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573A -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573A
KR20160082573A KR1020140192884A KR20140192884A KR20160082573A KR 20160082573 A KR20160082573 A KR 20160082573A KR 1020140192884 A KR1020140192884 A KR 1020140192884A KR 20140192884 A KR20140192884 A KR 20140192884A KR 20160082573 A KR20160082573 A KR 20160082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ar
dried
raw grass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즈
Priority to KR102014019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573A/ko
Publication of KR2016008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 대상영역에 설치되고,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차폐된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건조 하우징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건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대상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적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인해 건초(乾草)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초(生草)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 열원 공급수단을 통해 생초(生草)에 연속적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인해 생초(生草)를 보다 확실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조사되도록 하여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복사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생초(生草)의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Drying device for improvement of drying efficiency}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인해 건초(乾草)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초(生草)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를 통해 생초(生草)에 연속적으로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생초(生草)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인해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초(生草)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생초(生草)는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썩거나 변질되어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건조 과정을 거친 후 건조된 상태의 건초(乾草)로 보관하게 된다.
종래에는 생초(生草)를 건조하여 최상의 품질의 건초(乾草)를 수득하기 위해 태양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자연 건조방식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태양열을 이용하는 자연 건조 방식은 태양열이 자연 조사되는 넓은 마당이나 공간을 이용하여 사람이 수작업으로 골고루 생초(生草)를 펴주거나 거두기 작업을 수회 반복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우기가 겹치는 경우에는 일기변화로 인해 생초(生草)를 제대로 건조할 수 없으며, 겹겹이 쌓여져 건조되는 생초(生草)를 내부까지 모두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수작업으로 일일이 뒤집어 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많은 노동력과 시간 및 장소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태양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심각하게 노출될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격벽(101)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와 하부 간에 공기순환로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수용공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팬(200)과 상기 팬의 전면의 설치된 히터(300) 및 배출구(401)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공기와 유입구(402)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농산물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농산물 건조장치는 본체(100)의 수용공간의 하부에 건조 대상물을 적재한 대차를 배치한 후, 팬(200)과 히터(300)를 이용하여 생성된 열풍을 본체(100) 내부에 순환시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은 건조 대상물의 표피층 내부로 열풍이 닿지 않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가 균일하게 건조되지 않아 건조 대상물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본체(100)의 제한된 수용공간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인해 생산되는 건조 대상물의 양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를 통해 생초(生草)에 연속적으로 원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초(生草)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생초(生草) 내부 깊숙이 전달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생초(生草)를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인해 생초(生草)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생초(生草)가 안치된 방향으로 정렬하여 조사함과 아울러 건조 하우징의 내면에 코팅된 반사물질을 통해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대상영역에 설치되고,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차폐된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건조 하우징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건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대상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적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램프가 설치된 건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이송수단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가 더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인해 건초(乾草)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초(生草)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 열원 공급수단을 통해 생초(生草)에 연속적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인해 생초(生草)를 보다 확실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조사되도록 하여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복사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생초(生草)의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함몰부에 의해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건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이 반사되어 조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초(乾草) 건조장치(1)는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건조하여 건조한 상태의 건초(乾草)를 수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수단(10), 건조 하우징(20), 원적외선 램프(30) 및 자외선 램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수단(10)은 작업 대상영역에 설치되는 이송벨트(11), 이송벨트(1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12) 및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공지된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된다.
이송벨트(11)는 건조하기 위한 생초(生草)가 안치되는 영역을 제공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면에 안치된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송벨트(11)는 후술하는 원적외선 램프(30)를 통해 조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이송벨트(11)로 전달된 복사열이 이송벨트(11) 상부에 안치된 생초(生草)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이송벨트(11)를 열전도도가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조사된 원적외선에 의해 이송벨트(11)로 전달된 복사열이 이송벨트(11) 상면에 안치된 생초(生草)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건조되는 생초(生草)가 과도하게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풀리(12)는 이송벨트(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이송벨트(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풀리(12)에 결합되어 풀리(1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구동모터(미도시)에는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수단(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속도 조절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인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는 투입되는 생초(生草)의 수분함량 또는 작업장의 습도조건 등과 같은 작업환경에 기초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송벨트(11)의 회전속도를 적합한 회전속도로 조절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송벨트(11)의 상면에 안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인버터와 같은 속도 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가 이송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원적외선 램프(30)으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생초(生草)에 조사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투입되는 생초(生草)의 수분함량 또는 작업장의 습도조건 등과 같은 작업환경이 가변되더라도 균일한 품질의 건초(乾草)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건조 하우징(20)은 이송수단(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수단(10)의 상부에 차폐된 건조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 플레이트(21)와 상부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측면 플레이트(21)는 이송수단(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수단(10)의 양측에 한 쌍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이송수단(10)이 양측을 차폐함으로써, 이송수단(10)의 상면에 안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가 이송수단(10)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측면 플레이트(21)는 상단부 일측에 이송수단(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구(21a)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21a)는 건조되는 생초(生草)로부터 증발되어 건조공간으로 증발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공간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되는 생초(生草)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개구(21a)를 통해 작업자가 건조되는 생초(生草)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되는 생초(生草)의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플레이트(22)는 이송수단(10)의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21)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이송수단(10)의 상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상부 플레이트(22) 및 측면 플레이트(21)는 이송수단 상부에 외부와 차폐된 건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원적외선 램프(30)를 통해 건조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열과 생초(生草)로 전달된 복사열이 건조공간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22) 및 측면 플레이트(21)는 내면에 원적외선 램프(30)를 통해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다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물질은 후술하는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건조공간 내부에서 다방향으로 반사시켜 건조대상물에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최대한 많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건조되는 생초(生草)의 건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적외선 램프(30)는 상부 플레이트(22)의 내면 일측에 이송수단(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이송수단(10)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생초(生草) 내부 깊숙이 복사열을 전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의 내부와 표면을 동시에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원적외선 램프(30)를 통해 생초(生草)에 조사되는 원적외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의 내부 깊숙이 복사열을 전달하여 생초(生草)의 내부와 표면을 동시에 가열하는 복사열 전달방식으로 인해 생초(生草)의 내부와 표면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킴으로써 생초(生草)를 보다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열손실이 거의 없어 온도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건조되는 생초(生草)에 열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 이로 인해 수득되는 건초(乾草)의 상품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 램프(30)를 통해 조사되는 원적외선은 살균 기능이 있어 건조공간에 부유하거나 생초(生草)에 서식할 수 있는 세균 및 곰팡이 등을 살균함으로써, 건조되는 생초(生草)가 세균 및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수득되는 건초(乾草)의 상품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원적외선 램프(30)가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2)의 내면 일측에는 건조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반구 형상의 함몰부(22a)가 형성된다.
이러한 반구 형상의 함몰부(22a)는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의 방향을 정렬하여 이송수단(10)의 상면에 안치된 생초(生草)로 최대한 많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되는 생초(生草)의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램프(40)는 건조된 생초(生草)가 배출되는 이송수단의 후단과 대응되는 상부 플레이트(22)의 일측에 설치되고, 건조되어 배출되는 생초(生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초(生草) 내부에서 비타민 D의 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생초(生草)가 건조되어 수득되는 건초(乾草)는 다량의 비타민 D를 함유하게 되어 상품성이 보다 향상된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40)가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2)의 내면 일측에도 건조되어 배출되는 생초(生草)에 보다 많은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건조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반구 형상의 함몰부(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램프(40)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살균 기능이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기능에 부가되어 생초(生草)가 건조되어 수득되는 건초(乾草)가 세균 및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0)을 통해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생초(生草)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30)를 이용하여 생초(生草)에 연속적으로 원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원적외선의 조사시간이 증대되어 보다 많은 복사열이 생초(生草)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인해 생초(生草)의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함몰부(22a)에 의해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의 건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이 반사되어 조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상부 플레이트(22)에 형성된 함몰부(22a)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가 안치된 방향으로 조사 방향이 정렬된다.
이로 인해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조사됨으로써, 생초(生草)에 복사열이 최대한 많이 전달되어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1)는 원적외선 램프(30)로부터 상부 플레이트(22) 및 측면 플레이트(21)로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2) 및 측면 플레이트(21)의 내면에 코팅된 반사물질에 의해 반사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최대한 많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복사열이 최대한 많이 전달되어 건조효율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10 : 이송수단 11 : 이송벨트
12 : 풀리 20 : 건조 하우징
21 : 측면 플레이트 21a : 개구
22 : 상부 플레이트 22a : 함몰부
22a' : 함몰부 30 : 원적외선 램프
40 : 자외선 램프

