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694A -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694A
KR20150074694A KR1020130162731A KR20130162731A KR20150074694A KR 20150074694 A KR20150074694 A KR 20150074694A KR 1020130162731 A KR1020130162731 A KR 1020130162731A KR 20130162731 A KR20130162731 A KR 20130162731A KR 20150074694 A KR20150074694 A KR 2015007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less
stainless steel
ferritic stainless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화
조규진
채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694A/ko
Publication of KR2015007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압연 전 델타-페라이트 상의 분율을 제어하여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으로서, 중량%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한 후 열간압연 하되,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하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간압연 전 델타-페라이트 상의 분율을 제어하여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산업용으로 고강도 탄소강을 대신하여, 내식성 및 내마모 용도의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고강도 탄소강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열위하여 잦은 교체가 요구되기 대문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은 화학성분이나 금속조직에 따라 분류된다. 금속조직에 따를 경우,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300계), 페라이트계(400계), 마르텐사이트계, 이상계로 분류된다.
한편, 구조재 분야에 사용되는 강재의 내식성은 구조물의 수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그래서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304강을 구조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오스테나이트계 304강의 경우 다량의 Ni 및 Cr이 포함되어 있어 고가의 소재에 따른 경제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구조재 분야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가공성이 떨어지지만 경제성이 좋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가공성이 열위하기 때문에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기술은 제품화된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합금의 성분조성, 압연 및 열처리(소둔처리) 등의 조건을 개선하는 기술들이다. 예를 들어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등록특허 10-1056211;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듯이 합금성분에 따른 페리아트 팩트, 성분조성 및 소둔온도를 제어하여 제품화된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이다.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들은 최종적으로 제품화된 스테인리스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로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한편, 스테인리스강도 일반 탄소강과 마찬가지로 제강-연주-압연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생산된다.
통상적으로 합금성분이 조정된 용강을 연속주조기에서 슬라브로 주조한 다음, 냉각된 슬라브를 가열시킨 후 열간압연하여 열연제품을 생산한다.
여기서, 냉각된 슬라브를 가열시키는 이유는 열간압연시 슬라브 내부 편석을 제거하고 원활한 열간압연 작업을 위해 압연하중을 낮추기 위함이다. 하지만 고온에서 슬라브 가열시 입계산화 또는 결정립 성장에 따른 입계파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슬라브 가열시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델타-페라이트(δ-ferrite) 2상의 조직을 형성한다.
특히,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가열조건에 따라 델타-페라이트(δ-ferrite)의 분율이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고온일수록 다량의 델타-페라이트(δ-ferrite) 조직이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조직 내 델타-페라이트(δ-ferrite)의 분율이 높지면,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델타-페라이트(δ-ferrite)의 계면이 많아지고,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델타-페라이트(δ-ferrite) 조직 간의 가공에 대한 변형저항성 차이에 의해 선상흠(Sliver) 및 에지크랙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 가열시 슬라브의 온도를 조정하여 조직 내 형성되는 델타-페라이트(δ-ferrite)의 분율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 10-1056211 (2011. 08. 04)
본 발명은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 가열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슬라브 조직 내의 델타-페라이트(δ-ferrite) 분율을 제어함에 따라 슬라브의 표면 선상흠 및 에지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으로서, 중량%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한 후 열간압연 하되,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하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상기 슬라브의 온도가 1150~120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상기 슬라브가 장입된 가열로의 내부를 1150~1200℃에서 3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하여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한 후 열간압연하여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에 가열 조건을 조절함에 따라 가열시 슬라브의 조직 내 델타-페라이트(δ-ferrite) 분율을 10% 미만으로 제어하여 열간압연시 슬라브의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열간압연 시 슬라브의 표면 선상흠 및 에지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간압연 후 소둔 산세한 코일의 우수한 표면 및 에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열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열 조건에 따른 열간가공성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열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열 조건에 따른 열간가공성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ferrite) 기지에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을 가지는 고강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내식성, 내마모성 및 용접성이 요구되는 구조재 분야에 탄소강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강종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 %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금성분 및 그 조성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탄소(C)의 양은 0.15wt% 내지 0.025wt% 이하이다. 탄소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이지만, 강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도를 높이는 역할로 인하여 열간 압연시 오스테나이트 석출상의 재결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고용된 탄소에 의해 내마모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과잉의 탄소 첨가는 소재 가공중 미고용 탄화물을 다량으로 형성하여 제품의 내식성 및 용접성을 저해함에 따라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질소(N)의 양은 0.01wt% 내지 0.025wt% 이하이다. 질소는 탄소와 동일하게 불순물원소로 존재하며 오스테나이트 분율 증가에 기여하여 재결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과잉의 질소 첨가시 가공성의 열위를 유발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실리콘(Si)의 양은 0.3wt% 내지 0.6wt% 이하이다. 실리콘은 강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이지만, 제강시 탈산제 역할로 첨가되는 원소로써 페라이트 상의 안정성을 높이며, 내산화성을 향상시킨다. 반면 다량의 실리콘 첨가시 재질의 경화를 유발하여 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망간(Mn)의 양은 1.0wt% 내지 2.0wt% 이하이다. 망간은 오스테아니트 안정화 원소이기 때문에 용접시 페라이트 조직내 국부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형성시킴에 따라 입도 미세화를 유발시켜 용접부 인성을 향상시킨다. 반면 다량의 망간 첨가할 경우 용접시 망간계 퓸이 발생하여 용접성을 열화시킬 뿐만 아니라 MnS상 석출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연신율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이에 상기 범위로 Mn의 함유량을 제한한다.
