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066A -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066A
KR20160083066A KR1020167014833A KR20167014833A KR20160083066A KR 20160083066 A KR20160083066 A KR 20160083066A KR 1020167014833 A KR1020167014833 A KR 1020167014833A KR 20167014833 A KR20167014833 A KR 20167014833A KR 20160083066 A KR20160083066 A KR 2016008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haracter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827B1 (ko
Inventor
도모히데 다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08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6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 G10L2015/227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using non-speech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Human-factor methodology

Abstract

중계 장치는 특징 정보 기억부, 제1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선택부 및 제1 변환부를 포함한다. 특징 정보 기억부는 복수의 단말 정보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한다. 제1 사전 정보 기억부는 복수의 특징 정보 각각에 대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제1 사전 정보를 연관시켜 기억한다.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파트너인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시, 제1 선택부는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한다. 제1 변환부는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Description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RE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로의 데이터 변환 또는 문자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로의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사전 정보("단어 사전")를 미리 준비한다. 해당 기술은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 데이터를 대응하는 음성 문자열로 변환시키고, 입력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환된 음성 문자열을 처리하여, 예컨대, 느낌, 생각, 성별, 외모, 신장, 몸무게, 나이, 직업, 고향, 취미, 취향이 가미된 합성 음성을 얻는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미리 준비되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제2 사전 정보("단어 모델"과 "언어 모델")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은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입력 음성 데이터로부터 예컨대, 화자의 느낌, 생각, 신체 조건, 성별, 외모, 신장, 몸무게, 나이, 직업, 고향, 취미, 취향을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처리한다.
불행히도, 아직까지 사용자 특성과 상황에 따른 최적의 통신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특성과 상황에 따른 최적의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중계 장치는, 각각이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가,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사전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부;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중계 장치는, 각각이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가,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사전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부; 상기 제2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문자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로의 변환 또는 입력 음성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중계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특징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사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사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간에 수행되는 통신의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데이터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데이터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 다른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른 교환기 기능부의 예시적인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제1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1 변환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제2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2 변환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제3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간의 통신의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음성 통신 단말(10), 데이터 통신 단말(20) 및 중계 장치(30)를 포함한다. 음성 통신 단말(10)은 음성에 의한 전화 대화를 행할 수 있는 전화 단말이다. 음성 통신 단말(10)의 예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전화기 세트(IP 전화기, 아날로그 전화기) 및 휴대전화 단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통신 단말(10)은 누름 버튼을 이용하여 다이얼 동작이 수행되는 고정식 전화기 세트이다. 본 실시예는 버튼 입력(듀얼 톤 다중 주파수, 이하 "DTMF"로 칭함)에 따라 번호 또는 코드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고정식 전화기 세트를 예시한다. 음성 통신 단말(10)은 청구범위의 "통신 단말"의 일례이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음성 통신 기능과 리치한(rich) UI를 갖는 전화 단말이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예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휴대전화 단말(스마트폰 포함)과 비지니스 폰(business phon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휴대전화 단말을 예시한다. 중계 장치(30)로부터 전송된 호출 신호(call signal)가 수신되면(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미리 준비된 복수의 상황 정보(후술됨)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화면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접수하고, 접수된 사용자 동작에 따라 변하는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청구범위의 "통신 단말"의 일례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음성 통신 단말(10)과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음성 통신 단말(10)과 데이터 통신 단말(20)을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각각 간단히 "통신 단말"로 지칭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추가로, 다음의 설명에서, 음성 통신 단말(10)은 청구범위의 "제1 통신 단말"에 대응하고,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청구범위의 "제2 통신 단말"에 대응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음성 통신 단말(10)은 청구범위의 "제2 통신 단말"에 대응하고,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청구범위의 "제1 통신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중계 장치(30)는 음성 통신 단말(10)과 데이터 통신 단말(2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중계 장치(30)는 통신 단말 사이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호 발신 처리(call originating process)와 통신 데이터의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된 통신 단말로서 음성 통신 단말(10)과 데이터 통신 단말(20) 만을 예시하고 있는데, 예시적으로만 나타낸 것으로 어떤 방식으로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통신 시스템(1)은 임의의 다른 개수 또는 종류의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장치(30)는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후술된다.
