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314A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0314A KR20160080314A KR1020140191164A KR20140191164A KR20160080314A KR 20160080314 A KR20160080314 A KR 20160080314A KR 1020140191164 A KR1020140191164 A KR 1020140191164A KR 20140191164 A KR20140191164 A KR 20140191164A KR 20160080314 A KR20160080314 A KR 201600803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inless steel
- ferritic stainless
- content
- less
- elong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강을 이루는 성분의 함량 및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여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01 ~ 0.15 wt%, Al: 0.05 ~ 0.30 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되, Nb/Ti의 비가 0.1 ~ 0.6이며,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 < 400C + 85.7N + 55.6P + 7.7Si + 7.3Nb < 5 ----------- (1)
상기 식 (1)에서 C, N, P, Si 및 Nb은 각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함.
0.1 < 400C + 85.7N + 55.6P + 7.7Si + 7.3Nb < 5 ----------- (1)
상기 식 (1)에서 C, N, P, Si 및 Nb은 각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함.
Description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을 이루는 성분의 함량 및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여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은 화학성분이나 금속조직에 따라 분류된다. 금속조직에 따를 경우,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300계), 페라이트계(400계), 마르텐사이트계, 이상계로 분류된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 중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400계)은 열팽창율, 열피로 등의 고온 특성이 우수하고, 응력부식균열에 강하며 고온 강도 또한 우수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자동차 배기계, 가정용 기구, 구조물, 가전 제품, 엘리베이터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주방 기구,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등과 같이 높은 내식성을 요구하는 용도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식성과 가공성을 동시에 만족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고내식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들은 연신율이 낮아 가공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내식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들은 Cr의 함량이 높아 열연 스티킹(sticking) 결함 발생이 많아 Cr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내식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를 첨가하여 원하는 수준의 내식성을 확보해야한다.
한편, 그동안 많은 연구가들에 의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다양한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제조공정 중 공정변수 조절을 통한 가공성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그 중 냉간 압연 및 열처리를 통해 R값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공개특허 10-2012-0073644; 특허문헌 1)"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은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하여 가공성을 개선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은 제조공정의 개선 없이도 용강을 형성하는 합금성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가공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특히, 스티킹(sticking) 결함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높은 내식성을 나타내며 가공성도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어 왔지만 현장 적용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신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 및 결정립의 크기를 최적화하여 최종 생산되는 제품의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01 ~ 0.15 wt%, Al: 0.05 ~ 0.30 wt%, Ti: 0.1 ~ 0.3wt%, Nb: 0.01 ~ 0.18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되, Nb/Ti의 비가 0.1 ~ 0.6이며,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 < 400C + 85.7N + 55.6P + 7.7Si + 7.3Nb < 5 ----------- (1)
상기 식 (1)에서 C, N, P, Si 및 Nb은 각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함.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0 < 60.4C + 7.8P + 0.7Si + 1.2Nb - GS/100 < 0.2 ---------- (2)
상기 식 (2)에서 C, N, P, Si 및 Nb는 각 성분의 함량(wt%)를 의미하며, GS는 결정립의 평균지름(㎛)을 의미함.
