착된 케이블(제 1 버스 바(73)와 접속되는 제 1 케이블(82a)과, 저항기와 접속되는 제 2 케이블(82b))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형태여도 되고, 고정 접점에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에 접속된 케이블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형태여도 된다.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의 제어 신호선(스위칭 부재(80)의 리드선(86)에 상당)은 중간부(71a), 제 1 측면부(71b1), 제 2 측면부(71b2), 커버(71c)로 둘러싸인 영역을 통하여 전원 접속부(40)의 제어 장치(43)에 접속된다. 스위칭부(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 스위칭부와 저항기를 접속하는 케이블 및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73)를 접속하는 케이블은, 중간부(71a), 제 1 측면부(71b1), 제 2 측면부(71b2), 커버(71c)로 둘러싸인 영역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어 신호선을 구성하는 리드선(86)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2개 선을 포함한다. 플러스선(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에 대응되는 8개 선)은 각각 제어 장치(43)에 접속된다. 마이너스선(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에 대응되는 8개 선)은, 본체부(71)의 내측에 애자를 통하여 설치되고 z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리제의 도전 부재로 구성된 제 2 버스 바(77)에 접속된다. 제 2 버스 바(77)를 통하여 1개의 마이너스선이 제어 장치(43)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에 대응된 8개의 플러스선과 1개의 마이너스선이, 제어 신호선으로서, 각 접속 절환부(70)와 제어 장치(43) 사이에 배선된다. 제 2 버스 바(77)는 접속 절환부(70)의 내측이 보이는 도 19와 도 21에 도시한다.
제어 신호선(플러스선, 마이너스선)과 스위칭부의 접속은 케이블이 직접 스위칭부에 접속되는 형태여도 되지만,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스위칭부 근방에 설치된 제 1 커넥터(C1)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서는 제 1 스위칭부(SW1)의 제어 단자(89)에 상당하는 부분이 제 1 커넥터(C1)를 통하여 제어 신호선과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다(제 2 스위칭부(SW2) ~ 제 8 스위칭부(SW8)의 제 1 커넥터(C1) 도시는 생략).
또한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제어 신호선(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에 대응된 8개의 플러스선, 마이너스선)이 접속된 제 2 커넥터(C2)가 접속 절환부(70)의 외부에 설치되고, 제 2 커넥터(C2)가 접속 절환부(70, 접속 절환부(70) 내부의 케이블)와 접속되어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와 접속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접속 절환부(70)와 제어 신호선의 배선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스위칭부 중 어느 것이 고장 난 경우에 접속 절환부(70) 전체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원 접속부(40)에 설치된 조작부에서의 부하에 관한 조작 상태에 따라서 제어 장치(43)가 제어 신호선을 사용하여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스위칭 장치(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이로써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의 절환 제어가 수행된다.
제어 장치(43)에 제어 계전기(relay,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에 대응하는 8개의 제어 계전기, 43a)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계전기(43a)를 통하여 제어 장치(43)가 스위칭 장치(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스위칭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선의 플러스선(8개 × 3쌍, 합계 24개의 플러스선)이 3개씩 세트로, 제어 장치(43)에 설치된 8개의 제어 계전기(43a)에 배선된다. 또한 각 접속 절환부(70)로부터의 제어 신호선의 마이너스선(1개 × 3 세트, 합계 3개의 마이너스선)은 각각 8개의 제어 계전기(43a)에 분기되어 접속된다. 분기될 때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버스 바를 제어 장치(43) 근방에 설치하고, 8개의 제어 계전기(43a)로 마이너스선 접속을 수행하는 형태여도 된다.
따라서 각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의 제 n 스위칭부(SWn, n은 1 이상 8 이하)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을 단락하고, 8개의 플러스선과 1개의 마이너스선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선만 제어 장치(43)에 접속시키는 형태(도 23, 도 24 참조)에 비하여, 제어 장치(43)의 주위 배선(후술하는 제 8 공정)은 복잡해지지만, 스위칭부 1개가 고장 났을 때에 제어 회로를 보호하고 다른 스위칭부로의 영향을 적게 하는(다른 스위칭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형태의 경우에도, 도 23과 도 24에 도시한 형태의 경우에도, 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 제 5 저항 유닛(25)의 각각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n 스위칭부(SWn, n은 1 이상 8 이하)는 동일한 타이밍에서 온오프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스위칭부(SW1)가 온 상태가 될 때,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스위칭부(SW1)도 온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 11 저항기군(R11)과 제 21 저항기군(R21)에 시험 대상 전원의 R상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제 31 저항기군(R31)과 제 41 저항기군(R41)에 시험 대상 전원의 S상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며, 제 51 저항기군(R51)과 제 61 저항기군(R61)에 시험 대상 전원의 T상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도 18 참조).
