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195A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195A
KR20160078195A KR1020140189150A KR20140189150A KR20160078195A KR 20160078195 A KR20160078195 A KR 20160078195A KR 1020140189150 A KR1020140189150 A KR 1020140189150A KR 20140189150 A KR20140189150 A KR 20140189150A KR 20160078195 A KR20160078195 A KR 2016007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play
cover
touch senso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922B1 (ko
Inventor
김민철
박진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922B1/ko
Priority to US14/977,623 priority patent/US10006625B2/en
Priority to EP15201832.1A priority patent/EP3037759B1/en
Priority to CN201510977666.7A priority patent/CN105737488B/zh
Publication of KR2016007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922B1/ko
Priority to US15/952,941 priority patent/US10352552B2/en
Priority to US16/433,631 priority patent/US10655840B2/en
Priority to US16/841,303 priority patent/US111314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외장부재; 상기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미세한 제 1 관통구의 집합에 의해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코팅되어 상기 제 1 관통구를 채우며, 소포제가 첨가된 우레탄 코팅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과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홀 메움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 Home appliance display assembly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95696호에는 후방에서 조사되는 LED 램프를 광원으로 하여 여러가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이러한 액정 패널에는 확산시트와 같은 광학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LED 램프에서 출사된 빛이 고른 밝기로 액정패널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5044호에는 세븐세그먼트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시트를 통과하며, 상기 확산시트를 통과하는 부분이 밝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빛이 조사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가전제품들에서는 확산시트가 구비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고른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최근의 가전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소재로 외장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소재의 외장부재에 홀 메움 코팅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빛이 고르게 확산되어 디스플레이의 빛이 균일한 밝기를 구현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외장부재; 상기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미세한 제 1 관통구의 집합에 의해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코팅되어 상기 제 1 관통구를 채우며, 소포제가 첨가된 우레탄 코팅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과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홀 메움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구의 집합이 7세그먼트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구의 집합이 그림 또는 문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층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전체 중량 대비 0.5~1.5 중량%의 소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의 두께는 35~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에는 상기 제 1 관통홀의 외측으로 검정색으로 인쇄된 제 1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은 상기 제 1 관통구를 투과하는 빛의 밝기가 40nit 이상이 될 수 있는 투명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커버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 1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 2 관통홀과 제 1 관통홀을 차례로 통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관통홀 외측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검은색으로 인쇄 형성되는 제 2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제조 방법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한 제 1 관통홀이 성형되는 단계;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를 채우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과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부재의 배면에서 소포제가 첨가된 우레탄 코팅액으로 홀 메움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외장부재를 외관형상에 맞추어 판금 성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집합에 의해 숫자,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이루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층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전체 중량 대비 0.5~1.5 중량%의 소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의 두께는 35~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에는 상기 제 1 관통홀의 외측으로 검정색으로 인쇄된 제 1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외장부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관통구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빛이 통과되어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가전제품의 외관 전체가 스틸소재의 외장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일 수 있어 외관이 한층더 고급스러워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메움 코팅을 통해서 상기 관통구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미세한 상기 관통구의 내측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홀메움 코팅은 소포제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코팅으로 소포제의 함량과 특정 두께의 구현을 통해 투명도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확산시트 부착 없이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균일한 밝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관통구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확산시트를 생략하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밝기를 보다 밝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제 2 관통구 외측과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홀 메움 코팅의 상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홀 메움 코팅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 사이로 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표현되는 정보를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인쇄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11-11' 단면도이다.
도 12는 센서 피시비와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연결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3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프레임 디스플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의 16-16' 절결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센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의 26-26' 절결 사시도이다.
