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031A - 회전식 스파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스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031A
KR20160074031A KR1020140182307A KR20140182307A KR20160074031A KR 20160074031 A KR20160074031 A KR 20160074031A KR 1020140182307 A KR1020140182307 A KR 1020140182307A KR 20140182307 A KR20140182307 A KR 20140182307A KR 20160074031 A KR20160074031 A KR 2016007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bathtub
temperatur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476B1 (ko
Inventor
박옥점
Original Assignee
박옥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점 filed Critical 박옥점
Priority to KR102014018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내부가 순환형 루프를 이루는 욕조부와,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입욕자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위치별로 다양한 종류의 마사지용 수류가 생성되는 순환형 루프 형태의 욕조 내부에서 입욕자 이송부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다수의 입욕자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수류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다수의 입욕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다수의 입욕자가 마사지용 스파 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비용, 공간,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스파 장치{A Rotating Spar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식 스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수용되는 욕조부의 내부 공간을 순환형 루프로 구성하고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입욕자에게 동시에 상기 욕조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마사지용 수류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가시간이 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스파, 사우나, 대중목욕탕 등과 같이 욕조를 이용한 목욕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욕문화는 점차적으로 단순한 목욕이외에 수류에 의한 자극을 이용한 수압 마사지 또는 수압 치료를 위한 용도로 진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수압에 의한 마사지 효과 등을 제공하는 욕조 시스템에 관한 내용은 하기 [문헌 1] 등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 기술에 따라 수압 마사지 욕조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개인이 단독으로 사용하는 목적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수류의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고 비용이 고가일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과 대기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욕조 시스템의 경우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온수 및 냉수의 급수밸브를 손수 개폐하여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급수장치의 경우 매 급수시 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수온과 수위를 체크하면서 온수 및 냉수의 급수밸브를 적절히 개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급수단계에서 적절한 수온을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온수 또는 냉수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기 [문헌 2]와 같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급수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샘플링 타임과 전자밸브의 반응속도를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2]의 경우 급수관의 입구에 바로 냉수관과 온수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관을 통과한 온수 및 냉수가 미처 섞이기도 전에 욕조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입욕자가 온수 또는 냉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놀라거나 화상과 같은 신체적 손상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문헌 2]는 욕조 내부에 온수를 먼저 공급하게 될 경우 고온의 온수가 직접 배관을 통해 욕조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배관이나 욕조의 열 변형이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736172호 (2007. 7. 6. 공고)
[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06-106533호(2006. 10. 1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수용되는 욕조부의 내부 공간을 순환형 루프로 구성하고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입욕자에게 동시에 상기 욕조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마사지용 수류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욕조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스파 관리자 또는 입욕자 등)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가 욕조 내부로 공급되기 이전에 별도로 구성한 버퍼공간 내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욕자가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내부가 순환형 루프를 이루는 욕조부와,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입욕자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욕조부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고리 형상이고, 상기 입욕자 이송부는, 욕조부가 설치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지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연결되어 입욕자의 신체를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여 고정하는 신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욕자 이송부는,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착석수단과, 상기 착석수단의 하부에서 착석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욕조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욕조부는 내부를 이동하는 입욕자에게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루프를 따라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서 적어도 한 종류의 마사지용 수류를 생성시키는 수류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욕조부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온수관에 설치된 제1개폐부재, 냉수관에 