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222B1 -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222B1
KR101877222B1 KR1020170073089A KR20170073089A KR101877222B1 KR 101877222 B1 KR101877222 B1 KR 101877222B1 KR 1020170073089 A KR1020170073089 A KR 1020170073089A KR 20170073089 A KR20170073089 A KR 20170073089A KR 101877222 B1 KR101877222 B1 KR 10187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casing
pepper powder
heating
c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열
Original Assignee
장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열 filed Critical 장광열
Priority to KR102017007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호퍼와 배출부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며 케이싱내의 고춧가루와 접하며 고춧가루에 살균력을 제공하는 적층동판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며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적층동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층동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는, 고춧가루의 이송경로 바닥에 동판(銅版)을 추가 구성하여, 이송중의 고춧가루가 동판과 긴밀히 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동(銅)이 갖는 고유의 살균작용을 이용해 고춧가루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그만큼 위생적이고 품질이 뛰어난 고춧가루를 생산할 수 있으며, 고춧가루가 통과하는 케이싱을 직접 가열하는 직가열 방식을 취하므로, 열효율이 뛰어나며 정밀한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건조효율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케이싱을 통과한 가열 공기를 대기 방출하지 않고 실시간 정화 처리 및 순환시켜 재사용 하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없으며 고춧가루의 매운 기운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아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Sterilization and Heating and drying device for treating red pepper applied with Copper plate}
본 발명은 분쇄된 고춧가루를 이송시키며 살균과 동시에 건조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능력을 갖는 동판을 내장하여 탁월한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는 각종 요리에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조미용 채소 중 하나로서, 비타민A와 비타민B 뿐 아니라,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이나 캡산틴 등의 성분을 다량 포함하므로, 김치는 물론, 고추장이나 양념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추는 분쇄하여 고춧가루 형태로 많이 사용되는데, 고춧가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고추를 건조시켜 건고추로 만들고 씨를 제거한 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분쇄기를 이용해 고추를 분쇄하였다 하더라도, 고추에는 얼마간의 습기와 세균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고춧가루를 보다 완벽히 건조 및 살균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고춧가루 살균 및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99166호(고추가루 살균건조기)에는, 호퍼를 통해 고춧가루를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춧가루를 교반 및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의 고춧가루를 가열하는 열전달부와, 하우징의 내부로 건조용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와, 고춧가루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용 자외선램프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고춧가루 살균건조기는, 살균을 위해 자외선램프를 적용하긴 하였지만 살균효과가 그다지 좋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 이유는 일단 자외선램프가 하우징의 천장부에 설치되므로 자외선램프와 고춧가루와의 물리적 거리가 있어, 충분한 에너지의 자외선이 고춧가루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춧가루 중 일부 고춧가루는 표면으로 한 번도 올라오지 못하고 다른 고춧가루에 묻힌 상태로, 즉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지 못한 상태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는 살균되지 않은 고춧가루와 살균된 고춧가루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일부 고춧가루의 세균이나 병원균이 주변으로 퍼져나가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살균건조기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열전달부의 열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도 갖는다. 상기 열전달부는 하우징의 하부에 가열공간을 제공하는 외체와, 상기 외체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열공간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히터로 내부공간의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하우징을 가열하게 하는 방식이므로 전력 소모가 많은 것이다. 더욱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살균 적정온도까지 올리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건조가 불가능하여 생산성이 매우 낮다.