전술한 요소(음성 통신 단말(10), 데이터 통신 단말(20) 및 중계 장치(30)) 각각은 예컨대 IP 네트워크, 공중전화 네트워크, 휴대전화 네트워크(3G, LTE)를 통해 접속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는 중계 장치(30)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계 장치(30)는 관리부(101), 교환기 기능부(102), 음성-문자 변환부(105), 메일 제어부(103)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포함한다. 관리부(101)는 번호 계획(numbering plan) 정보와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설정 기능은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웹 UI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관리부(101)는 통화 기록 정보를 보유하는 기능을 가진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관리부(101)가 보유하는 번호 계획 정보와 단말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호출의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를 매칭시키고, 호출 발신 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통신에서 후술되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의한 처리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통신 데이터에 대한 중계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다음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그 세부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지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면,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매칭이 수행된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지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면,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매칭이 수행된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메일 제어부(103)는 교환기 기능부(102)와 관리부(101)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일을 발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는 교환기 기능부(102), 관리부(101) 및 메일 제어부(103)에 IP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는 이더넷(등록 상표)과 Wi-Fi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와 TCP/UDP 및 IP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스택을 포함한다. 음성 통신을 위한 아날로그 라인과 ISDN 라인이 교환기 기능부(102)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교환기 기능부(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특징 정보 기억부(111),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 제1 선택부(113), 제1 변환부(114),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 제2 선택부(116), 제2 변환부(117),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 제3 선택부(119),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 및 제4 선택부(121)를 포함한다.
특징 정보 기억부(111)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개별 특징 정보와 연관하여 특정 통신 단말을 각각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 정보용으로 전화 번호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해당 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나타내는 성별 정보, 사용자의 나이를 나타내는 연령 정보, 사용자의 직업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 중의 각각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특징 정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예시한다. 그러나, 해당 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3은 특징 정보 기억부(111)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특징 정보 기억부(111)는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및 직업 정보와 연관하여 특정 단말 정보와 해당 특정 단말 정보에 할당된 ID의 조합을 기억한다.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개별 제1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특징 정보를 개별 특징 정보들이 포함된 복수의 개별 제1 사전 정보와 연관시킨다. 도 4는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복수의 개별 제1 사전 정보를 식별하는 복수의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별 제1 사전 정보 ID와 연관하여 사용자의 개별 직업을 나타내는 복수의 직업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는 특징 정보로서 직업 정보를 사용함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해당 실시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령 정보 또는 성별 정보를 특징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령 정보, 성별 정보 및 직업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의 조합을 특징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개별 제1 사전 정보 ID에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 복수의 제1 사전 정보가 다른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된다. 다른 관점에서 전술한 내용을 말하면,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개별 제1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직업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개별 제1 사전 정보 ID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사전 정보가 기억되는 공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제1 사전 정보 ID를 기억하지 않고 복수의 개별 제1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특징 정보(예, 직업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정보는 사전에 준비된 복수의 음소열(phonemic string)을 음성으로부터 문자(문자열)로의 변환을 위한 후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문자와 개별 후보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와 연관시킨다. 그러나, 해당 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제1 사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음소는 단어를 구별하기 위한 음성의 최소 단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전 정보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 중에 음성 데이터의 중단(break)(모델링)을 나타내는 모델링 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사전 정보에 포함된 모델링 정보는 특정한 제1 사전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음성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에 의해 매칭이 수행되는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이하에서는 "제2 통신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선택부(113)가 특징 정보 기억부(111)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특징 정보를 선택한다. 이후, 제1 선택부(113)는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를 참조하여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한다. 제1 지시 정보(음성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정보)가 접수되면, 제1 선택부(113)는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제1 지시 정보가 접수되지 않으면, 제1 선택부(113)는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로 중계 장치(30)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가 제1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고 음성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S1 단계에서 예),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상기 요청을 접수하면 제1 선택부(113)에 대해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할 것을 지시한다. 제1 선택부(113)는 상기 지시를 접수하면 특징 정보 기억부(111)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특징 정보(본 실시예에서 직업 정보)를 선택한다(S2 단계). 이후, 제1 선택부(113)는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를 참조하여 S2 단계에서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한다(S3 단계).
