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803A -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 Google Patents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803A
KR20160075803A KR1020167015586A KR20167015586A KR20160075803A KR 20160075803 A KR20160075803 A KR 20160075803A KR 1020167015586 A KR1020167015586 A KR 1020167015586A KR 20167015586 A KR20167015586 A KR 20167015586A KR 20160075803 A KR20160075803 A KR 2016007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ertical wall
convex
wall portion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210B1 (ko
Inventor
신노스케 니시지마
카츠히데 니시오
아키히로 안도
코우키 토미무라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7/00Making articl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agricultural tools, dinner forks, knives, spoons
    • B21H7/18Making articl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agricultural tools, dinner forks, knives, spoons grooved pins; Rolling grooves, e.g. oil grooves, in articles
    • B21H7/182Rolling annula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06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annul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4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with longitudinally split or divided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Metal Roll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조인트부의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전조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걸림 돌조를 갖는 관의 관끝끼리를, 하우징에 의해 고정시켜 이었을 때에,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한 조인트부 구조가 얻어지는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가공 관체의 내측에 위치시킨 볼록 롤러와, 상기 관체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사용하여, 걸림 돌조의 세로벽부를, 관축방향의 외주면에 대하여 65°이상 90°이하의 각도로 기립하도록 형성하고, 걸림 돌조의 외주면부터 꼭대기부의 불거진 끝까지의 높이가, 관체와 맞닿는 가공 수단의 면의 곡률 반경의 합계값 이상으로 형성하도록 전조 가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FORM ROLLING METHOD FOR FLUID DELIVERY PIPE JOINT SECTION AND FLUID DELIVERY PIPE}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 배관되어 소화 활동에 사용되는 연결 송수관, 상하수도 위생 배관 등의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에 배관되어 소화 활동에 사용되는 연결 송수관이나 상하수도 위생 배관 등의 유체 송급관은, 소정의 길이의 관체를 하우징형의 관 조인트에 의해 접속하여 부설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형의 관 조인트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형의 관 조인트(20)에 있어서, 하우징(23)으로부터 관체(2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관체(22)의 단부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의 걸림 돌조(21)를 형성하고, 당해 걸림 돌조(21)를 하우징(23)의 내주측 개구 가장자리(24)에 내측으로부터 걸어맞추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는, 관체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의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피가공 관체(22)의 내측에 위치시킨 성형 돌조(26)를 갖는 내측 볼록 롤러(25)와, 피가공 관체(22)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28)을 갖는 외측 오목 롤러(27)를, 피가공 관체(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관체의 단부의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전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29)을 갖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상기의 관체의 외주면에 전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걸림 돌조를 사용한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 구조는,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된 상기의 조인트 구조와 비교하여, 관체의 내경의 감소에 의한 유로 저항의 증대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3에는, 관체의 외주면에, 관체와는 별도의 부품인 고리 형상의 걸림 부재(30)를 용접부(31)에 의해 접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별도의 부품을 용접에 의해 송급관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용접 후의 송급관에 스퍼터 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액 누출이나 시일 부재가 손상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용접 품질의 관리도 필요하게 된다. 그 점에서,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관체의 외주면에 전조 방법에 의해 형성한 걸림 돌조를 사용한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 구조는,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피가공 관체의 관끝을 전조 가공하는 것만으로 걸림 돌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걸림 돌조의 형성이 용이하고, 또한 비용 면에서도 유리한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8052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4774325호 특허문헌 3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1690호
