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166A -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166A
KR20200026166A KR1020190108119A KR20190108119A KR20200026166A KR 20200026166 A KR20200026166 A KR 20200026166A KR 1020190108119 A KR1020190108119 A KR 1020190108119A KR 20190108119 A KR20190108119 A KR 20190108119A KR 20200026166 A KR20200026166 A KR 2020002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rminal
calling
caller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이지연
안영수
이은동
전준용
정성택
허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20002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버가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서버 간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전송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자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는, 상기 착신 단말의 호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출력된다.

Description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ing supplementary service}
본 발명은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화 서비스는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등 기술의 발전에 따라 OTT(Over The Top) 서비스들은 진화하고 있으나, 통화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
발신 부가 서비스는 주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발신자 표시 서비스, 레터링 서비스 등이 그 예이다. 그런데, 종래에 발신 부가 서비스는 사전에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한다. 즉, 발신자가 다이얼링 이전에 설정한 콘텐츠를 착신자에게 제공할 수는 있지만, 발신자가 다이얼링한 이후에 발생한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또한, 기존의 통화 연결시, 통화 수락은 착신자의 의사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발신자가 통화의 수락 확률을 높이기 위한 긴급한 사유가 있더라도, 이를 착신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이 현재는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발신 부가 서비스들은 착신자에게 발신자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의미는 있지만 착신자가 이미 발신자를 알아 착신자의 연락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가치는 없다. 그리고 착신자에게 제공되는 추가 정보는 인사말이나 소속 정보와 같은 정적인 정보에 한정되므로, 전화를 받아야만 풍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보다 지능적인 개인 비서 기능으로서, 전화가 오면 단순히 전화를 수락 또는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에 탑재된 인공지능 개인비서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전화를 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기능이 없는 단말 사용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네트워크 가입자에게 어떤 단말을 사용하든 단말 의존성 없이, 통화 수락 전에 착신자와 발신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수집한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에게 제공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화 연결 전 발신자와 착신자의 반복적인 대화 내용을 착신 단말에게 제공하고, 통화 연결에 대한 응답을 착신자 음성으로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버가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서버 간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전송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자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는, 상기 착신 단말의 호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 미디어 세션은, 호 세션과 독립되고, 상기 호 세션이 성립되기 이전에 설정되는 얼리 미디어 세션일 수 있다.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연결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이고,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표시 필드에 수록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와 상기 발신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등록된 발신 설정 문구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화면은,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 및 상기 발신 설정 문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음성을 수신하며, 상기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미디어 서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문자가 포함된 호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는, 호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부가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세션을 설립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세션 개시 프로토콜의 호 세션 설립 이전에 설정되는 얼리 미디어 세션을 설립하고, 상기 얼리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호 연결을 요청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표시 필드에 수록할 수 있다.
상기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응용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전송된다.
상기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푸쉬 전송하는 앱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응용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전송되고, 상기 앱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의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발신 단말의 메뉴 설정을 통해 상기 홈 가입자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발신자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문자의 전송 이력을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와 매칭시켜 관리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서 실행된 전용 앱으로부터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전송 이력을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자 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고, 발화 요청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발화 요청 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에 대응되는 문장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문자에 대한 회신 문자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문장 또는 상기 회신 문자를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음성을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후속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후속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후속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가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자 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신 단말과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발화 요청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발화 요청 멘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선호도에 따라 응용 서버, 메시지 서비스 센터 또는 앱 서버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상태인 경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에 대응되는 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문장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에 대해 회신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신 문자를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음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는 음성이라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쉽게 착신자에게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을 전달 할 수 있어, 착신자의 수락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신자는 별도의 앱(APP)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착신자에게 다이얼링(Dialing)을 하는 과정에서 발신 목적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통화 연결 절차를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착신자에게 보이는 문자(Text)도 통화 다이얼러(Dialer)를 통해 표출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앱(APP) 설치 및 동작이 필요없다.
