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490A -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490A
KR20160075490A KR1020167001116A KR20167001116A KR20160075490A KR 20160075490 A KR20160075490 A KR 20160075490A KR 1020167001116 A KR1020167001116 A KR 1020167001116A KR 20167001116 A KR20167001116 A KR 20167001116A KR 20160075490 A KR20160075490 A KR 2016007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data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programmab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253B1 (ko
Inventor
유지 마키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1Backup scheduling polic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07Backup data if microprocessor not respon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39Recovery from power loss, fail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203Restart, recover from error only if detected states equal stored st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0Database-specific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307)와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되는 리모트 제어장치(300a)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가 입력되는 입출력 기능부(306)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300a)의 내부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는 백업 관리부(304)와, 상기 백업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303)를 1개의 케이스 내에 구비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어장치의 제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로부터 떨어진 위치 설치되어 있는 피제어장치의 제어, 및 그 피제어장치의 센서로부터의 입력의 취득(capture)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리모트 제어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리모트 제어장치는 사용 용도 및 사용 환경으로부터, 소사이즈이고 또한 저비용인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리모트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 및 피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의 취득에 필요한 입출력 기능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의 한정된 기능만을 가지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동작한다.
리모트 제어장치는, 고장 또는 다른 제어 시스템으로의 이설(移設)에 대비하여, 그 리모트 제어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설정 데이터 등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리모트 제어장치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을 트리거 조건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또, 백업되는 백업 데이터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 송신되어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내에서 보존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모든 리모트 제어장치의 백업 데이터의 관리를 할 필요가 있어, 백업 데이터의 관리가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 회선을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한 백업 일시를 감시하여 정기적으로 백업을 취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전용의 래더 프로그램에 의해 백업용의 기능을 구축하여 백업 일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백업용의 래더 프로그램의 작성 공정수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통신 유닛과 입출력 유닛이 시리얼 버스 라인에 의해 배선되어 있는 리모트 터미널 장치에 있어서, 시리얼 버스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백업 데이터를 통신 유닛 내에 보존함으로써, 통신 유닛 내에서 백업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내에서, 래더 프로그램의 백업 데이터와 백업 시각을 세트로 관리하여, 백업 시각에 기초하여 리스토어(restore)하는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7-10276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330866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백업을 행하는 기능부인 입출력 유닛과 백업 데이터를 보존하는 통신 유닛이 별개의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신 유닛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백업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의 다른 기기에 저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의 기술은, 래더 프로그램의 사용을 전제로 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용의 기술이기 때문에, 리모트 제어장치와 같은 리소스(resource)가 적은 기기에는 적응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리모트 제어장치 자체로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의 관리가 가능하고, 또한 이설할 때의 내부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한 리모트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리모트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와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가 입력되는 입출력 기능부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의 내부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는 백업 관리부와, 상기 백업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기억부를 1개의 케이스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제어장치는, 리모트 제어장치 자체로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의 관리가 가능하고, 또한 이설할 때의 내부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리모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의 관련성(associa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제어장치의 백업 관리부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제어장치의 이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리모트 제어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은 제어장치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피제어장치를 제어 가능한 제어 시스템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은 제어 대상인 피제어장치(400a, 400b)와, 제어장치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피제어장치(400a, 4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제어장치(300a, 300b)를 구비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리모트 제어장치(300a, 300b)를 총괄하여 리모트 제어장치(3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 피제어장치(400a, 400b)를 총괄하여 피제어장치(4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는,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서 이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인 래더 프로그램 및 각종 지시 정보를 작성 또는 편집 가능한 데이터 작성 장치(100)가 접속된다.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통신 회선(110)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대응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가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피제어장치(400)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지시 정보를, 작성 또는 편집한다.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작성 또는 편집한 제어 프로그램 또는 각종 지시 정보를, 통신 회선(110)을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제공한다. 피제어장치(400)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은, 래더 언어를 이용하여 래더 프로그램으로서 작성된다. 또,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의 처리를 지시하는 각종의 지시 정보를 작성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입력 가능하다. 데이터 작성 장치(100)에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가 사용된다.