그런데, 오늘날, 대지진에 대한 안전한 라이프 라인의 구축과, 환경 부하 저감을 향한 "수도 비전"의 시책이 전개되고 있어, 신뢰성·환경·내구성·라이프 사이클 코스트가 우수한 수도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신뢰성·내구성이 우수한 수도관으로서, 관 조인트로부터 관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한 조인트부 구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가공된 걸림 돌조는, 반드시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조 방법을 이용하여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형성한 경우, 걸림 돌조의 단면 형상은, 관체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기부(基部)로부터 기립하고, 꼭대기부(頂部)를 형성하여 하강하고, 다시 관체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단면 형상의 걸림 돌조가 형성된 조인트부를 갖는 유체 송급관은, 하우징과 조합되어 고정된다. 걸림 돌조에 접촉하는 하우징의 면은, 대략 네모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2개의 조인트부의 걸림 돌조를 하우징으로 고정시키고, 관축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걸었을 때, 하우징과 걸림 돌조의 양자가 맞닿는 관계는, 대략 선접촉 상태로, 걸림 돌조의 맞닿음면에 부가되는 단위 면적당의 하중(면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걸림 돌조의 변형이 유발된다. 이 변형에 의해, 걸림 돌조는,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가 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맞닿는 관계는, 접촉각 α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걸린 인장 하중 F는, 관축방향 외에 관벽을 따른 하향 방향으로도 분력이 F·sinα로서 발생한다. 이러한 하향 성분의 분력은, 하우징이 걸림 돌조를 관 내측으로 밀어넣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걸림 돌조가 관체와 동일한 정도로 변형되는 성질을 갖는 경우에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돌조 자체가 관체와 함께 변형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하향 방향으로 발생한 힘의 반력은, 하우징을 외경 방향으로 팽창시키게 되기도 하므로, 탈관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 때문에, 조인트부에 있어서의 발출 저지력, 즉, 탈관 저지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전조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전조법에 의해 형성된 걸림 돌조를 갖는 관의 관끝끼리를, 하우징에 의해 고정시켜 이었을 때에,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한 조인트부 구조가 얻어지는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조인트부 구조를 가짐으로써,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한 유체 송급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가공 관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걸림 돌조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만곡 형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세로벽부와, 상기 세로벽부로부터 연장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된 꼭대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조를, 상기 관체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시킨 가공 수단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세로벽부를, 관축방향의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65°이상 90°이하의 각도로 기립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조의 상기 외주면부터 상기 꼭대기부의 불거진 끝까지의 높이가, 상기 관체와 맞닿는 상기 내측 및 외측에 위치시킨 가공 수단의 면의 곡률 반경의 합계값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1)를 형성하는 가공 수단으로서, 피가공 관체(2)의 내측에 위치시킨 볼록 롤러(10)와, 상기 관체(2)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을 갖는 오목 롤러(11)를 사용하여, 상기 관체의 외주면(3)에 대하여, 세로벽부(6)를 갖는 걸림 돌조(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2)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시킨 가공 수단(10, 11)은, 관체에 맞닿는 면에 소정의 곡률 반경 RI, RU를 갖고 있다. 이들 곡률 반경의 합계값 이상의 볼록 높이(9)의 볼록 형상이 되도록, 관체의 외주면(3)에 대하여 전조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관축방향의 외주면(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립하는 세로벽부(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전조 가공을 실시한 후의 걸림 돌조(4)는, 관체(2)의 외주면(3)으로부터 연장된 만곡 형상의 기부(5)와, 기부(5)로부터 연장된 세로벽부(6)와, 세로벽부(6)로부터 연장된 만곡부(7)와, 만곡부(7)로부터 연장된 꼭대기부(8)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세로벽부(6)는, 관축방향의 외주면(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립한 형상을 갖고 있다. 걸림 돌조(4)는, 주로 세로벽부(6)가 하우징과 맞닿아 걸림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여기서, 당해 볼록 높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 관체(2)의 외주면(3)부터 걸림 돌조(4)의 꼭대기부(8)의 불거진 끝까지의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당해 볼록 높이가 상기 곡률 반경보다 작으면, 전조 가공에 의해 걸림 돌조에 형성되는 볼록 형상은, 그 상당부분이 기부(5)와 꼭대기부(8)에 이르기까지의 만곡부(7)로 점유되어, 세로벽부(6)의 비율이 적으므로, 충분한 걸림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한편, 볼록 높이를 과도하게 크게 형성하면, 걸림 돌조에 있어서의 판 두께가 감소하는 비율이 커져, 판 두께가 얇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기부에 있어서, 그 경향이 현저하다. 그 때문에, 걸림 돌조는, 인장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이 저하되어, 변형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로벽부가 기립하는 각도는, 65°이상 90°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각도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의 조인트부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 관체(2)의 외주면(3)을 연장한 기준선(19b)과 세로벽부(6)의 외면을 연장한 직선(19c)이 교차하는 교점에서의 각도에 있어서, 걸림 돌조의 내방으로 연장된 외주면의 상기 기준선부터 세로벽부의 상기 직선까지의 각도(19a)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6의 (a)는, 세로벽부(6)가 외주면(3)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수직으로 연장된 예이다. 도 6의 (b)는, 90°미만의 각도로 연장된 예이다.
