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06A -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06A
KR20160071606A KR1020140178929A KR20140178929A KR20160071606A KR 20160071606 A KR20160071606 A KR 20160071606A KR 1020140178929 A KR1020140178929 A KR 1020140178929A KR 20140178929 A KR20140178929 A KR 20140178929A KR 20160071606 A KR20160071606 A KR 2016007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d
water level
module
road
roa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383B1 (ko
Inventor
신정석
최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씨
Priority to KR102014017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3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3Radio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도로, 자전거 도로 등에 차량 돌진 방지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로 안전봉 내부에 모듈을 장착하여 침수 정보 수집에 이용함으로써 도로 안전봉의 활용도를 높이고, 수위 측정 모듈과 무선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센싱한 침수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침수 파악 및 침수 위험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침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부이를 사용하여 물의 유입 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도로, 자전거 도로 등에 차량 돌진 방지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로 안전봉 내부에 모듈을 장착하여 침수 정보 수집에 이용함으로써 도로 안전봉의 활용도를 높이고, 수위 측정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센싱한 침수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침수 파악 및 침수 위험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침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부이를 사용하여 물의 유입 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안전봉은 도로확장 시 별도의 자전거 도로 구분이나 운전자 및 보행자의 사고 방지 차원에서 여유공간의 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도로 안전봉의 일측에 발광 기능을 장착함으로써 가시적으로 눈에 띄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야간에 도로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도로 안전봉이 시중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매년 하절기에는 집중 호우로 인한 각종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배수시스템 및 침수 방제 시스템의 구축이 미비한 지역이 많아 피해 규모가 적지 않은 현실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65846호(2006.3.22 등록),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는 배수로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는 도로 비탈면에 설치된 배수로의 누수를 감지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선행기술문헌은 배선파이프의 삽입작동관에 수위감지센서를 장착하여 배수저항에 의해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 내의 침수상황을 관제센터와의 상호 통신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침수방제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실시간 침수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고, 물의 유입 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침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은 도로 부근에 설치되어, 침수 발생 시 내측에 형성된 부이가 부력능으로 떠오르면 부이와의 거리 측정을 통해 수위를 판단하는 도로 안전봉; 및 도로 안전봉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도로 안전봉으부터 침수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도로의 침수 정보를 수집하고, 침수 위험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 인근 재난대비기관에 침수 정보를 통보하는 관제 센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안전봉은 물의 유입과 동시에 작동하고, 적외선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부이(buoy)를 인식하여 부이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수위 측정 모듈, 수위 측정 모듈에 의해 감지된 침수 정보를 토대로 수위를 산출하되, 부이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침수 위험으로 판단하고, 부이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상의 경우 안정수치로 판단하는 수위값 판단 모듈, 수위값 판단 모듈을 통해 분류된 침수 정보는 관제 센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용 무선 통신 모듈, 및 수위값 판단 모듈을 통해 침수 위험으로 판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도로 안전봉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LED 점멸을 수행하는 LED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도로, 자전거 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 안전봉의 내부에 수위 측정 모듈을 장착하여 침수 정보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침수 파악이 가능하여 침수 위험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안전봉의 내측에 부이를 지면과 맞닿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물의 유입 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침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차량 돌진 방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 안전봉을 침수 정보 수집에 필요한 모듈을 장착시켜 도로 안전봉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의 도로 안전봉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의 도로 안전봉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은 도로의 지면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안전봉의 내측에 장착되고 침수빈번지역의 침수 발생 시 수위 정도를 감지하는 도로 안전봉(100)과, 도로 안전봉(100)의 무선통신 모듈(30)을 통해 전달받은 침수 정보를 토대로 후 조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제 센터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로 안전봉(100)은 도로, 자전거 도로 등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 안전봉(100)을 활용하여 도로 안전봉(1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관제센터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기존에 차량 돌진 방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 안전봉(10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로 안전봉(100)의 내측에는 부이(buoy)(11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이(buoy)(110)는 물의 유입 전에는 지면에 설치되어 있다가 물의 유입이 있은 후에는 부력능으로 인해 수면위로 떠오르며, 도로 안전봉(100)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수위 측정 모듈(10)과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부이(buoy)(110)에도 적외선 송수신 모듈(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도로 안전봉(100)의 내부로 물이 차오르게 되면 부이(buoy)(110)가 부력능으로 인해 떠오르게 된다. 이 때, 부이(buoy)(110)에 부착된 수위 송수신 모듈(미도시)과 수위 측정 모듈(10)과의 적외선 신호가 상호 통신되어 부이(110)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된 침수 정보는 도로 안전봉(100) 내부에서 특정 변환을 통해 관제 센터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관제 센터 단말기(200)는 도로 안전봉(100)과 무선통신 모듈(30)을 통해 연동되어 도로 안전봉으로부터 센싱한 침수 정보를 전송받아 각 도로의 침수 정보를 수집하고, 위급한 침수 상황의 경우 해당 도로의 인근 재난 관련 기관으로 침수 정보를 전달한다.
