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799B1 -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799B1
KR101657799B1 KR1020140182815A KR20140182815A KR101657799B1 KR 101657799 B1 KR101657799 B1 KR 101657799B1 KR 1020140182815 A KR1020140182815 A KR 1020140182815A KR 20140182815 A KR20140182815 A KR 20140182815A KR 101657799 B1 KR101657799 B1 KR 10165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elongation
hot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753A (ko
Inventor
김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7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신율의 하락 폭이 최소화됨으로써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을 s,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을 t라고 할 때, s에 대한 t의 감소량은 6%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열연강판의 인장강도를 a,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인장강도를 b,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의 감소량을 c라고 할 때, c/(b-a)×00은 10 이하인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면, 아연도금강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신율의 하락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ELOG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연도금강판은 기존 강판보다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용이나 가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연성이 우수한 소재를 난성형부품들에 적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이 많이 요구되는 부품에도 이와 같은 아연도금강판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연도금강판은 제조 과정에서 연신율 저하가 유발되기 때문에 성형 가공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불량 발생률도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에는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연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r함유 극저탄소강을 소지강판으로 하여 도금전의 강판온도 및/또는 도금욕의 성분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합금 원소량을 적정 범위로 조정한 열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지 않고, 적정한 2 상 온도역으로 가열하는 어닐링 처리와 적정한 냉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연신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들을 통해 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제조 공정 중에 조질 압연 공정에서 부여된 연신율의 하락 폭이 커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아연도금강판의 연신율을 향상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였다.
따라서, 아연도금강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신율의 하락 폭을 최소화하여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공보 특1998-036730호 한국등록공보 제10-0370582호 한국공개공보 제10-2013-0021407호
본 발명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신율의 하락 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열연강판을 산세하는 단계, 상기 산세 처리된 산세강판에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조질 압연된 압연강판을 열처리한 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면, 아연도금강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신율의 하락 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조질 압연시 압하량에 따라 소재에 부여되는 연신율은 이어지는 후속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하락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연공정을 거친 후 이를 도금 전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모재내 카본의 고용이 많아지기 때문에 소재의 연신율 하락을 초래하고, 도금 후 냉각 공정에서 냉각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모재내 고용되어 있는 카본이 잔류하여 추가적인 연신율 하락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의 연신율이 하락하는 경우 성형 가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제품 생산시 불량 발생율이 높아지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은 열연강판을 산세, 조질압연, 열처리한 후 아연도금하여 제조되는 인장강도 400~600Mpa의 아연도금강판으로서,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을 s,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을 t라고 할 때, s에 대한 t의 감소량은 6%이하이고, 상기 열연강판의 인장강도를 a,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인장강도를 b,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의 감소량을 c라고 할 때, c/(b-a)×100은 10 이하이다.
먼저,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의 성분 및 성분범위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 400MPa이상 600MPa 이하의 열연 아연도금판의 제조 시 열연강판이 스킨패스 공정과 열처리 공정을 거칠 때, 연신율 하락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강판의 성분계 및 성분범위를 제공한다. 아래의 함량을 중량%를 의미한다.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탄소(C)는 고용강화 원소로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원소이다. 상기 C의 함량이 0.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강도 상승으로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0.05% 미만인 경우는 강도가 낮아지고 조질 압연 및 열처리 공정의 영향에 의해 아연도금강판의 연신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소(C)의 함량은 0.05 중량% 이상 0.12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 Mn ): 0.3% 이상 0.9% 미만
