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212A -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212A
KR20160085212A KR1020157027011A KR20157027011A KR20160085212A KR 20160085212 A KR20160085212 A KR 20160085212A KR 1020157027011 A KR1020157027011 A KR 1020157027011A KR 20157027011 A KR20157027011 A KR 20157027011A KR 20160085212 A KR20160085212 A KR 2016008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nitoring
user
target user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334B1 (ko
Inventor
송 바오
씽솅 린
지용 펭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8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H04L67/18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지능형 제어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정보를 푸시 알림의 형태로 적시에 알리며, 이에따라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능형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중화인민공화국 지식재산권국(SIPO)에 2014년 12월 11일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410768152.6에 이익과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에 기초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보안 및 보호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람들의 삶의 안전과 재산의 안전에 대한 보증을 제공한다.
일상 생활에서, 가장 일반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보통 모니터링 카메라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홈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상기 모니링 카메라들을 집의 문 및 방에 배치(dispose)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드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들은 모니터링 영역에서 비디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된 디바이스에 수집된 비디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모니터링 기술은 다음의 문제들을 가진다: 사용자가 나간 상태에서, 낯선 사람의 방문, 도둑의 행동과 같은 비정상 조건들이 발생할 때, 사용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비정상 조건들을 통지받을 수 없다. 모니터링 기록을 참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관련 상황을 알 수 있어도, 그것은 일반적으로 너무 늦다. 그러므로, 전술한 모니터링 기술은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instantaneity) 및 유용성(availability)을 가진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기술적인 해결책들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1 양상에 따라,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target)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geographic position)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notification)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carried by)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기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는,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power)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on-off)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를 비디오의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2 양상에 따라,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위치 획득 모듈;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측 모듈;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알림 생성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된 알림 푸싱 모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위치 검측 모듈은 제 1 검측 서브모듈 및 제 1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측 서브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위치 검측 모듈은 제 2 검측 서브모듈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검측 서브모듈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결정 서브모듈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 및/또는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power)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on-off)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알림 생성 모듈은 정보 검측 서브모듈,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 및 알림 생성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검측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알림 생성 서브모듈은, 상기 비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를 비디오의 형태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알림 푸싱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제 3 양상에 따라,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인 해결책들은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가 해결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푸시 알림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시에 통지받을 수 있도록 실현될 수 있다.
상술된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은 설명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도 1 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현 환경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이다.
도 3 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 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이 제시되었고,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제공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함으로써 해석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예시들이 상세하게 참조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여기서는 상이한 도면들의 동일한 번호들은 달리 표현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앞으로의 설명에 기재된 구현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을 대표하지는 않는다. 대신, 그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한 양상들과 일치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1 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즉, 구현 환경)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홈 모니터링 시스템 또는 상업적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라우터(120), 적어도 하나의 단말(terminal)(140), 및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디바이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우터(120)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우터(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40)과 연결된다. 상기 라우터(120)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140)과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1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140)은 모바일 폰, 테블렛 PC(tablet PC), 이-북 리더(e-book reader),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랩톱 컴퓨터(portable laptop computer)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또한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헬멧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라우터(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디바이스(160)와 연결된다. 상기 라우터(120)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60)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스(160)는 카메라, 스마트 도어벨(smart doorbell), 스마트 밴드와 같은 장치들일 수 있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도 1 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라우터에게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취함으로써 도시된다.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2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정보(geographic position)가 획득된다.
단계 20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검측된다.
단계 206에서, 만족하는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notification) 메시지가 생성된다.
단계 208에서, 알림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푸시된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푸시 알림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시에 통지 받을 수 있도록 실현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도 1 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라우터에게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취함으로써 도시된다.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정보가 획득된다.
라우터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타겟 사용자는 라우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갖는 디바이스를 가진 사용자이다.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상황에서, 2명의 타겟 사용자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하나는 집에 혼자 있는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아이이고, 다른 하나는 집 밖에 있는 모바일 폰(mobile phone)을 가진 부모이다. 집에 배치된 상기 라우터는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와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밴드와 연결되며; 상기 라우터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폰과 연결된다. 상기 라우터는 아이 및 부모 각각의 지리적 위치들을 획득한다.
첫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라우터는 각 타겟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각 타겟 사용자의 특정 위치 또는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라우터 사이의 정확한 거리와 같은 정확한 지리적 위치는 GPS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두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라우터는 각 타겟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와 자신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파라미터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라우터가 자신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와 연결된 것을 발견했을 때, 상기 라우터는 디바이스를 가진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라우터의 근처인 지역임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라우터가 자신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와 연결된 것을 발견했을 때, 상기 라우터는 디바이스를 가진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라우터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임을 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네트워크 연결 파라미터는 신호 강도, 및 네트워크 연결 안정성 등일 수 있다. 각 타겟 사용자와 라우터 사이의 근사적인 위치와 같은 비교적 개략적인(rough) 지리적 위치는 네트워크 연결 파라미터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검측된다.