Claims (6)

  1. 작업 대상영역에 설치되고, 생초(生草)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차폐된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건조 하우징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건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 대상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적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램프가 설치된 건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원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이송수단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생초(生草)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KR1020140192884A 2014-12-30 2014-12-30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KR20160082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84A KR20160082573A (ko) 2014-12-30 2014-12-30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84A KR20160082573A (ko) 2014-12-30 2014-12-30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573A true KR20160082573A (ko) 2016-07-08

Family

ID=5650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884A KR20160082573A (ko) 2014-12-30 2014-12-30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5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345A (ko) * 2018-01-18 2019-07-26 유연희 원적외선 열풍 건조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345A (ko) * 2018-01-18 2019-07-26 유연희 원적외선 열풍 건조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343B1 (ko) 농수산물 건조기
CA3028861C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poultry eggs using electron beams to sterilize the calcareous shell
KR100999166B1 (ko)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KR20120057270A (ko) 엘이디를 이용한 건조기
KR20120092800A (ko) 신발 살균 건조기 그 외 환기 장치
KR20160082573A (ko)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JP2006057898A (ja) 履物用殺菌・乾燥キャビネット
WO202106248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irradiating materials with infrared radiation
CN108353954A (zh) 一种烘烤高效的节能通风烤箱
KR10201448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 방법
KR101888312B1 (ko) 농수산물 건조기
RU245916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и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и кормов
KR20130004645A (ko) 자외선 및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장치
KR20200113373A (ko) 원적외선 식품건조기
KR101108593B1 (ko) 건조기
KR101628456B1 (ko) 고춧가루 열풍살균 건조장치
KR102040391B1 (ko) 원적외선 열풍 건조장치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CN206119647U (zh) 一种具有除湿装置功能的鞋柜
CN106277114A (zh) 流动水杀菌设备
KR20160079244A (ko) 제습식 적외선 건조장치
KR20170047872A (ko) 고추가루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추가루 살균기
KR101877222B1 (ko)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CN218645985U (zh) 一种带紫外线消毒装置的微波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