다시 도 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1 선택부(113)가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면,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1 변환부(114)에 대해 제1 선택부(113)에 의해 선택된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제1 변환부(114)는 상기 지시를 접수하면 제1 선택부(113)에 의해 선택된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로부터의 요청(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라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1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로 전달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제1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매칭이 행해진 2개의 통신 단말 중 다른 하나의 통신 단말, 구체적으로, 제2 통신 단말이 통신을 행하는 대상인 통신 단말(다음에 "제1 통신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환기 기능부(102)는 청구범위의 "제1 송신 제어부"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특징 정보는 대응하는 특징 정보가 포함된 특정한 제1 사전 정보와 연관된다. 따라서, 예컨대 "생물학자"를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에서, "거미(spider)"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와 "구름(cloud)"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는 "쿠모(kumo)"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소열과 연관될 수 있고, 우선도 정보는 "거미"의 변환 후보에 제1 우선도가 주어지고 "구름"의 변환 후보에 제2 우선도가 주어지도록 음소열과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어린이"를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에서, "거미"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와 "구름"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는 "쿠모"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소열과 연관될 수 있고 우선도 정보는 "거미"의 변환 후보에 제2 우선도가 주어지고 "구름"의 변환 후보에 제1 우선도가 주어지도록 음소열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쿠모"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소열이 문자로 변환시, 음소열은, "생물학자"를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가 선택된 경우, 우선적으로 "거미"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로 변환된다. "어린이"를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정 정보가 선택된 경우, 음소열은 우선적으로 "구름"의 변환 후보를 나타내는 문자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음성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로 변환될 경우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는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개별 제2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특징 정보를 개별 특징 정보들이 포함된 복수의 개별 제2 사전 정보와 연관시킨다. 도 6은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는 복수의 개별 제2 사전 정보를 식별하는 복수의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개별 제2 사전 정보 ID와 연관하여 연령 정보와 성별 정보("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합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는 특징 정보로서 연령 정보와 성별 정보의 조합을 사용함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해당 실시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령 정보, 성별 정보 및 직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특징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령 정보와 직업 정보의 조합 또는 성별 정보와 직업 정보의 조합을 특징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개별 제2 사전 정보 ID에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 복수의 제2 사전 정보가 다른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된다. 다른 관점에서 전술한 내용을 말하면,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는 개별 제2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연령 정보와 성별 정보의 조합을 기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는 개별 제2 사전 정보 ID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사전 정보가 기억되는 공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는 제2 사전 정보 ID를 기억하지 않고 복수의 개별 제2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특징 정보(예, 연령 정보와 성별 정보의 조합)를 기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전 정보는 제1 대응 정보와 제2 대응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대응 정보는 사전 준비된 복수의 문자열(여러 문자)을 해당 여러 문자의 발음을 나타내는 개별 음소열과 연관시킨다. 제2 대응 정보는 복수의 음소열을 음조 품질(예, 음질 및 억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별 파라미터와 연관시킨다. 그러나, 해당 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제2 사전 정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문자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에 의해 매칭이 수행되는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2 선택부(116)가 특징 정보 기억부(111)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특징 정보를 선택한다. 제2 선택부(116)는 이후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를 참조하여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한다. 제2 지시 정보(문자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정보)가 접수되면, 제2 선택부(116)는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제2 지시 정보가 접수되지 않으면, 제2 선택부(116)는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로 중계 장치(30)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문자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고 문자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S11 단계에서 예),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상기 요청을 접수하면 제2 선택부(116)에 대해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라고 지시한다. 제2 선택부(116)는 상기 지시를 접수하면 특징 정보 기억부(111)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특징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성별 정보와 연령 정보의 조합)를 선택한다(S12 단계). 제2 선택부(116)는 이후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를 참조하여 S12 단계에서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특정한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한다(S13 단계).
다시 도 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2 선택부(116)가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면,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2 변환부(117)에 대해 제2 선택부(116)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제2 변환부(117)는 상기 지시를 접수하면 제2 선택부(116)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로부터의 요청(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라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2 변환부(117)에 의해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로 전달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제2 변환부(117)에 의해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환기 기능부(102)는 청구범위의 "제2 송신 제어부"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는 미리 설정된(고정된) 개별 음성 데이터와 연관하여 특정 사용자 상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황 정보를 기억한다. 도 8은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회의 중이라 전화에 응답할 수 없다"는 고정된 음성 데이터는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되고; "XXX로 가는 중이라 전화에 응답할 수 없다"는 고정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되며; "바빠서 전화에 응답할 수 없다"는 고정된 음성 데이터는 "바쁨"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사전에 준비된 복수의 상황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이동"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바쁨"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예, 터치)에 따라 상기 상황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사용자 동작에 따라 선택된 상황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제공함을 알아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교환기 기능부(102)에 의해 매칭이 수행된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제2 통신 단말)로부터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 제3 선택부(119)는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미리 설정된 특정 음성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상황 정보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면,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라고 요청한다.