이때, 상기 결정립의 평균지름(GS)은, 15 ~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연신율이 35% 이상이고, 항복강도는 250MPa 이하이며, 응력이 5 ~ 10% 인 경우 가공경화지수(n)는 0.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1 ~ 0.20 wt%, Al: 0.05 ~ 0.30 wt%, Ti: 0.1 ~ 0.3wt%, Nb: 0.01 ~ 0.18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 슬래브를 제조하고,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 열연 소둔, 냉간 압연하고, 800 ~ 900℃의 온도 범위에서 냉연 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신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의 함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연신율을 35% 이상, 항복강도 250MPa 이하, 가공경화지수(n)는 0.25 이상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신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의 관계식과 연신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항복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가공경화지수(n)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항복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가공경화지수(n)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01 ~ 0.15 wt%, Al: 0.05 ~ 0.30 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되, Nb/Ti의 비가 0.1 ~ 0.6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성분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
탄소(C)의 양은 0.0005wt% 이상 0.01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C)의 양이 증가되면 강도가 향상되지만 가공성이 낮아지며, 0.01wt%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되어 연신율과 가공경화지수(n) 값이 낮아지고, 항복강도가 증가되어 성형성이 감소되며, 0.0005wt%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고순도 제품을 만들기 위한 졍련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질소(N)의 양은 0.005wt% 이상 0.015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는 탄소(C)와 같이 재료의 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질소(N)의 양이 0.005wt% 미만이면 TiN 정출이 낮아져 슬라브의 등축정율이 낮아지고, 0.015wt%를 초과하면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리콘(Si)의 양은 0.01wt% 이상 0.2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은 탈산에 유용한 원소로서, 0.01wt%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정련 비용이 증가되며, 0.20wt% 를 초과하면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망간(Mn)의 양은 0.01wt% 이상 0.2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은 강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0.01wt% 이상의 함유로 얻을 수 있지만, 과잉 함유시 부식의 원인이 되는 MnS를 석출시켜 내식성을 저하시키며,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되어 연신율을 감소시키므로 0.20wt% 이하로 함유한다.
인(P)의 함량은 0.001wt% 이상 0.03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P)은 강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원소이므로 그 양이 0.001wt% 미만으로 정련하는 경우 정련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과잉 함유시 용접성을 저하시키고 입계 부식을 일으키기 쉬기 때문에 0.03wt% 이하로 제한한다.
황(S)의 함량은 0.0001wt% 이상 0.005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S)이 0.0001wt%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정련 비용이 증가되며, 0.005wt%를 초과하는 경우 내식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001 ~ 0.005wt%로 제한한다.
크롬(Cr)의 함량은 10wt% 이상 2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은 스테인레스 강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첨가되는 원소로, 10wt%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식성이 저하되며, 20wt%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열연 스티킹(sticking) 결함 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20wt% 이하로 함유한다.
니켈(Ni)의 함량은 0.01wt% 이상 0.2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이 0.01wt% 미만인 경우 정련 비용이 증가되며, 0.2wt%를 초과하는 경우 소재내 불순물이 증가되어 연신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1 ~ 0.2wt%로 제한한다.
알루미늄(Al)의 양은 0.01wt% 이상 0.1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의 양이 0.01wt% 미만이면 정련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고, 0.10wt%를 초과하면 소재의 불순물이 증가하여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티타늄(Ti)의 양은 0.10wt% 이상 0.3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Ti)의 양이 0.10wt% 미만이면 TiN 정출양이 줄어 슬라브의 등축정율이 낮아지고 고용된 C, N 원소들이 많아져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0.30wt%를 초과하면 Ti계 산화물의 증가로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니오븀(Nb)의 양은 0.01wt% 이상 0.18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은 탄소(C), 질소(N)와 우선적으로 결합해 내식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석출물을 형성하지만, 과잉 첨가시에는 개재물에 의한 외관 불량 및 인성저하를 초래하고 원료비가 상승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01wt% 이상 0.18wt% 이하로 제한한다.