마스터국(master station)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리모트 제어장치(30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와 상호통신을 행하여 피제어장치(400)의 동작의 제어 및 피제어장치(400) 내의 센서로부터의 각종 정보의 취득을 제어한다. 즉,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리모트 제어장치(300a, 300b)와 네트워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제어하여,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피제어장치(400)의 동작을 제어시킨다. 즉,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a)를 제어하여,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a)에 피제어장치(400a)를 제어시킨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b)를 제어하여,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피제어장치(400b)를 제어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각종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인 입력부(201)와,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 수단인 표시부(202)를 구비한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 처리를 관리하는 백업 관리부(203)와, 휘발성 기억부인 워크 메모리(204)와,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부인 불휘발성 메모리(205)를 구비한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6)와, 리모트 제어장치(300)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208)를 구비한다.
입력부(201)에는, 예를 들어 표시부(202)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이 이용된다. 입력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자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202)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에 유지하는 정보 및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디바이스가 이용된다.
워크 메모리(204)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가 실행시키고 있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취급하는 데이터 등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는 휘발성의 기억부이다.
불휘발성 메모리(205)는, 데이터 작성 장치(100)로부터 입력되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가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래더 프로그램(211)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자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작성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설정 데이터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의 처리시에 작성되는 데이터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리모트 제어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백업 데이터(212)와 백업 이력 데이터(213)가 포함된다. 불휘발성 메모리(205)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반도체 기억장치 등의 각종 기억 디바이스를 적용 가능하다.
백업 관리부(203)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대해서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지시하는 백업 지시 정보를 각 리모트 제어장치(300), 즉 리모트 제어장치(300a)와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출력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a)에 피제어장치(400a)를 제어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래더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백업 지시 정보를 각 리모트 제어장치(300a)에 출력한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피제어장치(400b)를 제어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래더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백업 지시 정보를 각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출력한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시로, 백업 지시 정보를 각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출력한다. 또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는 전회의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를 감시하여, 백업 지시 정보를 각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정기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는 행하고 있지 않다.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백업 지시 정보가 입력되면, 그 백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그 백업 처리에서 작성한 백업 데이터 및 그 백업 처리의 이력을 나타내는 백업 이력 데이터를,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에 기억한 후, 그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백업 데이터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전체의 동작 및 후술하는 입출력 기능부(306)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가 포함된다. 백업 이력 데이터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 백업 데이터가 작성된 일시, 즉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 대한 데이터이다. 백업 관리부(203)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로부터 출력된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통신 기능부(208)를 통해서 수취하여, 백업 데이터(2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213)로서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기억시킨다.
도 2에 있어서는, 백업 데이터(212)로서, 제1 백업 데이터(212a), 제2 백업 데이터(212b), 제3 백업 데이터(212c)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백업 데이터(212a)가 제일 오래된 백업 데이터이고, 제3 백업 데이터(212c)가 제일 새로운 백업 데이터이다.
또, 도 2에 있어서는, 백업 이력 데이터(213)로서, 제1 백업 이력 데이터(213a), 제2 백업 이력 데이터(213b), 제3 백업 이력 데이터(213c)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백업 이력 데이터(213a)가 제일 오래된 백업 이력 데이터이고, 제3 백업 이력 데이터(213c)가 제일 새로운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테이블에 의해, 관련지어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백업 이력 데이터(213a)는 제1 백업 데이터(212a)의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제2 백업 이력 데이터(213b)는 제2 백업 데이터(212b)의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제3 백업 이력 데이터(213c)는 제3 백업 데이터(212c)의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3개의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기억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기억된다.
제어부(206)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가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제어하여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피제어장치(400)를 제어시키기 위한 처리,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의 관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06)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래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을 행하고,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피제어장치(400)를 제어시키기 위한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출력한다.