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상기 요청을 접수하면 제3 선택부(119)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라고 지시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한 제3 선택부(119)는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선택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로부터의 요청(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라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3 선택부(119)에 의해 선택된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로 전달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제3 선택부(119)에 의해 선택된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환기 기능부(102)는 청구범위의 "제3 송신 제어부"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2에 예시된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는 미리 설정된(고정된) 개별 문자 데이터와 연관하여 사용자에 의해 통신 단말로 입력될 특정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입력 정보를 기억한다.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는 예컨대 사용자가 "긴급(urgent)"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와 연관하여 통신 단말의 누름 버튼 "9"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 "9"를 나타내는 특정 입력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교환기 기능부(102)에 의해 매칭이 수행된 2개의 통신 단말 중 하나(제2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제4 선택부(121)가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미리 설정된 특정 문자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입력 정보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수신되면, 교환기 기능부(102)는 음성-문자 변환부(105)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상기 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를 선택하라고 요청한다.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상기 요청을 접수하면 제4 선택부(121)에 대해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문자 데이터를 선택하라고 지시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한 제4 선택부(121)는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를 참조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를 선택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로부터의 요청(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를 선택하라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문자 변환부(105)는 제4 선택부(121)에 의해 선택된 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를 교환기 기능부(102)로 전달한다. 교환기 기능부(102)는 제4 선택부(121)에 의해 선택된 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환기 기능부(102)는 청구범위의 "제4 송신 제어부"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중계 장치(30)는 CPU, ROM과 RAM 등의 기억 소자, HDD, CD 드라이브 등의 외부 기억 장치,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통상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중계 장치(30)의 개별 유닛(예, 제1 선택부(113), 제1 변환부(114), 제2 선택부(116), 제2 변환부(117), 제3 선택부(119) 및 제4 선택부(121))의 기능의 일부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의 일부는 전용 하드웨어 회로(예,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중계 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에 저장되고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중계 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계 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컨대 ROM 또는 다른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미리 포함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은 도 9를 참조로 음성 통신 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 A와 데이터 통신 단말(20)을 사용하는 사용자 B 사이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통신 처리를 설명한다. 도 9에 예시된 예는 사용자 B가 전화에 응답하기 곤란한 상황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A는 먼저 데이터 통신 단말(20)을 호출하기 위해 호출 발신 동작(전화 번호의 입력을 포함)을 수행한다(S100 단계). 이 호출을 받은 음성 통신 단말(10)은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S101 단계). 이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관리부(101)가 보유한 번호 계획 정보와 단말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음성 통신 단말(10)(호출 발신자)과 데이터 통신 단말(20)(호출 수신자) 사이의 매칭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 단말(20)로 호출 신호(호출음)를 송신한다(S102 단계).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도 10에 예시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S103 단계). 도 10에 예시된 화면은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된 UI 버튼(201), "이동"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된 UI 버튼(202), "바쁨"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된 UI 버튼(203) 및 호출 수신자가 음성 통신 수행 불가 상황에 있음을 호출 발신자에게 통지하는 임의의 다른 기능과 연관된 UI 버튼(204)을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사용자 B는 UI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4 단계).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사용자가 음성 통신 수행 불가인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비지(busy) 정보와 함께 사용자 B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S105 단계).
예컨대, 사용자 B가 도 10에 예시된 UI 버튼(201)을 누르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회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비지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예컨대, 사용자 B가 도 10에 예시된 UI 버튼(204)("커스텀(custom)"으로 마킹된 UI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예컨대, 호출 발신자에게 음성으로의 임의의 입력 문자열 변환을 통보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미도시된 UI 버튼(편의상 "제1 UI 버튼"으로 지칭함)과 호출 수신자가 특정 시간 경과 후에 회신할 것임(재호출)을 호출 발신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미도시된 UI 버튼(편의상 "제2 UI 버튼"으로 지칭함)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후 사용자가 예컨대 제1 UI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문자열의 입력을 유도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문자열의 입력을 접수한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사용자 B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와 비지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비지 정보와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사용자 B가 수행한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수신된 정보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고(S106 단계), 그 처리 결과를 음성 통신 단말(10)로 송신한다(S107 단계). 예컨대, 중계 장치(30)가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비지 정보와 문자 데이터(사용자 B가 입력한 임의의 문자열)를 수신하는 경우를 고려해 본다. 이 경우, 중계 장치(30)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단말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통신 단말(10)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지 정보는 전술한 제2 지시 정보(문자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응하고,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전술한 제2 통신 단말에 대응한다. 예컨대, 중계 장치(30)가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비지 정보와 사용자 B가 선택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다른 경우를 고려해 본다. 이 경우, 중계 장치(30)는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통신 단말(10)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장치(30)로부터 음성 통신 단말(10)로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청취한 사용자 A는 사용자 B가 전화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참조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소정의 메시지를 발할 수 있다(음성 데이터 입력)(S108 단계). 