세로벽부가 65°이상의 각도이도록 형성하면, 그것이 형성될 때에 큰 가공도가 부여되어, 충분한 가공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림 돌조는, 관체의 본체와 비교하여 높은 경도가 부여된다. 하우징에 고정된 조인트부를 사용할 때는, 관축방향의 인장 하중이 부가되어, 걸림 돌조가 변형되어,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가 되고, 면압이 저감된다. 또한, 관체와 비교하여 높은 경도를 갖는 걸림 돌조는, 관체와 비교하여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하우징이 걸림 돌조를 관 내측으로 밀어넣는 하향의 힘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다. 또한, 당해 각도가 클수록, 하우징으로부터 받는 하향 성분의 분력의 비율이 저감된다. 그 때문에, 인장 하중에 대한 관의 발출 저지성이 향상된다. 그 반면, 당해 각도가 작으면, 걸림 돌조는, 높은 경도를 갖지 않으므로, 하우징이 걸림 돌조에 작용하는 상기의 하향의 힘에 대하여, 관체와 동일한 정도로 변형되어, 관의 발출 저지성이 저하된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각도는, 65°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상, 혹은 80°이상이다. 각도가 클수록, 하우징으로부터 받는 하향 성분의 분력이 저감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각도 90°와 같은 수직으로 기립하는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는, 큰 가공도가 부여되어 높은 경도가 얻어진다. 또한,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걸림 돌조의 경도는, 관체 소재의 경도의 약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2.0배 이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볼록 롤러와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보다 작은 가공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체를 가공하여, 세로벽부가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걸림 돌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롤러(10)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을 갖는 오목 롤러(11)를 피가공 관체(2)의 외주면(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공함으로써, 걸림 돌조(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2)는, 볼록 롤러(10)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에 의해, 바싹 당겨져 판 두께가 감소하도록 변형되어, 관축방향의 외주면(3)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한 세로벽부(6)를 갖는 걸림 돌조가 형성된다. 걸림 돌조(4)는, 큰 가공도가 부여되어, 가공 경화에 의해 경도가 증대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볼록 롤러(10)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가공 수단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주면에 볼록부(돌출부)(4')를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를 걸림 돌조(4)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해 볼록부의 세로벽부의 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을 피가공 관체(2)의 관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를 볼록 롤러(10)에 밀어붙여, 당해 각도를 크게 한 걸림 돌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로벽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볼록부의 볼록 높이가, 내측에 위치하는 볼록 롤러의 선단에 부여된 RI와, 외측에 위치하는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선단면과 내측 세로벽면의 교차부에 부여된 RU의 합계값 이상이 되도록 볼록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의 오목 롤러의 대용으로서,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갖는 링(13)을 피가공 관체(2)의 외주면(3)에 장착하고, 내측의 볼록 롤러(10)를 상기 관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조 가공함으로써 걸림 돌조(4)를 형성해도 된다.
즉, 걸림 돌조는, 상기 관체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과, 내측에 위치시킨 볼록 롤러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관체에 대하여 걸림 돌조를 형성할 때에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전조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볼록 롤러(10)는, 그 선단면(15)과 세로벽면(16)의 교차부에 있어서 곡률 반경 RI의 만곡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은, 그 선단면(17)과 내측 세로벽면(18)의 교차부에 있어서 곡률 반경 Ru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조 가공 방법은, 큰 가공도를 부여하여, 높은 경도의 걸림 돌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에 큰 인장 하중이 부가되어도, 걸림 돌조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관의 발출 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돌조는, 이 걸림 돌조를 형성한 관끝끼리를, 하우징에 의해 고정시켜 이은 경우, 관축방향으로 인장 하중이 부가되면 적당히 변형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송급관에 형성된 걸림 돌조의 세로벽면과 하우징의 내벽면이 면접촉한 조인트부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걸림 돌조와 하우징의 쌍방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고, 그만큼, 단위 면적당에 걸리는 하중이 저감된다. 또한, 관축방향으로 인장의 힘이 작용해도, 하향 성분의 분력이 발생하는 비율이 저감된다. 그 결과, 하우징으로부터의 발출 저지성이 향상된다. 특히, 각도가 90°의 수직으로 기립하는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는, 면접촉하는 면적이 크고, 또한, 하향 성분의 분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탈관 저지 성능이 우수한 조인트부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조 가공 방법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관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세로벽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과의 사이에서 양호한 접촉 상태를 갖는 걸림 돌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송급관은, 걸림 돌조의 세로벽부가, 관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65°이상 90°이하의 각도로 기립해 있고, 관체 소재의 경도의 1.2배 이상의 경도를 갖는 조인트부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관축방향의 인장 하중에 대하여 면접촉 상태가 되어,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탈관 저지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관하여,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사용하여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관하여,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보다 작은 가공 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관하여,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가공 수단을 사용하여,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관하여,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가공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된 볼록부에 세로벽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관하여,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갖는 링을 사용하여,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관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립한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걸림 돌조를 사용한 조인트부의 발출 저지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도 시험의 측정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걸림 돌조를 사용한 하우징형의 관 조인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전조 방법으로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관체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 홈을 형성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관체의 외주면에 고리 형상의 걸림 부재를 용접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반적인 걸림 돌조를 사용한 조인트부의 문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조 방법으로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형성한 관체의 관끝끼리를, 하우징에 의해 고정시킨 조인트부를 형성하여 유체 송급관으로서 사용할 때, 조인트부에 있어서의 탈관 저지 성능의 향상책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해 왔다.
그 과정에서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이하에 그 상세를, 검토 과정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조인트부의 내진 성능((재)국토개발기술센터 「지하 매설 관로 내진 규준(안)」(1977))의 일부에, 조인트부의 발출 저지력, 즉, 관축방향의 인장강도 F(kN) ≥ 호칭 지름 × 3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칭 지름 80(외경이 90mm, 판 두께 3mm)의 강관의 경우, 240kN 이상의 관축방향의 인장 강도가 요구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우징과 걸림 돌조의 접촉 상태를, 선접촉에서 면접촉으로 변경함으로써, 탈관 저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상정하였다.