상기 라우터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는 목적은 각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결정하기 위함, 즉,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은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requirements)에 따라 사전 설정되고, 상이한 사전결정된 조건은 상이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과 결합되는, 두가지 가능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시된다.
첫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계 302는 다음의 두 하위단계들을 포함한다.
첫번째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가 검측된다;
두번째로,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것이고, 그러므로, 부모가 외출하여, 집에 혼자 있는 아이의 안전 모니터링 또는 자녀가 외출하여, 집에 혼자 있는 노인의 안전 모니터링과 같은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이 만족될 수 있다.
두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계 302는 다음의 두 하위단계들을 포함한다.
첫번째로,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가 검측되고;
두번째로,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은 각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것이고, 그러므로, 누군가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집의 안전 또는 누군가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가게의 안전 모니터링과 같은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이 만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라우터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가 생성되는 304 단계를 수행한다. 게다가, 304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라우터는 먼저 303 단계에 의해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303에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power)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on-off)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상이한 정보는 상이한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을 위한것이고, 그리고 환경 상태 변환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또한 상응하게 상이하다. 몇몇의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온도 센서를 구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환경에서의 온도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온도 변화 정보를 라우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스마트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은 자신의 온-오프 상태 정보를 라우터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스마트 도어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어벨은 자신의 동작 정보를 라우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외의 것들도 이와 유사하다. 상기 스마트 도어 벨의 예를 취한 예시에서, 누군가 도어벨을 울렸을 때, 스마트 도어벨은 도어벨 트리거링(triggering) 알림을 라우터에 전송할 수 있고; 상응하게 상기 라우터는 상기 도어벨 트리거링 알람을 상기 스마트 도어벨로부터 수신한다.
게다가,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상이한 정보는 상이한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을 위함이고, 그리고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한 상응하게 상이하다. 체온 변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심박수 변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심전도(electro-cardiograph) 센서, 감정 변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뇌파도(electroencephalogram) 센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바이오 센서들이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헬멧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단계 304에서,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서 알림 정보가 생성된다.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라우터는 획득된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만족하는 경우, 알림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 알림 정보는 텍스트 형태의 알림 정보, 오디오 형태의 알림 정보, 이미지 형태의 알림 정보 및 비디오 형태의 알림 정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들은 라우터에 의하여 상이한 모니터링 정보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도어 벨의 동작 정보인 경우, 상응하는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은 도어벨 트리거링 알림이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체온 변화 정보인 경우, 상응하는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은 체온의 증가가 사전결정된 임계값(threshold)보다 크다는 것일 수 있다.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이한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들은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되고 획득될 수 있고, 여기서는 생략된다.
대안적으로, 알림 정보가 비디오 형태의 알림정보일 때, 단계 304는 다음의 하위단계들을 포함한다.
첫번째로,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검측되고;
두번째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가 수집되고;
세번째로, 비디오 형태의 알림 정보가 상기 비디어 정보에 따라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스마트 도어벨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누군가 도어벨을 울렸을 때, 상기 도어벨은 도어벨 트리거링 알림을 라우터 및 카메라에 각각 전송한다. 상응하게,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트리거링 알림을 수신한 후, 카메라는 모니터링 영역(도어 영역 등)에서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비디오 정보를 라우터에 전송한다. 상기 라우터는 카메라로부터 비디오 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05에서, 상기 알림 정보는 타겟 사용자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에 푸시된다.
알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라우터는 상기 알림 정보를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푸시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알림 정보는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시된다. 또는, 사용자는 라우터의 푸시 알림 수신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를 사전 구성할 수 있고, 알림 정보가 생성된 후, 상기 라우터는 상기 알림 정보를 사용자가 사전 구성한 디바이스에게 푸시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라우터는 키(key) 모니터링 모드, 일반 모니터링 모드 등과 같은, 적어도 둘의 모니터링 모드들을 사전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2 이후에, 상기 라우터는 추가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1. 위치 관계가 사전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모니터링 모드는 키(key) 모니터링 모드로 결정된다. 키 모니터링 모드에서, 라우터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을 전송한다. 2.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 모니터링 모드는 일반 모니터링 모드로 결정된다. 일반 모니터링 모드에서, 라우터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라우터는 오직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고, 푸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진 디바이스에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가 해결되고; 사용자가 푸시 알림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시에 통지 받을 수 있도록 실현될 수 있어서,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은,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푸시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프로세스 중에 사용자의 수동 환경 설정(configuration)을 필요로하지 않고, 여기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을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알 수 있고, 전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다양한 실제 상황에 적응되게 하고, 보다 자동적 및 지능적이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시킨다.