설치된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온수관과 냉수관에서 각각 공급된 온수와 냉수를 욕조부에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온도 또는 제2온도의 물이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의 중도에 설치된 버퍼용기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버퍼용기부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2온도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버퍼용기부의 내부에서 서로 희석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물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퍼용기부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출수공과 제2출수공에는 각각 물을 분사하는 노즐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 온수 및 냉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물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이 차단된 후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이면 상기 제2물순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위치별로 다양한 종류의 마사지용 수류가 생성되는 순환형 루프 형태의 욕조 내부에서 입욕자 이송부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다수의 입욕자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수류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다수의 입욕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다수의 입욕자가 마사지용 스파 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비용, 공간,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입욕자 이송부가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력이 있는 수중에서의 신체 활동이 부자유스러운 장애인, 노약자, 및 어린이들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욕조부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기 고온수의 공급에 따른 배관 및 욕조부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냉수 및 온수가 욕조부에 공급되기 이전에 제1버퍼용기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입욕자가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도1의 회전식 스파 장치의 욕조부에서 마사지용 수류가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1에 도시한 회전식 스파 장치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및
도5는 도1에 도시한 회전식 스파 장치의 동작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도1의 회전식 스파 장치의 욕조부에서 마사지용 수류가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4는 도1에 도시한 회전식 스파 장치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한 회전식 스파 장치의 동작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욕조부(10),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를 이동시키는 입욕자 이송부(200), 상기 욕조부(10)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20), 상기 욕조부(10)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30), 상기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40), 및 상기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욕조부(10)는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물이 수용되는 내부가 순환형 루프(loop)와 같은 폐회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욕조부(10)가 중앙에 중공부(13)가 형성된 고리 형상의 욕조(11)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욕조(11)는 순환형 루프를 이루는 범위내에서는 타원형, 곡선형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욕조부(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욕자에게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수류를 생성하는 수류생성부(1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A 경로에는 욕조(11)의 내측면에서 입욕자의 좌우측 사선 방향으로 파도형 수류가 형성되고, B,D 경로에는 욕조(11)의 바닥면에서 입욕자의 하반신 방향으로 기포 형태의 수류가 형성되며, C 경로에는 욕조(11)의 내측면에서 입욕자의 좌우 측면 방향으로 노즐 분사 형태의 수류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욕조(11)의 하부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더 구비되어 상기 욕조부(10)가 후술하는 입욕자 이송부(200)와 함께 설치장소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입욕자 이송부(200)는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욕조(11)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마사지용 수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입욕자 이송부(200)가 욕조부(10)가 설치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기둥 또는 원통형의 회전체(220), 상기 지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220)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바(bar) 형상의 지지수단(230), 및 상기 지지수단(230)에 연결되어 입욕자의 신체를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여 고정하는 신체 고정수단(235,240,250)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신체 고정수단의 일측 단부(235)는 상기 지지수단(230)에 연결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욕조(11) 내부에 수용되는 타측 단부(240)는 입욕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타측 단부(240)에는 의자에 지지되는 입욕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벨트 또는 안전바 형태의 고정장치(2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체 고정수단의 타측 단부(2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식 스파 장치에서 생성되는 마시지용 수류를 입욕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2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수단(23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홈(26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욕자 이송부(200)는 지지수단(2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입욕자가 직접 또는 보호자 등의 도움을 받아 상기 신체 고정수단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을 하강시켜 입욕자의 신체 일부를 욕조(11) 내부의 물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입욕자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욕자 이송부(200)가 회전목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입욕자를 