이 경우, 음성 통신 단말(10)은 사용자 A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S109 단계).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신 단말(10)의 단말 정보와 연관된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고(S110 단계)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 단말(20)로 송신한다(S111 단계).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중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 상에 표시한다(S112 단계). 사용자 B는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문자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전화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S108 단계에서, 사용자 A는 메시지를 발성하는 것 외에도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B에게 예컨대 비상 상황을 통보하기 위해 사용자 A는 음성 통신 단말(10)에 제공된 "9"의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숫자 "9"를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통신 단말(10)은 숫자 "9"를 나타내는 입력 정보를 중계 장치(30)에 송신한다. 이 입력 정보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미리 설정된 문자 데이터(본 실시예에서는 "긴급"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 선택된 문자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 단말(20)로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중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11은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표시부에 표시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예시된 화면은 "긴급"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와 사용자 A가 발성한 말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S108 단계에서 사용자 A는 예컨대, 메시지를 발성하는 것은 물론 입력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발성하거나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요약하면, 제1 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의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가 포함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중계 장치(30)는 입력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로, 문자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될 때, 본 실시예의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의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중계 장치(30)는 입력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로 중계하는 중계 장치(30)는 입력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또는 입력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각각의 통신 단말이 입력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또는 입력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과 비교시, 전술한 구성은 각각의 통신 단말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통신 단말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어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예컨대 저장 배터리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해당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직접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요소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추가로, 실시예에 개시된 요소들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에를 들면, 실시예의 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예시된 예에서,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비지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 장치(30)는 이후에 음성 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통신 단말(10)이 제2 통신 단말인 것으로 간주되면, 비지 정보는 제1 지시 정보(음성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다음의 다른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도 9의 S108 단계에서, 사용자 A는 메시지 발성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지시에 대응하는 숫자(예, "99") 또는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도 9의 S109 단계에서, 음성 통신 단말(10)은 사용자 A가 발성한 세부적인 말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지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코드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이후, 음성 통신 단말(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정보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음성 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정보는 제1 지시 정보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요약하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제1 통신 단말로부터든지 또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든지),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제1 통신 단말로부터든지 또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든지),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한다. 그러나, 해당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중계 장치(30)는 무조건적으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 장치(30)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한다. 그러나, 해당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문자 데이터가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중계 장치(30)는 무조건적으로 수신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예컨대 중계 장치(30)는 특징 정보 기억부(111),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 및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 내의 데이터의 세부 내용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중계 장치(30)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시간, 1일, 1년)이 경과할 때마다 특징 정보 기억부(111),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 제2 사전 정보 기억부(115),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18) 및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120) 각각의 데이터의 세부 내용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사용자가 낸 지시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세부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기능부(102)의 예시적인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 기능부(102)는 제1 표시 제어부(130), 제1 취득부(131), 제1 변환 정보 기억부(132), 제5 선택부(133), 제2 표시 제어부(134), 제2 취득부(135), 제2 변환 정보 기억부(136), 제6 선택부(137), 제3 표시 제어부(1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환기 기능부(102)(중계 장치(30))는 청구범위의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2에 예시된 예는 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을 예시한다. 그러나, 당연히, 교환기 기능부(102)는 추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교환기 기능부(102)의 개별 유닛(제1 표시 제어부(130), 제1 취득부(131), 제5 선택부(133), 제2 표시 제어부(134), 제2 취득부(135), 제6 선택부(137), 제3 표시 제어부(138))의 기능 각각은 중계 장치(30)에 탑재되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 각각은 전용 하드웨어 회로(예,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 변환 정보 기억부(132)와 제2 변환 정보 기억부(136)의 기능은 중계 장치(30)에 탑재된 ROM 등의 기억 소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과 통신할 제2 통신 단말을 호출하기 위해, 제1 표시 제어부(130)는, 다른 사용자 상황을 나타내는 개별 상황 정보와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의 제1 선택 이미지를 포함하면서 상황 정보의 선택을 허용하는 제1 화면을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13은 예시적인 제1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예시된 예에서, 제1 화면은 제1 선택 이미지(151, 152, 153)와 UI 이미지(154, 1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선택 이미지(151)는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선택한다. 