도 27는 도 23의 C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식기세척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조리기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외장부재에 미세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를 통과하여 빛이 조사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디스플레이 창(11)과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을 표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 또는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에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20)은 외장부재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 패널이라 할 뿐 다른 실시예의 외장부재와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부재(40,43)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냉장고가 아닌 다른 가전 제품에서는 외장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은 스테인레스 스틸이 아닌 금속 또는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면에는 지문방지 처리 또는 헤어라인 가공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은 7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레이저 가공이나, 에칭 등을 통해서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표시된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게 되었을 때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에칭이나 인쇄 또는 기타 표면 가공을 통해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두드러지지 않는 형태로 표현되어 상기 전면 패널(20) 전체의 질감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홀 메움 코팅층(22)이 형성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한 번의 코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에 형성된 모든 제 1 관통구(2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5-5'단면도이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성형되며, 35-5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투과되는 빛의 확산도가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운 경우 상기 전면 패널(20)의 판금 성형시 홀 메움 코팅층(22)에 의한 굴곡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소포재가 포함된 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조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 코팅액의 중량을 100%로 할 때, 아크릴 폴리울 33중량%, 아크릴 폴리올33%, 에폭시와 멜라민 혼합물 15중량% 건식 실리카 1-2중량%, 소포제 0.5~1.5중량%, 경화제 1중량%, 그리고 나머지 잔량은 레벨링제와 부착 증진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홀 메움 코팅층(22)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의 성분비는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소포제는 0.5~1.5중량%의 범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소포제는 코팅액의 제조시 발생되는 기포의 제거를 위한 것으로 상기 소포재의 성분에 따라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소포제가 0.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포제의 함량이 너무 낮아 소포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상기 소포제가 1.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이 너무 불투명하게 되어 투과되는 빛의 밝기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포제는 0.5~1.5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성으로 성형된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에 아래에서 설명할 엘이디(313)의 빛이 통과하게 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은 별도의 확산시트 없이 40nit 이상의 밝기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는 홀 메움 코팅층(22)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이 형성된 후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는 내 지문(Anti-finger) 코팅층(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면은 지문과 같은 오염 물질이 쉽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 지문 코팅층(26)은 일반적으로 금속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내 지문 코팅층(26)을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이전에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인쇄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에는 제 1 인쇄층(2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쇄층(27)은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상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쇄층(27)은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외측 둘레 보다 상세하게는 7세그먼트의 각 단위부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과 아래에서 설명할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사이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은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의 결합시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40,43) 중 상기 냉장고 도어(10) 상부의 데코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상기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데코부재(40)를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코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출입되어 상기 프레임(10) 내부의 전방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11)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된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디스플레이 창(11)을 지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7의 10-10'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7의 11-11'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은 센서 피시비와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연결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부재(25)가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데코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130)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을 위한 고압의 발포액 충진시에도 상기 보강 리브(130)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대응하는 부분이 일렁거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와 상기 전면 패널(20)의 사이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140)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의 부착시 함께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상기 캐비닛 상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가까운 측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에는 마감 처리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구속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속홈(160)은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구속부(2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유동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속홈(160) 하부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고 발포액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주입되면,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시키는 상기 접착부재(25)가 경화되어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가압하여 상기 전면 패널(20)과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전체를 고르게 눌러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인접하는 커버 지지부(17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1)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71)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리브 형상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선 또는 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커버 지지부(170)의 접촉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고른 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 2 관통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330)가 실장된다. 즉, 상기 센서 제어부(33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상에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센서 피시비(700)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는 케이블 커넥터(600)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는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블 커넥터(62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단자(311)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상단 좌측(도 9에서 볼 때)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가능한 먼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320)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320)의 두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전면 패널(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창(11)에 인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 중 발생되는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상기 리플렉터(32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구조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이격되면서도 빛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32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배치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와 연통될 수 있는 제 3 관통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밀착되고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배면에는 음향 출력장치(340)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버저(buzz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프레임 홀(4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상기 냉장고 도어(10) 외측의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좌우 양측단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전면 전체에는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격자형상을 형성하는 보강 리브(411)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장치(340)와 대응하는 일측에는 프레임 홀(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에는 프레임 절개부(414)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절개부(414)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크기로 절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312)가 체결되는 보스(413)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413)는 상기 스크류(312)와의 결합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서 연장되는 제 1 수직부(421)와, 상기 제 1 수직부(42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422), 그리고 상기 경사부(422)의 상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부(42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직부(421)와 제 2 수직부(42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되 상기 경사부(422)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부(423)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424)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삽입시 상기 그립부(424)를 쥐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하단부터 상기 삽입구(41)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하방으로 삽입하게 될수록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구조에 의해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상기 삽입구 커버(42)는 상기 그립부(424)와 접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삽입구 커버(42)의 하면에는 상기 그립부(4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핸들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 커버(42)가 닫히게 될 때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이 상기 핸들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프레임 디스플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좌우 양측단에는 가이드 레일(2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상기 가이드 레일(240)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은 상단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될수록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향하여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사이드 레일(240)의 경사진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상기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관통구(321)는 제 2 관통구(220)와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수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는 개구된 둘레를 따라서 상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장착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둘레면과 접하여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 내부의 네 모서리에는 하우징 지지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지지부(211)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의 모서리를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210)보다 