인(P)의 양은 0.035wt%이하이다. 인은 강중에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산세시 입계부식을 일으키거나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황(S)의 양은 0.01wt%이하이다. 황은 강중 포함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결정입계에 편석되어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크롬(Cr)의 양은 11.20wt% 내지 11.80wt% 이하이다. 크롬은 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합금원소로써 첨가량이 높을 경우 연신율의 감소 및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그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니켈(Ni)의 양은 0.40wt% 내지 0.90wt% 이하이다. 니켈은 망간과 유사하게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 원소로써 용접부의 오스테나이트 상변태에 기인한 입도 미세화로 용접부의 인성이 향상되어 용접부 건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하지만 과잉의 니켈첨가시 가공성 열화 및 제조단가의 증가를 유발시키므로 그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구리(Cu)의 양은 0.6wt% 이하이다. 구리는 니켈, 망간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재결정화 촉진 및 소량 첨가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나 과잉의 구리 첨가시 가공성 열화 및 제조단가의 증가를 유발시키므로 그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타이타늄(Ti)의 양은 0.22% 이하이다. 타이타늄은 예민화 방지를 위해 첨가되는 원소이나, 과잉 첨가시 인성의 열화를 가져오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니오븀(Nb)의 양은 0.15% 이하이다. 니오븀은 고용 C, N을 탄질화물로 석출시켜 내식성 개선 및 성형성 향상에 효과있는 원소이나, 과잉 첨가시 개재물에 의한 외관 불량 및 인성저하를 초래하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합금성분 및 조성이 조정되어 생산된 슬라브는 열간압연 하기 전에 가열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열과정에서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슬라브의 가열온도를 조정한다.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은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낮을수록 적어지는바,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을 10%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슬라브의 온도가 1150~1200℃가 되도록 한다. 슬라브의 온도를 1150~120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슬라브를 가열로의 내부에 장입한 다음 가열로의 내부를 1150~1200℃에서 3시간 이상 유지시켜서 달성한다.
여기서,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은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 슬라브가 가열된 상태에서 존재하는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열된 상태에서의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 분율을 유추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가열된 슬라브를 급랭하여 상온에서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정량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로의 온도를 1150℃, 1200℃, 1250℃ 및 1280℃로 조절하면서 각 3시간씩 슬라브를 가열하였고, 그 결과 슬라브의 가열온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슬라브의 미세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오스테나이트와 δ-페라이트의 상분율이 변화하였다. 정확하게는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δ-페라이트의 상분율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1150℃ 및 1200℃에서 3시간 가열된 슬라브의 경우 δ-페라이트의 상분율이 1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이러한 슬라브 조직 내 상분율의 변화가 슬라브의 열간가공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조건으로 가열된 슬라브를 950~1150℃에서 고온 글리블 인장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가열로의 온도를 1150℃, 1200℃, 1250℃ 및 1280℃로 조절하면서 각 3시간씩 가열한 슬라브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150℃에서 1280℃로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열간압연 온도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단면수축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측정된 단면수축율은 그 값이 높을수록 열간가공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도 2의 결과는 슬라브에 대한 가열온도가 높을 경우 입계산화 및 결정립 성장에 의해 입계파괴가 용이해져서 열간가공성이 열위해짐과 동시에 고온 가열시 δ-페라이트의 상분율이 증가하여 오스테나이트와 δ-페라이트 조직 간 인터페이스(interphase) 계면이 증가하고, 그 결과 열간압연(열간가공)시 도입되는 변형에 대한 변형저항성의 차이가 발생하여 열간가공성이 열위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슬라브의 가열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δ-페라이트 분율을 제어함에 따라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 제품 표면의 선상흠 및 에지크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분 C N Si Mn Cr Ni Cu Ti Nb
강종1 0.018 0.014 0.38 1.86 11.4 0.6 0.5 0.19 0.09
강종2 0.019 0.018 0.52 1.21 11.7 0.4 - 0.01 -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진 강종 1 및 강종 2를 여러 조건의 슬라브 가열온도에서 약 3시간 열처리를 실시한 후 열간압연을 진행하였고, 그에 따른 δ-페라이트 분율, 평균 결정립 크기, 선상흠 및 에지크랙 발생 유무에 대한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강종 슬라브
가열온도(℃)
δ-페라이트
분율(%)
평균 결정립
크기(㎛)
선상흠
유무
에지크랙
유무
비교예 1 1 1100 〈0.1 6.8 X O
비교예 2 1 1250 28.6 45.9 O O
비교예 3 1 1280 22.3 77.9 O O
비교예 4 2 1100 〈0.1 5.8 X O
비교예 5 2 1250 24.2 35.8 O O
비교예 6 2 1280 17.5 56.7 O O
발명예 1 1 1150 1.1 7.0 X X
발명예 2 1 1200 8.9 15.1 X X
발명예 3 2 1150 3.2 7.4 X X