게다가,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은, 비디오 형태의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푸시할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모니터링 영역의 컨디션(condition)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재공되는 기술적인 해결책들은 두개의 실제적인 모니터링 요구사항들을 예시들로 취함으로써 설명되고 도시될 것이다.
첫번째 예시에서,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은 외출한 부모가 집에 혼자 있는 아이의 안전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라우터, 모바일 단말, 스마트 밴드, 스마트 도어벨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은 부모가 가지고, 스마트 밴드는 아이가 가지며, 그리고 라우터는 집에 설치된다.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밴드의 GPS 정보로부터 아이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고,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로부터 부모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한다. 라우터가 아이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예를 들어, 집 안)이내이고, 부모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것을 검측하면, 이것은 현재 상태가 아이가 집에 혼자 있고, 부모가 외출한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모니터링 시스템은 키 모니터링 모드로 진입한다. 키 모니터링 모드에서 누군가 스마트 도어벨을 울릴 경우, 스마트 도어벨은 도어벨 트리거링 알림을 라우터 및 카메라 각각에 전송한다. 상응하게, 도어벨 트리거링 알림을 수신한 후, 카메라는 모니터링 영역(예를 들면, 도어 영역)에서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비디오 정보를 라우터에 전송한다. 라우터는 카메라로부터 비디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알림 정보를 부모의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상응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며, 추가적으로, 부모를 위해 카메라에 상응하는 모니터링 영역의 컨디션의 라이브 텔레비전 방송을 시행하고, 이에 따라서, 부모는 관련(relevant) 방문객을 적시에 알 수 있다.
두번째 예시에서,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은 외출한 자녀가 집에 혼자 있는 노인의 안전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라우터, 모바일 단말 및 스마트 밴드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은 자녀가 가지고, 스마트 밴드는 노인이 가지며, 그리고 라우터는 집에 설치된다.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밴드의 GPS 정보로부터 노인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고,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로부터 자녀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한다. 라우터가 노인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예를 들어, 집 안)이내이고, 자녀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것을 검측하면, 이것은 현재 상태가 노인이 집에 혼자 있고, 자녀가 외출한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모니터링 시스템은 키 모니터링 모드로 진입한다. 키 모니터링 모드에서, 스마트 밴드의 심전도 센서는 노인의 심박수 변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심박수 변화 정보를 라우터에 전송한다. 심박수 변화의 범위가 심박수 변화 정보에 따른 사전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검측된 때, 라우터는 외출한 자녀에게 관련 컨디션을 알리기 위하여 알림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하고, 이에따라 자녀는 상응하는 조치(measures)를 적시에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가 다음에 보여지고,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서 공개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다.
도 4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며,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도 1 의 어플리케이션 상황에서 라우터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소프드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둘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이하의 모듈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들은: 위치 획득 모듈(410), 위치 검측 모듈(420), 알림 생성 모듈(430) 및 알림 푸싱 모듈(44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획득 모듈(410)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검측 모듈(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 생성 모듈(430)은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 푸싱 모듈(44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푸시 알림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시에 통지 받을 수 있도록 실현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상기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도 1 의 어플리케이션 상황에서 라우터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소프드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둘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이하의 모듈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들은: 위치 획득 모듈(410), 위치 검측 모듈(420), 알림 생성 모듈(430) 및 알림 푸싱 모듈(44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획득 모듈(410)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검측 모듈(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첫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검측 모듈(420)은 제 1 검측 서브모듈(420a) 및 제 1 결정 서브모듈(420b)을 포함한다.
제 1 검측 서브모듈(420a)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제 1 결정 서브모듈(420b)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두번째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검측 모듈(420)은 제 2 검측 서브모듈(420c)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420d)을 포함한다.
제 2 검측 서브모듈(420c)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결정 서브모듈(420d)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 생성 모듈(430)은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알림 생성 모듈(430)은 정보 검측 서브모듈(430a),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430b) 및 알림 생성 서브모듈(430c)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검측 서브모듈(430a)은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430b)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알림 생성 서브모듈(430c)은 상기 비디오 정보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를 비디오의 형태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알림 푸싱 모듈(44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알림 푸싱 모듈(440)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싱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정보 획득 모듈(4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 획득 모듈(450)은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 및/또는 사용자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형편없는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가 푸시 알림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시에 통지 받을 수 있도록 실현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 즉시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푸시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프로세스 중에 사용자의 수동 환경 설정(configuration)을 필요로하지 않고, 여기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제 모니터링 요구사항을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알 수 있고, 전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다양한 실제 상황에 적응되게 하고, 보다 자동적 및 지능적이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시킨다.