제1 선택 이미지(152)는 "이동"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선택 이미지(153)는 "바쁨"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UI 이미지(154)는 호출에 응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UI 이미지(155)는 호출을 거절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1 표시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표시 제어부(130)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화면을 호출 신호와 함께 제2 통신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표시 제어부(130)는 예컨대, 호출 신호와 함께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1 화면을 생성 및 표시하는 지시를 제2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1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1 취득부(131)는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제1 선택 이미지를 통해 선택된 상황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누른 제1 선택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제1 변환 정보 기억부(132)는 개별 제1 정보와 연관하여 복수의 상황 정보를 기억한다. 도 14는 제1 변환 정보 기억부(132)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정보는 문자 데이터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특정 상황을 나타내는 코드 또는 부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정보는 임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1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5 선택부(133)는 제1 취득부(131)에 의해 취득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특정 제1 정보를 선택한다. 제2 표시 제어부(134)는 제5 선택부(133)에 의해 선택된 제1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제1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 화면은 통보의 다른 세부 내용을 나타내는 개별 통지 정보에 일-대-일 대응되면서 특정 통지 정보의 선택을 허용하는 복수의 제2 선택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제2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예시된 예에서, 제2 화면은 제1 정보(161), 제2 선택 정보(162), 제2 선택 이미지(163), 제2 선택 이미지(164), UI 이미지(16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정보(161)(본 실시예에서는 "회의 중이라 전화에 응답할 수 없다"는 문자 데이터)는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와 연관된다. 제2 선택 정보(162)는 "긴급"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선택 이미지(163)는 "콜백(callback)"를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선택 이미지(164)는 "ok"를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UI 이미지(165)는 접속을 종료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해당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표시 제어부(134)는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화면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2 화면을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표시 제어부(134)는 예컨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2 화면을 생성 및 표시하는 지시를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1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2 취득부(135)는 제2 선택 이미지를 통해 선택된 통지 정보를 제1 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누른 제2 선택 이미지에 대응하는 통지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제2 변환 정보 기억부(136)는 개별 제2 정보와 연관된 복수의 통지 정보를 기억한다. 도 16은 제2 변환 정보 기억부(136)에 기억된 데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정보는 문자 데이터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2 정보는 예컨대, 통보의 특정 세부 내용을 나타내는 코드 또는 부호일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고 이하에 도 12를 추가로 설명한다. 제6 선택부(137)는 제2 취득부(135)에 의해 취득된 통지 정보와 연관된 제2 정보를 선택한다. 제3 표시 제어부(138)는 제6 선택부(137)에 의해 선택된 제2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화면을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17은 예시적인 제3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예시된 예에서, 제3 화면은 제2 정보(170)와 UI 이미지(154, 1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170)(본 실시예에서는 "[긴급] 긴급 비지니스"의 문자 데이터)는 "긴급"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와 연관된다. UI 이미지(154)는 호출에 응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UI 이미지(155)는 호출을 거절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해당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표시 제어부(138)는 예컨대, "ok"를 나타내는 통지 정보가 제2 취득부(135)로부터 수신되면, 제3 표시 제어부(138)가 접속을 종료하도록 제어를 행하기 전에 통지 정보와 연관된 제2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화면을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라 음성 통신 단말(10)(본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단말에 대응함)를 사용하는 사용자 A와 데이터 통신 단말(20)(본 실시예에서 제2 통신 단말에 대응함)를 사용하는 사용자 B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에 예시된 예는 사용자 B가 전화에 응답하기 곤란한 상황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18에 예시된 예는 음성 통신 단말(10)이 음성 통신 기능과 리치한 UI를 갖는 전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음성 통신 단말(10)의 예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휴대전화 단말(스마트폰 포함)과 비지네스 폰을 포함한다. S200 단계로부터 S202 단계까지의 세부적인 내용은 도 9의 S100 단계로부터 S102 단계까지의 세부 내용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호출 신호와 함께 도 13에 예시된 제1 화면을 생성 및 표시하는 지시가 중계 장치(30)(제1 표시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해당 지시에 따라 도 13에 예시된 제1 화면을 표시부 상에 생성 및 표시한다(S203 단계).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B는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제1 화면 상의 제1 선택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한다(S204 단계).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사용자 B가 누른 제1 선택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S205 단계). 만일, 예컨대, 사용자 B가 도 13에 예시된 제1 선택 이미지(151)를 누르면,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회의"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 단말(2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제1 정보를 선택한다(S206 단계). 중계 장치(30)는 S206 단계에서 선택된 제1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2 화면(예, 도 15 참조)을 생성 및 표시하는 지시를 음성 통신 단말(10)로 송신한다(S207 단계). 음성 통신 단말(10)은 중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따라 제2 화면을 표시부 상에 생성 및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A는 음성 통신 단말(10)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제2 화면 상의 제2 선택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한다(S208 단계). 음성 통신 단말(10)은 사용자 A가 누른 제2 선택 이미지에 대응하는 통지 정보를 중계 장치(30)로 송신한다(S209 단계).
음성 통신 단말(10)로부터 통지 정보를 수신한 중계 장치(30)는 수신된 통지 정보와 연관된 제2 정보를 선택한다(S210 단계). 이후 중계 장치(30)는 S210 단계에서 선택된 제2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화면(예, 도 17 참조)을 생성 및 표시하는 지시를 데이터 통신 단말(20)로 송신한다(S211 단계). 데이터 통신 단말(20)은 중계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따라 제3 화면을 표시부 상에 생성 및 표시한다(S212 단계). 사용자 B는 데이터 통신 단말(20)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제3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전화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서, 제1 선택부(113)는 각각의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로서 시간과 위치에 따라 변하는 특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특징 정보 기억부(111)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8시까지의 시간 내에 선택될 특징 정보로서 "영업"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다른 시간 내에 선택될 특징 정보로서 "부친(father)"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하여 "xxx-001"로 나타낸 단말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112)는 해당 특정 직업 정보가 포함된 제1 사전 정보("영업"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와 다른 제1 사전 정보)와 연관하여 "부친"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를 기억한다.