3개의 저항 유닛(제 2 저항 유닛(22)과, 제 4 저항 유닛(24)과, 제 6 저항 유닛(26))의 저항기군을 접속시켜서 중성점 접속하는 것(제 1 공정),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끼리(예를 들면 제 1 저항 유닛(21)의 저항기군과 제 2 저항 유닛(22)의 저항기군)를, 접속 케이블(60)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제 2 공정), 접속 절환부(70)를 3개의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과, 제 3 저항 유닛(23)과,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하는 것(제 3 공정), 각 스위칭부와 저항기군을 케이블 접속하는 것(제 4 공정), U상선(LU)을 전원 접속부(40)와 제 1 저항 유닛(21)에 장착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배선하는 것(제 5 공정), V상선(LV)을 전원 접속부(40)와 제 3 저항 유닛(23)에 장착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배선하는 것(제 6 공정), W상선(LW)을 전원 접속부(40)와 제 5 저항 유닛(25)에 장착한 접속 절환부(70)의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배선하는 것(제 7 공정) 및 각 스위칭부의 제어 신호선을, 전원 접속부(40)와 3개의 접속 절환부(70) 사이에 배선하는 것(제 8 공정)으로써, 부하 시험기(1)의 배선을 완성시킬 수 있다.
저항 유닛 내의 저항기(R) 장착, 접속 절환부(70) 내의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의 케이블 접속은, 부하 시험기(1)를 설치할 장소에 운반하기 전에 미리 완성시켜 둘 수 있다. 따라서 토대부에 장착된 저항 유닛을 소정의 장소에 설치한 후, 제 1 버스 바(73)와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접속 절환부(70)를 사용하여 제 1 공정 ~ 제 8 공정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효율적으로 부하 시험기(1)를 구성하는 부재의 배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R)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에 장착되기 때문에 짧은 접속 부재(케이블 등)를 사용하여 저항기군과 스위칭부, 스위칭부와 제 1 버스 바(73)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승강기가, 접속 절환부(70)를 장착한 저항 유닛과 토대부를 반입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경우, 즉 토대부와 접속 절환부(70)가 장착된 저항 유닛과 냉각팬 세트 1쌍의 전체 치수(폭, 높이, 깊이)가, 각각 승강기 출입구의 폭과 높이와 깊이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제 3 공정과 제 4 공정에 대해서도 부하 시험기(1)를 설치할 장소에 운반하기 전에 미리 수행해 두는 형태여도 된다.
접속 절환부(70)를 사용하지 않고 각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전원 접속부(40)를 케이블 접속하고, 전원 접속부(40) 내에 설치한 스위칭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하는 저항기군의 절환 제어를 수행하는 형태에 비하여, 접속 절환부(70)를 사용함으로써 저항 유닛과 전원 접속부(40)의 접속 케이블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속 절환부(70)에 설치된 제 1 스위칭부(SW1) ~ 제 8 스위칭부(SW8)는, 내부에 불활성 가스가 충전되고 내구성이 높은 스위칭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도 빈번한 온오프 조작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부재보다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스위칭부를 접속 절환부(70)에 설치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절환부(70)의 중간부(71a)는 본체부(71)의 제 1 측면부(71b1)와 저항 유닛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부(71a)에 스위칭부가 장착되기 때문에, 스위칭부의 교환과 수리 등 유지 보수를 수행할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접속 절환부(70)의 본체부(71)는 애자(50)와 장착 금구(75)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저항 유닛에 장착되기 때문에, 파손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접속 절환부(70)를 새로운 접속 절환부(70)와 교체하고 수리 대응하는 것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절환부(70)는 저항 유닛 측부에 장착하는 형태여도 되지만, 저항 유닛과 y 방향으로 인접하는 저항 유닛 사이에 접속 절환부(70)를 배치할 스페이스가 있으면, 저항 유닛의 전부(前部) 또는 후부(後部)에 접속 절환부(70)를 장착하는 형태여도 된다(도 19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중간부, 71a)이 저항 유닛 배면에 평행하고, 제 1 버스 바(73)가 장착되는 제 2 면(제 1 측면부, 71b1)이 저항 유닛의 측면에 평행한 위치 관계로,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R)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한다면, 제 1 면(중간부, 71a)이 저항 유닛의 측면에 평행하고 제 1 버스 바(73)가 장착되는 제 2 면(제 1 측면부, 71b1)이 저항 유닛의 배면에 평행한 위치 관계로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형태여도 된다(도 20 참조).
