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370A -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 Google Patents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370A
KR20160076370A KR1020140186487A KR20140186487A KR20160076370A KR 20160076370 A KR20160076370 A KR 20160076370A KR 1020140186487 A KR1020140186487 A KR 1020140186487A KR 20140186487 A KR20140186487 A KR 20140186487A KR 20160076370 A KR20160076370 A KR 2016007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source
shutter
evaporation
lid
deposi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477B1 (ko
Inventor
김윤호
최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8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4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15Means for 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in-situ coating
    • H01L2224/7518Means for blanket deposition
    • H01L2224/75187Means for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착장치의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는 증발원 셔터로서,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증발원 상단에 대향하여 상기 증발원 상단을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중공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받이부와; 상기 덮개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증발원의 상단에 위치한 셔터의 안쪽 면에 증발입자가 응축 또는 응고되어 진공챔버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Shutter of effusion cell and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발원 셔터 또는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원의 상단에 위치한 셔터에 응축 또는 응고되어 있는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진공챔버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원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를 제공한다.
유기 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에 빛을 가하기 위한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이고 박형의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층인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등이 유기 박막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유기 박막은 진공열증착방법으로 기판 상에 증착된다.
진공열증착방법은 진공챔버 내에 기판을 배치하고, 일정 패턴이 형성된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기판에 정렬시킨 후, 증발물질이 담겨 있는 증발원에 열을 가하여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형성된 증발입자를 기판 상에 증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증발원은 증발입자의 증발량이 균일하게 분출될 때까지 가열된 상태에서 증발입자를 분출하여 기판에 증착시킨다. 즉, 증발입자를 균일하게 증발시키기 위하여 증발원은 예열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증발원을 예열하는 과정에서 증발된 일부의 증발입자가 기판 상에 비균일하게 증착되어, 증착 균일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증발원의 상단을 커버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하여, 증발원 예열 시 증발입자가 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증발원 예열 시 증발원의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형성되는 증발입자가 셔터에 응축 또는 응고되어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생성되고, 생성된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셔터에서 진공챔버의 내부로 낙하하여 증발원 주변 또는 진공챔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600호 (2014.03.31 공개)
본 발명은, 증발원의 상단에 위치한 셔터에 응축 또는 응고되어 있는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진공챔버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원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착장치의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는 증발원 셔터로서,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증발원 상단에 대향하여 상기 증발원 상단을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중공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받이부와; 상기 덮개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발원 셔터가 제공된다.
상기 덮개의 중공부는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이부는, 상기 메쉬의 외주를 지지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부재에는 상기 링부재의 외주를 따라 채널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장치로서, 상기 기판이 내부에 안착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기판에 대항하도록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원과; 상기 증발원의 상단을 개폐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발원 셔터를 포함하는, 증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원의 상단에 위치한 셔터에 응축 또는 응고되어 있는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진공챔버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증발물질의 잔류물에 의해 증발원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증발원(10), 증발원 셔터(12), 덮개(14), 메쉬(16), 받이부(18), 구동부(20), 링부재(22), 채널홈(24), 기판(26), 진공챔버(28)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12)를 포함하는 증착장치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12)를 포함하는 증착장치는, 기판(26)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장치로서, 상기 기판(26)이 내부에 안착되는 진공챔버(28)와; 상기 기판(26)에 대항하도록 상기 진공챔버(28)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원(10)과; 상기 증발원(10)의 상단을 개폐하는 증발원 셔터(12)를 포함한다.
진공챔버(28)의 내부에는 증착공간이 마련된다. 증착공간은 증착공간에 로딩되는 기판(26)에 대해 증발입자의 증착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진공 펌프(미도시)에 의하여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증발원(10)은, 기판(26)에 대향하여 증착공간에 배치되며, 기판(26)을 향하여 증발입자가 분사된다. 증발원(10)의 내부에는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증발물질은 가열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입자로 증발되고, 증발된 증발입자가 증발원(10)의 상단으로 분사되어 기판(26)상에 증착된다.
증발원 셔터(12)는, 증발원(10)의 예열 시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기판(26)상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증발원(1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증발원(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12)의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 셔터(12)는, 증착장치의 증발원(10) 상단을 개폐하는 증발원 셔터(12)로서,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증발원(10) 상단에 대향하여 상기 증발원(10) 상단을 커버하는 덮개(14)와; 상기 중공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16)(mesh)를 포함하는 받이부(18)와; 상기 덮개(14)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원(10) 상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0)를 포함하여, 증발원(10)의 상단에 위치한 셔터의 안쪽 면에 증발입자가 응축 또는 응고되어 진공챔버(28)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14)에는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증발원(10)의 상단에서 배출되는 증발입자가 기판(26)상으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증발원(1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덮개(14)는 후술할 구동부(20)에 의해 증발원(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덮개(14)에는 증발원(10)의 상단에 대향하여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증발원(10)의 상단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가 중공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증발입자가 기판(26)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가 돔 형상을 이루는 덮개(14)를 사용하여 중공부의 내벽에 부착되는 증발입자가 액상으로 변경되더라도 돔 형상의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개방된 덮개(14)의 일단이 증발원(10)의 상단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 액상으로 상변화된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증발원(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14)의 중공부를 돔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받이부(18)는, 중공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16)(mesh)를 포함한다. 받이부(18)는, 증발원(10)에서 분출되어 덮개(14)의 중공부에 도달하여 덮개(14)의 중공부의 내벽에 응축 또는 응고된 증발물질이 증발원(10)이나 진공챔버(28)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이부(18)는 증발원(10)에서 분출되는 기체 상태의 증발입자가 통과하고, 기체 상태의 증발입자가 중공부의 내벽에서 응축 또는 응고되어 형성된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통과할 수 없도록 촘촘한 그물망 형상의 메쉬(16)를 포함한다.
즉, 중공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16)는, 증발원(10)에서 배출된 증발입자가 덮개(14)의 중공부 내벽에 응축 또는 응고되어 형성된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진공챔버(28)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챔버(28)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받이부(18)는, 메쉬(16)의 외주를 지지하며 중공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링부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22)는 메쉬(16)의 외측단을 지지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부의 내벽에 링부재(22)의 외주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부재(22)의 내주에는 내주를 따라 환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에는 메쉬(16)의 외측단이 삽입되면서 링부재(22)가 메쉬(16)를 지지하는 형태를 제시한다.
그리고, 링부재(22)에는 링부재(22)의 외주를 따라 채널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증발원(10)에서 배출된 증발입자가 중공부의 내벽에 응축되면서 생성되는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는데, 이러한 증발물질의 잔류물이 중공부의 내벽에 부착되는 링부재(22)의 채널홈(24)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증발원(10)이나 진공챔버(28)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널홈(24)은 링부재(22)의 상단에 외주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하거나, 링부재(22)의 외측상단에 단턱을 형성하여 중공부의 내벽면과 함께 홈 형태의 채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널홈(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2)의 외측 상단에 외주를 따라 ‘ㄴ’형상의 단턱을 형성하여 중공부의 내벽면과 함께 채널홈(2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구동부(20)는, 상술한 덮개(14)에 결합되며, 덮개(14)가 증발원(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덮개(14)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는 구동부(20)가 덮개(14)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14)가 증발원(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하였다. 구동부(20)에 의해 덮개(14)가 증발원(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방법 등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증발원 12: 증발원 셔터
14: 덮개 16: 메쉬
18: 받이부 20: 구동부
22: 링부재 24: 채널홈
26: 기판 28: 진공챔버