더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센서 하우징의 둘레면과 후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르게 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조립된 상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과 걸림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5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 중 적어도 하나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전방에서 상기 수용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의 일측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에는 제 2 관통구(2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7세그먼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에는 차단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221)는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25)는 상기 차단부(221)의 외측 영역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부착시 상기 접착부재(25)의 두께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서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21)의 돌출 높이는 빛 샘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5)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접착부재(25)의 압축 전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221)에는 제 2 인쇄층(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층(222)은 검정색으로 형성되며 인쇄 방식으로 상기 차단부(2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층(222)은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 즉 7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단위 부분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층(222)은 상기 제 1 인쇄층(27)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장착시 상기 제 1 인쇄층(27)은 제 2 인쇄층(222)과 서로 접하여 일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제 2 관통구(220)와 상기 전면 패널(20)의 제 1 관통구(21)의 사이로 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은 선명하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인쇄층(27)과 제 2 인쇄층(222)은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두개 중 적어도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6는 도 2의 16-16'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6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아주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크기보다 훨씬 더 작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하나의 제 2 관통구(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관통구(321)가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서로 일치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그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그리고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지나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상기 제 1 관통구의 홀을 메움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창(1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창(11) 전체에 고르게 밝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센서 피시비(700),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0) 그리고, 상기 센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는 터치 부스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수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이 노출되며,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개구(5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512)에는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누름 조작하였을 때 발생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위를 아래에서 설명할 센서(7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개구(512)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장착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512)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리브(517)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둘레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후 유동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기울어지거나 요동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512)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스터 지지부(5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둘레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 자체가 설정 위치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는 상기 개구(51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에는 후크홈(51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후크(5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크홈(514)은 상기 부스터 지지부(513)가 아닌 상기 개구(512)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후크(531)와 후크홈(514)은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조작시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일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홈(51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531)가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되 전후 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만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하우징 커버(51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및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둘레면에는 커버 결합부(516)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는 하우징 바디(520)에 형성되는 바디 결합부(521)와 형합되는 부분으로, 후크 형상의 상기 바디 결합부(521)가 걸림 구속될 수 있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516)의 위치는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가 체결되었을 때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720)들이 균일하게 압축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720)는 압축되어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터치 부스터(53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항상 돌출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의 위치는 센서(750)의 양측방 즉, 상기 터치 센서(750)의 양단에 위치된 상기 탄성부재(720)의 사이에 또는 양 측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상면에는 전선홀(515)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장착된 센서 단자(711)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상기 전선홀(515)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후반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된 둘레면에는 다수의 바디 결합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 결합부(521)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결합부(5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결합부(516)와 바디 결합부(521)는 모두 등 간격으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의 동일 위치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의 결합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720)가 조립과정 중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둘레 상면에는 전선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홀(522)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선홀(51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가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장착 가이드(523)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가이드(523)는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부착된 상기 탄성부재(7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장착 가이드(523)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로폭과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는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가이드(523)의 좌우 양측면은 상기 탄성부재(720)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20)가 일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면에는 단자 홀(524)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 홀(524)은 상기 센서 단자(7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가 전후로 유동되더라도 상기 센서 단자(711)가 상기 하우징 바디(520)의 바닥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는 상기 센서 단자(711)의 측면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단자 홀(524)을 통해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센서 단자(711)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스페이서(730)와 터치 센서(750) 및 컨덕티브 포일(740) 및 차폐부재(77)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개구(512)에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전면 패널(20)과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부(12)를 누름 조작할 때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터치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센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센서 피시비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구리 도막(712)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75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 센서(750)는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751)의 상면에 세라믹 소자(752)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751)은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이 압력에 따른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터치 센서(750)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센서(75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가 장착되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센서 홀(713)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터치 센서(75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크기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의 둘레가 상기 터치 센서(750)의 둘레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홀(713)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부(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세라믹 소자(752)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750)는 상기 센서 홀(713)을 덮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센서 홀(713)의 둘레는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지지되지 않고 상기 센서 홀(713)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조작시 상기 전면 패널(20)에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센서(75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판(751)의 둘레만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터치 센서(750)는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터치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세라믹 소자(752)에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12)의 터치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홀(713)이 형성되는 센서 피시비(700)의 하면에는 차폐부재(780)가 부착된다. 상기 차폐부재(780)는 필름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713)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센서 홀(713)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 홀(713)은 상면은 상기 터치 센서(750)에 의해서 차폐되고 하면은 상기 차폐부재(78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78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완전히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홀(713)의 내부를 기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의 탄성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기 센서 홀(713)의 내부로 수분 또는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센서(750)들의 양극과 상기 회로에 의해 연결되는 공통 접점(714)이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접점(714)은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하면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접착시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도체 라인(741)과 접하여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음극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배면에는 상기 탄성부재(720)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표시하는 장착 표시부(7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표시부(715)는 인쇄 또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72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도 22에서 볼 때)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의 장착 위치 즉 상기 장착 표시부(715)의 위치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20)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75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감지 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탄성부재(720)들은 상기 터치 센서(750)와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여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동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 및 커버 결합부(516)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좌우 양측방의 동일 연장선상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750)와 인접한 한쌍의 상기 탄성부재(720) 사이에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터치 센서(75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는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가 위치하며, 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쌍의 탄성부재(720)가 위치하게 된다. 