더욱이, 가열공간 내부의 공기를 매질로 삼는 간접 가열방식이므로, 하우징의 정확한 온도조절도 곤란하다. 이를테면 하우징의 온도를 예컨대 2℃ 정도 더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경우,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99166호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000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52455호 (고추가루 살균 건조장치) (0003)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68638호 (고춧가루 살균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고춧가루의 이송경로 바닥에 동판(銅版)을 추가 구성하여, 이송중의 고춧가루가 동판과 긴밀히 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동(銅)이 갖는 고유의 살균작용을 이용해 고춧가루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춧가루가 통과하는 케이싱을 직접 가열하는 직가열 방식을 취하므로, 열효율이 뛰어나며 정밀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싱을 통과한 가열 공기를 대기 방출하지 않고 실시간 정화 처리 및 순환시켜 재사용 하므로, 열에너지의 낭비가 없으며 고춧가루의 매운 기운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아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는, 상부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부에 호퍼와 배출부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호퍼를 통해 투입된 고춧가루를 상기 배출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며 케이싱내의 고춧가루와 접하며 고춧가루에 살균력을 제공하는 적층동판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며 살균용 자외선을 하향 조사하는 다수의 살균램프와; 상기 적층동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층동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케이싱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 중 일측 커버에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싱의 내부로 도입하는 급기덕트가 설치되고, 타측 커버에는 케이싱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를 케이싱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사이에는,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된 공기를 급기덕트로 유도하는 순환부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며 순환파이프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급기덕트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 커버와 살균램프의 사이에는, 커버의 저면에 대해 이격되며 커버와의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여,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한 공기를 케이싱내로 유도함과 아울러 케이싱내의 공기를 배기덕트로 유도하는 풍향가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케이싱을 통해 적층동판을 간접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케이싱과 적층동판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적층동판을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가열열선 또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발열부재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열매체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는, 고춧가루의 이송경로 바닥에 동판(銅版)을 추가 구성하여, 이송중의 고춧가루가 동판과 긴밀히 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동(銅)이 갖는 고유의 살균작용을 이용해 고춧가루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그만큼 위생적이고 품질이 뛰어난 고춧가루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춧가루가 통과하는 케이싱을 직접 가열하는 직가열 방식을 취하므로, 열효율이 뛰어나며 정밀한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건조효율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싱을 통과한 가열 공기를 대기 방출하지 않고 실시간 정화 처리 및 순환시켜 재사용 하므로, 열에너지의 낭비가 없으며 고춧가루의 매운 기운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아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 순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가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 순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10)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고정되며 수평을 유지하는 고정하우징(21)과, 상기 고정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단부에 공급호퍼(23)와 배출부(31)를 갖는 케이싱(43)과, 상기 케이싱(43)의 내벽면에 적층되는 적층동판(45)과, 상기 적층동판(45)이 제공하는 공간내에 설치되는 피딩스크류(17)와, 상기 케이싱(43)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커버(27)와, 상기 커버(27)의 하부에 구비되는 살균부(29)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43)의 하부에는 다양한 방식의 가열부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는 적층동판(45)을 가열하여 적층동판의 살균작용을 촉진함과 아울러 고춧가루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고정하우징(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되며 그 외측면이 지지대(12)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고정하우징(21)은 케이싱(43)을 수용한 상태로 수평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하우징의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43)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된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공급호퍼(23)를, 타단부에 배출부(31)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호퍼(2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고춧가루를 케이싱(43)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배출부(31)는 케이싱(43) 내부에서 처리가 완료된 고춧가루를 케이싱(43) 외부로 내보내는 통로이다.
특히, 상기 케이싱(43)의 바닥면은, 피딩스크류(17)의 날개부(17b)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정곡률을 갖는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양측벽부는 상호 평행하게 대향한다. 상기 바닥면과 양측벽부를 케이싱의 내향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싱(43)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하우징(21)의 내벽면에 접한 상태로 용접이나 볼팅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적층동판(45)은 케이싱(43)의 내향면을 커버하는 일정두께의 판상부재로서, 케이싱(43)에 면접 밀착한 상태로 그 내부 영역에 피딩스크류(17)를 수용한다. 상기 적층동판(45)의 금속 조직내에는 동(銅) 이외에 주석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동과 주석의 합금비율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다른 합금용 금속을 추가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알려진 바와 같이, 동(銅)은 항균 능력은 물론 대장균이나 식중독균또는 비브리오균 등의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능력을 가지므로, 피딩스크류(17)에 의해 이송되는 고춧가루는 이송과정 중에 적층동판(45)에 의해 살균처리된 후 배출부(3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적층동판(45)의 두께는 구조적 강도와 제품의 규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가령, 1.0mm 내지 1.5mm 정도의 범위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적층동판(45)의 표면을 샌딩 처리하여 조도(roughness)를 키울 수도 있다. 즉 적층동판(45)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고춧가루와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딩스크류(17)는, 적층동판(45)의 내부 영역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샤프트(17a)와, 상기 회전샤프트(17a)를 감아도는 나선형 날개부(17b)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17b)는 회전샤프트(17a)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고춧가루를 배출부(31)측으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피딩스크류(1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모터(13)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3)는 고정하우징(21)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작동하여 회전력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벨트(15)를 통해 피딩스크류(17)와 연결된다.