이에, 가장 먼저,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기립하는 수직의 세로벽면을 갖는 걸림 돌조의 전조 가공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세로벽면을 갖는 단면 형상의 걸림 돌조를 갖는 관체의 단부에, 하우징을 씌워 고정시키고, 그 조인트부에 관축방향의 인장 하중이 걸렸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과 걸림 돌조 사이의 맞닿음 관계는 면접촉 상태가 되어, 면압이 낮아 걸림 돌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 하중은 관축방향으로만 작용한다. 그 결과, 관체끼리의 높은 체결성이 발휘되어 탈관 저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관체의 외주면에, 세로벽면을 갖는 단면 형상의 걸림 돌조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전조법에 의한 걸림 돌조의 형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 관체(2)의 내측에 위치시킨 볼록 롤러(10)와, 피가공 관체(2)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을, 피가공 관체(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의 내벽폭을 WU, 볼록 롤러(10)의 폭을 WI로 하였을 때, 양자의 클리어런스 = (WU - WI) / 2가 피가공 관체(2)의 초기 판 두께보다 작은 경우, 피가공 관체(2)가 롤러 사이에서 바싹 당겨져 변형된다. 그 때문에, 그 변형 부위에는, 관체의 외주면(3)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기립하는 수직의 세로벽부(6)가 형성되게 된다. 이 세로벽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볼록 롤러(10)의 선단면(16)과 세로벽면(16)의 교차부에 부여된 RI와 오목 롤러(11)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의 선단면(17)과 내측 세로벽면(18)의 교차부에 부여된 RU의 합계값 이상의 볼록 높이(9)로 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아이어닝 가공이 실시되면, 변형 부위에 있어서 큰 가공도가 부여되어, 가공 경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 후의 걸림 돌조는, 높은 경도를 갖고, 인장 하중에 대한 변형이 억제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단, 당해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커지면, 판 두께 감소되는 비율이 과도하게 커져, 판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인장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리어런스를 판 두께 이상으로 제조하는 경우를 검토하였다. 이 경우에는, 피가공 관체의 관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기립하는 세로벽부가 형성된다. 이 세로벽부를 각도 90°의 수직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조 가공을 행하여 볼록부(돌출부)(4')를 형성한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고리 형상 홈(12)을 관축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볼록부(4')를 볼록 롤러(10)에 밀어붙임으로써, 세로벽부(6)의 상기 각도(19)가 커지도록 성형하여, 수직의 세로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 롤러에 밀어붙이는 것에 의한 가공은, 성형 부위에 있어서 큰 가공도를 부여하여, 가공 경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 후의 걸림 돌조는, 높은 경도를 갖고, 인장 하중에 대한 관의 발출 저지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은, 세로벽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 돌조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90°미만의 각도로 형성된 세로벽부를 갖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높은 경도를 갖고, 인장 하중에 대한 관의 발출 저지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65°이상의 각도로 형성된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가 양호하였다.
또한, 90°미만의 각도로 연장된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라도, 그 걸림 돌조를 구비한 조인트부에 인장 하중이 부가되면, 당해 걸림 돌조는, 하우징에 접촉한 지점에서 변형되어, 하우징 내벽과 면접촉 상태가 되므로, 면압이 저하되어, 양호한 발출 저지성이 얻어진다.
상기 볼록부의 볼록 높이(9)는, 적어도 상기 RI와 상기 RU의 합계값 이상일 필요가 있다. 단, 상기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커지면, 판 두께 감소하는 비율이 커져, 판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인장 하중에 대한 변형 저항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소재의 관체로는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수관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면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이 우수한 강관으로는, 내식성이 우수한 도금 강관이 바람직하다. 도금 강관 중에서도, 내식성이 양호한 Zn-Al-Mg계 합금 도금이 실시된 강관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식성의 향상을 바란다면, 예를 들어 SUS304계 등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관으로서 판 두께 3mm 정도인 것을 사용하면, 상기한 조인트부의 내진 성능을 충분히 클리어한 조인트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기체 등의 유체의 송급에 사용되는 유체 송급관에 적용할 수 있다. 관끝끼리가 하우징으로 고정 접속된 관의 조인트부이면 되고, 예를 들어, 물의 송급관의 조인트부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관체 소재로서, 호칭 지름 80(외경 90mm, 판 두께 3mm)의 SUS304 강관을 사용하여,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3mm)보다 작은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볼록 롤러(10)로서, 외경 80mm, WI 5.0mm, RI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와, 오목 롤러(11)로서, 외경 117mm, 홈 깊이 17mm, WU 9.0mm, RU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를 사용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2.0mm로, 판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고, 이 조건으로, 볼록 높이(9)가 약 3.5∼12.0mm인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볼록 롤러(10)로서, 외경 80mm, WI 5.0mm, RI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와, 오목 롤러(11)로서, 외경 117mm, 홈 깊이 17mm, WU 13.0mm, RU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를 사용하였다. 또한 관체의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전조 가공을 행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판 두께보다 큰 4.0mm였다.