통신 기능부(208)는 데이터 작성 장치(100)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데이터 작성 장치(100)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통신 기능부(208)는 데이터 작성 장치(100)로부터 통신 회선(110)을 통해서 입력된 통신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여, 필요하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의 다른 기능부에 통신 데이터를 배분한다. 또, 통신 기능부(208)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로부터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입력된 통신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여, 필요하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의 다른 기능부에 통신 데이터를 배분한다. 또, 통신 기능부(208)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의 다른 기능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취하고, 수취한 데이터를 데이터 작성 장치(100) 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의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20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 네트워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통신 회선(350)을 통해서 피제어장치(4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서, 즉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가 래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되는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따라서, 각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한다. 즉, 리모트 제어장치(300a)는 피제어장치(400a)를 제어한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b)는 피제어장치(400b)를 제어한다.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각종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인 입력부(301)와,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 수단인 표시부(302)를 구비한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부인 불휘발성 메모리(303)와,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 처리를 관리하는 백업 관리부(304)를 구비한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305)와, 피제어장치(400)의 제어 및 피제어장치(400)로부터의 입력 정보의 취득 처리를 제어하는 입출력 기능부(306)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307)를 1개의 케이스 내에 구비한다.
입력부(301)에는, 예를 들어 표시부(302)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이 이용된다. 입력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자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302)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에 유지하는 정보 및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정 표시 디바이스가 이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303)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설정 데이터(311), 피제어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피제어장치(400) 내의 센서값 등의 피제어장치(400)에 있어서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 백업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설정 데이터(311)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의 동작 및 후술하는 입출력 기능부(306)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가 포함된다. 동작 결과 정보의 예로서는, 피제어장치(400)로부터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입력되는, 그 피제어장치(400) 내의 구성부의 ON 정보 또는 OFF 정보, 그 피제어장치(400) 내의 센서로 검출된 아날로그값 또는 펄스수 등의 검출 데이터를 들 수 있다. 또, 동작 결과 정보의 다른 예로서는, 상술한 것처럼 피제어장치(400)로부터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입력되는 동작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동작을 피제어장치(400)에 지시하기 위해서 리모트 제어장치(300)가 그 피제어장치(400)에 출력한, 피제어장치(400) 내의 구성부의 ON 정보 또는 OFF 정보, 아날로그값, 펄스수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백업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백업 데이터(312)와 백업 이력 데이터(313)가 포함된다. 불휘발성 메모리(303)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반도체 기억장치 등의 각종 기억 디바이스를 적용 가능하다.
백업 관리부(304)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 즉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의 작성 및 보관을 실행한다. 백업 데이터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의 동작 및 후술하는 입출력 기능부(306)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들 설정 데이터는,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되어,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용된다.
리모트 제어장치(300)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통신 기능부(307)에 백업 지시 정보가 입력되면, 그 백업 지시 정보가 백업 관리부(304)에 보내진다. 백업 관리부(304)는, 그 백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한다. 백업 관리부(304)는, 통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즉 백업 지시 정보를 트리거 조건으로 하여,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한다. 또, 백업 관리부(304)는, 유저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입력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된 백업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시로,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백업 관리부(304)는, 백업 처리에서 작성한 백업 데이터 및 그 백업 처리의 이력을 나타내는 백업 이력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로서 불휘발성 메모리(303) 내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백업 관리부(304)는, 백업 지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그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를 관련지어, 통신 기능부(307)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도 2에 있어서는, 백업 데이터(312)로서, 제1 백업 데이터(312a), 제2 백업 데이터(312b), 제3 백업 데이터(312c)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백업 데이터(312a)가 제일 오래된 백업 데이터이고, 제3 백업 데이터(312c)가 제일 새로운 백업 데이터이다. 또, 제1 백업 데이터(312a)와 제1 백업 데이터(212a), 제2 백업 데이터(312b)와 제2 백업 데이터(212b), 제3 백업 데이터(312c)와 제3 백업 데이터(212c)는 동일한 데이터이다.