도 20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특징 정보 기억부(111)는 단말 정보에 의해 식별된 통신 단말이 해당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집 근처 --km 내의 영역 내에 위치된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특징 정보로서 "영업"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다른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특징 정보로서 "부친"을 나타내는 직업 정보와 연관하여 "xxx-001"로 나타낸 단말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통신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기술이 이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중계 장치(30)는 통신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GP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 통신 시스템
10 음성 통신 단말
20 데이터 통신 단말
30 중계 장치
101 관리부
102 교환기 기능부
103 메일 제어부
104 통신 인터페이스부
105 음성-문자 변환부
111 특징 정보 기억부
112 제1 사전 정보 기억부
113 제1 선택부
114 제1 변환부
115 제2 사전 정보 기억부
116 제2 선택부
117 제2 변환부
118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
119 제3 선택부
120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
121 제4 선택부
130 제1 표시 제어부
131 제1 취득부
132 제1 변환 정보 기억부
133 제5 선택부
134 제2 표시 제어부
135 제2 취득부
136 제2 변환 정보 기억부
137 제6 선택부
138 제3 표시 제어부
선행 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4688호 공보

Claims (16)

  1.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로서,
    각각이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가,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사전 정보 중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포함된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부;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선택부는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선택부는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4.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로서,
    각각이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가,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사전 정보 중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포함된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부;
    상기 제2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로의 변환을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선택부는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선택부는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황 정보 각각이 복수의 미리 정해진 음성 데이터 중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미리 정해진 음성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음성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상황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상황 정보와 연관된 상기 미리 정해진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3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미리 정해진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신 단말로 입력될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입력 정보 각각이 복수의 미리 정해진 문자 데이터 중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미리 정해진 문자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문자 데이터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상기 미리 정해진 문자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4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미리 정해진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송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1.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과 상기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 각각이,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사전 정보 중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포함된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1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제1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부;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과 상기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 단말을 식별하는 복수의 단말 정보 각각이, 대응하는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특징 정보 중 대응하는 특징 정보에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특징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특징 정보 기억부;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사전 정보 중 상기 특징 정보 각각이 포함된 대응하는 정보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사전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사전 정보 기억부;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와 연관된 특징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 정보와 연관된 제2 사전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부;
    상기 제2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표시 장치로서,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을 호출시, 사용자의 상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황 정보에 각각 일-대-일 기준으로 대응하면서 상황 정보를 각각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선택 이미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상기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제어부;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선택 이미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상황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부;
    상기 상황 정보 각각이 상기 상황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와 연관되도록 복수의 제1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상황 정보와 연관된 제1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5 선택부;
    상기 제5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상기 제1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통보의 세부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통지 정보에 일-대-일 기준으로 대응하고 각각 통지 정보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선택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선택 이미지를 통해 선택된 상기 통지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부;
    상기 통지 정보 각각이 복수의 제2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지 정보와 연관된 제2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6 선택부;
    상기 제6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화면을 상기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적어도 제1 통신 단말과 제2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과 상기 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단말을 호출시, 사용자의 상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황 정보에 각각 일-대-일 기준으로 대응하면서 상황 정보를 각각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선택 이미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상기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제어부;
    상기 제2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제1 선택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부;
    상기 상황 정보 각각이 상기 상황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와 연관되도록 복수의 제1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제1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상황 정보와 연관된 제1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5 선택부;
    상기 제5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상기 제1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통보의 세부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통지 정보에 일-대-일 기준으로 대응하고 통지 정보를 각각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선택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제2 선택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부;
    상기 통지 정보 각각이 복수의 제2 정보 중 대응하는 정보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 정보 기억부;
    상기 제2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지 정보와 연관된 제2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6 선택부;
    상기 제6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화면을 상기 제2 통신 단말 상에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67014833A 2013-12-03 2014-12-03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1813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0480 2013-12-03
JPJP-P-2013-250480 2013-12-03
JP2014231043 2014-11-13
JPJP-P-2014-231043 2014-11-13