이동시키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입욕자 이송부(200)는 신체 고정수단(235,240,250)이 스키장의 리프트와 같이 욕조 상부에 설치된 케이블(미도시)에 고정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입욕자 이송부(200)는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의자와 같은 복수의 착석수단(미도시)과, 상기 착석수단의 하부에서 착석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욕조부(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이송레일(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송레일은 전동으로 동작되는 롤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착석수단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공급부(20)는 중도에 제1전자밸브(21)가 설치된 제1온수관(22)과, 상기 제1온수관(22)에 병렬로 연결되고 중도에 제1개폐밸브(23)가 설치된 제2온수관(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30)는 중도에 제2전자밸브(31)가 설치된 제1냉수관(32)과, 상기 제1냉수관(32)에 병렬로 연결되고 중도에 제2개폐밸브(33)가 설치된 제2냉수관(3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온수관(22)과 제1냉수관(32)은 주된 물공급관으로 기능하며, 상기 제2온수관(24)과 제2냉수관(34)은 주된 물공급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대비한 보조 물공급관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가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 제1온수관(22)과 제1냉수관(32)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공지된 다른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폐밸브(23)와 제2개폐밸브(33)는 보조 개폐수단이기 때문에 전술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통상의 수동식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2급수관(61a,61b)을 통하여 상기 욕조부(10)에 공급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급수관(61b)이 욕조부(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부(40)는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로터(floater) 방식, 초음파 방식, 압력방식 등 공지된 수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부(40)는 센서의 종류의 따라 설치위치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욕조부(10)의 상측 벽면, 구체적으로는 욕조부(10)의 만수수위 부근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부(50)는 욕조부(10)의 하측 벽면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51)와, 상기 제1온도센서(51)의 상부에서 상기 욕조부(10)의 벽면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온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부(50)는 욕조부(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수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욕조부(10) 내부 공간의 깊이에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욕조부(1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온도센서(51,52)가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상기 제1급수관(61a)과 제2급수관(61b) 사이에 설치된 제1버퍼용기부(60), 상기 욕조부(1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70), 상기 욕조부(1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10)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80), 및 상기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버퍼용기부(6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급수관(61a)을 통해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에서 각각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를 희석하여 제2급수관(61b)을 통해 상기 욕조부(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물순환부(70)는 후술하는 배수관과 연통되는 제1물순환관(71)과 상기 제1물순환관(71)의 중도에 설치된 제1순환펌프(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순환펌프(72)에 의하여 배수관을 통해 인출한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온수공급부(20) 및 냉수공급부(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물순환부(70)를 통해 공급되는 욕조부(10) 내부의 물과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희석되어 욕조부(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버퍼용기부(60)는 온수공급부(20) 및 냉수공급부(30)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62)과 제1물순환부(70)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63)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교차 열전달 효과에 의하여 전술한 물의 희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출수공(62,63) 각각에는 공급되는 물을 분사 또는 직사하는 노즐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교차 열전달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술한 물의 희석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희석된 물은 온수공급관(20)과 냉수공급관(30)에서 공급하는 물의 수압 및 제1순환펌프(72)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부(1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급수관(61a) 또는 제2급수관(61b)의 중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욕조부(10)에 공급되는 물을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65)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제2급수관(61a)의 중도에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연수기(65)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공지된 통상의 연수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에 의해 온도를 상승시킨 후 다시 상기 욕조부(1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욕조부(10) 상측에 연결되어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인출하는 제1배관(81), 하부가 상기 제1배관(81)에 연결되어 인출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82), 상기 여과기(82)의 상부에 연결되어 여과기(82)를 통과한 물을 상기 욕조부(10)로 공급하는 제2물순환관(83), 상기 제2물순환관(83)의 중도에 설치되어 제1배관(81)과 제2물순환관(83)을 통해 물을 순환시키는 제2순환펌프(84), 상기 제2물순환관(83)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는 보조히터(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부(90)는 욕조부(10)의 하부의 연결된 배수관(91), 상기 배수관(91)의 중도에 설치된 배수밸브(92), 