또한, 착신자는 통화 연결 전, 사전 대화 기능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전화 수락 여부를 판단하므로, 통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조사의 종속적인 특성에 의존성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새로운 신형 단말 구매의 부담이 없고, 통신사도 고객에 평준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근 통화 목록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가 적용된 최근 통화 목록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5G NB(gNB)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스마트 패드와 태블릿 PC와 같은 태블릿 단말, 컴퓨터, 텔레비전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 단말로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와이파이(WiFi)/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망 인터페이스, 그리고 3G/LTE(Long Term Evolution)/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등의 이동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제조사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에 제공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은 텍스트 기반의 응용 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만들고, 수정 및 종료할 수 있게 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다른 많은 프로토콜들, 예를들면, 세션 설명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들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얼리 미디어(early media)는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가 세션을 수락하기 이전에 양단 간에 교환하는 미디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과 관련된 표준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은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연결된다. 발신 단말(100)이 호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발신자는 발신하는 이유 등과 같은 내용을 발화한다. 이러한 발화 음성은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되어, 문자로 변환된다.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 단말(200)에게 호를 요청할 때 발화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단말(200)은 호 연결 요청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발신자의 발화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출력한다. 착신자는 착신 화면에 표시된 발화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통해 발신자가 전화를 건 목적,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발신자가 사전에 설정한 고정된 발신 문구를 제공하는 발신자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발신자가 제공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가 전화를 거는 이유를 발화하면, 이를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착신자의 통화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어 발신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발신자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가 고정된 문구를 제공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보다는 서비스 사업자, 영업자 등과 같은 특정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화를 걸때마다 발신자가 착신 화면에 설정할 발신 문구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들에게까지 발신 부가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호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과정에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이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SIP 프록시 서버(310), 응용 서버(320) 그리고 미디어 서버(330)를 포함한다. 이때 발신측과 착신측의 통신 사업자가 서로 다른 경우는, 각각의 서버들은 발신측과 착신측으로 나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 발신측 응용 서버(305), 착신측 응용 서버(307),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 및 착신측 미디어 서버(311)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3에서는 발신측과 착신측의 서버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도 14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발신측과 착신측의 통신 사업자가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 및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는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 그리고 발신측 응용 서버(305) 및 착신측 응용 서버(307) 간의 SIP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발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하고,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부터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를 거쳐 착신측 응용 서버(307)로 전달한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 단말(100)에서 설정한 부가 서비스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색하여 그에 알맞은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착신측 응용 서버(307)는 착신 단말에서 설정한 부가 서비스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색하여 그에 알맞은 착신측 미디어 서버(311)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 및 착신측 미디어 서버(311)는 영상 및 음성 자원을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발신측 응용 서버(305)와 SIP 세션을 형성하고, 발신 단말(100)과 얼리 미디어 세션을 형성한다. 여기서, 얼리 미디어 세션을 RTP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요소들(100, 200, 301, 303, 305, 309) 간의 상호 연계를 통해 호연결 과정에서 도 1에서 설명한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착신측 응용 서버(307) 및 착신측 미디어 서버(311)의 동작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00)이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에게 호 연결을 요청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는 수신(S101)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103).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100 Trying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105, S107). 여기서, 100 Trying 메시지는 수신된 요청을 다음 서버로 전송하거나 처리 중임을 의미한다. 통상, 인바이트(INVITE) 메시지 수신후, 즉시 처리할 수 없을 경우, 전송된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한다(S109). 가입자 프로파일은 가입자 서버(예, HSS)(미도시)로부터 제공되며, 발신 단말(100)이 가입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발신 단말(100)이 특정 서비스 가입자,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한다(S111).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일반 호 처리를 한다(S113).