PCT/JP2014/081985 WO2015083741A1 (ja) 2013-12-03 2014-12-03 中継装置、表示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066A true KR20160083066A (ko) 2016-07-11
KR101813827B1 KR101813827B1 (ko) 2017-12-29

Family

ID=5327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833A KR101813827B1 (ko) 2013-12-03 2014-12-03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5266B2 (ko)
EP (1) EP3079342A4 (ko)
JP (1) JPWO2015083741A1 (ko)
KR (1) KR101813827B1 (ko)
CN (1) CN105794188B (ko)
WO (1) WO2015083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827B1 (ko) * 2013-12-03 2017-12-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20180315414A1 (en) 2017-04-26 2018-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digital assistant and spoken genome
US10522138B1 (en) * 2019-02-11 2019-12-31 Groupe Allo Media SAS Real-time voic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TWI803782B (zh) * 2020-10-16 2023-06-01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電網路閘道器以及無線電系統
CN114025366B (zh) * 2021-10-21 2023-12-19 广州市瀚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直放站的通信确定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470A (ja) * 1995-01-05 1996-07-23 Toshiba Corp 情報提供端末
JPH09179582A (ja) * 1995-12-26 1997-07-11 Nec Corp 音声認識装置
JP2001309049A (ja) * 2000-04-20 2001-11-02 Casio Comput Co Ltd メール作成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6424935B1 (en) * 2000-07-31 2002-07-23 Micron Technology, Inc. Two-way speech recognition and dialect system
JP3916387B2 (ja) 2000-08-29 2007-05-16 株式会社リコー 電話応答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機能を実現するためのボード及び記録媒体
US7027987B1 (en) * 2001-02-07 2006-04-11 Google Inc. Voice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JP2002244688A (ja) 2001-02-15 2002-08-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情報処理装置に実行させる媒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GB0113570D0 (en) * 2001-06-04 2001-07-25 Hewlett Packard Co Audio-form presentation of text messages
JP2003092628A (ja) 2001-07-13 2003-03-28 Ketsu Aoki 電話リレーサービス方法
US6996528B2 (en) * 2001-08-03 2006-0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efficient, safe and reliable data entry by voice under adverse conditions
US8856236B2 (en) 2002-04-02 2014-10-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ssaging response system
US7917581B2 (en) 2002-04-02 2011-03-29 Verizon Business Global Llc Call completion via instant communications client
WO2003085844A2 (en) 2002-04-02 2003-10-16 Worldcom, Inc. Communications gateway with messaging communications interface
JP4100081B2 (ja) 2002-07-24 200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装置
JP2004129174A (ja) * 2002-08-06 2004-04-22 Ricoh Co Ltd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315811B2 (en) * 2003-12-31 2008-01-01 Dictapho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nted modification of a language model
US20070011012A1 (en) * 2005-07-11 2007-01-11 Steve Yurick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aptioning of multi-media content
JP2007096449A (ja) * 2005-09-27 2007-04-12 Oki Electric Ind Co Ltd 通話拒否メッセージ通知方法
US7734623B2 (en) * 2006-11-07 2010-06-08 Cycorp, Inc. Semantics-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analysis
JP2009139390A (ja) * 2007-12-03 2009-06-25 Ne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52260B2 (en) * 2008-09-10 2013-01-08 Jun Hyung Sung Multimodal unification of articulation for device interfacing
US8447608B1 (en) * 2008-12-10 2013-05-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Custom language models for audio content
JP5482569B2 (ja) 2010-08-20 2014-05-07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通信端末、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8996371B2 (en) * 2012-03-29 2015-03-31 Nice-Systems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omain adaptation in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s
US9110880B1 (en) * 2013-02-08 2015-08-18 Google Inc. Acoustically informed pruning for language modeling
JP2014167517A (ja) * 2013-02-28 2014-09-1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会話提供システム、ゲーム提供システム、会話提供方法、ゲーム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48538A1 (en) * 2013-03-14 2015-12-03 Aliphcom Speech summary and action item generation
US9076347B2 (en) * 2013-03-14 2015-07-07 Better Accent, LLC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ing language pronunciation
KR101371184B1 (ko) 2013-05-24 2014-03-07 이담정보통신(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착신자 상황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813827B1 (ko) * 2013-12-03 2017-12-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9472186B1 (en) * 2014-01-28 2016-10-18 Nvoq Incorporated Automated training of a user audio profile using transcribed medical record recordings
US9672202B2 (en) * 2014-03-20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aware re-formating of an input
US9367537B2 (en) * 2014-04-01 2016-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alyzing messages and/or documents to provide suggestions to modify messages and/or documents to be more suitable for intended recipients
WO2016013503A1 (ja) * 2014-07-23 2016-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US20160275942A1 (en) * 2015-01-26 2016-09-22 William Drewes Method for Substantial Ongoing Cumulative Voice Recognition Error Reduction
US9947313B2 (en) * 2015-01-26 2018-04-17 William Drewes Method for substantial ongoing cumulative voice recognition error reduction
KR102386863B1 (ko) * 2015-09-09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반 언어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음성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342A1 (en) 2016-10-12
US20170322924A1 (en) 2017-11-09
EP3079342A4 (en) 2017-03-15
KR101813827B1 (ko) 2017-12-29
CN105794188B (zh) 2019-03-01
US10255266B2 (en) 2019-04-09
WO2015083741A1 (ja) 2015-06-11
CN105794188A (zh) 2016-07-20
JPWO2015083741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27B1 (ko) 중계 장치, 표시 장치 및 통신 시스템
JP4904248B2 (ja) メディアに依存しないオフィス外管理
WO2012019048A1 (en) Real time text messaging method and device
WO2012018996A1 (en) Real time text messaging method and device
US20080189108A1 (en) Text messaging in a telephony network
CN112887194B (zh) 实现听障人士通话的交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6218568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20170310802A1 (en) Emergency services access device
CN105472114A (zh) 婉拒来电的系统及方法
US10735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between sender users, recipient users and external network entities
JP2012075047A (ja) Ip交換システム及びip交換装置
US11785137B2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essions betw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of caller users and recipient users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75866A (ko) 발신자 단말기용 컬러링 설정 시스템
JP722280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4147012A (ja) 音声呼の確立と同時に、相手方端末におけるコードを確認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548280B1 (ja) 安否確認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187078B2 (ja) 通話制御方法及び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
KR100619905B1 (ko) 피티티 서비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170048A (zh) 基于终端的通信方法
CN202353816U (zh) 应急救援智能服务系统
KR20060095712A (ko) 그룹통신 중 사용자 감정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룹통신 제어방법
JP2018129778A (ja) 携帯端末
JP2015064446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