관제 센터 단말기(200)는 각 도로의 도로 안전봉(10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도로에 장착된 도로 안전봉(100)으로부터 침수 정보를 저장받으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동기화되며 침수 정보 이력에 대한 열람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의 도로 안전봉(100)과 관제센터 단말기(200)가 연동되는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로 안전봉(100)은 수위 측정 모듈(10), 수위값 판단 모듈(20), 무선 통신 모듈(30), 및 LED 발광 모듈(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위 측정 모듈(10)은 도로 안전봉(100)의 내측 상단에 위치되어 부이(buoy)(110)와 적외선 신호로 통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유입과 동시에 작동되어 적외선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부이(buoy)(110)를 인식하여 부이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한다.
수위값 판단 모듈(20)은 수위 측정 모듈(10)에 의해 감지된 수위를 토대로 침수 정보를 산출한다. 수위 측정 모듈(10)과 부이(buoy)(110)와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수위는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부이(buoy)(110)와의 거리가 멀 수록 수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이(110)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침수 위험으로 판단하고, 부이(110)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상의 경우 안정수치로 판단한다.
상기 침수 정보는 관제 센터 단말기(200)로 전송되되, 침수 위험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도로 안전봉(100)의 외주면에 설치된 LED 발광 모듈(40)로 신호를 보내 LED 램프에서 점멸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LED 램프의 점멸로 인해 도로 안전봉(100)의 부근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모듈(30)은 수위 측정 모듈(10)에서 감지한 침수 정보를 관제 센터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위 측정 모듈 20 - 수위값 판단 모듈
30 - 무선 통신 모듈 40 - LED 발광 모듈
100 - 도로 안전봉 110 - 부이(buoy)
200 - 관제 센터 단말기

Claims (2)

  1. 도로 부근에 설치되어, 침수 발생 시 내측에 형성된 부이(buoy)가 부력능으로 떠오르면 부이(buoy)와의 거리 측정을 통해 수위를 판단하는 도로 안전봉; 및
    도로 안전봉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도로 안전봉으부터 침수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도로의 침수 정보를 수집하고, 침수 위험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 인근 재난대비기관에 침수 정보를 통보하는 관제 센터 단말기
    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도로안전봉은
    물의 유입과 동시에 작동하고, 적외선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부이(buoy)를 인식하여 부이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수위 측정 모듈,
    수위 측정 모듈에 의해 감지된 침수 정보를 토대로 수위를 산출하되, 부이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하일 경우 침수 위험으로 판단하고, 부이와의 거리값이 임계값 이상의 경우 안정수치로 판단하는 수위값 판단 모듈,
    수위값 판단 모듈을 통해 분류된 침수 정보는 관제 센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용 무선 통신 모듈, 및
    수위값 판단 모듈을 통해 침수 위험으로 판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도로 안전봉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LED 점멸을 수행하는 LED 발광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KR1020140178929A 2014-12-12 2014-12-12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KR101671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29A KR101671383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29A KR101671383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06A true KR20160071606A (ko) 2016-06-22
KR101671383B1 KR101671383B1 (ko) 2016-11-01

Family

ID=5636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29A KR101671383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3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445A (zh) * 2017-01-23 2017-08-18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防汛和提高除湿效率的通信机房
CN107293141A (zh) * 2017-06-19 2017-10-24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的智慧告警系统及方法
CN107464434A (zh) * 2017-06-19 2017-12-1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的告警方法及系统