상기 벨트(15)는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풀리(13a)와 회전샤프트(17a)의 일단부에 구비된 종동풀리(17c)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피딩스크류(17)로 전달한다. 당연히 모터(13)에 의해 피딩스크류(17)가 축회전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5는 제어부이다. 상기 제어부(25)는 모터(13)와 살균부(29)와 히터(37)와 펌프(39)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 전면에 다수의 스위치와 디스플레이부 등을 갖는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하우징(21)의 상부에는 두 개의 커버(27)가 설치된다. 상기 각 커버(27)는 힌지(28)를 통해 고정하우징(21)에 연결되며 상하로 회동운동 한다. 상기 커버(27) 전방의 손잡이(27b)를 잡아 커버(27)를 들어 올려 적층동판(45)의 내부공간을 상부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7)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7a)의 전방에는 투명창(27f)이 설치된다. 상기 투명창(27f)은, 커버본체(27a)를 굳이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커버본체(27a)의 하부 상황을 들어다 볼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커버본체(27a)를 개방하면 내부의 매운 입자가 외부로 나올 수 있고, 또한 외부의 먼지가 고춧가로로 혼입될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커버본체(27a)를 밀폐한 상태로 유지함이 좋다.
아울러, 양측 커버(27) 중 도면상 좌측 커버(27)의 커버본체(27a)에는 두 개의 배기덕트(27h)가, 우측 커버(27)의 커버본체(27a)에는 두 개의 급기덕트(27c)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27h)의 상단부에는 배기팬(27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팬(27d)은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며 케이싱(4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기팬(27d)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따로 수거되어 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급기덕트(27c)의 상단부에는 급기팬(27e)이 장착된다. 상기 급기팬(27e)은 제어부(25)에 의해 동작하여 외부의 공기를 케이싱(43) 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상기 급기팬(27e)과 배기팬(27d)의 동작에 의해 케이싱(43) 내부의 공기는 외부의 공기와 치환되며,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고춧가루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한 급기팬(27e) 및 배기팬(27d)을 사용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덕트(27h)와 급기덕트(27c)가 순환파이프(41)로 연결되어 있고, 순환파이프(41)에는 필터(33)와 제습기(35)와 히터(37)와 펌프(39)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필터(33)는 배기덕트(27h)를 통해 외부로 상향 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며 공기 중의 먼지나 매운 입자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33)의 필터링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필터의 종류로 건식필터는 물론 습식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습기(35)는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로서 습식필터를 사용할 경우 필터링 효과는 뛰어나지만 공기에 습기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제습기를 이용해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습기(35)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된다. 공기가 히터(37)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공기내 습기의 습도가 더욱 낮아짐은 당연하다. 상기 히터(37)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는 케이싱(43) 내부에서 이송되는 고춧가루의 양에 따라 달라지며 예컨데 60℃ 정도 일 수 있다.
상기 펌프(39)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급기덕트(27c)를 통해 케이싱(43) 내부로 공급하는 블로워이다. 결국 상기 펌프(29)의 작용에 의해 케이싱(43) 내부의 공기는 계속적으로 순환하며 케이싱(43) 내부의 고춧가루를 건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순환파이프(41)를 적용하여 공기가 폐회로를 순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고춧가루의 매운 기운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아 작업성이 한결 좋아진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본체(27a)의 하부에는 살균부(29)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부(29)는 다수의 살균램프(29b)와, 상기 살균램프(29b)의 상부를 커버하는 풍향가이더(29a)를 구비한다.