또, 도 2에 있어서는, 백업 이력 데이터(313)로서, 제1 백업 이력 데이터(313a), 제2 백업 이력 데이터(313b), 제3 백업 이력 데이터(313c)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백업 이력 데이터(313a)가 제일 오래된 백업 이력 데이터이고, 제3 백업 이력 데이터(313c)가 제일 새로운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또, 제1 백업 이력 데이터(313a)와 제1 백업 이력 데이터(213a), 제2 백업 이력 데이터(313b)와 제2 백업 이력 데이터(213b), 제3 백업 이력 데이터(313c)와 제3 백업 이력 데이터(213c)는 동일한 데이터이다.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테이블에 의해, 관련지어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에 있어서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의 관련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즉, 제1 백업 이력 데이터(313a)는 제1 백업 데이터(312a)에 대응하는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제2 백업 이력 데이터(313b)는 제2 백업 데이터(312b)에 대응하는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제3 백업 이력 데이터(313c)는 제3 백업 데이터(312c)에 대응하는 백업 이력 데이터이다. 이러한 테이블은, 백업 데이터(312) 또는 백업 이력 데이터(313)와 세트로, 또는 별도로,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3개의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된다.
백업 관리부(304)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백업 지시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백업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할 수 있다. 백업 관리부(304)가 자동으로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성된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송신되지 않고,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불휘발성 메모리(303)에만 보존되어 관리된다.
또, 백업 관리부(304)는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 즉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 대한 데이터를 그 백업 관리부(304) 내에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다. 백업 관리부(304) 내에서 관리되는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는, 백업 처리가 행해질 때마다 갱신된다. 이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백업 관리부(304)가 자동으로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하는 경우에,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백업 관리부(304)는,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백업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를 백업 관리부(304) 내에서 관리하는 대신에, 백업 관리부(304)가 불휘발성 메모리(303) 내에 기억된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를 참조하여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백업 관리부(304)는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백업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백업 관리부(304)는 「백업 처리를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행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알람 정보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하고, 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의 표시부(202)에 알람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백업 관리부(304)는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백업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백업 처리를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행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알람 표시를 표시부(30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백업 관리부(304)는 불휘발성 메모리(303) 내에 기억하고 있는 백업 이력 데이터(313)를, 네트워크(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같은 네트워크(25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마스터국은,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백업 이력 데이터를,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취득하여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보의 공유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400)의 제어,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의 관리를 포함하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입출력 기능부(306)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되는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따라서, 각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피제어장치(400)에 출력한다. 입출력 기능부(306)는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되는 도시하지 않는 피제어장치(400)의 제어용의 프로그램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되어 설정되는 입출력 기능부(306)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피제어장치(400)에 출력한다.
입출력 기능부(306)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출력 기능부(306)는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의 출력 지시의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레지스터에 상술한 설정 데이터를 기입한다. 그리고 입출력 기능부(306)는 레지스터에 기입된 설정 데이터와 피제어장치(400)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산해서 얻은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출력 단자로부터 비제어장치(400)로 출력한다.
또, 입출력 기능부(306)에는, 피제어장치(400) 내의 센서값 등의 피제어장치(400)에 있어서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가 피제어장치(400)로부터 입력된다. 입출력 기능부(306)는 입력된 동작 결과 정보를 통신 기능부(307) 및 통신 회선(350)을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즉, 입출력 기능부(306)는 피제어장치(400)를 제어하는 기능과, 피제어장치(400)의 동작 결과 정보를 취득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입출력 기능부(306)는 동작 결과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시켜도 좋다. 또한, 입출력 기능부(306)와 피제어장치(400)는, 통신 회선(350)을 통해서 직접 통신해도 좋고, 통신 기능부(307) 및 통신 회선(350)을 통해서 통신해도 좋다.