이때, 티타늄(Ti)과 니오븀(Nb)은 Nb/Ti의 비가 0.1 ~ 0.6을 만족하도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Nb/Ti의 비가 0.1 미만인 경우 결정립이 조대해져 최종 제품에서 오렌지 필(Orange Peel)에 의한 리징 결함이 발생되며, 0.6을 초과하는 경우 원료비가 상승되며 미세한 니오븀(Nb) 석출물로 인하여 연신율 및 가공경화지수(n) 값이 감소되며, 항복강도가 증가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기의 조성을 갖는 용강을 연주하여 슬라브를 생산한 다음 이를 재 가열하여 열간 압연, 열간소둔 냉간 압연 및 최종 소둔을 실시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생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최종 연신율이 35% 이상을 만족하기 위해서 연신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인 C, N, P, Si 및 Nb의 양을 보다 한정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400C + 85.7N + 55.6P + 7.7Si + 7.3Nb < 5 ----------- (1)
이하, 상기 식 (1)에서 "400C + 85.7N + 55.6P + 7.7Si + 7.3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라 정의하며, 이때 C, N, P, Si 및 Nb은 각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항복강도 250MPa 이상, 가공경화지수(n) 0.25 이상을 만족하도록, 항복강도와 가공경화지수(n)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인 C, P, Si, 및 Nb의 함량과 결정립의 평균지름(GS; Grain Size)을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 < 60.4C + 7.8P + 0.7Si + 1.2Nb - GS/100 < 0.2 ---------- (2)
이하, 상기 식 (2)에서 "60.4C + 7.8P + 0.7Si + 1.2Nb - GS/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B"라 정의하며, 이때 C, N, P, Si 및 Nb는 각 성분의 함량(wt%)를 의미하며, GS는 결정립의 평균지름(㎛)을 의미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No. | C | N | Si | Mn | P | Cr | Al | Ni | Ti | Nb | 비고 |
1 | 0.00109 | 0.0008 | 0.11 | 0.13 | 0.016 | 16.49 | 0.06 | 0.07 | 0.22 | 0.07 | 비교예 |
2 | 0.00029 | 0.0009 | 0.1 | 0.14 | 0.042 | 16.49 | 0.07 | 0.11 | 0.18 | 0.06 | |
3 | 0.0003 | 0.0009 | 0.38 | 0.12 | 0.017 | 16.47 | 0.05 | 0.09 | 0.19 | 0.05 | |
4 | 0.00047 | 0.0011 | 0.15 | 0.15 | 0.018 | 16.49 | 0.05 | 0.09 | 0.19 | 0.08 | |
5 | 0.00029 | 0.0008 | 0.11 | 0.14 | 0.017 | 16.48 | 0.06 | 0.08 | 0.00 | 0.30 | |
6 | 0.00027 | 0.0008 | 0.09 | 0.11 | 0.015 | 16.42 | 0.06 | 0.12 | 0.19 | 0.14 | |
7 | 0.00022 | 0.0009 | 0.07 | 0.08 | 0.017 | 16.51 | 0.07 | 0.10 | 0.20 | 0.16 | |
8 | 0.00028 | 0.0007 | 0.09 | 0.12 | 0.011 | 17.20 | 0.07 | 0.08 | 0.21 | 0.06 | |
9 | 0.00021 | 0.0008 | 0.08 | 0.12 | 0.016 | 16.49 | 0.05 | 0.10 | 0.22 | 0.08 | |
10 | 0.00033 | 0.0010 | 0.12 | 0.11 | 0.011 | 17.20 | 0.07 | 0.13 | 0.24 | 0.04 | |
11 | 0.00026 | 0.0008 | 0.07 | 0.12 | 0.018 | 16.47 | 0.05 | 0.09 | 0.19 | 0.06 | 실시예 |
12 | 0.00024 | 0.0009 | 0.09 | 0.10 | 0.017 | 16.51 | 0.07 | 0.08 | 0.20 | 0.05 | |
13 | 0.00022 | 0.0009 | 0.06 | 0.08 | 0.011 | 13.21 | 0.07 | 0.10 | 0.18 | 0.07 | |
14 | 0.00041 | 0.0007 | 0.08 | 0.09 | 0.011 | 19.42 | 0.07 | 0.12 | 0.22 | 0.06 |
표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성분별 조성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주하여 슬라브를 제조한 후, 이를 800 ~ 1250℃의 온도로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열연 소둔 및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 8 00 ~ 900℃의 온도 범위에서 최종 냉연 소둔을 실시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연신율, 항복강도 등 다양한 특성 값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연신율은 JIS13B 시편으로 가공 후 압연방향으로 인장하여 파단 연신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0.2% 오프셋(off-set)법에 따른 항복강도 및 strain 5 ~ 10% 구간에서 가공경화지수(n)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No. | A | B | CA(℃) | GS(㎛) | OP발생 | El(%) | YS(MPa) | n값 (5~10%) |
비고 |