또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50)와 장착 금구(75)를 사용하여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 2 측면부(71b2)에 설치되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50)를 사용하여 접속 절환부(70)가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형태여도 된다(도 21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저항 유닛을 2세트씩 조합한 부하 시험기(1)를 사용하여 접속 절환부(70)의 구성을 설명했다. 단 접속 절환부(70)를 사용하는 저항 유닛의 구성은 6개의 저항 유닛을 2세트씩 조합한 부하 시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항 유닛과 접속 절환부(70)를 1세트씩 조합한 부하 시험기에서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버스 바와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접속 절환부(70)를 사용하여 부하 시험기를 구성하는 부재 배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24에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하면으로부터 흡기해서 상면으로 냉각풍을 보내는 냉각팬의 상방에 저항 유닛(연직 방향으로 개구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저항 유닛)을 배치하여,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냉각풍을 흘려보내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수평 방향으로 바람을 배출하는 냉각팬의 전면에 저항 유닛(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저항 유닛)이 애자(50)를 통하여 장착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냉각풍을 흘려보내는 형태여도 된다(도 25 참조).
도 25는 2개의 토대부(제 1 토대부(11, 제 1 냉각부), 제 2 토대부(12, 제 2 냉각부)) 옆에 2개의 저항 유닛(제 1 저항 유닛(21), 제 2 저항 유닛(22))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중성점 접속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저항 유닛의 도시는 생략).
도 25와 도 26에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토대부(11, 제 1 냉각부)와 제 2 토대부(12, 제 2 냉각부)가 배열되는 수평 방향을 x 방향, 제 1 토대부(11), 제 1 저항 유닛(21)이 배열되는 수평 방향을 y 방향, y 방향과 x 방향에 수직한 연직 방향을 z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도 25와 도 26에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저항기(R)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x 방향에 평행)되도록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저항기(R)가 배치되는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z 방향에 평행)되도록 배치되는 형태여도 된다.
저항 유닛을 지지하기 위해서 애자(50)를 저항 유닛과 설치면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팬의 흡기는 배면으로부터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토대부(냉각부) 측면의 흡기구는 생략할 수 있다.
저항 유닛과 냉각팬을 횡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횡방향으로 열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배기 방향을 바꾸고, 상방으로 열풍을 배출하는 덕트(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흡기구와 연직 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를 가지고, 상방으로 배기하는 덕트)를 저항 유닛보다 송풍 유로의 하측에 설치하여 저항 유닛의 배기구와 덕트의 흡기구가 대향하도록 저항 유닛과 덕트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6 참조).
도 26에서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서 덕트가 저항 유닛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도시하지만, 실제 사용 시(부하 시험 시)에는 열풍이 누설되지 않도록 덕트의 흡기구와 저항 유닛의 배기구는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저항 유닛 각각은 x 방향에 평행한 저항기(R)가 z 방향(연직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기군이 y 방향(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는 형태여도 되고(도 25, 도 26 참조), x 방향에 평행한 저항기(R)가 y 방향(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저항기군이 z 방향(연직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는 형태여도 된다(도 27 참조). 어떤 경우에도, 사용하는 저항기군의 절환을 수행하고 시험 대상 전원의 부하 조건을 바꿔서 부하 시험이 수행된다.
또한 어떤 경우에도 저항 유닛의 프레임(저항 유닛 외형을 형성하고,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성하는 전면과 배면 이외의 면)으로서 적어도 인접하는 저항 유닛과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은, 토대부(냉각부)의 측면(냉각부 외형을 형성하고,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성하는 전면과 배면 이외의 면)보다 제 1 거리(d1) 만큼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어떤 경우에도 저항 유닛에는,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R)의 단자와 제 1 버스 바(73) 사이에 스위칭부가 배치되는 위치 관계에서 접속 절환부(70)가 장착된다.