여기서, 일반 호 처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 호 처리를 통칭한다. 예를들면,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바로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 및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를 거쳐 착신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반면, S111 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되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전송한다(S115). S115 단계부터 얼리 미디어 세션 설립 절차(P13)가 개시된다.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117). 그러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183 Session In Progress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119, S121). 여기서, 183 Session In Progress 메시지는 진행중인 호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발신 단말(100)은 PRACK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123, S125). 여기서, PRACK는 Provisional Response ACKnowledgement의 약어로써, 아직 설립되지 않은 세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Provisional ACK를 의미한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127, S129). S129 단계를 마지막으로 얼리 미디어 세션 설립 절차(P13)가 완료된다. 즉, 발신 단말(100)과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 간에 얼리 미디어 세션이 설립된다(S131).
얼리 미디어 세션이 설립되면,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발신 단말(100)에게 발화 요청을 안내한다(S133). 이때, 발화 요청은 자동 응답 시스템(ARS)의 음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발신 목적을 말해주세요"와 같은 자동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발신 단말(100)은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발신자 음성이 입력되면, 발신자 음성을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전송한다(S135).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S135 단계 이후,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가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다(S137).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S137 단계에서 변환한 문자를 인포(INFO)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139). 여기서, 인포(INFO)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인포(INFO)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전송한다(S141).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인포(INFO)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도 3a의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수록한다(S143).
여기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발신자 표시 필드에 수록될 수 있다. 발신자 표시 필드는 From 헤더의 'display-nam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새로 정의된 특정 필드,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해 새로운 규격으로 정의된 특정 필드에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수록할 수 있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로 전송한다(S145).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는 수신(S145)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147).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는 S147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착신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149).
착신 단말(200)은 인바이트(INVITE) 메시지 수신에 따른 호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문자를 출력한다(S151). 이때, 착신 단말(200)은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display-name' 필드에 수록된 문자를 추출하여, 착신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상호 합의된 특정 필드에 수록된 문자를 추출하여, 착신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착신 단말(200)은 180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153). 여기서, 180 메시지는 착신 단말(200)에게 Alerting(전화기의 링을 울림) 중이므로, 발신 단말(100)에게 링백톤(Ringback tone)을 재생하거나 준비할 것을 통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착신 단말(200)은 착신자가 통화를 수락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이 클릭되면, 200 OK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155). 그러면,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는 수신(S155)한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157, S159). 이로써,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 간에 호 세션이 성립된다(S16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3b에서 S143 단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신 단말(100)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와 같은 다른 발신 부가 서비스에도 가입된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부터 인포(INFO) 메시지가 수신(S201)되면, 발신 단말(100)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한다(S203).
이때, 발신 단말(100)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라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사전 등록된 발신 문구와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S205). 예를 들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display-name' 필드에 발신 문구와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콜론(;)과 같은 구분자를 사용해서 구분하여 모두 수록할 수 있다.
한편, S203 단계에서, 발신 단말(100)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만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포함시킨다(S207).
이상 기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는 발신자가 전송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가 착신자에게 전송되기 이전에 얼리 미디어 세션을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한 발신자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자에게 전송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수록함으로써, 착신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전술한 도 2 ~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포함시켰으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이동통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므로, 도 2의 구성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2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발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3)와 착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5)를 추가로 포함한다. 발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3)와 착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5)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제어하는 서버 장치이다.
도 6은 도 3a의 S135 단계 이후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3b와 다른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다(S301).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S301 단계에서 변환한 문자를 인포(INFO)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303). 여기서, 인포(INFO)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인포(INFO)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전송한다(S305).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인포(INFO)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문자의 전송을 발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3)에게 요청한다(S307). 발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3)는 전송 요청(S307)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S309)하여, 착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5)에게 전송한다(S311).
착신측 메시지 서비스 센터(315)는 수신(S311)한 메시지를 착신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313). 그러면, 착신 단말(200)은 수신한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S315).
한편,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도 3a의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로 리턴한다(S317).
그러면,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는 수신(S317)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를 거쳐 착신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319, S321).
착신 단말(200)은 180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323). 착신 단말(200)은 착신자가 통화를 수락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이 클릭되면, 200 OK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325). 그러면,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는 수신(S325)한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27, S329). 이로써,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 간에 호 세션이 성립된다(S331).