게다가,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는, 비디오 형태의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푸시할 수 있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모니터링 영역의 컨디션(condition)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장치에 대하여, 여기에서의 개별 모듈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식들은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실시예들에서 자세하게 기술되며, 여기서는 자세하게 상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6 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라우터(600)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600)는 이하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싱 컴포넌트(602), 메모리(604), 파워 컴포넌트(606), 및 통신 컴포넌트(6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602)는 주소 확인(resolution) 동작, 데이터 수신-전송 동작 및 플로우(flow) 제어 동작들과 같은 장치(600)의 전체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602)는 전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 컴포넌트(6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602)와 다른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들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명령들 및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장치(600)상에서 수행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메모리(6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604)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2 또는 3에 나타난 방법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618)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워 컴포넌트(606)는 장치(6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전력을 제공한다. 파워 컴포넌트(606)는 상기 장치(600)에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에 관련한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616)는 장치(600)와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600)는 Wi-Fi와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6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 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장치(600)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전자적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600)의 프로세서(618)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며, 메모리(604)에 포함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설명서를 고려하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이론에 따라,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들, 사용들 또는 각색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고, 그리고 기술 분야의 관행 또는 공지된 사실 내에서 도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으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과 예시들이 설명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원리 및 진정한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전술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도시된 정확한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정보를 푸싱(pushing)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geographic position)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notification)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carried by)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는,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power)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on-off)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5. 재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정보에 따라 비디오 형태인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6. 재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지닌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방법.
  7.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위치 획득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측 모듈;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알림 생성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된 알림 푸싱 모듈;
    을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측 모듈은 제 1 검측 서브모듈 및 제 1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측 서브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와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각각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이내이고,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측 모듈은 제 2 검측 서브모듈 및 제 2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검측 서브모듈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결정 서브모듈은 각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모니터링 영역 밖인 경우, 각 타겟 사용자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상기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환경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온도 변화 정보, 습도 변화 정보, 대기 질 변화 정보, 물 소모 변화 정보, 파워(power) 소모 변화 정보, 가스 소모 변화 정보, 디바이스의 온-오프(on-off) 상태 정보, 및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는, 체온 변화 정보, 심박수 변화 정보, 혈압 변화 정보, 및 감정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생성 모듈은 정보 검측 서브모듈,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 및 알림 생성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검측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수집 서브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상기 사전결정된 변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알림 생성 서브모듈은, 상기 비디오 정보에 따라 비디오 형태인 상기 알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푸싱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및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하는 사용자가 가진 디바이스에 푸싱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13.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각 타겟 사용자와 모니터링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측하고;
    상기 위치 관계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사용자가 가진 전부 또는 일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알림 정보를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를 푸싱하는 장치.

KR1020157027011A 2014-12-11 2015-04-30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52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68152.6 2014-12-11
CN201410768152.6A CN104597825B (zh) 2014-12-11 2014-12-11 信息推送方法和装置
PCT/CN2015/078116 WO2016090830A1 (zh) 2014-12-11 2015-04-30 信息推送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12A true KR20160085212A (ko) 2016-07-15
KR101752334B1 KR101752334B1 (ko) 2017-06-29

Family

ID=531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011A KR101752334B1 (ko) 2014-12-11 2015-04-30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50702B2 (ko)
