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533B1 -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533B1
KR100887533B1 KR1020070075217A KR20070075217A KR100887533B1 KR 100887533 B1 KR100887533 B1 KR 100887533B1 KR 1020070075217 A KR1020070075217 A KR 1020070075217A KR 20070075217 A KR20070075217 A KR 20070075217A KR 100887533 B1 KR100887533 B1 KR 10088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message
delete delete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42A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07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5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5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처리부,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호 보류 설정부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한다.
신호음, 부가 서비스, 호 보류, 통화 중 대기, 3자 통화

Description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ONE}
본 발명은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P 가입자 부가서비스와 연관된 신호음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망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래의 PSTN 망 등의 레거시 통신망 이외에도 패킷 기반 및 서킷 기반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전화 서비스는 다양한 사업자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률의 증가와 인터넷 통신망의 광대역화로인하여, 패킷 기반의 통신망에서의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정의 부가서비스는 그 부가서비스의 제공 과정 중에 사용자로 하여금 처리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신호음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신규 착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음을 제공하는 과정이 그것이다.
이러한 신호음을 제공하는 기술의 일예로 호 처리 장치와 연동되는 별도의 안내방송 처리장치를 통한 신호음 제공 기술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처리 장치(120)는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111 내지 113) 상호간에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내방송 처리장치(130)와의 호 처리 과정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타 처리장치와의 연동을 이용한 신호음 제공 기술은 호 처리 흐름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과 네트워크 상에 트래픽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하고 빠른 호 처리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새로운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함으로써 호 처리 절차를 보다 단순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기존의 통화 연결된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두 개의 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함으로써 호 처리 절차를 보다 단순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호 설정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처리부,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호 보류 설정부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신호음 처리부는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 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생성노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호 보류 설정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 및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신호음 처리부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생성노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3자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 연결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3자 통화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단계,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3자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 연결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새로운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함으로써 호 처리 절차를 보다 단순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기존의 통화 연결된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두 개의 호 요청을 처리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함으로써 호 처리 절차를 보다 단순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신호음을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호 설정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 처리 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메시지의 감소로 트래픽 절감의 효과를 제공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음원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함으로써 리소스 낭비를 줄이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말기라 함은 유선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H.323, SIP,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은 신호음 처리부(210), 호 보류 설정부(220), 호 설정부(230), 대기처리부(240), 연결복원부(250), 인증부(260) 및 발신번호 노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음 처리부(210)는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처리부(210)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211) 및 신호음 생성노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211)는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 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 호 처리 장치 및 제1 단말기 상호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는 인바이트 메시지, 응답 메시지 및 링잉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상기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음 제공 시스템의 신호음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P-Terminal-Info 헤더에 단말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P-Terminal-Info 헤더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은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해 업데이트를 이용한 SIP 세션 타이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은 인바이트 메시지 내의 Allow 헤더에 업데이트 정보를 명시적으로 기록하고 세션 만기 정보를 선택하여 발신함으로써, SIP 세션 타이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 처리 장치 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의 통화 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211)는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인포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포 메시지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 및 신호음(Tone)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DTMF)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되는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이벤트에 따라 소정의 숫자 코드로 약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의 숫자 "0 ~ 9"는 숫자 코드 "0 ~ 9"로 결정될 수 있으며, 키패드의 "*"는 숫자 코드 "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포 메시지는 이러한 숫자 코드를 포함하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음 정보는 호 처리 장치에서 전달되는 신호음 송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숫자 코드로 약속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호 발신을 위한 다이얼 신호음"는 숫자 코드 "69"로 결정되고, "통화연결 신호음"은 숫자 코드 "70"으로 결정되고,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은 숫자 코드 "79"로 결정되고, "보류가입자 호 종료 신호음"은 숫자 코드 "1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포 메시지는 이러한 숫자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음(Tone)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가 "통화 중 대기 신호음"에 해당하는 숫자 코드를 포함한 경우,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은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노출하라는 요구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소정의 안내방송 처리장치 또는 음원장치로부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화중 대기 신호음은 안내방송 형태의 음원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음원정보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호 처리 절차의 복잡성을 야기하고, 별도의 안내방송 처리장치/음원장치가 요구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통화 중인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을 대상으로 음원정보를 송신할 경우 통화 중인 음성정보의 방해로 인하여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가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이용한 신호음 노출 방안은 효과적일 수 있다.
신호음 생성노출부(212)는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신호음 생성노출부(212)는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기 위한 소정의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호 보류 설정부(220)는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 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호 보류 설정부(220)는 입력부(221) 및 메시지 송수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21)는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받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된 키패드를 클릭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222)는 상기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로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포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DTMF)는 상기 사용자가 호 보류 요청을 위해 입력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호 보류를 요청하는 이벤트는 "flash"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는 "16"일 수 있다. 즉,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코드가 "16"인 경우,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 보류 요청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222)는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에 대응하여 제1 단말기와 호 보류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호 보류 설정의 완료에 따라 상기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 및 상기 제1 단말기 상호간에는 호 보류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호 설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호 설정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호 설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호 처리 장치와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대기처리부(240)는 상기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에 따른 비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대기처리부(240)는 상기 제1 단말기와 통화 중인 경우, 대기처리부(240)로 수신되는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해 비지 메시지로 응답한다. 