입출력 기능부(306)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제어장치(400)로부터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입력 단자에 입력된 동작 결과 정보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레지스터에 기입된다. 그리고 입출력 기능부(306)는,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동작 결과 정보의 판독 지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레지스터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취득하고, 그 동작 결과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통신 기능부(307)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의 통신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기능부(307)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입력된 통신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여, 필요하면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의 다른 기능부에 통신 데이터를 배분한다. 통신 기능부(307)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백업 지시 정보가 입력되면, 그 백업 지시 정보를 백업 관리부(304)에 출력한다. 또, 통신 기능부(307)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의 다른 기능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취하고, 수취한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그리고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의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30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백업 관리부(304)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백업 관리부(304)에 있어서의 백업 처리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스텝 S1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된 백업 지시 정보의 수신의 확인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2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백업 지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에서 백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20, Yes), 스텝 S3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 즉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의 작성 및 기록을 실행한다. 즉, 백업 관리부(304)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로서 불휘발성 메모리(303) 내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4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백업 지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를 관련지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그 백업 관리부(304)로 관리하고 있는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 즉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 대한 데이터를, 스텝 S30에서 기록한 백업 이력 데이터로 갱신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0에 있어서 백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20, No), 스텝 S6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전회의 백업 일시에서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산하여,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백업 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백업 주기는, 백업 관리부(304)가 자동으로 백업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백업 처리를 행하는 시간 간격의 설정이다. 백업 주기는 유저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를 통해서 백업 관리부(304)에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60에 있어서, 전회의 백업 일시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백업 주기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60, Yes), 스텝 S7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 즉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의 작성 및 기록을 자동으로 행한다. 즉, 백업 관리부(304)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와 백업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로서 불휘발성 메모리(303) 내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자동으로 백업 처리를 행했을 경우에는, 백업 관리부(304)는 작성된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불휘발성 메모리(303)에만 기록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백업 관리부(304)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요구가 없는 한은, 작성된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대해서 출력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스텝 S50에 있어서, 백업 관리부(304)는, 그 백업 관리부(304)로 관리하고 있는 최신의 백업 이력 데이터, 즉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 대한 데이터를, 스텝 S70에서 기록한 백업 이력 데이터로 갱신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60에 있어서 전회의 백업 일시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백업 주기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60, No), 백업 관리부(304)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백업 관리부(304)는,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의 불휘발성 메모리(205)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른 형태로서, 백업 관리부(203) 및 백업 관리부(304) 내에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기억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통해서 2대의 피제어장치(400)가 1대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어되는 피제어장치(400)의 대수는 2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통해서 1대의 피제어장치(400)가 1대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통해서 3대 이상의 피제어장치(400)가 1대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그 기능의 처리 절차가 격납된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고, 이 프로그램을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CPU 및 기억장치 등의 구성부를 가지는 컴퓨터 장치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및 리모트 제어장치(300)로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500)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것처럼, 컴퓨터 장치(5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501),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502), 연산을 행하는 CPU(503), ROM(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504),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505), 표시 장치(501)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기억하는 표시용 메모리(506),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07) 등이 내부 버스(508)를 통해서 접속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불휘발성 메모리(504)에 격납된 상기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처리 절차가 기술된 프로그램이 휘발성 메모리(505)에 로드되어, CPU(503)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Compact Disk), ROM(Read Only Memory), 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Digital Video Disk) 등의 컴퓨터 장치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 회선을 통해서 배포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507)를 통해서 접속된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프로그램이 불휘발성 메모리(504)상에 격납된다.