상기 살균램프(29b)는 살균용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램프이다. 상기 살균램프(29b)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이송중의 고춧가루에 조사되어 고춧가루에 붙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
상기 풍향가이더(29a)는 살균램프(29b)의 상부를 커버하며 살균램프(29b)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하여 빛이 하부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풍향가이더(29a)의 저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풍향가이더(29a)는 커버본체(27a)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커버본체(27a)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기통로(30)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통로는, 급기덕트(27c)를 통해 하향 유입한 공기가 사방으로 펼쳐지거나, 케이싱(43)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27h)로 모여드는 통로이다.
결국 상기 풍향가이더(29a)는 케이싱(43)의 내부로 유입하거나 케이싱(43)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풍향가이더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43) 하부에 다수의 가열열선(47)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열열선(47)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케이싱(43) 및 적층동판(45)을 가열하는 가열부이다. 특히 상기 가열열선(47)이 케이싱(43)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적층동판(45)의 온도조절이 신속 정확하다.
상기 적층동판(45)은 가열열선(47)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받아 가열되며, 내부의 고춧가루를 가열하여 고춧가루가 건조되도록 한다. 고춧가루는 적층동판(45)에 의해 살균됨과 동시에 가열 건조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상기 히터(37)와 펌프(39)가 함께 구동하여 케이싱(43) 내부에 열풍이 통과하므로 고추의 건조는 매우 신속하게 구현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가열부의 여러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43)과 적층동판(45)의 사이에 발열부재로서, 다수의 매립형 가열열선(49)이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열열선(49)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적층동판(45)을 직접 가열한다. 아울러 적층동판(45)에는 상기 가열열선(49)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45a)은 가열열선(49)을 수용하여, 적층동판(45)과 케이싱(43)의 내향면이 완벽하게 면접 밀착하게 한다.
도 5의 경우, 발열부재로서 면상발열체(51)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51)는 케이싱(43)과 적층동판(45)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외부의 전력을 받아 발열함으로써 적층동판(45)을 가열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동판(45)과 케이싱(43)의 사이에 열매체파이프(53)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열매체파이프(53)는 스팀이나 열수 또는 온수, 경우에 따라서는 냉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파이프로서, 적층동판(45)과 케이싱(43)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45a,43a)에 수용된다.
상기 열매체파이프(53)를 적용한 경우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10)는, 상기 공급호퍼(23)를 통해 투입된 고춧가루를 피딩스크류(17)를 통해 배출부(31)로 이송시키는 동안, 고춧가루를 가열 및 건조시킴과 아울러 특히 적층동판(45)으로 하여금 고춧가루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하는 동작을 한다.
특히 상기 급기덕트(27c)와 배기덕트(27h)를 순환파이프(41)로 연결하여, 케이싱(43)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도록 구성한 경우, 케이싱(43)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가 매우 작게 소요되므로 전체적인 운전비용이 저감됨은 물론 고춧가루의 매운 기운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아 양호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12:지지대 13:모터
13a:구동풀리 15:벨트 17:피딩스크류
17a:회전샤프트 17b:날개부 17c:종동풀리
21:고정하우징 23:공급호퍼 25:제어부
27:커버 27a:커버본체 27b:손잡이
27c:급기덕트 27d:배기팬 27e:급기팬
27f:투명창 27h:배기덕트 28:힌지
29:살균부 29a:풍향가이더 29b:살균램프
30:공기통로 31:배출부 33:필터
35:제습기 37:히터 39:펌프
41:순환파이프 43:케이싱 43a:수용홈
45:적층동판 45a:수용홈 47:가열열선
49:가열열선 51:면상발열체 53:열매체파이프

Claims (8)

  1. 상부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부에 호퍼와 배출부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호퍼를 통해 투입된 고춧가루를 상기 배출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며 케이싱내의 고춧가루와 접하며 고춧가루에 살균력을 제공하는 적층동판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며 살균용 자외선을 하향 조사하는 다수의 살균램프와;
    상기 적층동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층동판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케이싱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 중 일측 커버에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싱의 내부로 도입하는 급기덕트가 설치되고,