상기 호 처리 장치는 대기처리부(240)로부터 비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로 링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대기처리부(240)로부터 비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앞서 설명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신호음 제공 시스템(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 중 대기 신호음에 해당하는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복원부(250)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 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호 보류 요청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의 키패드 클릭일 수 있다. 연결복원부(250)는 상기 키패드 입력에 따라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기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260)는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인증부(260)는 인증 처리를 위하여 HTTP 다이제스트 인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URI 정보는 SIP URI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발신번호 노출부(270)는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정보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신번호 노출부(270)는 제2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른 신호음 송출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의 프롬(From) 헤더의 정보를 발신번호로 인식하고 상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인포 메시지일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음 단말장치는 새로운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른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기 위하여 호 처리 장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1)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2)에 따라 호 처리 장치는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대응하여 신호음 제공 시스템이 통화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3)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4)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5)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306)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호 보류 설정부(410), 호 설정부(420), 신호음 처리부(430), 연결복원부(440) 및 인증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 보류 설정부(410)는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된 인바이트 메시지에 상기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음 제공 시스템의 신호음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P-Terminal-Info 헤더에 단말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P-Terminal-Info 헤더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은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해 업데이트를 이용한 SIP 세션 타이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은 인바이트 메시지 내의 Allow 헤더에 업데이트 정보를 명시적으로 기록하고 세션 만기 정보를 선택하여 발신함으로써, SIP 세션 타이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의 통화 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호 보류 설정부(410)는 입력부(411) 및 메시지 송수신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에 포함된 키패드를 클릭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412)는 상기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로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포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DTMF)는 상기 사용자가 호 보류 요청을 위해 입력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호 보류를 요청하는 이벤트는 "flash"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는 "16"일 수 있다. 즉,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코드가 "16"인 경우,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 보류 요청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 설정부(4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호 설정부(420)는 입력부(421) 및 메시지 송수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기로의 호 설정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단말 번호 및 통 화(Send)에 해당하는 키패드를 클릭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422)는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와 호 설정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 설정 메시지는 인포 메시지, 신호음 송출 메시지, 호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포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 정보는 소정의 헤더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더는 P-Enbloc-Info 헤더일 수 있다.
신호음 처리부(430)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신호음 처리부(430)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431) 및 신호음 생성노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431)는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인포 메시지일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포 메시지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 및 신호음(Tone)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포 메시지는 숫자 코드를 포함하는 복합 주파수 부호(DTMF)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숫자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음(Tone)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가 "통화연결 신호음"에 해당하는 숫자 코드를 포함한 경우, 신호음 제공 시스템(400)은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노출하라는 요구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음 생성노출부(432)는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신호음 생성노출부(432)는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기 위한 소정의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복원부(440)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호 보류 요청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의 키패드 클릭일 수 있다. 연결복원부(440)는 상기 키패드 입력에 따라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기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450)는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인증부(450)는 인증 처리를 위하여 HTTP 다이제스트 인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URI 정보는 SIP URI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음 단말장치는 새로운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른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기 위하여 호 처리 장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501)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502)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503)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504)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505)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600)은 호 보류 설정부(601), 호 설정부(602), 신호음 처리부(603), 3자 통화 설정부(604) 및 인증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호 보류 설정부(601), 호 설정부(602), 신호음 처리부(603) 및 인증부(605)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호 보류 설정부(410), 호 설정부(420), 신호음 처리부(430) 및 인증부(450)와 각각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자 통화 설정부(604)는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하여 설명한다.
3자 통화 설정부(604)는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 연결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3자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 연결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3자 통화 요청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의 키패드 클릭일 수 있다.
3자 통화 설정부(604)는 상기 3자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인포 메시지를 호 처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호음 단말장치는 새로운 단말기로의 호 요청에 따른 통화연결 신호음 노출 및 3자 통화를 위하여 호 처리 장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701)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702)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703)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704)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호 처리 과정(705)에 따라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음 제공 방법은 단계(S801) 내지 단계(S807)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신호음 제공 방법은 신호음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801)에서 본 발명은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에 따른 비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신호음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804)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정보로부터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단계(S805)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로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포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단계(S806)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807)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음 제공 방법은 단계(S901) 내지 단계(S905) 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901)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호 보류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로 호 보류 인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포 메시지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단말 유형 정보, 통화 중 상태 확인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 및 세션 만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2 단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호 처리 장치와 호 설정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 설정 메시지는 인포 메시지, 신호음 송출 메시지, 호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S903)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S904)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할 수 있다.
단계(S905)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음 제공 방법은 단계(S1001) 내지 단계(S1005)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1001) 내지 단계(S1004)는 앞서 설명한 단계(S901) 내지 단계(S904)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05)에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3자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3자 통화 연결되도록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설정 및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7을 통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호 처리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신호음 제공 시스템
210: 신호음 처리부
220: 호 보류 설정부
230: 호 설정부