다수의 상기 바디 결합부(521)와 커버 결합부(516)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20)들은 모두 이러한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기 센서 피시비(700) 전체에 고른 압력이 제공되고, 다수의 센서(750)들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전면에는 스페이서(730)가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적정한 높이에서 상기 터치 센서(750)의 상면 및 상기 공통 접점(714)과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 오프닝(731)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750)가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은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 오프닝(731)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벤트홀(732)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732)은 상기 스페이서(730)의 부착시 발생되는 기포의 배출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7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모두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에서 상기 벤트홀(7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부착될 때,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가이드부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페이서(730)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 제공되는 관통홀(733,744)로 상기 관통홀(733,744)은 상기 스페이서(730) 및 컨덕티브 포일(740)을 따라서 복수개가 형성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는 상기 관통홀(733,7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작업봉(760)을 배치하여 대응하는 작업봉(760)에 상기 관통홀(733,744)을 통과시켜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을 차례로 부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제공되는 센서(750)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센서(750)들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4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컨덕티브 포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은 피이티(PET)와 같은 수지 필름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700) 및 상기 스페이서(73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다수의 상기 터치 센서(750)들의 상면과 상기 공통 접점(714)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도체 라인(741)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하면에 실버 소재로 인쇄되며, 상기 도체 라인(741)이 인쇄된 면이 상기 스페이서(730)와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터치 센서(750) 및 공통 접점(714)과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700)의 중앙에서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과 이너 가이드 라인(741)의 사이를 가로지르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700)에 형성되는 상기 도체 라인(741)은 상기 터치 센서(750)와 접하는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통 접점(714)과 상기 터치 센서(750)의 상면 즉 음극을 연결하여 상기 터치 센서(750)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에는 상기 터치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너 가이드 라인(742)과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이 인쇄 형성된다.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은 상기 세라믹 소자(752)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은 금속판(751)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75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라믹 소자(752)는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금속판(751)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전체 면에는 격자형상의 라인들로 구성되는 메쉬(74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745)에 의해 신호 발생시의 노이즈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과 이너 가이드 라인(742)의 사이에는 메쉬(745)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시 도체 라인(741)에 의한 변형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요부 구성인 터치 부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개구(51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512)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좌우 양측단에는 후크(53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31)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에 형성되는 후크홈(514)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531)는 상기 후크홈(514)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상기 터치 센서(750)의 개수와 대응하는 다수의 탄성 변형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부(12) 및 상기 터치 센서(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1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형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터치 센서(7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12)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개구된 영역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32)와,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533)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가 연결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공통부(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가 유동 가능하도록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1 회 이상 절곡되어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는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공통부(534)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공통부(534)의 중심을 향하는 나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절개부(536)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532)와 제 2 연장부(533) 및 상기 공통부(534)의 둘레를 따라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53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35)는 상기 공통부(534)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35)는 상기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의 상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부(534)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터치 센서(750)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도 2의 26-26'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25)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에는 접착부재(25)가 제공되지 않으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조립시 상기 탄성부재(7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터치 부스터(530)와 밀착된다.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보다는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하우징 커버(510)가 상기 전면 패널(20)에 접착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20)의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게 되면, 조작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영역에서 변위가 발생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변위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의 터치 부스터(530)를 통해서 상기 터치 센서(750)로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20)는 조작시 압력에 따라 더 압축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후크(531)와 후크홈(514) 간의 결합에 의해 후방으로 다소 유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12)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20)의 복원력과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복원력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750)의 금속판(7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가압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20)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센서 피시비(700)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요부 구성인 탄성부재(720)와 차폐부재(780)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26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터치센서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먼저 성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절단된 강판에 상기 디스플레이 창(12)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성형되며, 배면의 개구가 전면의 개구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구가 큰 배면을 먼저 에칭 가공하고, 전면을 이후에 에칭 가공함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전면의 개구를 보다 미세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S100]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이 완료되고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홀 메움 코팅층(22)이 형성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전체 코팅액의 중량대비 0.5~1.5중량%의 소포제가 첨가된 반투명 우레탄 코팅으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대략 100목의 제판으로 스크린 인쇄하게 되며, 2행정으로 1도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은 대략 35~55㎛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인쇄가 완료되면 100~120℃의 온도에서 15분간 건조하게 되며, 건조 과정에서 기포의 제거 및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이 안정화될 수 있게 된다. [S200]
한편,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성형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표면에 제 1 인쇄층(27)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인쇄층(27)은 검정색으로 인쇄 처리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형성되는 7세그먼트의 단위 부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S300]
상기 제 1 인쇄층(27)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에 내 지문 코팅층(26)을 더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 지문 코팅층(26)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의 표면에 지문 및 오염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고, 오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수지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 지문 코팅층(26)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상기 홀 메움 코팅층(22)의 성형 전에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인쇄층(27)의 성형까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은 판금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절곡되는 등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S400]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접착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접착부재(25)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동시에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에는 제 2 인쇄층(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1 관통구(21)와 정렬 상태가 되도록 부착되어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제 2 관통구(220)를 통해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 패널(20)에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전면 패널(2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상기 데코부재(40)를 조립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24)를 발포 성형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24)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영역을 제외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충진되며, 상기 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조립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센서 홀(713)이 천공 형성된 센서 피시비(700)의 하면에 탄성부재(720)를 정위치에 부착하고, 상면에 스페이서(730)를 부착한 후 상기 터치 센서(750)를 상기 센서 홀(713)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컨덕티브 포일(740)을 접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의 하면에는 상기 센서 홀(713)의 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센서 홀(713)의 내부를 기밀할 수 있는 차폐부재(770)가 접착된다.
