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732A - 갯벌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갯벌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732A
KR20160084732A KR1020150001357A KR20150001357A KR20160084732A KR 20160084732 A KR20160084732 A KR 20160084732A KR 1020150001357 A KR1020150001357 A KR 1020150001357A KR 20150001357 A KR20150001357 A KR 20150001357A KR 20160084732 A KR20160084732 A KR 2016008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ain body
stirring
shaft
t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5000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732A/ko
Publication of KR2016008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2Vehicle-mounted mixing devices
    • B01F33/5027Vehicle-mounted mixing devices using driven tracks, caterpillars or crawler for moving or displacing the mixing installation
    • B01F13/004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터필러가 구비된 본체를 조정하여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갯벌을 교반할 수 있음으로 고화제를 사용하여 직접 갯벌을 고형화할 수 있는 갯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는 캐터필러가 구비되어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움 설치되는 리더; 상기 리더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제1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블럭에 설치되는 제1모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제1축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구동 시 이승블럭과 제1모터와, 교반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원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갯벌 교반 장치{mudflat sti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갯벌을 교반할 수 있어 현장에서 직접 고화제를 사용하여 갯벌을 고형화 시킬 수 있는 갯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바다의 갯벌을 제한적으로만 활용하였었다. 즉, 갯벌을 완전히 고형화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바닷물막이 공사용 제방등을 쌓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반제로서 자갈, 철근, 말뚝, 콘크리트슬리브, 파일등을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킨 다음 갯벌 위에 자갈, 흙, 돌등을 덮어 쌓아 주었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도 길어져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공사기간에는 연약한 기초지반의 갯벌로 인하여 쌓아 놓은 제방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또 틈새로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지를 수시로 점검하여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갯벌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으로 인하여 철근이나 파일 및 시멘트등이 쉽게 부식되어져 지반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211348호가 출원되었으나, 등록특허 제10-0211348호는 별도의 작업장에 위치한 갯벌투입통에 갯벌과 고화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지반 안정제를 만들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갯벌을 별도의 작업장 까지 운반해야 하며, 만들어진 지반 안정제를 다시 작업하고자 하는 갯벌까지 운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11348호(등록일자 1999.05.0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캐터필러가 구비된 본체를 조정하여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갯벌을 교반할 수 있음으로 고화제를 사용하여 직접 갯벌을 고형화할 수 있는 갯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는 캐터필러가 구비되어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움 설치되는 리더; 상기 리더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제1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블럭에 설치되는 제1모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제1축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구동 시 이승블럭과 제1모터와, 교반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원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은 제2축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축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부는 상기 제2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자형 보조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에 설치되는 교반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는 작업자의 조정에 의해 갯벌을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 후, 쉽고 간편하게 갯벌을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고화제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갯벌을 고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리더(20)와, 이송블럭(30)과, 제1모터(40)와, 교반수단(50) 및 원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작업자의 조정에 의해 하부에 설치된 캐터필러(11)가 무한회전하여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면 일측에 지지대(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는 하단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정에 의해 각도가 조정된다.
상기 리더(20)는 상기 지지대(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수직으로 세움 된다.
이러한 리더(20)는 지지대(12)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하기할 이송블럭(30)이 타고 움직일 수 있는 레일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블럭(30)은 상기 리더(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블럭(30)은 하기할 제1모터(40)가 설치되도록 하는 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체(10)와, 지지대(12)와, 리더(20)와, 이송블럭(30) 및 하기할 윈치(60)의 구성은 지반천공용 천공장치의 구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임으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합니다.
상기 제1모터(40)는 상기 이송블럭(30)에 설치됨과 더불어 구비된 제1축(41)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제1축(41)의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50)이 수직축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교반수단(50)은 브라켓(B)에 의해 상기 제1축(41) 하단에 설치되며, 하기할 원치(60) 및 상기 제1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갯벌을 교반한다.
이러한 교반수단(50)은 제2축(51)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브라켓(B)에 설치되는 제2모터(52)와, 상기 제2축(51)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부(53)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수평부는 제1축(41) 하단에 연결고정되고, 수직부에 제2모터(52)가 설치된다. 이때, 제2모터(52)의 제2축(51)은 브라켓(B)의 수직부를 관통하여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다.
즉, 제2축(51)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부(53)는 수평축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교반날개부(5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51)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제2축(51) 끝단에 설치되는 주 몸체(54)와, 상기 주 몸체(5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자형 보조 몸체(55)와, 상기 보조 몸체(55)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교반돌기(56)로 구성된다.
상기 주 몸체(54)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축(41)에 의해 교반수단(50)이 회전할 때 수직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갯벌을 교반하며, "┎"자형 보조 몸체(55)는 수직 하단이 주 몸체(54)에 고정되어 제2모터(52)의 제2축(51)이 수평축을 기점으로 회전할 때 연동하여 갯벌을 교반한다. 따라서, "┎"자형 보조 몸체(55)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리브(5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리브(57)에 의해 갯벌을 교반할 때 "┎"자형 보조 몸체(55)가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교반돌기(56)는 "┎"자형 보조 몸체(55)의 수평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둘 이상 형성될 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윈치(6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와이어(61)가 권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61)는 끝단이 제1모터(40) 또는 이송블럭(미도시함)과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해 원치가 회전 구동될 때 이송블럭(30)과 제1모터(40)와 교반수단(5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갯벌 교반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를 구동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본체(10)를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윈치(60)를 구동하여 이송블럭(30)과, 제1모터(40)와, 교반수단(50)이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제1모터(40)를 구동하여 교반수단(50)이 수직축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하며, 교반수단(50)의 제2모터(52)를 구동하여 교반날개부(53)가 수평축을 기점으로 회전되게 하며, 교반날개부(53)에 의해 갯벌이 교반되는 부분에 고화제를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갯벌 일부와 고화제가 교반되도록 하여 갯벌 일부분을 고형화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갯벌을 일부분씩 교반하여 고형화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 캐터필러, 12 : 지지대, 20 : 리더, 30 : 이송블럭, 40 : 제1모터, 41 : 제2축, 50 : 교반수단, 51 : 제2축, 52 : 제2모터, 53 : 교반날개부, 54 : 주 몸체, 55 : 보조 몸체, 56 : 교반돌기, 57 : 보강 리브, 60 : 윈치, 61 : 와이어, B : 브라켓