Claims (36)

  1.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생성노출부;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호 보류 설정부;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 및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는 연결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의 생성 및 노출 요구와 연관된 소정 코드를 포함하는 인포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호 보류 설정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호 설정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신호음 메시지 수신부;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는 신호음 생성노출부; 및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는 연결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연결 신호음의 생성 및 노출 요구와 연관된 소정 코드를 포함하는 인포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음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제2 단말기에서의 호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을 노출하는 단계;
    상기 통화 중 대기 신호음 노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 중 대기 신호음의 생성 및 노출 요구와 연관된 소정 코드를 포함하는 인포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음 제공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1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기 설정된 호 연결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통화되도록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호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음 송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통화연결 신호음을 생성하고 상기 통화연결 신호음을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설정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보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호 보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호를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 연결은, 상기 호 처리 장치로 단말 유형 정보가 포함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응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음 송출 메시지는, 통화연결 신호음의 생성 및 노출 요구와 연관된 소정 코드를 포함하는 인포 메시지이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호 보류 설정에 따라 안내방송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음 제공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20항 또는 제27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75217A 2007-07-26 2007-07-26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KR10088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17A KR100887533B1 (ko) 2007-07-26 2007-07-26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17A KR100887533B1 (ko) 2007-07-26 2007-07-26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42A KR20090011542A (ko) 2009-02-02
KR100887533B1 true KR100887533B1 (ko) 2009-03-06

Family

ID=4068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17A KR100887533B1 (ko) 2007-07-26 2007-07-26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979A1 (it) 2016-04-28 2017-10-28 Illinois Tool Works Teste per placcatura a nastro aventi limiti di pressione del nastro e sistemi di placcatura a nastro con teste per placcatura a nastro aventi limiti di pressione del nastro
ITUA20162975A1 (it) 2016-04-28 2017-10-28 Illinois Tool Works Alimentatori di nastro per placcatura aventi rulli di pressione indipendenti e sistemi di placcatura a nastro con alimentatori di nastro per placcatura aventi rulli di pressione indipendenti
ITUA20162981A1 (it) 2016-04-28 2017-10-28 Illinois Tool Works Dispositivi di rilascio di un flusso granulare di saldatura e sistemi di placcatura a nastro con dispositivi di rilascio di un flusso granulare
ITUA20162983A1 (it) 2016-04-28 2017-10-28 Illinois Tool Works Teste per placcatura a nastro aventi regolazioni indipendenti della pressione del nastro e sistemi di placcatura a nastro con teste per placcatura a nastro aventi regolazioni indipendenti della pressione del nastro
ITUA20162977A1 (it) 2016-04-28 2017-10-28 Illinois Tool Works Alimentatori di nastro per placcatura aventi supporti di guida regolabili per il nastro e sistemi di placcatura a nastro con alimentatori di nastro per placcatura aventi supporti di guida regolabili per il nastr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090A (ko) * 1996-05-21 1997-12-12 양승택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서비스방법
KR19980063115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대기제어방법
KR20030016325A (ko) * 2003-01-11 2003-02-26 문귀석 가입자 기반 홀드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60059602A (ko) * 2004-11-29 2006-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090A (ko) * 1996-05-21 1997-12-12 양승택 디지털 셀룰러 이동전화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서비스방법
KR19980063115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대기제어방법
KR20030016325A (ko) * 2003-01-11 2003-02-26 문귀석 가입자 기반 홀드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60059602A (ko) * 2004-11-29 2006-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42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3824A1 (en) Universal Ring Free
KR100755199B1 (ko) 핸드오프를 갖는 통신 유닛
WO2009052746A1 (fr) Méthode de lancement de conférences, mandataire de services d&#39;applications, serveur de conférences et système associé
KR20080094099A (ko) 무선 디바이스를 호출할 때 조기 통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87533B1 (ko)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US20080070528A1 (en) Mid-Call Features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EP220035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itiating two party call
CN112600824B (zh) 电话语音通信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819328B1 (ko) H.323 프로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폰의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77670B1 (ko) 복합 ars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2259073B (zh) 语音与文字直联通讯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136712B1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KR100535241B1 (ko) 에스아이피 프로토콜 기반의 무응답 시 호 전환 방법
CN102665178A (zh) 余额提醒方法、装置及系统、应用服务器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0695B1 (ko) 감청 방법 및 감청 시스템
KR100705581B1 (ko) SIP를 이용한 VoIP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MCID등록 장치 및 방법
JP2013042490A (ja) mVoIPベースの呼接続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376585B1 (ko) 지능망과 음성/데이터 합성망의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TUNDIK et al. Access-independent cloud-based real-time translation service for voice calls in mobile networks
KR100867168B1 (ko) 통신망에서 실시간 메시지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