상술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에서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의 동작과 입출력 기능부(306)의 동작을 결정하는 설정 데이터가 포함된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에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백업 데이터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마스터국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와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양쪽에서 유지하게 된다.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리스토어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리스토어의 용도 또는 상황에 대응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 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백업 데이터(212)를 리스토어할지, 또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백업 데이터(312)를 리스토어할지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스토어하는 데이터의 선택 및 리스토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작성 장치(100)로부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지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여기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212)와,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312)의 용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212)는,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리스토어를, 복수의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대해서 총괄하여 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편,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312)는, 1개의 리모트 제어장치(300) 단일 개체의 내부 데이터의 리스토어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312)는,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현재 접속되어 있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이설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이설처의 네트워크에서도 이설 전과 같은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312)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네트워크(250)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으로부터, 네트워크(250)와 다른 네트워크(260)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리모트 제어장치(300c)가 접속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20)에 리모트 제어장치(300b)를 이설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유지된 백업 데이터(312)는, 이설처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20)에서도 리모트 제어장치(300b)에 이설 전과 같은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5는 리모트 제어장치(300b)의 이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리모트 제어장치(300b)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으로부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20)으로 이설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피제어장치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에서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에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성된 다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이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리모트 제어장치(300)만을 이설하면 된다. 즉,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로부터 외부 기억장치에 판독하는 수고와, 다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이설한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그 외부 기억장치로부터 그 백업 데이터를 옮기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다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이설할 때의 백업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를 다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이설할 때의, 조작 미스 등의 인위적 미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이설에 기인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의 휴지 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있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의 백업 관리부(203)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기억된 복수의 백업 데이터(2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213)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백업 관리부(304)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303)에 기억된 복수의 백업 데이터(312) 및 백업 이력 데이터(313)를 관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업 이력 데이터(213) 또는 백업 이력 데이터(313)를 참조함으로써, 과거의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리스토어할 백업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종래, 정기적으로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상에서 전회의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백업 처리의 지시를 행하기 위한 래더 프로그램을, 리모트 제어장치(300)마다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래더 프로그램의 작성 공정수 및 보수 공정수가 많아져서, 유저의 부하가 컸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10)에서는, 백업 이력 데이터, 즉 백업 처리가 완료된 백업 일시에 대한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와 함께 리모트 제어장치(300)에 기록한다. 그리고 리모트 제어장치(300)는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에 유지된 백업 이력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전회의 백업 처리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로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을 행한 백업 이력 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백업 처리가 일정 기간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백업 주기의 경과를 트리거 조건으로 하여,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로 정기적인 내부 데이터의 백업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200)에 있어서 전회의 백업 일시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감시할 필요가 없어, 정기적인 백업 처리를 위한 래더 프로그램의 작성 공정수 및 보수 공정수가 불필요해져, 유저의 부담이 경감된다.
상술한 것처럼, 리모트 제어장치(300) 자체로 그 리모트 제어장치(300)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및 백업 이력 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리모트 제어장치 자체로의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의 관리가 가능해지고, 또한 그 리모트 제어장치를 현재 배치되어 있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과 다른 별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 이설할 때의 내부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해져, 유저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제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20: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100 데이터 작성 장치,
110: 통신 회선, 200: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01, 301: 입력부, 202, 302: 표시부,
203, 304: 백업 관리부, 204: 워크 메모리,
205, 303, 504: 불휘발성 메모리, 206, 305: 제어부,
207: 통신 기능부, 208, 308, 508: 내부 버스,
211: 래더 프로그램, 212, 312: 백업 데이터,
213, 313: 백업 이력 데이터, 250, 260: 네트워크,
300, 300a, 300b, 300c: 리모트 제어장치, 306: 입출력 기능부,
307: 통신 기능부, 350: 통신 회선,
400, 400a, 400b: 피제어장치, 500: 컴퓨터 장치,
501: 표시 장치, 502 입력 장치,
503: CPU, 505: 휘발성 메모리,
506: 표시용 메모리, 507: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9)

  1.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리모트 제어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와,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가 입력되는 입출력 기능부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의 내부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는 백업 관리부와,
    상기 백업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기억부
    를 1개의 케이스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업 관리부는, 상기 백업 데이터를 작성한 일시의 데이터인 백업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불휘발성의 기억부는,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를 상기 백업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업 관리부는, 최신의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의 일시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을 지나도 상기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백업 데이터 및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업 관리부는, 최신의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의 일시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을 지나도 상기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알람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능부가, 상기 제어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제어장치 이외의 마스터국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를 취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데이터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설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데이터가, 상기 입출력 기능부의 동작을 결정하는 설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업 관리부는, 상기 백업 데이터와 상기 백업 이력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장치.