망간(Mn)은 경화능을 증가시켜 열처리 후 경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하는 원소이다. 상기 Mn의 함량이 0.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주공정에서 슬라브 주조시 두께중심부에서 편석부가 크게 발달되어 편석 부위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형성 및 성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고, 0.3 중량% 미만인 경우 망간(Mn)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상기 Mn의 함량은 0.3 중량% 이상 0.9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Si ): 0.08% 이하(0은 제외)
실리콘(Si)은 용강을 탈산시키고 고용강화 효과가 있다. 상기 Si의 함량이 0.08 중량%를 초과하면 열간압연시 강판표면에 Si에 의한 붉은색 스케일이 형성되어 강판표면 품질이 매우 나빠질 뿐만 아니라 고상 접합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금 공정 후 연신율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Si의 상한은 0.08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Al ): 0.05%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은 탈산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제강공정에서 탈산제로서 0.0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필요성이 낮고,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연주시 노즐 막힘 및 고상 접합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5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1% 이하
황(S)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서,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강의 인성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그 함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으로 황의 함량은 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황 함량의 상한은 0.01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0.04% 이하
인(P)은 상기 황(S)과 마찬가지로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4 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성이 저하되고 강의 취성이 발생할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4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 Ti ): 0.01% 이상 0.05% 이하
티타늄(Ti)은 질소(N), 탄소(C) 등과 함께 고온에서도 안정한 질화물,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로 석출되어, 도금 전 열처리 단계에서 페라이트 입계에 있는 세멘타이트의 탄소(C)가 페라이트상 안으로 재고용 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티타늄(Ti)을 첨가함으로 인하여 열처리 후 고용 탄소(C)에 의한 연신율 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티타늄(Ti)은 질소(N)에 의해 소모되는 양을 감안하여 첨가된다. 티타늄(Ti)은 아연도금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데, 충분한 강도 증가 효과를 나타내고 질소(N)에 의해 소모되는 양을 감안하여 0.01%, 바람직하게는 0.025% 이상 첨가해야 한다. 다만, 티타늄(Ti)을 0.05%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약간의 Nb와 복합 첨가만으로도 본 발명강의 강도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티타늄(Ti)은 0.01% 이상 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5% 이상 0.05% 이하의 함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 0.01 % 이하
질소(N)는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낮을수록 좋으나, 제강공정을 고려하여 그 함량을 0.01 중량%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N의 질소가 0.01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시효지수가 높아지고, 성형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니오븀( Nb ): 0.03% 이하(0은 제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은 니오븀(N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니오븀(Nb)은 Nb(C, N) 형태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변태시 페라이트의 결정립을 미세화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초석 페라이트의 양이 증가하고 세멘타이트 석출을 억제한다. 그러나 0.03 wt%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석출강화효과가 너무 증가하여 연신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0.03 wt%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오븀(Nb)을 0.015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경우 연신율 감소 방지에 보다 유리하다. 따라서, 니오븀(Nb)는 0.03 중량% 이하(0은 제외)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이하(0은 제외)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에서 상기 성분들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은 부피%로 90%이상의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도금강판은 부피%로 90%이상의 페라이트와 10% 이하의 세멘타이트 및 베이나이트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멘타이트는 주로 상기 페라이트 입계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베이나이트의 분율은 부피%로 5%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의 400MPa 내지 600MPa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은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을 s,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을 t라고 할 때, s에 대한 t의 감소량은 6%이하이고, 또한 상기 열연강판의 인장강도를 a,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인장강도를 b,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의 감소량을 c라고 할 때, c/(b-a)×100은 10 이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연강판을 준비하고 산세하는 단계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의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0은 제외), 인(P): 0.04%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0은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열연강판을 준비한다.