여기서, S307 단계와 S317 단계는 동시에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들을 통하여, 착신 단말(200)은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이동통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므로, 도 2의 구성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2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앱 서버(317)를 추가로 포함한다. 앱 서버(317)는 착신 단말(200)에 설치된 앱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도 8은 도 3a의 S135 단계 이후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3b와 다른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다(S401).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는 S401 단계에서 변환한 문자를 인포(INFO)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신측 응용 서버(305)로 전송한다(S403). 인포(INFO)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 전송한다(S405).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인포(INFO)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문자의 푸쉬 전송을 앱 서버(317)에게 요청한다(S407).
앱 서버(317)는 변환된 문자를 착신 단말(200)에게 푸쉬 전송한다(S409). 그러면, 착신 단말(200)은 푸쉬 전송된 문자를 해당 앱을 실행하여 팝업한다(S411).
한편,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도 3a의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로 리턴한다(S413).
그러면,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는 수신(S413)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를 거쳐 착신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415, S417).
착신 단말(200)은 180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419). 착신 단말(200)은 착신자가 통화를 수락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이 클릭되면, 200 OK 메시지를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에게 전송한다(S421). 그러면, 착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는 수신(S421)한 200 OK 메시지를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1)를 거쳐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423, S425). 이로써,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 간에 호 세션이 성립된다(S427).
여기서, S407 단계와 S413 단계는 동시에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들을 통하여, 착신 단말(200)은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앱을 통해 수신하면서, 동시에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포함되어 착신 단말(200)로 전송되거나, 문자 또는 앱을 통해서도 착신 단말(200)로 전송됨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의 선호도에 따라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로 전송할지, 문자 또는 앱을 통해 전송할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2, 도 5, 도 7의 구성이 통합된 실시예로서, 도 2, 도 5, 도 7의 구성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들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청약 가입 시스템(319) 및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ystem, HSS)(321)를 추가로 나타내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청약 가입 시스템(319)을 통해 홈 가입자 서버(321)로 사용자 선호도가 등록(S501)되면, 홈 가입자 서버(321)는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의 발신 부가 서비스에 사용자 선호도를 설정한다(S503). 이후,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측 SIP 프록시 서버(303)로부터 인바이트(INVITE) 메시지가 수신(S505)되면, 홈 가입자 서버(321)에게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한다(S507).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홈 가입자 서버(321)로부터 조회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S509).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측 미디어 서버(309)로부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인포(INFO) 메시지를 수신(S511)한다.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S509 단계에서 확인한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인포(INFO) 메시지에서 획득한 문자를 착신 단말(200)로 전송할 방식을 결정한다(S513).
여기서, 사용자 선호도는 도 3b에서 설명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 도 6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 도 8에서 설명한 앱 푸쉬를 이용하는 방식 중에서 하나의 방식이 설정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청약 가입 시스템(319)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등록(S501)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발신 단말(100)에 구비된 단말 메뉴 또는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1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선호도 설정 메뉴는 CID(Caller ID) 알림, SMS 알림, 앱 푸쉬 알림으로 구성되고, 각 메뉴에 대하여 해제 또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사용자 선호도 설정 메뉴의 선택 사항은 발신 단말(100)로부터 홈 가입자 서버(321)로 전송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근 통화 목록을 나타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가 적용된 최근 통화 목록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200)의 전화앱은 최근 통화 목록에 발신자 설정 정보를 포함시켜 나타내고 있다. 즉, 착신 화면에 출력된 발화 음성이 변환된 문자가 최근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와 함께 출력된다.
그러나, 최근 통화 목록이 전화번호만 지원하는 착신 단말(200)인 경우, 즉, 문자는 표시하지 않는 단말일 경우, 별도의 히스토리 앱을 통하여 착신 화면에 출력된 발화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도 13과 같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번호, 즉, 발신번호와, 착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즉, 착신번호 별로 발화 음성에서 변환된 문자의 전송 이력을 저장한다(S601). 즉,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에 대하여, 발화 음성에서 변환된 문자를 히스토리로 관리한다.