  9. 피제어장치와,
    상기 피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리모트 제어장치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시키는 제어를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에 대해서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부와,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 상기 피제어장치의 동작 결과를 나타내는 동작 결과 정보가 입력되는 입출력 기능부와,
    상기 리모트 제어장치의 내부에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작성하는 백업 관리부와,
    상기 백업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기억부
    를 1개의 케이스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67001116A 2014-11-05 2014-11-05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 KR101820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9357 WO2016071974A1 (ja) 2014-11-05 2014-11-05 リモート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490A true KR20160075490A (ko) 2016-06-29
KR101820253B1 KR101820253B1 (ko) 2018-01-18

Family

ID=5507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116A KR101820253B1 (ko) 2014-11-05 2014-11-05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71154A1 (ko)
JP (1) JP5844020B1 (ko)
KR (1) KR101820253B1 (ko)
CN (1) CN105765472B (ko)
DE (1) DE112014003475T5 (ko)
TW (1) TWI563358B (ko)
WO (1) WO2016071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6117A1 (de) * 2018-04-20 2019-10-24 Lenze Automation Gmbh Elektrisches Antrieb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JP7342425B2 (ja) 2019-05-30 2023-09-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687557B2 (en) * 2020-10-05 2023-06-27 EMC IP Holding Company LLC Data size and time based repl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866A (ja) 2005-05-24 2006-12-07 Keyence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7102764A (ja) 2005-09-09 2007-04-19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ターミナ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38Y2 (ko) * 1989-04-12 1993-06-14
JPH077771A (ja) * 1993-03-19 1995-01-10 Sony Corp リモートコマンダー
CN1174196C (zh) * 2001-10-17 2004-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带主从控制功能的空调器远程监控系统
JP2006295342A (ja) * 2005-04-06 2006-10-26 Smk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100896996B1 (ko) * 2007-02-02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9217708A (ja) * 2008-03-12 2009-09-24 Omron Corp リモート装置及びi/o機器の交換時期管理システム
JP6167532B2 (ja) * 2013-01-25 2017-07-26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装置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866A (ja) 2005-05-24 2006-12-07 Keyence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7102764A (ja) 2005-09-09 2007-04-19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ターミナ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1974A1 (ja) 2016-05-12
JPWO2016071974A1 (ja) 2017-04-27
TWI563358B (en) 2016-12-21
CN105765472B (zh) 2017-12-05
DE112014003475T5 (de) 2016-07-28
CN105765472A (zh) 2016-07-13
JP5844020B1 (ja) 2016-01-13
US20160371154A1 (en) 2016-12-22
TW201617749A (zh) 2016-05-16
KR101820253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7319B2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US20170024115A1 (en) Facility operations management and mobile systems
KR101820253B1 (ko) 리모트 제어장치 및 제어 시스템
JP2011004495A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系統監視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8026060A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更新処理装置、更新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523448A (zh) 工程工具程式及網路系統
EP2940540B1 (en) Power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5755387B1 (ja) 表示器、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JP5207310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
JP2017162263A (ja) プレイバックシミュレーション試験システム
JP6870664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96084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エンジニ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ダウンロード処理方法
JP6969371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JP2012160021A (ja) デジタル制御装置およびその実行方法
JP2018151746A (ja) 断路端子切替システム
US20160246273A1 (en) Controller
JP2019040550A (ja) 制御プログラム変換装置および方法
JP2008118518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JP2016206763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CN105045138A (zh) 切换顺序程序时输出切换预告信号的控制装置
JP2016025749A (ja) 支援情報提供装置、監視制御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20079720A1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外部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88995A1 (en)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program development support system, program development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2942668A1 (en) Facility operations management and distributed system
JP201904622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ラダー回路プログラム検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