이 조건으로, 볼록 롤러의 선단에 부여된 RI와 오목 롤러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선단면과 내측 세로벽면의 교차부에 부여된 RU의 합계값(5.0mm)보다 작은 볼록 높이인 약 4.0mm 및 합계값 이상의 볼록 높이인 약 6.0mm, 약 12.0mm, 약 15.0mm의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제조예 2)
관체 소재로서, 호칭 지름 150(외경 165mm, 판 두께 3.5mm)의 SUS304 강관을 사용하여,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3.5mm)보다 작은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볼록 롤러로서, 외경 110mm, WI 6.0mm, RI 3.0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와, 오목 롤러로서, 외경 117mm, 홈 깊이 17mm, WU 10.0mm, RU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를 사용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2.0mm이다. 이 조건으로, 볼록 높이가 약 4.0∼18.0mm인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볼록 롤러로서, 외경 110mm, WI 6.0mm, RI 3.0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와, 오목 롤러로서, 외경 117mm, 홈 깊이 17mm, WU 18.0mm, RU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를 사용하였다. 또한 관체의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전조 가공을 행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판 두께보다 큰 6.0mm였다.
이 조건으로, 볼록 롤러의 RI와 오목 롤러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RU의 합계값(5.5mm)보다 작은 볼록 높이인 약 4.0mm 및 합계값 이상의 볼록 높이인 약 8.0mm의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제조예 3)
관체 소재로서, 호칭 지름 250(외경 267mm, 판 두께 4.0mm)의 SUS304 강관을 사용하여, 외주면에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4.0mm)보다 작은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볼록 롤러와 오목 롤러를 사용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2.0mm이다. 이 조건으로, 볼록 높이가 약 4.0∼20.0mm인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내측의 볼록 롤러와 외측의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조건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볼록 롤러로서, 외경 110mm, WI 6.0mm, RI 3.0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와, 오목 롤러로서, 외경 117mm, 홈 깊이 17mm, WU 20.0mm, RU 2.5mm의 치수를 갖는 전조 롤러를 사용하였다. 또한 관체의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전조 가공을 행하였다. 양자의 클리어런스는, 판 두께보다 큰 7.0mm였다.
이 조건으로, 볼록 롤러의 RI와 오목 롤러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RU의 합계값(5.5mm)보다 큰 약 9.0mm의 볼록 높이를 갖는 걸림 돌조를 형성하였다.
<평가 1> 단면 관찰
형성된 스테인리스강관의 전조 가공부를 피가공 관체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단면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걸림 돌조의 기부의 최소 판 두께와 세로벽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절단한 단면을 수지에 매립하고, 표면을 연마한 후, 측장(測長) 현미경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걸림 돌조의 세로벽부가 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레이저 변위계에 의해, 단면 형상을 측정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기준선과 볼록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 직선이 교차하는 교점에 있어서의 각도를 산출하였다.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판 두께보다 작은 조건으로 전조 가공한 경우,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걸림 돌조의 단면 형상은,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만곡 형상의 기부와, 관축방향의 외주면에 대하여 90°의 수직으로 연장된 세로벽부와, 그것에 이어서 형성된 만곡부와,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형태였다. 또한, 걸림 돌조의 각 부위의 판 두께는, 예를 들어, 제조예 1의 볼록 높이가 약 7.0mm인 시험예 4는, 기부에서 약 1.8mm로 감소되어 있었다. 기부의 판 두께 감소율은, 약 40%에 달하였다.
이와 같이, 관체의 판 두께보다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조합의 전조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외경 방향으로의 걸림 돌조의 돌출과 동시에, 측벽부가 아이어닝 가공을 수반하면서 판 두께가 감소하고, 수직으로 연장된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가 얻어졌다.
볼록 롤러와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가 판 두께 이상인 조건으로 전조 가공한 경우,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걸림 돌조의 단면 형상은, 볼록 높이의 정도에 따라,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축방향에 대하여 90°의 수직으로 연장된 세로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65°이상의 각도로 경사져 연장된 세로벽부를 포함하고 있다.
<평가 2> 관축방향의 인장 시험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시험체를 사용하여, 관축방향의 인장 시험을 행하고, 조인트부의 발출 저지력을 측정하였다. 전조 가공이 행하여진 걸림 돌조를 하우징으로 고정시키고, 만능 시험기로 최대 하중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제조예 1), 표 2(제조예 2), 표 3(제조예 3)에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인트부는, 관축방향의 인장 강도 F로서, F(kN) ≥ 호칭 지름 × 3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호칭 지름 80의 관체에 있어서의 조인트부는, 내진 성능의 기준 하중이 240kN 이상이기 때문에, 최대 하중은, 그 이상이 필요하다. 측정으로 얻어진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 이상인 경우에는, 합격(○)으로 하고, 기준 하중 미만인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2-1> (내측 볼록 롤러와 외측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보다 작은 경우)
볼록 롤러와 오목 롤러의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를 약 2.0mm로 가공한 시험체를 사용한 시험예는, 제조예 1이 시험예 1∼6, 제조예 2가 시험예 15∼19, 제조예 3이 시험예 23∼27이다.