착신 단말(200)은 히스토리 앱, 즉, 전화앱과는 별도의 앱을 실행(S603)하여, 발신측 응용 서버(305)에 접속한다. 그리고 발신측 응용 서버(305)에게 전송 이력 조회를 전송한다(S605).
그러면, 발신측 응용 서버(305)는 착신 단말(200)의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전송 이력을 추출(S607)하여, 착신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609).
착신 단말(200)은 히스토리 앱을 통하여 수신한 전송 이력을 표시한다(S611). 따라서, 도 12와 같은 최근 통화 목록에 텍스트가 표시되지 않는 착신 단말(200)에서는 별도의 히스토리 앱을 통해 발신 음성이 변환된 문자가 표기된 최근 통화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화 연결 과정에서 미디어 서버(330)가 착신자의 음성을 합성하여 발신자와 사전 대화를 나누고, 사전 대화 내용을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에 제공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한 기능과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00)과 사전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착신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착신자 음성을 합성하여, 생동감 있는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 단말(200)에게 호를 요청할 때 사전 대화 내용을 문자로 변환하여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단말(200)은 호 연결 요청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발신자와 미디어 서버(330)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나눈 사전 대화 내용이 출력된다. 착신자는 착신 화면에 표시된 된 문자를 통해 발신자가 전화를 건 목적,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착신자는 사전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호를 수락할 것인지, 호를 수락하지 않고 문자로 대화를 이어나갈 것인지, 전화를 거절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착신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문맥에 따른 대화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은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구성에서 발신측과 착신측의 통신 사업자가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각 구성들은 도 2에서 설명한 역할을 하며 추가되는 역할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응용 서버(320)는 착신 단말이 사전 대화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가입한 경우 미디어 서버(330)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미디어 서버(330)는 착신 단말(200)로부터 착신자 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고, 발신 단말(100)과 얼리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고, 착신 단말(200)로부터 후속 문자 등을 수신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330)는 임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200)에 호가 인입될 때부터, 발신 단말(100)과 사전 대화를 개시하고, 발신자의 발화 내용에 대응되는 답변을 생성하고, 답변 내용에 착신자의 음성을 합성하여 음성 미디어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발신자 음성을 분석하여 착신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때 발신자의 발화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답변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의 방법은 도 3a와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고, 거의 유사하므로 도 3a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전 대화 기능의 발신 부가 서비스를 원하는 착신자는 본인의 음성을 미디어 서버(330)에 등록한다(S701). 착신자의 음성은 이후 발신자에게 착신자를 대신하여 사전 대화를 제공할 때, 음성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착신자가 음성 파일을 등록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하거나, 통신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하거나 또는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등록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330)는 착신자의 음성을 녹음한 파일을 관리한다. 저장된 사용자 음성은, 사전 대화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음성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이용된다.
발신 단말(100)이 SIP 프록시 서버(310)에게 호 연결을 요청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S703).
SIP 프록시 서버(310)는 수신(S703)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응용 서버(320)로 전송한다(S705).
이후 응용 서버(320)는 착신 단말(20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한다(S707). 응용 서버(32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응용 서버(320)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착신 단말(200)이 사전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한다(S709).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응용 서버(320)는 일반 호 처리를 한다(S711).