상기 스페이서(730)와 컨덕티브 포일(740)의 접착을 위해서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작업봉(미도시)을 배치시킨 다음 상기 스페이서(730)를 부착하되 상기 스페이서(730)의 타공홀(733)이 상기 작업봉을 관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의 상면에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750)는 상기 스페이서 오프닝(731)의 내측 영역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730)는 상기 벤트홀(7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스페이서(730)가 부착되는 과정 중에 상기 벤트홀(732)을 통해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730)의 부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스페이서(730)의 상면에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 또한 상기 스페이서(730)와 마찬가지로 상기 타공홀(744)이 상기 작업봉을 관통하도록 부착하며, 일방에서 점진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740)이 정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750)가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742)과 아우터 가이드 라인(743)의 영역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센서 피시비(700)는 상기 하우징 바디(520)에 수용되며, 상기 터치 부스터(530)가 장착된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510)와 하우징 바디(520)가 결합되면, 상기 탄성부재(720)는 압축되어 상기 센서 피시비(70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터치 부스터(530)와 밀착된다. 이때, 상기 터치 부스터(53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터치 부스터(530)의 전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보다 더 돌출된다.
조립 완료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수용부(210)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형의 조립 및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프레임 디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상기 센서 제어부(330)와 연결된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이미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포액의 충진 및 단열재의 성형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상기 센서 제어부(3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서로 연결한 후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상기 삽입구(4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 핸들(42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20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커버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차례로 정렬 및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상기 삽입구(41)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구(41)를 닫고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을 고정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한 냉장고 도어에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외장부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및 외장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후반부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과, 상기 베이스(61)의 전반부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전방 캐비닛(6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재(64)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6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홀 메움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창(6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65)으로 빛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6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세탁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저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와,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상기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72)는 상기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72)를 제외한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판상의 외장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창(74)과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은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홀 메움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 되며,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세탁기(70)가 운전 및 운전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식기세척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그리고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2)는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기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2)의 전면 즉,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84)가 부착된다.
상기 외장부재(84)에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홀 메움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으로 빛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조리기기에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어셈블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에는 상기 도어(92)의 개폐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94)는 상기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장부재(94)에는 상기 조리기기(9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9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공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은 홀 메움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외장부재;
    상기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미세한 제 1 관통구의 집합에 의해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창;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배면에 코팅되어 상기 제 1 관통구를 채우며, 소포제가 첨가된 우레탄 코팅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과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홀 메움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구의 집합이 7세그먼트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구의 집합이 그림 또는 문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층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전체 중량 대비 0.5~1.5 중량%의 소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의 두께는 3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코팅층에는 상기 제 1 관통홀의 외측으로 검정색으로 인쇄된 제 1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은 상기 제 1 관통구를 투과하는 빛의 밝기가 40nit 이상이 될 수 있는 투명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커버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 1 관통홀과 대응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 2 관통홀과 제 1 관통홀을 차례로 통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통홀 외측의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검은색으로 인쇄 형성되는 제 2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10.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한 제 1 관통홀이 성형되는 단계;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를 채우며, 상기 제 1 관통구를 통과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부재의 배면에서 소포제가 첨가된 우레탄 코팅액으로 홀 메움 코팅층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외장부재를 외관형상에 맞추어 판금 성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방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집합에 의해 숫자,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이루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층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전체 중량 대비 0.5~1.5 중량%의 소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코팅층의 두께는 3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 코팅층에는 상기 제 1 관통홀의 외측으로 검정색으로 인쇄된 제 1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그 제조 방법.

