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04Y1 -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04Y1
KR200461904Y1 KR2020120003896U KR20120003896U KR200461904Y1 KR 200461904 Y1 KR200461904 Y1 KR 200461904Y1 KR 2020120003896 U KR2020120003896 U KR 2020120003896U KR 20120003896 U KR20120003896 U KR 20120003896U KR 200461904 Y1 KR200461904 Y1 KR 200461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flooding
sensor
suppor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3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은 빗물 배수구 인근의 보도 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침수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 감지 장치는: 보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지주; 상기 보도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주의 하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지주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빗물 배수구와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 결합되며, 지중에 연통되게 하면에 배출포트가 형성된 물받이통; 및 상기 지주에 내장되어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통 중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지점은 상기 도로의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이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에 의하면, 지주 외부에서 강풍 등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감지 센서가 지주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감지정보를 관제부에 전송할 수 있어 보험회사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보험 계약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보험 계약자가 미리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보험회사의 경우에도 보험 계약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FLOORING OF ROAD}
본 고안은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빗물 배수구 인근의 보도 상에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가 도로의 침수 상태를 감지한 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제서버나 담당자에게 감지정보를 전송하여 보험회사나 보험 계약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시기에는 침수 피해를 입는 지역이 생기게 된다.
특히, 지대가 낮는 곳은 상습적인 침수 피해를 입게 되는데,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천의 범람이나 역류 등에 의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되는 지역이 여러 군데 있다.
그런데, 최근 장마철의 강우 추세를 보면, 비가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많이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단시간 안에 기습적으로 퍼붓는 게릴라성 호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폭우 추세는 특히 저지대 도로에서 많은 차량 침수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습적인 폭우 상태에서 미처 안전요원들이 도로를 차단하기도 전에 저지대 도로로 진입한 차량은, 도로 중간에 고립되어 차량 침수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즉, 게릴라성 폭우로 인해, 안전요원들이 위험을 감지하고 차량 진입을 막기도 전에 벌써 도로의 침수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먼저 진입한 차량들은 중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침수 피해를 입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이는 차량 뿐 아니라 자칫 운전자의 생명까지 위험해지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더구나, 보험사의 경우는 이러한 예측 불허의 폭우로 인해 보험 가입자들에 대한 피해 보상액이 막대하게 증가됨에 따라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도로 침수에 대한 감지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면서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6464호 (2011년 12월 21일 공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의 침수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은 빗물 배수구 인근의 보도 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침수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 감지 장치는: 보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지주; 상기 보도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주의 하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지주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빗물 배수구와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 결합되며, 지중에 연통되게 하면에 배출포트가 형성된 물받이통; 및 상기 지주에 내장되어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통 중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지점은 상기 도로의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이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물받이통으로 상기 빗물 배수구 내의 물이 유입되어 상기 기준점에 이르면 상기 관제부에 경고 메세지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물받이통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의 외부에는 도로 상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부는 보험사 내의 관제 서버 및 상기 보험사의 담당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로, 상기 담당자에게는 휴대폰 문자 메세지로 상기 감지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 상에는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어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관제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 상부에는 주변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제부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가 장착되되,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감지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기준점에 수위가 도달함을 감지하거나 미리 세팅된 수위를 감지한 경우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지주 외부에서 강풍 등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감지 센서가 지주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감지정보를 관제부에 전송할 수 있어 보험회사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보험 계약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보험 계약자가 미리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보험회사의 경우에도 보험 계약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보험 계약자에게 보험회사 본연의 업무 이외에 부수적으로 침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험 계약자의 만족감 및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중 침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도로 침수 감지 장치에 외부센서 및 감시카메라가 더 부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에 표시되는 침수 알림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중 침수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로 침수 감지 장치에 외부센서 및 감시카메라가 더 부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에 표시되는 침수 알림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은 도로의 빗물 배수구(40) 인근의 보도 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 장치 및 원격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침수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침수 감지 장치는 지주(10)와, 물받이통(20)과, 감지센서(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보도에 결합되며, 하부가 보도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물받이통(20)은 지주(10)의 하부에 내장되거나, 지주(10)의 하단에 결합되거나, 지주(10)의 하부 빈 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에 지중에 연통되는 배출포트(21)가 형성되어 물받이통(20)으로 유입된 물이 지중으로 자연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물받이통(20)은 연결관(30)에 의하여 빗물 배수구(40)와 연통되되, 상기 연결관(30)은 빗물 배수구(40)의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빗물 배수구(40)로 유입된 물이 적절히 배출되지 않거나 역류되어 빗물 배수구(40)를 채우는 경우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물받이통(20)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통(20) 중 연결관(30)과 연결된 지점은 도로의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이하 이 지점을 기준점이라 한다.