이후 얼리 미디어 세션 설립 절차(S713)는 도 3a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설립된 얼리 미디어 세션(S713)을 통해, 미디어 서버(330)는 호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100)로 착신 단말(200)을 대리하는 음성을 송출하기 위한 미디어 처리를 협상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서버(330)는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발신 단말(100)과 협상한 코덱(Codec)에 맞게 변환하거나, 패킷 데이터를 RTP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코덱은 호 처리 단계에서 협상될 수 있으며, EVS(Enhanced Voice Service), AMR-WB(Adaptive Multi-Rate WideBand), AMR-NB(Adaptive Multi-Rate NarrowBand) 등의 알려진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330)는 발신자가 듣는 발화 요청 멘트를 생성하고, 이를 착신자의 음성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합성한다(S715). 예를 들어, “여보세요. 무슨 일로 전화하셨어요?”라는 음성을 S701 단계에서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착신자가 현실감 있는 대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착신자가 안내 멘트를 직접 녹음하여 업로드 한 경우, 해당 녹음 파일을 발신자에게도 송출하면 되므로, 이 경우 S71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330)는 합성된 착신자의 음성을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717). 즉, 사전 대화 서비스 가입자인 착신자에게 전화를 하면, 착신자를 대신한 인공 지능이 발신자와 대화하여 발신자에게는 착신자의 음성이 전달된다.
발신 단말(100)은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발신자 음성이 입력되면, 발신자 음성을 미디어 서버(330)로 전송한다(S719). 응답 음성은 도 15의 S713 단계를 통해 설립된 얼리 미디어 세션을 통해서 미디어 서버(330)로 전송된다.
미디어 서버(330)는 발신 단말(100)에서 송출된 음성 패킷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다(S721). 미디어 서버(330)가 사용하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으로서 DNN(Deep Neural Networks),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또는 LSTM-RNN(Long Short-Term Memory - Recurrent Neural Network)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S723 내지 S731 단계는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착신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이는 도 3b의 S139 내지 S149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미디어 서버(330)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생성한 대화 내용과 발신자의 음성이 변환된 문자 역시 통신사 내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연동하여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서드파티(3rd Party)의 앱 내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제조사 또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구애받지 않고, 문자를 통해 발신자와 사전 대화를 진행하고 사전 대화 내용을 착신 단말(20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3b의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 도 6의 이동통신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 도 8의 앱 푸쉬를 이용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착신 단말(200)은 미디어 서버(330)와 발신 단말(100)이 나눈 사전 대화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S733).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착신 단말(200)은 180 메시지를 SIP 프록시 서버(310)에게 전송한다(S735).
이후, 착신자는 단말로 제공받은 사전 대화 내용을 보고 호를 수락하거나, 문자로 발신자와 후속 대화를 진행하는 등의 선택을 할 수 있다(S737). 이하에서는 착신 단말(200)의 조작에 따른 미디어 서버(33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만약 착신자가 통화를 수락하는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이 클릭되면, 착신 단말(200)은 200 OK 메시지를 SIP 프록시 서버(310)에게 전송한다(S801). 그러면, SIP 프록시 서버(310)는 수신한 200 OK 메시지를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803). 이로써,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200) 간에 호 세션이 성립된다(S805).
착신 단말(200)에 착신자가 통화를 거절하는 조작이 발생하면, 통화가 종료된다(S811).
한편 착신자는 문자로 발신자와 후속 대화를 진행하거나, 회신 없이 대기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17의 S715 내지 S737은 도 16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S737 이후의 단계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착신 단말(200)이 호를 수락하지 않은 채로 발신자와 사전 대화를 계속하는 경우, 착신 단말(200)은 발신자의 사전 대화 내용에 대해 답변하고자 하는 문자를 인포(INFO) 메시지에 포함시켜 미디어 서버(330)로 전송한다(S821).
미디어 서버(330)는 문자 내용을 착신자의 음성 모델을 이용하여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한다(S823).
이후 합성된 음성을 발신 단말(100)에 제공하는 단계는 S717 이후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즉 발신자가 전화했을 때 최초로 응답한 내용을 문자로 전송받고, 이후 발신자와의 후속 대화를 진행하며 발신자에게 보내는 문자와 발신자로부터 받는 응답을 개별 문자 메시지로 전달받을 수 있다.
만약, 착신 단말(200)이 호를 수락 또는 거절하거나 사전 대화 내용에 대한 답변도 회신하지 않고 대기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330)는 착신자를 대신하여 발신자에게 응답할 대화 내용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생성하고, 착신자의 음성을 합성한다(S831).