상기 열연강판의 두께는 1.0mm 내지 4.5mm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열연강판을 산세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세 공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연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을 일반적인 산(acid) 용액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5% 내지 15% 농도의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산세 처리된 강판에 조질 압연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질 압연은 4%이하의 압하율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압하율은 0.5 ~ 4%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조절 압연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PM (Skin Pass Mill)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압력 및 롤의 회전 속도 등과 같은 압연 조건 및 압연 수단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처리 단계
다음으로, 상기 조질 압연된 강판을 열처리한다. 상기 열처리는 450℃ 내지 600℃ 온도에서 60초 이하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 온도를 상기 수치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후술할 도금 공정의 작업 온도 범위를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모재내 카본의 고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추가 연신율 하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금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열처리된 압연강판을 도금한다. 이때, 본 발명의 아연도금강판은 용융아연도금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전기 도금, 증착 도금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한 아연도금강판에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를 위해 용융아연도금을 실시하는 경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융아연도금은 용융아연 도금욕에서 400℃ 내지 500℃의 침지 온도로 침지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두께 3.0mm의 열연강판을 산세한 후, 2%의 압하율로 스킨(skinpass)압연하고, 압연된 강판을 520℃에서 10초 동안 열처리한 후 아연 도금한 다음, 냉각하여 열연 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아연도금강판의 조직은 부피%로 95% 이상의 페라이트와 나머지 세멘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연강판 및 상기 열연 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측정하고, 열연강판의 인장강도(a) 및 연신율(b)과 열연강판의 연신률에 대한 아연도금강판의 연신률 감소율(%)(c) 및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연신율 감소량의 비율(%) (c/(b-a)×100)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 성분 및 함량(중량 %) 열연강판의 인장강도 (MPa)
(a)
도금 후 아연도금강판의 인장강도 (MPa)
(b)
열연강판의 연신률에 대한 아연도금강판의 연신률 감소율(%)
(c)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연신율 감소량의 비율(%)
(c/(b-a)×100)
C Si Mn P Al Nb Ti N
비교예1 0.07 0.05 0.6 0 0.025 0.015 0 0.004 426 455 5.1 17.6
비교예2 0.07 0.05 0.6 0.005 0.025 0.015 0 0.004 431 460 4.1 14.1
비교예3 0.07 0.05 0.6 0.04 0.025 0.015 0 0.004 447 477 6.0 20.0
비교예4 0.07 0.05 0.6 0.02 0.05 0.015 0 0.004 437 470 5.4 16.4
비교예5 0.07 0.05 0.6 0.02 0.1 0.015 0 0.004 434 467 4.2 12.7
비교예6 0.07 0.08 0.6 0.02 0.1 0.015 0 0.004 438 471 5.8 17.6
비교예7 0.07 0.1 0.6 0.02 0.025 0.015 0 0.004 442 482 7.5 18.8
비교예8 0.04 0.05 0.6 0.02 0.025 0.015 0 0.004 408 442 6.8 20.0
비교예9 0.07 0.05 0.6 0.02 0.025 0.015 0 0.004 436 466 3.3 11.0
비교예10 0.1 0.05 0.6 0.02 0.025 0.015 0 0.004 455 481 4.8 18.5
비교예11 0.12 0.05 0.6 0.02 0.025 0.015 0 0.004 468 501 5.1 15.5
비교예12 0.07 0.05 0.3 0.02 0.025 0.015 0 0.004 409 449 5.1 12.8
비교예13 0.07 0.05 0.9 0.02 0.025 0.015 0 0.004 449 482 6.3 19.1
비교예14 0.07 0.05 0.6 0.02 0.025 0.03 0 0.004 475 512 5.8 15.7
실시예1 0.07 0.05 0.6 0.02 0.025 0.015 0.025 0.004 448 518 4.8 6.9
실시예2 0.07 0.05 0.6 0.02 0.025 0.015 0.05 0.004 557 594 3.0 8.1
실시예3 0.07 0.05 0.6 0.02 0.025 0 0.025 0.004 398 436 1.8 4.7
실시예4 0.07 0.05 0.6 0.02 0.025 0 0.05 0.004 512 546 2.6 7.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1-4)의 경우에는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아연도금강판의 연신율 감소율(c)이 6% 이하이고,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연신율 감소량의 비율인 c/(b-a)×100 값이 10 이하임을 알 수 있다.