상기 배수관(91)의 중도에서 욕조부(10)와 배수밸브(92) 사이에 설치된 제2버퍼용기부(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버퍼용기부(93)는 전술한 제1물순환관(71) 및 제2물순환관(83)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물순환부(70)는 배수관(91), 제2버퍼용기부(93), 및 제1물순환관(71)을 통하여 욕조부(10)의 물을 인출하여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제1배관(81)을 통하여 인출한 물을 제2물순환관(83), 제2버퍼용기부(93), 및 배수관(91)을 통하여 상기 욕조부(10)에 재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버퍼용기부(93)를 통하여 상기 배수관(91), 제1물순환관(71) 및 제2물순환관(8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부(90), 제1물순환부(70) 및 제2물순환부(80)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거나 다른 어느 하나와만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욕조부(10)의 상측 벽면과 상기 배수밸브(92)의 하부 배수관(91)을 연결하는 오버플로우관(95)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회전식 스파 장치의 동작 오류나 입욕자의 부력에 의하여 물이 욕조부(10)의 만수수위를 넘치게 되는 경우 이를 오버플로우관(95)을 통해 자연배수 시킴으로써 욕조부(10)의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에는 제1배관(81)과 연통되고 여과기(82)의 하부와 오버플로우관(95)을 연결하는 제2배관(86)과, 상기 제2배관(86)의 중도에 설치된 이물질배출밸브(87)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배관(81)을 통과한 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은 여과기(82)를 통과하기 이전에 1차적으로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배관(86)에 모여지게 되며, 추후 청소 등의 목적으로 이물질배출밸브(87)를 개방하는 경우 물과 함께 배수관(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에 대한 동작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고 급수개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20)에 미리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회전식 스파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수위센서부(40), 제1,2온도센서(51,52)에서 검출한 욕조부(10) 내부의 수위 및 온도를 이용하여 제1,2전자밸브(21,31), 보조히터(85), 제1,2순환펌프(72,84), 수류생성부(15), 및 입욕자 이송부(200)를 각각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입욕자 이송부(200)로부터 입욕자의 착석 및 고정 완료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온도설정 및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제1단계의 저온급수를 실시하게 된다(S10,S2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0)가 입욕자 이송부(200)의 지지수단(230)을 하강시켜 입욕자의 신체 일부를 욕조부(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저온급수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온급수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저온급수는 20도의 온도에서 수초 내지 수분간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저온급수를 먼저 실시하는 이유는 급수 초기에 고온의 물이 공급됨으로써 배관, 욕조부(10) 내부, 및 배관과 욕조부(10)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온수에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급수초기에 과도한 냉수나 온수가 갑작스럽게 유입되어 욕조부(10) 내부에 위치한 입욕자가 신체적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온급수의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데, 이는 온수급수부(20) 및 냉수급수부(30)의 단위 시간당 유량, 온수 및 냉수의 온도, 욕조부(10)의 체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이나 온도센서부(50)에서 측정한 욕조부(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가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저온급수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S2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저온급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경과되지 않은 경우이면 S2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경과한 경우이면 저온급수를 종료하게 된다(S40).
상기 S4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제2단계 고온급수를 실시하게 되는데(S50), 상기 고온급수도 미리 정해진 온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온급수의 수온은 설정온도 이상으로 정해져서 고온급수를 통해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바로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다소 낮게(일예로서 약 2~3도 낮은 온도) 정해져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온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제2물순환부(80)를 통하여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데, 이는 저온급수시와 마찬가지로 온수급수부(20) 및 냉수급수부(30)의 단위 시간당 유량, 온수 및 냉수의 온도, 욕조부(10)의 체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이나 온도센서부(50)에서 측정한 욕조부(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는 제1출수공(62)을 통과하여 제1버퍼용기부(60) 내에 분사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냉온수의 온도가 희석된다.
또한, 상기 고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제1순환펌프(72)도 함께 동작시키게 되는데, 그 결과 제1버퍼용기부(60)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희석된 물이 제2출수공(63)을 통해 분사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욕조부(10) 내부의 물과 2차적으로 희석됨으로써 항상 적절한 온도의 물이 욕조부(10) 내부로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S5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설정수위(즉, 만수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0),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S5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도달한 경우이면 고온급수를 종료하게 된다(S70).
이때, 상기 S70 단계에서 고온급수를 종료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의 제1,2전자밸브(21,31)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제1물순환부(70)의 동작도 중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S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5), 도달한 경우이면 제어를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보조히터(85)와 제2순환펌프(84)를 작동시켜 욕조부(10)에서 인출한 물을 가열하여 제2물순환부(80)를 통해 욕조부(10)에 재공급한다(S80).