상기 감지센서(50)는 지주(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받이통(20) 내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물받이통(20)의 기준점까지 물이 차오르면 상기 감지센서(50)는 상기 지주(10)에 장착되며 감지센서(50)와 연결된 제어부(60)를 통해 상기 관제부로 경고 메세지를 전송함과 더불어 이때부터 물받이통(20)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관제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물받이통(20) 내의 수위가 기준점에 이른다는 것은 물받이통(20) 내로 유입된 물이 지중으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역류되는 것으로, 이는 빗물 배수구(40)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지 못하거나 역류되어 빗물 배수구가 가득 차게 됨으로써 도로 상으로 빗물이 넘치게 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물받이통(20) 내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기준점에 도달한 때부터는 실시간으로 이를 감지하여 관제부로 감지정보를 전송해야 도로 상의 침수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50)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감지센서(50)와 수면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즉, 감지센서(50)와 수면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위는 높아지며, 이를 이용하여 센싱된 거리 정보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감지센서(50)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도로의 수위를 계산하여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에는 그 지역을 담당하는 보험회사 담당자나 그 지역에 거주하는 보험 계약자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감지센서(50)와 상기 제어부(60)에 대한 전원의 인가는 지주(10) 상부에 결합된 태양광 모듈(70)에 의할 수도 있고, 또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주(10) 외주면에는 도로 상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를 통해 관제부로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센서(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센서(90)는 우적 감지부와, 강우량 측정부 및 수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적 감지부는 빗방울을 감지하여 비가 내리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강우량 측정부는 우적 감지부와 연동되어 강우량을 측정하며, 상기 수위 측정부는 강우량이 미리 세팅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되어 도로 상의 침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관제부로 측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센서(90)에서 감지된 정보의 경우에도 미리 세팅된 침수위의 기준치에 이르게 되면 먼저 경고 메세지를 관제부로 전송할 수 있고, 더불어 이때부터는 실시간으로 측정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지주(10) 상부에는 주변을 영상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제부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시 카메라(80)는 상기 감지센서(50)와 연동되어 상기 감지센서(50)가 물받이통(20) 내의 수위가 기준점에 도달하거나 또는 물받이통(20) 내의 수위가 미리 세팅된 수위에 도달한 경우 동작되어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제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센서(90) 및 감시 카메라(8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제부는 보험회사 내의 관제 서버 또는/및 보험회사의 담당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수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는 관제 서버 또는/및 그 지역의 담당자에게 전송되는데, 담당자에게만 전송되는 경우에는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가 적은 경우로, 이 경우 각 담당자는 미리 침수 감지 장치의 제어부(60)에 입력되어 있으며, 담당자에게 전송되는 감지정보는 경고 메세지 및 도로의 수위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담당자뿐만 아니라 미리 입력된 그 지역의 보험 계약자에게도 함께 감지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정보가 관제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설치된 침수 감지 장치가 많아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관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로, 각 침수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모든 정보가 전송되며, 각 구역을 담당하는 담당자에게 또는 담당자 및 그 지역의 보험 계약자에게 일부 필요한 정보, 예컨대 강우량, 지점별 침수 상태, 위험 단계, 앞으로 전개될 상황에 대한 예측이나 경고 등의 정보를 문자 메세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담당자는 보험설계사, 보상과 관련된 직원, 콜센터, 긴급출동요원 등 보험회사와 관련된 일을 하는 자일 수 있다.
한편, 감지 정보가 관제 서버 및 담당자에게 모두 전달되는 경우에는 관제 서버로는 감지된 모든 정보가 전송되고, 담당자에게는 최소한의 필수 정보만이 휴대폰의 문자 메세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지주(10) 외부에서 강풍 등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감지 센서(50)가 지주(10)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감지정보를 관제부에 전송할 수 있어 보험회사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보험 계약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보험 계약자가 미리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보험회사의 경우에도 보험 계약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보험 계약자에게 보험회사 본연의 업무 이외에 부수적으로 침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험 계약자의 만족감 및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 지주
20... 물받이통
21... 배출홀
30... 연결관
40... 빗물 배수구
50... 감지센서
60... 제어부
70... 태양광 모듈
80... 감시카메라
90... 외부센서

Claims (6)

  1. 빗물 배수구 인근의 보도 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침수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 장치는:
    보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지주;
    상기 보도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주의 하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지주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빗물 배수구와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 결합되며, 지중에 연통되게 하면에 배출포트가 형성된 물받이통; 및
    상기 지주에 내장되어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통 중 상기 연결관과 연결된 지점은 상기 도로의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이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물받이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물받이통으로 상기 빗물 배수구 내의 물이 유입되어 상기 기준점에 이르면 상기 관제부에 경고 메세지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물받이통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부에는 도로 상의 침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보험사 내의 관제 서버 및 상기 보험사의 담당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로, 상기 담당자에게는 휴대폰 문자 메세지로 상기 감지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에는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어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관제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부에는 주변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관제부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가 장착되되,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감지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기준점에 수위가 도달함을 감지하거나 미리 세팅된 수위를 감지한 경우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2020120003896U 2012-05-11 2012-05-11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200461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96U KR200461904Y1 (ko) 2012-05-11 2012-05-11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96U KR200461904Y1 (ko) 2012-05-11 2012-05-11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904Y1 true KR200461904Y1 (ko) 2012-08-13