1 | 7.3 | 0.61 | 880 | 33 | X | 31.2 | 275 | 0.234 | 비교예 |
2 | 5.5 | 0.36 | 860 | 28 | X | 33.5 | 267 | 0.225 | |
3 | 6.2 | 0.22 | 920 | 42 | O | 32.1 | 268 | 0.219 | |
4 | 5.5 | 0.41 | 860 | 22 | X | 32.8 | 252 | 0.247 | |
5 | 5.8 | 0.60 | 780 | 14 | X | 31.9 | 269 | 0.218 | |
6 | 4.3 | 0.23 | 860 | 28 | X | 35.6 | 256 | 0.238 | |
7 | 4.3 | 0.26 | 860 | 25 | X | 35.2 | 245 | 0.245 | |
8 | 3.5 | 0.27 | 780 | 12 | X | 35.3 | 258 | 0.252 | |
9 | 3.6 | 0.29 | 760 | 11 | X | 35.1 | 264 | 0.256 | |
10 | 4.0 | -0.06 | 920 | 48 | O | 37.8 | 229 | 0.261 | |
11 | 3.7 | 0.11 | 860 | 31 | X | 37.3 | 240 | 0.278 | 실시예 |
12 | 3.7 | 0.14 | 840 | 26 | X | 37.8 | 219 | 0.269 | |
13 | 3.3 | 0.08 | 860 | 26 | X | 39.2 | 226 | 0.281 | |
14 | 3.9 | 0.16 | 860 | 30 | X | 36.8 | 240 | 0.257 |
표 2에서, CA는 최종 냉연소둔 온도, OP는 오렌지 필(Orange Peel), GS는 결정립의 평균지름, n값은 가공경화지수 값을 의미한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성분의 함량이 전술된 바람직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율, 항복강도 및 가공경화지수(n)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여 성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연신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의 관계식과 연신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성분의 함량을 전술된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더라도, A 값이 식 (1)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No.4와 같이 연신율이 기준값인 35% 미만으로 나타나 성형성이 저하되는 반면, 합금성분의 함량 및 A값이 상기 식 (1)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연신율이 35% 이상으로 나타나 성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연신율 35% 이상을 만족시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 값이 식 (1)을 만족하도록, C, N, P, Si 및 Nb의 함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항복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성분들과 입자크기의 관계식과 가공경화지수(n)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1, 표 2,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성분의 함량을 전술된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고 A 값이 식 (1)의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B 값이 식 (2)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No.6, No.8 및 No.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복강도가 250MPa을 초과하거나, No.6 및 No.7과 같이 가공경화지수(n)가 0.25미만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최종 소둔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 연신율, 항복강도 및 가공경화지수(n)가 목표값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성형성이 저하되고, No.3 및 No.10과 같이 최종 소둔온도가 900℃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의 평균지름(GS)이 40㎛을 초과하여 조대해짐에 따라, 오렌지 필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소둔온도는 800 ~ 900℃로 제어하여 결정립 평균지름이 15 ~ 40㎛로 제어함으로써 오렌지 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6)
-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01 ~ 0.15 wt%, Al: 0.05 ~ 0.30 wt%, Ti: 0.1 ~ 0.3wt%, Nb: 0.01 ~ 0.18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되, Nb/Ti의 비가 0.1 ~ 0.6이며,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0.1 < 400C + 85.7N + 55.6P + 7.7Si + 7.3Nb < 5 ----------- (1)
상기 식 (1)에서 C, N, P, Si 및 Nb은 각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함.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의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0 < 60.4C + 7.8P + 0.7Si + 1.2Nb - GS/100 < 0.2 ---------- (2)
상기 식 (2)에서 C, N, P, Si 및 Nb는 각 성분의 함량(wt%)를 의미하며, GS는 결정립의 평균지름(㎛)을 의미함.