KR1020140189150A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50A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US14/977,623 US10006625B2 (en) 2014-12-24 2015-12-21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EP15201832.1A EP3037759B1 (en) 2014-12-24 2015-12-22 Touch sensor appli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510977666.7A CN105737488B (zh) 2014-12-24 2015-12-23 具有显示器组件的家用电器及其制造方法
US15/952,941 US10352552B2 (en) 2014-12-24 2018-04-13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16/433,631 US10655840B2 (en) 2014-12-24 2019-06-06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16/841,303 US11131453B2 (en) 2014-12-24 2020-04-06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50A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95A true KR20160078195A (ko) 2016-07-04
KR101668922B1 KR101668922B1 (ko) 2016-10-24

Family

ID=5502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150A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4-12-2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006625B2 (ko)
EP (1) EP3037759B1 (ko)
KR (1) KR101668922B1 (ko)
CN (1) CN1057374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776A (zh) * 2017-03-16 2017-08-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KR20190066738A (ko) * 2017-12-06 2019-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160123113A (ko) * 2015-04-15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147609B1 (en) * 2015-09-25 2023-07-26 Lg Electronics Inc.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US10641542B2 (en) 2015-09-25 2020-05-05 Lg Electronics Inc.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8013304A (ja) * 2016-07-22 2018-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CN106123462B (zh) * 2016-08-22 2019-03-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及该冰箱门体的生产方法
TR201706617A2 (tr) 2017-05-05 2018-11-21 Arcelik As Kapi sacinda dayanim takvi̇yeli̇ buzdolabi kapisi ve üreti̇m yöntemi̇
KR102204405B1 (ko) * 2017-08-10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US11118295B2 (en) 2017-11-16 2021-09-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in a door assembly
TWI791596B (zh) * 2018-01-31 2023-02-11 日商夏普股份有限公司 冰箱門以及冰箱
KR102661384B1 (ko) * 2018-03-07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594792B1 (en) * 2018-07-13 2022-08-03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A touch control system
KR102097013B1 (ko) * 2018-07-31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KR20200137079A (ko) 2019-05-28 2020-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162633B2 (en) * 2019-07-12 2021-1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gnetic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US11965804B2 (en) *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US11921010B2 (en) * 2021-07-28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wit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19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32463B1 (ko) * 2009-02-20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237564B1 (ko) * 2006-11-18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플레이부
KR20140121753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26237A (en) 1973-09-17 1978-02-14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Key board switch
US4056699A (en) 1975-11-13 1977-11-01 Essex International, Inc. Touch plate assembly
JPS5814433A (ja) 1981-07-17 1983-01-2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タツチスイツチの誤動作防止装置
US5239152A (en) 1990-10-30 1993-08-24 Donnelly Corporation Touch sensor panel with hidden graphic mode
JPH0695803A (ja) 1992-09-17 1994-04-08 Oki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センサのエラー通知方法
JPH0660031U (ja) 1993-01-26 1994-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に内蔵された感圧素子の予圧構造
US5780530A (en) * 1996-03-19 1998-07-14 Nippon Paint Co., Lt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US5973420A (en) 1996-10-03 1999-10-26 Colortronics Technologies L.L.C. Electrical system having a clear conductive composition
DE19645678C2 (de) 1996-11-06 2000-05-25 Preh Elektro Feinmechanik Bedieneinheit zum Schalten und Steuern von Haushaltsgeräten
US5923522A (en) 1997-06-27 1999-07-13 Eaton Corporation Capacitive switch with elastomeric membrane actuator
DE29722565U1 (de) 1997-12-20 1998-02-19 Schurter Gmbh Elektrischer Taster
KR100292502B1 (ko) 1998-11-07 2001-07-12 구자홍 터치스위치및그의대전층제조방법
US6242076B1 (en) 1999-02-08 2001-06-05 Michael D. Andriash Illuminated imageable vision control pane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DE19956084C2 (de) 1999-11-22 2002-04-18 Christian Freiseisen Dichtungseinheit
KR100346266B1 (ko) 2000-06-01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US6421253B1 (en) 2000-09-08 2002-07-16 Powerwave Technologies, Inc. Durable laminated electronics assembly using epoxy preform
JP3795323B2 (ja) 2000-12-05 2006-07-12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異物検出方法
US20030043449A1 (en) * 2001-09-03 2003-03-06 Ngk Insulators,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I112415B (fi) 2001-11-28 2003-11-28 Nokia Oyj Pietsosähköinen käyttöliittymä
KR100461640B1 (ko) 2001-12-19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TWI238348B (en)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JP3610495B2 (ja) 2002-07-19 2005-01-12 オリオン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部品のハンダ付け構造
US6954987B2 (en) 2003-05-22 2005-10-18 Powerwave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terconnecting a circuit board to a substrate
US7155317B1 (en) 2004-08-20 2006-12-26 Nhan Tran Occupant Counter Control Switch for automatic turning on and off electrical appliances in a room
US7488919B2 (en) 2004-09-01 2009-02-10 Western Industries, Inc. Warming apparatus
US7911321B2 (en) 2004-10-26 2011-03-22 Adac Plastics, Inc. Keyless entry system incorporating concealable keypad
DE112005003178T5 (de) 2004-12-17 2008-02-14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Canton Berührungs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KR100656400B1 (ko) 2005-01-04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보호구조
KR100578400B1 (ko) 2005-01-04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컨트롤 패널
KR101134301B1 (ko) 2005-02-28 2012-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EP1864362A1 (en) 2005-03-09 2007-12-12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Enclosure system for underground utility connections
JP2006250485A (ja)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の扉装置
US7255466B2 (en) 2005-05-17 2007-08-14 Lear Corporation Illuminated keyless entry control device
KR100634365B1 (ko) 2005-08-11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L1760886T3 (pl) 2005-08-19 2011-09-30 Ego Control Systems Gmbh Urządzenie czujnikowe
JP2007073834A (ja) 2005-09-08 2007-03-22 Shinko Electric Ind Co Ltd 絶縁樹脂層上の配線形成方法
JP2007100995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つき加熱装置
US7543453B2 (en) 2005-12-09 2009-06-09 Whirlpool Corporation Measured fil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663866B1 (ko) 2006-01-03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결합구조
US7208960B1 (en) 2006-02-10 2007-04-24 Milliken & Company Printed capacitive sensor
NL2000026C2 (nl) 2006-03-14 2007-09-21 Switch B V D Verbeterde piezo-elektrische schakelaar.