제조예 1에서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2∼5가 기준 하중 이상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볼록 높이가 6.0mm인 시험예 3은, 최대 하중이 275kN이었다. 그 반면, 시험예 1은, 볼록 높이가 3.5m로, RI와 Ru의 합계값(5.0mm)보다 작았으므로, 최대 하중이 낮았다. 시험예 6은,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크고, 기부의 판 두께가 50%로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저하되었다.
제조예 2에서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16∼18이 기준 하중 이상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그 반면, 시험예 15는, 볼록 높이가 약 4.0mm로, RI와 Ru의 합계값(5.5mm)보다 작았으므로, 최대 하중이 낮았다. 시험예 19는,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크고, 기부의 판 두께가 54%로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저하되었다.
제조예 3에서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24∼26이 기준 하중 이상이었다. 그 반면, 시험예 23은, 볼록 높이가 4.0mm로, RI와 Ru의 합계값(5.5mm)보다 작았으므로, 최대 하중이 낮았다. 시험예 27은,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크고, 기부의 판 두께가 55%로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저하되었다.
<평가 2-2> (내측 볼록 롤러와 외측 오목 롤러의 클리어런스가 피가공 관체의 판 두께 이상인 경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약 4.0mm로 가공한 것은, 시험예 7∼14이다. 이 중, 시험예 7은, 볼록 높이가 RI와 Ru의 합계값(5.0mm)보다 작았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230kN으로, 기준 하중 미만이었다. 볼록 높이가 상기 합계값 이상인 시험예에서는, 관축방향에 대한 세로벽부의 각도가 70°, 90°인 시험예 9, 10, 12, 13은, 기준 하중 이상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시험예 13(볼록 높이 약 12.0mm, 각도 90°)은, 255kN이었다. 그 반면, 시험예 8, 11은, 당해 각도가 60°였으므로,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 미만이었다. 또한, 시험예 14는, 볼록 높이가 과도하게 크고, 기부의 판 두께가 50%로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저하되었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예 2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약 6.0mm로 가공한 것은, 시험예 20∼22이다. 모두, 볼록 높이가 RI와 Ru의 합계값(5.5mm)보다 큰 8.0mm이지만, 관축방향에 대한 세로벽부의 각도가 70°, 90°인 시험예 21, 22는, 기준 하중 이상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0은, 당해 각도가 60°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 미만이었다.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예 3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약 7.0mm로 가공한 것은, 시험예 28∼30이다. 모두, 볼록 높이가 RI와 Ru의 합계값(5.5mm)보다 큰 9.0mm이지만, 관축방향에 대한 세로벽부의 각도가 70°, 90°인 시험예 29, 30은, 기준 하중 이상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8은, 당해 각도가 60°였기 때문에,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 미만이었다.
<평가 3> (경도 시험)
걸림 돌조를 형성한 시험체를 사용하여, 기부, 세로벽부, 꼭대기부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절단한 시험체를 수지에 매립하고, 절단한 단면을 연마한 후,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 시험에 의해, 경도를 측정하였다. 관체 소재의 경도는 152HV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A, 위치 E는 기부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위치 B, 위치 D는 세로벽부에서 측정한 결과이며, 위치 C는 꼭대기부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제조예 1∼3은,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 이상이었던 시험예는, 모두 300HV 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관체 소재의 경도의 약 2배 초과였다. 그 반면, 최대 하중이 기준 하중보다 낮았던 시험예는, 그 경도가 약 230HV 이하로 낮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시험예는, 볼록부를 형성할 때에, 아이어닝 가공으로 큰 가공도가 부여되어, 가공 경화됨으로써, 경도가 증대되었다. 그 결과, 인장 하중에 대한 걸림 돌조의 변형이 억제되어, 시험체의 최대 하중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전조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조인트부는, 최대 하중이 높아, 걸림 돌조의 변형이 억제되어, 양호한 관의 발출 저지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장 하중의 대부분은, 관축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관체끼리의 높은 체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관축방향에 대하여 90°로 연장된 수직의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는,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면압이 낮아, 걸림 돌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1 조인트부
2 피가공 관체
3 외주면
4 걸림 돌조
4' 볼록부
5 기부
6 세로벽부
7 만곡부
8 꼭대기부
9 볼록 높이
10 볼록 롤러
11 오목 롤러
12 성형용 고리 형상 홈
13 링
14 하우징
15 선단면(볼록 롤러)
16 세로벽면(볼록 롤러)
17 선단면(성형용 고리 형상 홈)
18 내측 세로벽면(성형용 고리 형상 홈)
19a 각도
19b 기준선
19c 직선
20 관 조인트
21 걸림 돌조
22 관체
23 하우징
24 내주측 개구 가장자리
25 내측 전조 롤러
26 성형 돌조
27 외측 전조 롤러
28 성형용 고리 형상 홈
29 고리 형상 홈
30 걸림 부재
31 용접부

Claims (8)