발명예 4 2 1200 7.8 14.9 X X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종 1 내지 2의 경우 1150~1200℃ 온도범위에서 슬라브의 가열을 실시하는 경우, 조직 내 10% 미만의 δ-페라이트 함량을 나타내고 그 결과 선상흠 및 에지크랙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1150℃ 보다 낮은 1100℃에서 슬라브 가열을 한 경우(비교예 1 및 4) 열간압연시 선상흠은 관찰되지 않으나, 에지크랙이 다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한 결과와 같이 선상흠이 발생하지 않은 이유는 1150℃ 보다 낮은 온도로 슬라브를 가열함에 따라 δ-페라이트 상분율이 상당히 미비하여 열간압연시 선상흠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비교예 1 및 4에서 에지크랙이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너무 낮아서 원하는 두께까지 슬라브를 열간압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하량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높은 압하량에 의해 열간압연 중 슬라브의 에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200℃를 초과하는 슬라브 가열 조건의 경우(비교예 2, 3, 5 및 6) 조직내 δ-페라이트 함량이 10% 이상이 되고, 그 결과 열연소재 표층부에 다량의 선상흠이 발생함과 동시에 에지 크랙이 다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상기한 결과와 같이 선상흠 및 에지크랙이 다발하는 이유는 δ-페라이트 상분율이 높아 오스테나이트와 δ-페라이트의 계면이 많아져서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와 δ-페라이트 조직간 및 그 계면에서 변형저항성이 달라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슬라브의 가열시 δ-페라이트 상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슬라브의 온도를 1150~1200℃로 유지한 다음 열간압연을 행할 경우 발명예 1 내지 4와 같이 우수한 열간가공성을 확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4)

  1.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으로서,
    중량%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한 후 열간압연 하되,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하는 실시하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상기 슬라브의 온도가 1150~1200℃가 되도록 실시하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가열은 상기 슬라브가 장입된 가열로의 내부를 1150~1200℃에서 3시간 이상 유지하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4. 중량%로, C: 0.015~0.025%, N: 0.01~0.025%, Si: 0.3~0.6%, Mn: 1.0~2.0%, P: 0.035%이하, S: 0.01%이하, Cr:11.20~11.80%, Ni: 0.40~0.90%, Cu: 0.6이하, Ti:0.22%이하, Nb: 0.15%이하,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가열하여 슬라브의 내부조직 중 델타-페라이트(δ-ferrite)상의 분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한 후 열간압연하여 생산되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30162731A 2013-12-24 2013-12-24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4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731A KR20150074694A (ko) 2013-12-24 2013-12-24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731A KR20150074694A (ko) 2013-12-24 2013-12-24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694A true KR20150074694A (ko) 2015-07-02

Family

ID=5378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731A KR20150074694A (ko) 2013-12-24 2013-12-24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65B1 (ko) * 2017-12-22 2019-06-1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65B1 (ko) * 2017-12-22 2019-06-1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729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11448326A (zh) * 2017-12-22 2020-07-24 株式会社Posco 具有优异的热加工性的通用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EP3699314A4 (en) * 2017-12-22 2020-08-26 Posco UTILITY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2243B2 (ja) 焼入れ性に優れたボロン添加鋼板および製造方法
EP3653736B1 (en) Hot-rolled 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0215995A (ja) 耐食性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344537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513B1 (ko) 고온 내산화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EP3674434A1 (en) Low-ni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KR20150074697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JP5206056B2 (ja) 非調質鋼材の製造方法
KR102268906B1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7665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EP2527481B1 (en) Quench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t press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422865B2 (ja) 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部材の製造方法
JP3422864B2 (ja) 加工性の優れた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9878B1 (ko) 듀플렉스강의 냉간압연 방법
JP6279118B1 (ja) 耐食性及び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の複相ステンレス鋼材
JPS6137334B2 (ko)
KR102403849B1 (ko)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4694A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331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9589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533B1 (ko) 표면 품질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101657799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590B1 (ko) 성형성 및 내리징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KR102497433B1 (ko) 강도 및 내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