- 청구항 2에 있어서,
결정립의 평균지름(GS)은, 15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항복강도는 250MPa 이하이며, 응력이 5 ~ 10% 인 경우 가공경화지수(n)는 0.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신율이 3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C: 0.0005 ~ 0.01 wt%, N: 0.005 ~ 0.015 wt%, Si: 0.01 ~ 0.20 wt%, Mn: 0.01 ~ 0.20 wt%, P: 0.001 ~ 0.03 wt%, S: 0.0001 ~ 0.005 wt%, Cr: 10 ~ 20 wt%, Ni: 0.01 ~ 0.20 wt%, Al: 0.05 ~ 0.30 wt%, Ti: 0.1 ~ 0.3wt%, Nb: 0.01 ~ 0.18wt% 이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 슬래브를 제조하고,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 열연 소둔, 냉간 압연하고,
800 ~ 900℃의 온도 범위에서 냉연 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1164A KR20160080314A (ko) | 2014-12-26 | 2014-12-26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15/014112 WO2016105092A1 (ko) | 2014-12-26 | 2015-12-22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1164A KR20160080314A (ko) | 2014-12-26 | 2014-12-26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0314A true KR20160080314A (ko) | 2016-07-08 |
Family
ID=5615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1164A KR20160080314A (ko) | 2014-12-26 | 2014-12-26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0314A (ko) |
WO (1) | WO201610509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1642B2 (en) | 2017-11-20 | 2021-06-22 | Daikin Industries, Ltd.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4318B1 (ko) * | 2017-08-31 | 2019-04-01 | 주식회사포스코 | 방열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EP3801084B1 (en) | 2018-05-30 | 2022-07-0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Methods for detecting heater conditions i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
EP3801080B1 (en) | 2018-05-30 | 2023-09-0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Detection of adverse heater conditions in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5775A (ko) | 1995-09-26 | 1997-04-28 | 에모토 간지 | 면내이방성이 작고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텐레스강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63469B2 (ja) * | 1992-03-27 | 2002-03-04 | 日新製鋼株式会社 | 排ガス流路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製造方法 |
JP3536568B2 (ja) * | 1997-01-24 | 2004-06-14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耐熱性および溶接部のマフラー耐食性に優れるエンジン排気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
JP3788311B2 (ja) * | 2001-10-31 | 2006-06-21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40080353A (ko) * | 2012-12-20 | 2014-06-30 | 주식회사 포스코 |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JP5505555B1 (ja) * | 2013-12-26 | 2014-05-28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1164A patent/KR201600803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12-22 WO PCT/KR2015/014112 patent/WO201610509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5775A (ko) | 1995-09-26 | 1997-04-28 | 에모토 간지 | 면내이방성이 작고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텐레스강판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1642B2 (en) | 2017-11-20 | 2021-06-22 | Daikin Industries, Ltd.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05092A1 (ko) | 2016-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54816B2 (en) | Automotive steel and a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the same | |
KR20180033202A (ko) |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성형 가능한 경량 강 및 상기 강으로부터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
KR20160080314A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RU2601037C2 (ru) | Высококремнистые двухфазные стали с улучшенной пластичностью | |
CN114040990B (zh) | 具有改善的强度的奥氏体不锈钢和用于制造其的方法 | |
KR101614606B1 (ko) |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
JP7579887B2 (ja) | 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79051B1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95758B1 (ko) |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641793B1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68535B1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
EP4397781A1 (en) | Hot-ro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140083166A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US20230287549A1 (en)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 |
KR101485662B1 (ko) | 성형성이 향상된 저크롬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80353A (ko) |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90052958A (ko) | 연신율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 |
JP4401307B2 (ja) | 成型ばね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41792B1 (ko) | 표면 광택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21052B1 (ko)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
JP4498912B2 (ja) | 張り出し成型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30981B1 (ko) | 냉간가공성이 우수한 선형 또는 봉형 강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79967A (ko) | 표면품질 및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
KR101623243B1 (ko) | 성형성 및 광택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74694A (ko) |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