US8089473B2 (en) 2006-04-20 2012-01-0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Touch sensor
EP2043715A1 (de) 2006-07-24 2009-04-08 Wolfgang Herrmann Dosierungssystem für ozon oder ozon-/sauerstoffgemisch
US7573701B2 (en) 2006-08-30 2009-08-11 U-Lin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mount with switch support and light guide
KR100756451B1 (ko) 2006-09-15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모드 제어방법
US8245522B2 (en) 2006-10-25 2012-08-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for refrigerator
US7989725B2 (en) 2006-10-30 2011-08-02 Ink-Logix, Llc Proximity sensor for a vehicle
CN101535748B (zh) 2006-12-06 2013-03-20 Lg电子株式会社 冰箱用显示装置以及冰箱用显示装置的输入装置
KR20080056559A (ko)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그리고 이의명령 입력방법
KR100881186B1 (ko) 2007-01-04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6342B1 (ko) 2007-01-22 2008-10-31 (주) 코콤 터치 센서 모듈
US20080196945A1 (en) 2007-02-21 2008-08-21 Jason Konstas Preventing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sensor element of a sensing device
WO2008131305A1 (en) 2007-04-20 2008-10-30 Ink-Logix, Llc In-molded capacitive switch
EP2048781B1 (en) 2007-10-08 2018-06-13 Whirlpool Corporation Touch switch for electrical appliances and electrical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DE102007050654B4 (de) 2007-10-24 2015-06-18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DE102007054778A1 (de) 2007-11-16 2009-05-20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Druckschalter
KR101043527B1 (ko) * 2007-12-05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지문 코팅층을 갖는 가전제품의 스테인리스 스틸 외부 케이스
KR101346502B1 (ko)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KR101437984B1 (ko) 2008-03-0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20090127580A (ko) 2008-06-09 2009-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제품
US20090322700A1 (en) 2008-06-30 2009-12-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wo simultaneous touches and gestures on a resistive touchscreen
DE102008033369A1 (de) 2008-07-08 2010-01-14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nd Auswerteverfahren für diese Bedieneinrichtung
FR2934921B1 (fr) 2008-08-05 2010-09-24 Stantum Capteur tactile multicontacts a moyens d'espacement de taille et impedance variables
US8648832B2 (en) 2008-09-25 2014-02-11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CN101738051B (zh) 2008-11-27 2012-10-3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电冰箱
CN101741371B (zh) 2008-11-27 2012-03-21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触摸开关
DE102008062216B4 (de) 2008-12-13 2010-09-23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Druckschalter
US8384679B2 (en) 2008-12-23 2013-02-26 Todd Robert Paleczny Piezoelectric actuator arrangement
EP2202619A1 (en) 2008-12-23 2010-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ctile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E102009010952A1 (de) * 2009-02-27 2010-09-09 Schott Ag Beschichtung für den Anzeigebereich von Glas- oder Glaskeramik-Scheib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eschicht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09001412B4 (de) 2009-03-09 2018-10-11 Volkswagen Ag Kapazitives Anzeige- und Bedienelement
JP2010230226A (ja) 2009-03-26 2010-10-14 Haier Sanyo Electric Co Ltd 温度表示器及び温度表示器を備えた冷却貯蔵庫
JP5584433B2 (ja) 2009-06-17 2014-09-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DE102009033538A1 (de) 2009-07-09 2011-01-13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KR101635570B1 (ko) 2009-07-21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1537616B1 (ko) 2009-07-22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조작버튼패널의 제작방법
KR20110015745A (ko) 2009-08-10 201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감도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11048696A (ja)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入力装置
US9543948B2 (en) 2009-09-01 2017-01-1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Physical force capacitive touch sensors
JP5282904B2 (ja) 2009-10-22 2013-09-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JP5347913B2 (ja) 2009-11-06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電子機器、及び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CA2724487A1 (en) 2009-12-08 2011-06-08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JP5309398B2 (ja) 2010-04-01 2013-10-09 株式会社ソフイア 遊技機
KR20110111192A (ko)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에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8860686B2 (en) 2010-04-30 2014-10-14 Atmel Corporation Multi-chip touch screens
JP5595128B2 (ja) * 2010-06-08 2014-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3530398A (ja) 2010-06-15 2013-07-25 アイト 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少なくとも1つの人間の指の表面上での存在を検出する検出装置、及び機械、装置(特に携帯装置)又はシステム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内において当該検出装置を使用する方法
JP5667805B2 (ja) 2010-07-14 2015-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8320131B2 (en) 2010-08-11 2012-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ctua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20026870A (ko) 2010-09-10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