또한 어떤 경우에도 승강기의 내부 스페이스의 관계로, 토대부(냉각부) 상에 저항 유닛이 배치된 상태(도 25 ~ 도 27 상태의 것을 종축 배치로 바꾼 상태)로 운반이 수행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건식 부하 시험기
11 ~ 19: 제 1 토대부 ~ 제 9 토대부
20: 간격 조정 부재
21 ~ 26: 제 1 저항 유닛 ~ 제 6 저항 유닛
21a ~ 26a: 제 1 프레임 ~ 제 6 프레임
31 ~ 36: 제 1 냉각팬 ~ 제 6 냉각팬
31a ~ 36a: 제 1 후드 ~ 제 6 후드
40: 전원 접속부
41: 진공 차단기
43: 제어 장치
43a: 제어 계전기
50: 애자
60: 접속 케이블
61: 단락 바
70: 접속 절환부
71: 본체부
71a: 중간부
71b1, 71b2: 제 1 측면부, 제 2 측면부
71c: 커버
71d: 덮개
73: 제 1 버스 바
75: 장착 금구
77: 제 2 버스 바
80: 스위칭 부재
81: 고정 접점
81a, 81b: 제 1 단자, 제 2 단자
82a, 82b: 제 1 케이블, 제 2 케이블
83: 가동 접점
85: 구동 부재
86: 리드선
87: 케이스
88: 절연벽
89: 제어 단자
90: 밀폐 용기(내부 케이스)
C1, C2: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d1 ~ d3: 제 1 거리 ~ 제 3 거리
SW1 ~ SW8: 제 1 스위칭부 ~ 제 8 스위칭부

Claims (12)

  1.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저항 유닛과,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碍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항 유닛의 배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중간부와, 상기 저항 유닛의 측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제 1 측면부와 제 2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중간부가 상기 제 1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측면부가 상기 제 2 면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가 ㄷ자 또는 C자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가 상기 중간부에 장착되고,
    상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에 장착 금구가 장착되며,
    상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애자와 상기 장착 금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저항기를 접속하는 케이블과,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버스 바를 접속하는 케이블은, 상기 중간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 신호선은, 상기 중간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통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선은 커넥터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스위칭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케이스 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방 단자로서 고정 접점의 일방과 상기 제 1 버스 바를 접속하는 제 1 케이블과, 상기 타방 단자로서 상기 고정 접점의 타방과 상기 저항기를 접속하는 제 2 케이블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영역은, 내부 케이스로 덮이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은 불활성 가스가 충전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케이블과 상기 제 2 케이블 사이를 포함하는 영역은, 절연 물질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군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기가 상기 y 방향에 수직한 x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직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8.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제 1 저항 유닛과,
    상기 제 1 저항 유닛과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제 2 저항 유닛과,
    상기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상기 제 2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9.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단 배열된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로서,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구비하며,
    상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10.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저항 유닛과,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11.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제 1 저항 유닛과,
    상기 제 1 저항 유닛과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제 2 저항 유닛과,
    상기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과 상기 제 2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갖는 접속 절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 유닛의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 1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
  12. 저항기가 배열된 저항기군이 복수 배열된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로서,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군에 대하여, 부하 시험에 사용되는 저항기군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일방 단자와 상기 부하 시험의 시험 대상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1개가 접속되는 제 1 버스 바를 구비하며,
    상기 저항기군의 저항기의 1개 단자의 일방이 상기 스위칭부의 타방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장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수직이고 애자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버스 바가 장착되는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부와 케이블 접속되는 저항기의 단자와 상기 제 1 버스 바 사이에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절환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저항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KR1020167017708A 2014-02-24 2014-08-04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KR10170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4/000945 2014-02-24
JPPCT/JP2014/000945 2014-02-24
PCT/JP2014/004064 WO2015125182A1 (ja) 2014-02-24 2014-08-04 負荷試験機、及び負荷試験機の接続切り替え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369A true KR20160085369A (ko) 2016-07-15
KR101702424B1 KR101702424B1 (ko) 2017-02-03

Family

ID=5387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708A KR101702424B1 (ko) 2014-02-24 2014-08-04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88694B2 (ko)
EP (1) EP3064951B1 (ko)