Family

ID=4688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896U KR200461904Y1 (ko) 2012-05-11 2012-05-11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04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5132A (zh) * 2015-01-04 2015-04-22 肖雪峰 遥测雨量水位站
KR20160071606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에스엔씨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CN107100411A (zh) * 2017-06-13 2017-08-29 成都明途科技有限公司 监测城市内涝的路政设备
CN109186675A (zh) * 2018-09-21 2019-01-11 河北冀云气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内涝监测方法及装置
KR20190074682A (ko) 2017-12-20 2019-06-28 전자부품연구원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KR20190090267A (ko) 2018-01-24 2019-08-01 전자부품연구원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2101091B1 (ko) * 2018-10-08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경보 장치
KR20210084043A (ko) 2019-12-27 2021-07-0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수위 감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N113682310A (zh) * 2021-09-02 2021-11-23 江苏理工学院 一种用于车辆的路面积水检测系统及检测控制方法
KR102365493B1 (ko) * 2021-09-06 2022-02-18 홍진표 디지털 화상정보의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통한 수면 감시장치
CN115116196A (zh) * 2022-06-10 2022-09-27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多方位监测功能的管道地质灾害预警装置
US11976955B2 (en) 2018-09-21 2024-05-07 Ecolab Usa Inc.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95Y1 (ko) 2003-12-22 2004-03-18 박성기 침수경보장치
JP2006348608A (ja) 2005-06-16 2006-12-28 Eijiyuu Sangyo:Kk バルコニー浸水警報装置
KR100796567B1 (ko) 2007-12-20 2008-01-21 김종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안전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95Y1 (ko) 2003-12-22 2004-03-18 박성기 침수경보장치
JP2006348608A (ja) 2005-06-16 2006-12-28 Eijiyuu Sangyo:Kk バルコニー浸水警報装置
KR100796567B1 (ko) 2007-12-20 2008-01-21 김종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안전보호커버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606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에스엔씨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KR101671383B1 (ko) * 2014-12-12 2016-11-01 주식회사 에스엔씨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CN104535132B (zh) * 2015-01-04 2018-08-21 肖雪峰 遥测雨量水位站
CN104535132A (zh) * 2015-01-04 2015-04-22 肖雪峰 遥测雨量水位站
CN107100411A (zh) * 2017-06-13 2017-08-29 成都明途科技有限公司 监测城市内涝的路政设备
KR20190074682A (ko) 2017-12-20 2019-06-28 전자부품연구원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KR20190090267A (ko) 2018-01-24 2019-08-01 전자부품연구원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11976955B2 (en) 2018-09-21 2024-05-07 Ecolab Usa Inc.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109186675A (zh) * 2018-09-21 2019-01-11 河北冀云气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内涝监测方法及装置
CN109186675B (zh) * 2018-09-21 2021-01-05 河北冀云气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内涝监测方法及装置
KR102101091B1 (ko) * 2018-10-08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경보 장치
KR20210084043A (ko) 2019-12-27 2021-07-0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수위 감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N113682310A (zh) * 2021-09-02 2021-11-23 江苏理工学院 一种用于车辆的路面积水检测系统及检测控制方法
CN113682310B (zh) * 2021-09-02 2023-06-23 江苏理工学院 一种用于车辆的路面积水检测系统及检测控制方法
KR102365493B1 (ko) * 2021-09-06 2022-02-18 홍진표 디지털 화상정보의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통한 수면 감시장치
CN115116196A (zh) * 2022-06-10 2022-09-27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多方位监测功能的管道地质灾害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904Y1 (ko)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101365688B1 (ko)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KR102057808B1 (ko)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KR100869571B1 (ko)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1345186B1 (ko) 도로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5016B1 (ko) 가변형 센서가 적용된 도로 침수 감지 시스템
KR102301082B1 (ko)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US20230251124A1 (en) Permeable Pavement Monitoring System
KR20170033103A (ko) 도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380A (ko)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KR102356340B1 (ko)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KR20110120763A (ko) 침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로등
KR20190080258A (ko)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US11686082B2 (en)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s
JP2009108534A (ja) 雨水貯留施設、および雨水貯留施設の監視・管理システム
GB2497157A (en) Sewerage system level sensing
KR101516917B1 (ko) 지하수 관정 감시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542236B1 (ko) 부력을 이용하는 월류방지장치 및 운영방법
KR102135612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로 제설 및 제빙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JP6455356B2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KR101178843B1 (ko) 호우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 경계석
KR101975751B1 (ko) 도심 침수심 측정을 위한 연석
CN114708701B (zh) 一种基于智能井盖的出行安全信息监测方法及系统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23182B1 (ko)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계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