상기 S8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0),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S8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도달한 경우이면 보조히터(85)와 제2순환펌프(84)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어를 종료한다(S100).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위치별로 다양한 종류의 마사지용 수류가 생성되는 순환형 루프 형태의 욕조 내부에서 입욕자 이송부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다수의 입욕자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수류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다수의 입욕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다수의 입욕자가 마사지용 스파 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비용, 공간,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수위센서부(40)와 온도센서부(50)를 이용하여 욕조부(10)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기 고온수의 공급에 따른 배관 및 욕조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파 장치는 냉수 및 온수가 욕조부(10)에 공급되기 이전에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욕자가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욕조부 20 : 온수공급부
30 : 냉수공급부 40 : 수위센서부
50 : 온도센서부 60 : 제1버퍼용기부
70 : 제1물순환부 80 : 제2물순환부
90 : 배수부 200 : 입욕자 이송부

Claims (11)

  1. 물이 수용되는 내부가 순환형 루프를 이루는 욕조부;와
    상기 욕조부 내부에서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입욕자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고리 형상이고,
    상기 입욕자 이송부는, 욕조부가 설치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지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연결되어 입욕자의 신체를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여 고정하는 신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 이송부는, 입욕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착석수단과, 상기 착석수단의 하부에서 착석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루프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욕조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는 내부를 이동하는 입욕자에게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루프를 따라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서 적어도 한 종류의 마사지용 수류를 생성시키는 수류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온수관에 설치된 제1개폐부재, 냉수관에 설치된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온수관과 냉수관에서 각각 공급된 온수와 냉수를 욕조부에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온도 또는 제2온도의 물이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중도에 설치된 버퍼용기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버퍼용기부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2온도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버퍼용기부의 내부에서 서로 희석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물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용기부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수공과 제2출수공에는 각각 물을 분사하는 노즐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 온수 및 냉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물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이 차단된 후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이면 상기 제2물순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파 장치.
KR1020140182307A 2014-12-17 2014-12-17 회전식 스파 장치 KR10173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07A KR101733476B1 (ko) 2014-12-17 2014-12-17 회전식 스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07A KR101733476B1 (ko) 2014-12-17 2014-12-17 회전식 스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031A true KR20160074031A (ko) 2016-06-28
KR101733476B1 KR101733476B1 (ko) 2017-05-11

Family

ID=5636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07A KR101733476B1 (ko) 2014-12-17 2014-12-17 회전식 스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9507A (zh) * 2020-07-14 2020-10-20 雷林泉 一种老年高血压患者用浴缸洗浴超时提示管制装置
CN115486734A (zh) * 2022-09-30 2022-12-20 王宇杭 一种高安全性的护理型浴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897B2 (ja) * 1997-09-09 2000-09-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リフター
JP2000225165A (ja) * 1999-02-04 2000-08-15 Takeo Miyamoto 多人数入浴装置
KR100615069B1 (ko) * 2005-05-25 2006-08-25 (주)씨에스이 분출수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수류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9507A (zh) * 2020-07-14 2020-10-20 雷林泉 一种老年高血压患者用浴缸洗浴超时提示管制装置
CN115486734A (zh) * 2022-09-30 2022-12-20 王宇杭 一种高安全性的护理型浴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476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630B2 (en) Bathing aid
JP2010148745A (ja) 洗浄装置
KR101733476B1 (ko) 회전식 스파 장치
WO2018022073A1 (en) Smart shower compartment
KR101426585B1 (ko)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2442B1 (ko) 간호용 입욕 장치
CN213251132U (zh) 一种智能按摩足浴盆
JP2018114196A (ja) 水治療設備および水治療設備の消毒方法
JP2018175001A (ja) 浴槽洗浄装置
RU2708865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и реализации процессов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руйных потоков гидромассажного сканера
JP2006014854A (ja) 入浴装置
JP7424329B2 (ja) 浴槽洗浄システム、給湯システムおよび浴槽洗浄制御方法
JP2006266621A (ja) 風呂装置
JP2006014851A (ja) 入浴装置
JP4752592B2 (ja) 浴槽
JPH056989Y2 (ko)
KR20240028703A (ko) 좌욕기 결합형 비데와 이를 이용한 좌욕방법
JP3403311B2 (ja) 安全装置付入浴装置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GB2598567A (en) Bathing apparatus
JP3015197B2 (ja) 浴槽の肩当て用シャワーの残水除去装置
KR100711979B1 (ko) 인버터 펌프를 이용한 수영장내 온탕 물공급장치 및 방법
CN110622878A (zh) 宠物洗浴机及其控制方法
JP2006181223A (ja) 入浴装置
JP2004081381A (ja) 介護用入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