JP2018087814A (ja) * 2016-11-24 2018-06-07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冠水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JP2018112973A (ja) * 2017-01-13 2018-07-1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氾濫予測システム
JP2018189507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水位計及び水位計を使用したシステム
JP2018189506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表示端末およびアンダーパス警告表示システム
JP2018189505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水位計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2767651A (zh) * 2019-10-21 2021-05-07 千寻位置网络有限公司 海面监控方法及系统
KR20210053406A (ko) * 2019-11-01 2021-05-12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493A (ko) * 2000-09-25 2002-03-30 장학수,유병준 음파 수위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00010642A (ko) * 2008-07-23 2010-02-02 서입분 도로중앙분리봉
KR200461904Y1 (ko) * 2012-05-11 2012-08-13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493A (ko) * 2000-09-25 2002-03-30 장학수,유병준 음파 수위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00010642A (ko) * 2008-07-23 2010-02-02 서입분 도로중앙분리봉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KR200461904Y1 (ko) * 2012-05-11 2012-08-13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7814A (ja) * 2016-11-24 2018-06-07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冠水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JP2018112973A (ja) * 2017-01-13 2018-07-1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氾濫予測システム
CN107062445A (zh) * 2017-01-23 2017-08-18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防汛和提高除湿效率的通信机房
JP2018189507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水位計及び水位計を使用したシステム
JP2018189506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表示端末およびアンダーパス警告表示システム
JP2018189505A (ja) * 2017-05-08 2018-11-29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水位計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7293141A (zh) * 2017-06-19 2017-10-24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的智慧告警系统及方法
CN107464434A (zh) * 2017-06-19 2017-12-1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的告警方法及系统
WO2018232982A1 (zh) * 2017-06-19 2018-12-27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的智慧告警系统及方法
CN112767651A (zh) * 2019-10-21 2021-05-07 千寻位置网络有限公司 海面监控方法及系统
KR20210053406A (ko) * 2019-11-01 2021-05-12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383B1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383B1 (ko)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CN202614324U (zh) 涵洞水位检测报警装置
CN205920605U (zh) 一种城市暴雨洪水交通安全监测分析预警系统
CN103578297B (zh) 桥梁防碰撞装置的控制方法
CN105280004A (zh) 一种基于桥洞积水的汽车驾驶员预警装置
CN104790499A (zh) 一种用于城市渍涝分析的窨井盖装置
CN113027524A (zh) 一种城市隧道内涝安全防控系统
CN204128622U (zh) 一种基于ZigBee城市低洼路段水位监控报警系统
CN205138598U (zh) 一种城市公共道路积水智能监控系统
CN209028836U (zh) 一种对低速行驶车辆的主动警示系统
CN204680220U (zh) 一种内河桥梁通航高度超限预警系统
KR101819496B1 (ko) 부유체를 구비하는 하수관의 침전물센서 및 이를 이용한 침전물의 모니터링 시스템
CN205940697U (zh) 一种地道桥水位预警装置
US11187568B2 (en) Curb for measuring flood depth in urban area
JP2007256166A (ja) 道路交通情報の受信装置
CN104724140A (zh) 轨道电路行车安全监测系统
CN206695934U (zh) 公路边坡压力检测与预警装置
CN113465697A (zh) 一种就地监测预警的水尺
CN106448200B (zh) 基于4g网络的防雷击隧道积水警示系统及方法
CN104501905A (zh) 城市智能街道积水应急警报处理系统
CN114708701A (zh) 一种基于智能井盖的出行安全信息监测方法及系统
CN210574334U (zh) 弯道防护系统
KR20150080840A (ko) 강수형태 구별이 가능한 적설감지장치 및 방법
CN204527215U (zh) 轨道电路行车安全监测系统
CN112304368A (zh) 一种具有倒伏预警和漏电检测功能的智慧路灯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