  1. 피가공 관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세로벽부를 갖는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걸림 돌조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만곡 형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세로벽부와, 상기 세로벽부로부터 연장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된 꼭대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조를, 상기 관체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시킨 가공 수단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세로벽부를, 관축방향의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65°이상 90°이하의 각도로 기립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조의 상기 외주면부터 상기 꼭대기부의 불거진 끝까지의 높이가, 상기 관체와 맞닿는 상기 내측 및 외측에 위치시킨 가공 수단의 면의 곡률 반경의 합계값 이상으로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수단은, 상기 관체의 내측에 위치시킨 볼록 롤러와, 상기 관체의 외측에 위치시킨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포함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수단은, 상기 볼록 롤러와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관체의 판 두께보다 작게 한 것으로,
    당해 가공 수단에 의해 상기 관체를 가공하여, 상기 세로벽부가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상기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수단은, 상기 볼록 롤러와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관체의 판 두께 이상으로 한 것으로,
    당해 가공 수단에 의해 상기 관체를 가공하여 상기 외주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을 상기 관체의 관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를 상기 볼록 롤러에 밀어붙여, 상기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롤러는, 그 선단면과 세로벽면의 교차부에 있어서 곡률 반경 RI의 만곡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고리 형상 홈은, 그 선단면과 내측 세로벽면의 교차부에 있어서 곡률 반경 Ru의 만곡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에 대하여 관축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걸림 돌조를 형성하는,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8. 관체의 외주면에 걸림 돌조가 형성된 조인트부를 구비하는 유체 송급관으로서,
    상기 걸림 돌조는, 상기 관체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만곡 형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된 세로벽부와, 상기 세로벽부로부터 연장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된 꼭대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벽부는,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65°이상 90°이하의 각도로 기립해 있고, 관체 소재의 경도의 1.2배 이상의 경도를 갖는, 유체 송급관.
KR1020167015586A 2013-11-18 2014-11-17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KR101670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7514 2013-11-18
JP2013237514 2013-11-18
JPJP-P-2014-232025 2014-11-14
JP2014232025A JP5727663B1 (ja) 2013-11-18 2014-11-14 流体送給管の継手部の転造加工方法および流体送給管
PCT/JP2014/080379 WO2015072571A1 (ja) 2013-11-18 2014-11-17 流体送給管の継手部の転造加工方法および流体送給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803A true KR20160075803A (ko) 2016-06-29
KR101670210B1 KR101670210B1 (ko) 2016-10-27

Family

ID=5305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586A KR101670210B1 (ko) 2013-11-18 2014-11-17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23467B2 (ko)
EP (2) EP3266530A1 (ko)
JP (1) JP5727663B1 (ko)
KR (1) KR101670210B1 (ko)
CN (2) CN107081361B (ko)
MX (1) MX2016006327A (ko)
PH (1) PH12016500870A1 (ko)
RU (3) RU2650022C1 (ko)
WO (1) WO20150725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55B1 (ko) * 2018-06-22 2019-06-05 주식회사 하이스텐 커플링을 이용하여 확관돌기가 형성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4736A1 (ja) * 2015-05-29 2016-12-08 日新製鋼株式会社 流体送給管
JP2016223532A (ja) * 2015-05-29 2016-12-28 日新製鋼株式会社 流体送給管
JP6422843B2 (ja) 2015-10-27 2018-11-14 日新製鋼株式会社 管状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PE20240516A1 (es) 2017-01-24 2024-03-18 Victaulic Co Of America Acoplamiento y forma de ranura circunferencial
DE102019005893A1 (de) * 2019-08-21 2021-02-25 Munters Euroform Gmbh Tropfenabscheiderprof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4054617B (zh) * 2021-11-16 2024-01-02 浙江宏倍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卡压弯管的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052A (ja) 2005-09-13 2007-03-29 Japan Engineering Kk 配管接続装置
JP2009274128A (ja) * 2008-05-19 2009-11-26 Nisshin Steel Co Ltd 流体送給管管端継手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4774325B2 (ja) 2006-04-11 2011-09-14 Jfe継手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3171690U (ja) 2011-09-02 2011-11-10 ノーラ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地中埋設用のステンレス鋼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466A (en) * 1975-09-19 1976-12-07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Machine for roll grooving of pipe