    타측 커버에는 케이싱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를 케이싱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사이에는,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된 공기를 급기덕트로 유도하는 순환부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며 순환파이프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급기덕트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버와 살균램프의 사이에는,
    커버의 저면에 대해 이격되며 커버와의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여,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한 공기를 케이싱내로 유도함과 아울러 케이싱내의 공기를 배기덕트로 유도하는 풍향가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케이싱을 통해 적층동판을 간접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케이싱과 적층동판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적층동판을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가열열선 또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열매체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KR1020170073089A 2017-06-12 2017-06-12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KR10187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89A KR101877222B1 (ko) 2017-06-12 2017-06-12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89A KR101877222B1 (ko) 2017-06-12 2017-06-12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222B1 true KR101877222B1 (ko) 2018-07-12

Family

ID=6291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089A KR101877222B1 (ko) 2017-06-12 2017-06-12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2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001A (ja) * 1992-02-26 1993-03-09 Houshin Kagaku Sangiyoushiyo:Kk 物体移送の殺菌装置
KR200401815Y1 (ko) * 2005-09-09 2005-11-22 최용태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
KR200420142Y1 (ko) * 2006-04-12 2006-07-03 이장훈 보호막을 가진 면상발열체
KR100999166B1 (ko) * 2008-05-30 2010-12-07 몽 필 김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KR20110106555A (ko) * 2010-03-23 2011-09-29 (주)순풍우리통상 고추 건조기
KR101256818B1 (ko) * 2012-10-29 2013-04-23 홍광희 구리를 이용한 수족관 살균장치
KR101468638B1 (ko) * 2013-07-22 2014-1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춧가루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001A (ja) * 1992-02-26 1993-03-09 Houshin Kagaku Sangiyoushiyo:Kk 物体移送の殺菌装置
KR200401815Y1 (ko) * 2005-09-09 2005-11-22 최용태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
KR200420142Y1 (ko) * 2006-04-12 2006-07-03 이장훈 보호막을 가진 면상발열체
KR100999166B1 (ko) * 2008-05-30 2010-12-07 몽 필 김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KR20110106555A (ko) * 2010-03-23 2011-09-29 (주)순풍우리통상 고추 건조기
KR101256818B1 (ko) * 2012-10-29 2013-04-23 홍광희 구리를 이용한 수족관 살균장치
KR101468638B1 (ko) * 2013-07-22 2014-1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춧가루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455B1 (ko) 고추가루 살균 건조장치
KR100999166B1 (ko)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CN113693186A (zh) 一种多功能食品灭菌装置及食品灭菌方法
KR20100128621A (ko) 가공폐기물 건조장치
KR101877222B1 (ko) 동판을 적용한 고춧가루 살균 및 가열 건조장치
KR100871861B1 (ko) 입자상식품용 살균장치
JP4848549B2 (ja) 食品ゴミ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100587767B1 (ko) 곡물 가열 및 냉각 장치
KR102017680B1 (ko) 고춧가루 살균 건조기
CN210017727U (zh) 食品加工用的食品混合后杀菌烘干装置
KR101628456B1 (ko) 고춧가루 열풍살균 건조장치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CN208758194U (zh) 一种急诊外用医疗器械清洗箱
KR101859655B1 (ko) 식품 건조기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JP2003170145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有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200121540A (ko) 개별 챔버들 사이에 칸막이모듈이 설치되는 연속식 마이크로파 가열시스템
JP2012139457A (ja) 不透明液状物質の殺菌装置
CN213300719U (zh) 一种麦片制作用可调节干燥装置
CN210625265U (zh) 一种蒸汽空气能微波一体化微波烘干杀青装置
KR101927818B1 (ko) 고춧가루 건조기
CN209732500U (zh) 一种板栗生产加工用消毒装置
KR20160082573A (ko)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장치
KR20140013607A (ko) 수동식 분체 살균기
KR200256601Y1 (ko) 저.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원적외선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