상기 c/(b-a)×100 값이 10 이하인 경우 인장강도의 상승 폭에 대한 연신율의 감소 폭이 작다. 따라서, 동일 강도 수준에서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열연강판의 조성을 갖는 비교예(1-14)의 경우에는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아연도금강판의 연신율 감소율(c)이 6%를 초과하거나 또는/ 그리고 인장강도 변화에 따른 연신율 감소량의 비율인 c/(b-a)×100 값이 10을 초과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열연강판을 산세, 조질압연, 열처리한 후 아연도금하여 제조되는 인장강도 400~600Mpa의 아연도금강판으로서,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을 s,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을 t라고 할 때, s에 대한 t의 감소량은 6%이하이고;
    상기 열연강판의 인장강도를 a,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인장강도를 b, 상기 열연강판의 연신율에 대한 상기 도금 후의 강판의 연신율의 감소량을 c라고 할 때, c/(b-a)×100은 10 이하이고; 그리고 부피%로 90%이상의 페라이트와 10% 이하의 세멘타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Ti)의 함량은 0.025% 이상 0.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강판은 니오븀(Nb)를 중량%로 0.03% 이하(0은 제외)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강판은 니오븀(Nb)를 중량%로 0.015% 이하(0은 제외)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직은 부피%로 5%이하의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8. 중량%로, 탄소(C): 0.05% 이상 0.12% 이하, 망간(Mn): 0.3% 이상 0.9% 미만, 실리콘(Si): 0.08%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1% 이하, 인(P): 0.04% 이하, 티타늄(Ti): 0.01% 이상 0.05% 이하, 질소(N): 0.01 %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열연강판을 산세하는 단계;
    상기 산세 처리된 강판에 4%이하의 압하율로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조질 압연된 강판을 450℃ 내지 600℃ 온도에서 60초 이하 동안 열처리한 후 아연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400~600Mpa이고, 그리고 부피%로 90%이상의 페라이트와 10% 이하의 세멘타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니오븀(Nb)를 중량%로 0.03% 이하(0은 제외)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의 두께는 1mm 내지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40182815A 2014-12-18 2014-12-18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15A KR101657799B1 (ko) 2014-12-18 2014-12-18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15A KR101657799B1 (ko) 2014-12-18 2014-12-18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753A KR20160074753A (ko) 2016-06-29
KR101657799B1 true KR101657799B1 (ko) 2016-09-20

Family

ID=5636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815A KR101657799B1 (ko) 2014-12-18 2014-12-18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1632B (zh) * 2016-07-15 2018-08-07 武汉钢铁有限公司 抗拉强度为440MPa级高表面质量汽车用热轧酸洗钢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021B2 (ja) * 1991-10-25 1996-12-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フランジ性の優れた高強度熱延原板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20000018894A (ko) 1998-09-07 2000-04-06 정몽규 내연기관의 촉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70582B1 (ko) 1998-12-30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열연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TWI248977B (en) * 2003-06-26 2006-02-11 Nippon Steel Corp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shape fix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018935B2 (ja) 2010-06-29 2012-09-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L2816132T3 (pl) * 2012-02-17 2017-06-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Blacha stalowa cienka, blacha stalowa cienka powlekana galwanicznie, sposób wytwarzania blachy stalowej cienkiej oraz sposób wytwarzania blachy stalowej cienkiej powlekanej galwaniczn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753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4406B1 (en)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772556B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workability
KR100958019B1 (ko) 복합조직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64730B1 (ko)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획득된 시트
KR101736632B1 (ko) 항복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43002B1 (ko)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6402A (ko) 성형성 및 연성이 개선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얻어진 시트
KR101143151B1 (ko)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5781B1 (ko) 초고강도 열간 압연 강 및 띠강의 제조 방법
KR101403076B1 (ko) 신장 플랜지성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2527481B1 (en) Quench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t press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03262B1 (ko) 초고강도 용융도금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0486B1 (ko) 연성 및 도금품질이 우수한 초고강도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799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34B1 (ko) 연성과 구멍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52052B1 (ko)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092B1 (ko) 버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EP3305932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428375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003254B1 (ko) 열간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열처리 강화형 강판 및 그제조방법
JP5163431B2 (ja) 強度変動の小さい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6541504B2 (ja) 製造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高延性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強度高延性鋼板の製造に用いられる冷延原板
KR10090065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563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6593A (ko) 열처리 온도 변화를 이용한 도금성이 우수한 trip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