Claims (5)

  1. 증착장치의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는 증발원 셔터로서,
    일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증발원 상단에 대향하여 상기 증발원 상단을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중공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mesh)를 포함하는 받이부와;
    상기 덮개에 결합되며, 상기 증발원 상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발원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중공부는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메쉬의 외주를 지지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에는 상기 링부재의 외주를 따라 채널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셔터.
  5. 기판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장치로서,
    상기 기판이 내부에 안착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기판에 대항하도록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원과;
    상기 증발원의 상단을 개폐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발원 셔터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20140186487A 2014-12-22 2014-12-22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KR10164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87A KR101644477B1 (ko) 2014-12-22 2014-12-22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87A KR101644477B1 (ko) 2014-12-22 2014-12-22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70A true KR20160076370A (ko) 2016-06-30
KR101644477B1 KR101644477B1 (ko) 2016-08-01

Family

ID=5635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87A KR101644477B1 (ko) 2014-12-22 2014-12-22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066A (ja) * 2007-03-12 2008-09-25 Seiko Epson Corp 蒸着装置
KR20100118849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증착 장치
KR20140038600A (ko) 2012-09-20 2014-03-31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박막 증착 챔버,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066A (ja) * 2007-03-12 2008-09-25 Seiko Epson Corp 蒸着装置
KR20100118849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증착 장치
KR20140038600A (ko) 2012-09-20 2014-03-31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박막 증착 챔버,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477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217B1 (ko)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진공증착기
JP5282038B2 (ja) 蒸着装置
JP5008624B2 (ja) 成膜方法、蒸着装置
CN101622372B (zh) 蒸镀源、蒸镀装置、有机薄膜的成膜方法
US9909205B2 (en)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device production method
JP2011127217A (ja) 線形蒸発源及びそれを用いた蒸着装置
CN109200736B (zh) 冷凝板、真空干燥设备以及真空干燥方法
JP2006200040A (ja) 加熱容器支持台及びそれを備えた蒸着装置
KR101660393B1 (ko)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KR101449601B1 (ko) 증착 장치
KR101644477B1 (ko) 증발원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JP6352599B2 (ja) 蒸着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蒸着量測定方法
KR101629463B1 (ko) 증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장치
KR102218677B1 (ko) 증착원
KR102141853B1 (ko) 다중 증착 장치
KR20150021345A (ko) 증착 장치
KR100829736B1 (ko) 진공 증착장치의 가열용기
KR100696531B1 (ko) 가열용기와 이를 이용한 증착장치
KR20220052190A (ko) 점 증발원용 도가니 및 점 증발원
KR20210135826A (ko) 증발원의 셔터 장치
KR20170057646A (ko) 각도제한판을 갖는 증착장치
KR100611674B1 (ko) 증착장치
KR101809532B1 (ko) 유기물 증착장치
KR20200114889A (ko) 증발원
KR20060101081A (ko) 증착소스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