JPS5627316A (en) * 1979-08-10 1981-03-17 Aron Kasei Co Ltd Molding method for faucet of thermoplastic resin pipe
JPS5853505Y2 (ja) * 1980-05-09 1983-12-05 東京貿易株式会社 管接合部離脱防止金具
SU1656274A1 (ru) * 1989-01-31 1991-06-15 Укра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П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Заводов Стыковочный узел трубопровода
US5032478A (en) 1989-08-21 1991-07-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sensitive aqueous developable gold conductor composition
JPH0394927A (ja) * 1989-09-07 1991-04-19 Fuji Injiekuta Kk 筒体に膨出成形を施す方法
RU2072468C1 (ru) * 1992-07-16 1997-01-27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транспорта энергоресурсов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JPH09196257A (ja) * 1996-01-18 1997-07-29 Somic Ishikawa:Kk 配管継手装置
JP2000237832A (ja) * 1999-02-17 2000-09-05 Iura:Kk 金属管の拡管方法とその装置
US6568233B2 (en) 1999-01-20 2003-05-27 Iur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diametrically expanding metal shafts
CA2300744C (en) * 1999-03-19 2008-08-05 Supply Sales Co. Groove rolling of piping elements
US6196039B1 (en) * 1999-03-25 2001-03-06 Anvil International, Inc. Groove rolling of piping elements
DE102005003558A1 (de) * 2005-01-26 2006-07-27 Pass Stanztechnik Ag Rollenwerkzeug zur linienhaften Blechverformung sowie Blechverformungs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Rollenwerkzeug
CN101104183A (zh) * 2006-07-14 2008-01-16 鸿基不锈钢有限公司 管材滚压装置
RU2341348C2 (ru) * 2007-01-17 2008-12-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им. В.А. Дегтярев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дногофрового сильфона
ES2653697T3 (es) * 2010-12-02 2018-02-08 Victaulic Company Elemento de tubería con superficie de apoyo, ranura y reborde y procedimientos y dispositivos para su fabricació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052A (ja) 2005-09-13 2007-03-29 Japan Engineering Kk 配管接続装置
JP4774325B2 (ja) 2006-04-11 2011-09-14 Jfe継手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9274128A (ja) * 2008-05-19 2009-11-26 Nisshin Steel Co Ltd 流体送給管管端継手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3171690U (ja) 2011-09-02 2011-11-10 ノーラ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地中埋設用のステンレス鋼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55B1 (ko) * 2018-06-22 2019-06-05 주식회사 하이스텐 커플링을 이용하여 확관돌기가 형성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23467B2 (en) 2017-04-18
RU2017133975A (ru) 2019-02-08
PH12016500870B1 (en) 2016-07-04
WO2015072571A1 (ja) 2015-05-21
PH12016500870A1 (en) 2016-07-04
JP5727663B1 (ja) 2015-06-03
EP3266530A1 (en) 2018-01-10
CN107081361A (zh) 2017-08-22
KR101670210B1 (ko) 2016-10-27
CN105980081A (zh) 2016-09-28
RU2754034C2 (ru) 2021-08-25
EP3072605B1 (en) 2020-01-08
RU2017133975A3 (ko) 2020-06-30
RU2016122016A (ru) 2017-12-25
CN107081361B (zh) 2019-06-07
EP3072605A4 (en) 2017-01-04
MX2016006327A (es) 2016-10-05
RU2650022C1 (ru) 2018-04-06
JP2015116610A (ja) 2015-06-25
US20160288187A1 (en) 2016-10-06
EP3072605A1 (en) 2016-09-28
CN105980081B (zh)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10B1 (ko) 유체 송급관의 조인트부의 전조 가공 방법 및 유체 송급관
US20040108719A1 (en) Threaded tube joint
TWI504829B (zh) 管接頭用保持裝置及使用該裝置的管接頭
EP2702306B1 (en) Fluid sealing
IL196817A (en) Two-layer duct gasket for branching
KR20060054470A (ko) 파이프 조인트용 중심 비틀림이 가능한 압축 링
AU2019283403B2 (en) Fitting for connection to at least one pipe
JP4751797B2 (ja) 配管材の接続構造およびこの配管材の接続構造を得るのに用いるスリーブのかしめ用ダイス
CN107002914B (zh) 流体导管元件以及用于形成流体导管元件的方法
JP3297697B2 (ja) 耐外圧性に優れた油井管用ねじ継手
JP2006322542A (ja) 管継手
WO2016194736A1 (ja) 流体送給管
JP4789998B2 (ja) 樹脂管継手
JP2016223532A (ja) 流体送給管
US11209109B2 (en) Crimp coupling for connecting a hose to a fitting
US10520118B2 (en) Tube fitting assembly
US10486220B2 (en) Caulking die, caulking tool, method for manufacturing caulking joint using them
KR20190107223A (ko) 배관 연결용 니플
CN114945730A (zh) 具有通过增材制造实现的密封支承部的螺纹接头
JP2007247728A (ja) Oリングとこれを用いたシール構造
EP1759828A1 (en) Packing for a connection joint between tubes
JP2010071429A (ja) フレキシブル継手
PL207409B1 (pl) Połączenie rurow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