KR (1) KR101702424B1 (ko)
CN (1) CN106062578B (ko)
CA (1) CA2931080C (ko)
HK (1) HK1225804B (ko)
RU (1) RU2614652C1 (ko)
WO (1) WO20151251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259A (ko) * 2017-09-08 2019-03-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류 전압 계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0323B (zh) * 2014-02-24 2017-10-27 株式会社辰巳菱机 负载试验机
US10184989B2 (en) 2016-04-29 2019-01-22 Comrent International, Inc. Load bank for testing a variety of power sources and voltages
CN106291396A (zh) * 2016-07-27 2017-01-04 合肥联信电源有限公司 一种应急电源负载台装置
CN110637236B (zh) * 2017-05-16 2021-05-14 株式会社辰巳菱机 负载系统、负载试验装置和通信终端
WO2019175953A1 (ja) * 2018-03-13 2019-09-19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JP7085790B2 (ja) 2018-09-18 2022-06-1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抵抗器
WO2020195286A1 (ja) * 2019-03-25 2020-10-01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絶縁枠
JP2020183879A (ja) * 2019-05-01 2020-11-1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CN113767292B (zh) 2019-05-07 2023-01-24 株式会社辰巳菱机 负载试验装置
US11923666B2 (en) 2021-01-15 2024-03-05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Scalable reconfigur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ic power system emulation
US11754637B2 (en) * 2021-03-10 2023-09-12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Power system component testing using a power system emulator-based testing apparatus
JP7490292B1 (ja) 2023-02-02 2024-05-2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752A (ja) 2008-07-18 2010-02-04 Tatsumi Ryoki:Kk 乾式負荷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963A (en) * 1981-08-11 1983-09-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apacitor apparatus with an individual discharge damping device for each capacitor unit
US5424588A (en) * 1992-04-07 1995-06-13 Cantor; Thomas L. Self-contained, portable compact load bank and testing method; compact load bank with improved power handling capability
JP2994144B2 (ja) * 1992-07-21 1999-12-27 株式会社辰巳菱機 切り替え型負荷器セット
JP3517554B2 (ja) * 1997-07-01 2004-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クエンチ保護装置
JP4073550B2 (ja) * 1998-07-06 2008-04-09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US6078171A (en) * 1998-08-21 2000-06-20 Tatsumi Corporation Dry type load resistor for testing generators or the like
JP3156157B2 (ja) * 1998-10-14 2001-04-16 財団法人関東電気保安協会 ユニット式発電機負荷試験装置
US6653928B1 (en) * 1999-12-02 2003-11-25 Tatsumi Corporation Dry load test apparatus
CN1296169A (zh) * 2000-12-26 2001-05-23 北京铁路分局丰台机务段 一种移动式干阻试验车设备
US6833636B1 (en) * 2001-06-04 2004-12-21 Chromalox, Inc. Compact load bank for testing power systems
US7218201B2 (en) * 2003-06-03 2007-05-15 Kouken Company, Limited High pressure resistance body element
JP3853307B2 (ja) * 2003-07-08 2006-12-06 株式会社興研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JP2006238681A (ja) * 2005-01-26 2006-09-07 Toyota Motor Corp 負荷駆動装置の試験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85007B2 (ja) * 2005-06-08 2009-12-16 株式会社興研 高圧負荷演算制御方法及び装置
US8228067B2 (en) * 2006-11-02 2012-07-24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oad bank
CN201057535Y (zh) * 2007-07-17 2008-05-07 大连船舶重工集团电气有限公司 智能电力试验负载系统
RU75755U1 (ru) * 2008-03-11 2008-08-2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ки и электромеханики (НИИАЭМ) при Томском университете систем управления и радиоэлектроники Имитатор нагрузок для испытани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космических аппаратов
CN101587137A (zh) * 2009-06-30 2009-11-25 朱晓明 一种集装箱式超大功率负载箱
JP5395316B1 (ja) * 2013-05-30 2014-01-2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752A (ja) 2008-07-18 2010-02-04 Tatsumi Ryoki:Kk 乾式負荷試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259A (ko) * 2017-09-08 2019-03-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류 전압 계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2578A (zh) 2016-10-26
RU2614652C1 (ru) 2017-03-28
US20160252579A1 (en) 2016-09-01
WO2015125182A1 (ja) 2015-08-27
EP3064951B1 (en) 2019-02-20
US9488694B2 (en) 2016-11-08
EP3064951A4 (en) 2017-07-26
CA2931080C (en) 2017-01-17
CN106062578B (zh) 2017-05-24
HK1225804B (zh) 2017-09-15
EP3064951A1 (en) 2016-09-07
CA2931080A1 (en) 2015-08-27
KR101702424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424B1 (ko)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KR101689646B1 (ko) 부하 시험기
EP2784527B1 (en) Load testing device
JP5484302B2 (ja) 電池検査装置
WO2007138759A1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8054636A (ja) 負荷試験装置
JP6332801B2 (ja) 負荷試験装置
JP2017215223A (ja) 負荷試験装置、負荷システム
JP5702039B1 (ja) 負荷試験機、及び負荷試験機の接続切り替え部
JP5702038B1 (ja) 負荷試験機
TWI658280B (zh) 負載測試機
EP3296756B1 (en) Load testing device
CN206195248U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
ES2615103T3 (es) Sistem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con zonas funcionales que se pueden aislar individual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