Claims (3)

  1. 캐터필러가 구비되어 갯벌 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움 설치되는 리더;
    상기 리더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제1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블럭에 설치되는 제1모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제1축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권취된 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제1모터와 연결되어 구동 시 이승블럭과 제1모터와, 교반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원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교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제2축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축에 설치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교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부는 상기 제2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자형 보조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에 설치되는 교반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교반 장치.
KR1020150001357A 2015-01-06 2015-01-06 갯벌 교반 장치 KR20160084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57A KR20160084732A (ko) 2015-01-06 2015-01-06 갯벌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57A KR20160084732A (ko) 2015-01-06 2015-01-06 갯벌 교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32A true KR20160084732A (ko) 2016-07-14

Family

ID=564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357A KR20160084732A (ko) 2015-01-06 2015-01-06 갯벌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7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48B1 (ko) 1996-09-20 1999-08-02 김상길 갯벌을 이용한 기초지반 안정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48B1 (ko) 1996-09-20 1999-08-02 김상길 갯벌을 이용한 기초지반 안정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62337A (ja) 地盤改良装置および液状化防止工法
JP6710236B2 (ja) 掘削攪拌装置
KR101824049B1 (ko) 지반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JP2019019458A (ja) 地盤改良工法および円柱状改良体
JP2010180647A (ja) 掘削攪拌機の攪拌ヘッド
KR20160084732A (ko) 갯벌 교반 장치
JP2004337786A (ja) 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JP5603632B2 (ja) 泥土撹拌装置
JPH05280035A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及び改良装置
JPH06136743A (ja) 地盤中の壁体造成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6695095B2 (ja) 掘削攪拌装置
CN209775136U (zh) 一种地基加固和稳定混合搅拌设备
JP5918885B1 (ja) 掘削撹拌ロッド、掘削撹拌機、及び柱状改良工法
JP2019100125A (ja) 地盤改良装置
CN214925710U (zh) 一种房屋建设工程用混凝土用水混合装置
JPH10183603A (ja) 連続地盤改良方法
JP6724200B1 (ja) 掘削機
JP2006307628A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及び置換コラム
JP2015206209A (ja) 生コンクリートの現場製造打設方法
CN105773837A (zh) 小型混凝土搅拌装置
JP2009249978A (ja) 支持杭構築装置
JP2006312866A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及び置換コラム
JP2007277862A (ja) 地盤改良工法
JP6878764B2 (ja) 削孔撹拌装置
JP2023101914A (ja) 地盤改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