이후 합성된 음성을 발신 단말(100)에 제공하는 단계는 역시 S717 이후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기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부가 서비스는 발신자와 미디어 서버(330)의 사전 대화를 나누고, 착신자가 걸려온 전화를 수락하기 전에 사전 대화 내용을 제공하고, 착신 단말(200)에 출력된 사전 대화 내용을 보고 착신자가 문자로 회신하면, 미디어 서버(330)가 회신 내용을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여 발신자에게 송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버가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서버 간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전송된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자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는,
    상기 착신 단말의 호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출력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미디어 세션은,
    호 세션과 독립되고, 상기 호 세션이 성립되기 이전에 설정되는 얼리 미디어 세션인,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세션을 연결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신 부가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이고,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표시 필드에 수록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신 설정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와 상기 발신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등록된 발신 설정 문구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화면은,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 및 상기 발신 설정 문구를 동시에 출력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7.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음성을 수신하며, 상기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미디어 서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문자가 포함된 호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는,
    호의 착신을 알리는 착신 화면에 출력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부가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과 미디어 세션을 설립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세션 개시 프로토콜의 호 세션 설립 이전에 설정되는 얼리 미디어 세션을 설립하고,
    상기 얼리 미디어 세션을 통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을 수신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호 연결을 요청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표시 필드에 수록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응용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전송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푸쉬 전송하는 앱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는,
    상기 응용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전송되고, 상기 앱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통해 출력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7항에서,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프로파일의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포함하는 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호 요청 메시지와 별개로, 상기 착신 단말에 설치된 앱의 푸쉬 알람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전송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발신 단말의 메뉴 설정을 통해 상기 홈 가입자 서버에 등록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7항에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발신자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문자의 전송 이력을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와 매칭시켜 관리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서 실행된 전용 앱으로부터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전송 이력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7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자 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고, 발화 요청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발화 요청 멘트를 전송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에 대응되는 문장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문자에 대한 회신 문자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문장 또는 상기 회신 문자를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음성을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후속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후속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후속 음성이 변환된 문자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가 발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착신 단말로부터 착신자 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호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신 단말과의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발화 요청 멘트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발화 요청 멘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선호도에 따라 응용 서버, 메시지 서비스 센터 또는 앱 서버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상태인 경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음성에 대응되는 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문장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8항에서,
    상기 변환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에 대해 회신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신 문자를 상기 등록된 착신자 음성으로 합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합성된 음성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108119A 2018-08-31 2019-09-02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26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3435 2018-08-31
KR1020180103435 2018-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166A true KR20200026166A (ko) 2020-03-10

Family

ID=6980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19A KR20200026166A (ko) 2018-08-31 2019-09-02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557B1 (ko) * 2020-10-12 2022-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557B1 (ko) * 2020-10-12 2022-03-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48463A (ko) * 2020-10-12 2022-04-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3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a caller in a blocked list
US20110009086A1 (en) Text to 9-1-1 emergency communication
US10397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EP2262322A1 (e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shifting call based on a mobile terminal with the same number and a soft terminal
EP2159969A1 (en) Sip terminal and the status reporting method, system and sip server thereof
KR20080081665A (ko) Ptt 이동 단말기와 ptt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발신자 위치 표시 방법
EP220035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itiating two party call
KR100887533B1 (ko)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100024728A (ko)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20100128444A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06332B1 (ko)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738B1 (ko) 이동 단말의 벨소리 상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819716B2 (ja) 通話制御サーバ、及び、通話制御方法
KR10045467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메시지로부터 변환된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방법
KR100692659B1 (ko)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링백톤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2007116438A (ja) Ip電話システム、パケット変換装置およびパケット変換方法
JP6396685B2 (ja) 呼制御装置、受信機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4147012A (ja) 音声呼の確立と同時に、相手方端末におけるコードを確認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69681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