EP2614308B1 (de) 2010-09-10 2018-04-04 BSH Hausgeräte GmbH Hausgerätebedienvorrichtung
DE102010045149A1 (de) * 2010-09-11 2012-03-15 Bayer Material Science Ag Beschichtung auf Polyurethanbasis für Anzeigebereiche
JP2012098828A (ja) 2010-10-29 2012-05-24 Minebea Co Ltd 電子機器の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KR101360885B1 (ko) 2010-11-10 2014-02-13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광확산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KR101131288B1 (ko) 2010-12-06 2012-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2124452A (ja) 2010-12-06 2012-06-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16207A (ko)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20274602A1 (en) 2011-04-29 2012-11-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Wiring and periphery for integrated capacitive touch devices
JP2013025503A (ja) 2011-07-19 2013-02-04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784429B2 (ja) 2011-09-07 2015-09-2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996174B2 (ja) 2011-09-27 2016-09-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1360116B1 (ko) 2011-10-13 2014-02-07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터치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터치 패널
CN202582565U (zh) 2012-01-21 2012-12-05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压电传感器、应用该压电传感器的触控组件及移动终端
JP5866230B2 (ja) 2012-03-05 2016-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20130229359A1 (en) 2012-03-05 2013-09-05 Shun On Electronic Co., Ltd. Electronic apparatus
JP2014031958A (ja) 2012-08-03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表示装置
JP2014031978A (ja) 2012-08-06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操作表示装置
JP6038543B2 (ja) 2012-08-21 2016-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4781623B (zh) 2012-08-28 2017-02-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JP5992782B2 (ja) 2012-09-12 2016-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1999264B1 (ko) 2012-10-10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971757B2 (ja) 2012-10-19 2016-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9240162B2 (en) * 2012-12-31 2016-01-19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988880B2 (ja) 2013-01-15 2016-09-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8841957B2 (en) 2013-01-23 2014-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panel of the same
EP2770638A1 (en) 2013-02-20 2014-08-27 Aito Interactive Oy Piezoelectric sensor, and an electrical appliance, an installation or a gadget compris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sensor
JP6168470B2 (ja) 2013-03-29 2017-07-26 Toto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
US8960934B2 (en) *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48628B2 (en) 2013-05-15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lized key-click feedback
JP6373653B2 (ja) 2013-06-25 2018-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9207802B2 (en) 2013-07-01 2015-12-08 Atmel Korea Llc Suppression of unintended touch objects
JP5681824B1 (ja) 2013-10-01 2015-03-11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81800A (ko)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106028891B (zh) 2014-02-27 2019-07-19 三菱电机株式会社 干手装置
KR101954749B1 (ko)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975345B1 (en) *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5577156B (zh) 2014-10-09 2020-08-25 E.G.O.电气设备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电气设备的操作控制单元以及电气设备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EP3696485A1 (en) 2014-11-07 2020-08-19 LG Electronics Inc.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US10641542B2 (en) * 2015-09-25 2020-05-05 Lg Electronics Inc.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147609B1 (en) * 2015-09-25 2023-07-26 Lg Electronics Inc. A refrigerator doo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564B1 (ko) * 2006-11-18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플레이부
KR2010005019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32463B1 (ko) * 2009-02-20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20140121753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776A (zh) * 2017-03-16 2017-08-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KR20190066738A (ko) * 2017-12-06 2019-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922B1 (ko) 2016-10-24
US10006625B2 (en) 2018-06-26
CN105737488A (zh) 2016-07-06
US20180231236A1 (en) 2018-08-16
EP3037759B1 (en) 2018-10-10
EP3037759A1 (en) 2016-06-29
CN105737488B (zh) 2018-11-27
US20200232637A1 (en) 2020-07-23
US20160186985A1 (en) 2016-06-30
US11131453B2 (en) 2021-09-28
US20190285268A1 (en) 2019-09-19
US10655840B2 (en) 2020-05-19
US10352552B2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922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77334B1 (ko)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639522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CN108139141B (zh) 用于家电的外部部件及其制造方法
KR10177003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2017003746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20210005987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KR20180013125A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