EP (1) EP3032804B1 (ko)
JP (1) JP6374025B2 (ko)
KR (1) KR101752334B1 (ko)
CN (1) CN104597825B (ko)
BR (1) BR112015019518A2 (ko)
MX (1) MX353276B (ko)
RU (1) RU2631627C2 (ko)
WO (1) WO2016090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0873A (zh) * 2015-06-02 2016-12-14 深圳新创客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及服务器
US11049147B2 (en) 2016-09-09 2021-06-2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emotional state detection
CN107979616A (zh) * 2016-10-21 2018-05-01 浙江银泰电子商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和信息推送系统
CN106453968A (zh) * 2016-12-20 2017-0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信息提醒方法及系统
CN106790684B (zh) * 2017-02-13 2020-05-0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及相应的服务器
US10057715B1 (en) * 2017-03-29 2018-08-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 optimal device in a home security or automation system for presenting a notification or alert
CN107224249B (zh) 2017-07-06 2022-03-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清洁设备的清洁操作执行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7734455A (zh) * 2017-10-25 2018-0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记录的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8337296B (zh) * 2018-01-12 2021-01-01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消息推送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062985A (zh) * 2018-06-29 2018-12-21 湖北海纳天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特征的空气质量查询方法和装置
CN110830756B (zh) * 2018-08-07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与装置
CN110381132B (zh) * 2019-07-15 2022-06-2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用于在服务器中控制信息推送的方法和设备
CN112672115A (zh) * 2020-12-22 2021-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控制方法、装置、监控设备及存储介质
CN112289423A (zh) * 2020-12-28 2021-01-29 曜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社区病患的复诊及康复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74A (ja) * 1996-06-19 1998-01-1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異常通報システム
JP2004030136A (ja) * 2002-06-25 2004-01-29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サービ提供システム
US20040183674A1 (en) * 2003-01-31 2004-09-23 Ruvarac Thomas 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of a portable device
JP2005135230A (ja) * 2003-10-31 2005-05-26 Casio Comput Co Ltd 屋内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7656287B2 (en) * 2004-07-23 2010-02-02 Innovalarm Corporation Alert system with enhanced waking capabilities
FR2874145B1 (fr) * 2004-08-05 2006-11-24 Cit Alcatel Procede de localisation d'un terminal mobile avec affichage de sa position sur un autre terminal mobile
US7705728B2 (en) * 2006-12-18 2010-04-27 Motorola, Inc. Selectively sending notifications when an object tracking device is outside a range of an anchor beacon
JP2008310372A (ja) * 2007-06-12 2008-12-25 Toyota Motor Corp 住宅間用遠隔操作システム
US7825794B2 (en) * 2007-08-10 2010-11-02 Integrity Tracking, Llc Alzheimer's patient tracking system
KR20090092900A (ko) * 2008-02-28 2009-09-02 신준호 어린이 및 노약자 안전보호시스템
CN101846733B (zh) * 2009-03-27 2015-07-22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老人/儿童监护用无线智能通信终端、系统及方法
CN101674525A (zh) * 2009-09-28 2010-03-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提醒位置信息的方法和移动终端
CN101707698B (zh) * 2009-11-06 201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视频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202190318U (zh) * 2011-07-01 2012-04-11 浙江师范大学 一种移动终端的报警系统
US9392099B2 (en) * 2013-06-24 2016-07-12 Cellco Partnership Mobile surveillance system
US8780201B1 (en) * 2013-07-26 2014-07-15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3795797A (zh) * 2014-01-26 2014-05-14 成都创石科技有限公司 基于云技术的家庭信息终端
CN103914948B (zh) * 2014-04-23 2016-04-13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智能移动终端的老人看护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804A1 (en) 2016-06-15
CN104597825A (zh) 2015-05-06
JP2017505497A (ja) 2017-02-16
RU2015133981A (ru) 2017-02-16
JP6374025B2 (ja) 2018-08-15
CN104597825B (zh) 2020-02-04
MX353276B (es) 2018-01-08
BR112015019518A2 (pt) 2017-07-18
KR101752334B1 (ko) 2017-06-29
WO2016090830A1 (zh) 2016-06-16
US20160337460A1 (en) 2016-11-17
EP3032804B1 (en) 2021-03-31
MX2015009734A (es) 2016-08-17
RU2631627C2 (ru) 2017-09-25
US10250702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334B1 (ko)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46000B2 (en) Detecting an intruder's wireless device during a break in to a premises
US20200396573A1 (en) Electronic-Device Detection and Activity Association
US9633548B2 (en) Leveraging a user's geo-location to arm and disarm a network enabled device
US9728077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CN10696165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检测伪造通告器的装置和方法
US11610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wdsourcing detected events
US20180137724A1 (en) Processing security-related messages
US9807173B2 (en)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and shared devices
US9706380B1 (en)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nd track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CN105829911A (zh) 一种防止走失的方法、智能手环及终端
US9384654B1 (en) Geolocation awareness item tracking
US2016008522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ppliances
US11688261B2 (en) Body-worn alert system
CN111432087A (zh) 一种告警方法以及相关设备
JP2015060530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見守り端末、管理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70162032A1 (en) Personal security
US20170131758A1 (en) Security device without power-saving transitions
US20170134653A1 (en) Software-enabled dual-mode security device
JP2019095843A (ja) インシデント検知システム
Tuncay et al. Savealert: Design for a sensor-driven crowdwatch danger detection system
JPWO2014097607A1 (ja) 災害情報提供装置、災害情報提供方法、防災無線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800533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079407A2 (en) Software-enabled dual-mode security device
JP2015153018A (ja) イベント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情報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