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406A -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406A
KR20210053406A KR1020190138930A KR20190138930A KR20210053406A KR 20210053406 A KR20210053406 A KR 20210053406A KR 1020190138930 A KR1020190138930 A KR 1020190138930A KR 20190138930 A KR20190138930 A KR 20190138930A KR 20210053406 A KR20210053406 A KR 2021005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sensor
central control
smart bench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266B9 (ko
KR102332266B1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2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66B1/ko
Publication of KR10233226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6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관제센터와 태양광 스마트벤치(단말부)를 포함하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중앙관제센터와 LoRa망 또는 유무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소정개수의 슬레이브(Slave)모듈로 구성되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접속은 블루투스를 통해 접속되며, 다수의 스마트벤치 각각은 다수의 AP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와 연결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벤치는 제어보드에는 태양광패널을 제어하는 태양광콘트롤러, 배터리, USB 충전포트를 구비하며, 모션센서와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SOS호출버튼 및 자체 싸이렌 알림기능, 비상통화장치,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Intelligence Sensor-based Solar Smart Bench And Intelligence ICT system Capable of Constructing Social-Safety Networ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벤치기능을 제공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얻어진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LED 조명 및 스마트기기 유무선 충전기능과 공용와이파이 서비스기능(유선 백본망 또는 LTE 라우터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신개념의 친환경벤치이며, 벤치 온열기능, CCTV감시 및 긴급호출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비상통화기능을 통한 위급상황에서의 통화기능(특정편의 서비스 목적으로도 활용가능)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길거리, 공원 등에 설치되는 벤치는 지나가는 행인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벤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놀이 및 정보 습득의 수단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휴식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한편, 여가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으로 자전거, 등산, 캠핑, 낚시 등을 즐기는 레저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 도로, 등산로, 해안산책로, 둘레길, 공원, 근린 체육시설에 이르기까지 조경시설물 또는 편의 시설등에 대한 설치 및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전기시설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자전거 전용도로 또는 국립공원 등 등산로 및 등산로 주변지역 등은 갑작스러운 기상변화로 인하여 하천범람, 고립, 조난, 낙상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등산로등 성범죄 사건 및 사고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지능형 기반 태양광 스마트벤치는 치안센터, 공원관리센터, 국립공원 관리센터 등 시설물의 관리 및 방범을 목적으로 관제센터를 둘 수 있고, 시설물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고, 위기 및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히 대응함으로서 휴식 및 편의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시민안전관리 시설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047977호(등록일자: 2011년 07월04일)(발명의 명칭: 스마트형 공원시설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벤치기능을 제공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얻어진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LED 조명 및 스마트기기 유무선 충전기능과 공용와이파이 서비스기능(유선 백본망 또는 LTE 라우터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신개념의 친환경벤치이며, 벤치 온열기능, CCTV 감시 및 긴급호출서비스 기능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있어서,
중앙관제센터와 태양광 스마트벤치(단말부)를 포함하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중앙관제센터와 LoRa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LTE망을 통하여 접속되고,상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소정개수의 슬레이브(Slave)모듈로 구성되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접속은 블루투스를 통해 접속되며, 다수의 스마트벤치 각각은 다수의 AP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와 연결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벤치는 제어보드에는 태양광패널을 제어하는 태양광콘트롤러, 배터리, USB 충전포트를 구비하며, 모션센서와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SOS호출버튼과 자체 싸이렌 알림기능, CCTV 감시기능 및 비상통화장치,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최대 11개의 슬레이브(Slave)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슬레이브 모듈과 스마트벤치 마스터 모듈이 한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접속은 블루투스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벤치는 LoRa망으로 네트워크구성시 중앙관제서버에는 LoRa AP가 RS-485로 연결되며, 중앙관제서버와 LoRa AP는 최대 10Set와 연결되며, 각 AP당 스마트벤치는 120대 연결되며, 하나의 중앙관제센터는 10개의 AP와 연결되며, 모니터링 시스템의 1,200대의 스마트벤치 모듈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벤치는 비상통화기능을 가지는데, 이러한 통화기능을 이용하여 장애인 및 노약자등 사회취약계층에게 교통편의서비스(예를 들면 콜택시 연결서비스) 등 콜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벤치는 제한된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잔량에 따라 서비스제공 우선순위를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네트워킹되는 모든 벤치의 상태 및 환경조건(태양광 발전량, 배터리 잔량, 주변온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유무와 방문자수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된 블루투스(311), CCTV(312), LED등(313), 배터리잔량표시부(314), 무선충전패드(315), 온도센서(316), 조도센서(317), 침수센서(320), LoRa/유무선랜/LTE 장치(321))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템 전면에 모션센서(318)와 초음파센서(319)를 포함하고 있으며, SOS호출버튼(144) 및 비상통화장치를 가지며,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상기 침수센서의 센싱신호에 따라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벤치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벤치는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LED조명 기능을 제공하여 보안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범죄예방 및 범법행위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기기의 유무선 충전기능을 제공하여 시민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중앙관제센터(관리센터 및 보안센터)로 동시에 네트워크로 전달되어 체계적인 구호가 가능하게 해주어 사회안전관리망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기온이 낮아질 경우 사용되는 벤치 온열기능을 가지는데, 온열기능은 외부 온도가 많이 낮을 경우 사전에 세팅된 온도 또는 중앙관제센터의 조작에 의하여 벤치에 온열을 발생시켜 겨울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에 있어서,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네트워킹되는 모든 벤치의 상태 및 환경조건(태양광 발전량, 배터리 잔량, 주변온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유무와 방문자수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스템내 제어(LED등 On/Off, 온열기능 On/Off,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의 배터리에는 특정위치에 침수센서가 부착되어 폭우시 갑자기 물이 불어날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사실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전기사고 예방 및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스마트벤치 마스터를 매개로 중앙관제센터의 중앙관제서버와 연결되며,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제공 기능(유선망 또는 LTE라우터망)을 제공받아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중앙관제센터 및 태양광 스마트벤치와의 구성은 비면허 대역(LoRa, 블루투스등을 사용함으로써 무료 망 구축 솔루션)을 사용함으로서 통신비에 대한 절감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태양광에서 생산되는 발전량과 배터리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력절감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LED등 밝기 조절을 위하여 평상시 LED등의 밝기를 일정조도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접근시 인체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조도를 높여 밝게 사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모션 감지 센서만 사용할 경우 일정시간 후에 조도가 다시 낮아지므로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있는데, 따라서 사람이 있을 경우는 지속적으로 밝은 조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초음파 센서를 별개로 두어 사람이 있을 경우 LED의 조도변화 없이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전력에 대한 기능을 조금 더 구체화하는 방법론에 대한 알고리즘도 도입하였는데, 배터리 잔량 정도에 따라 서비스 제한 기능을 가지며, 배터리 잔량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다르게 하여 배터리 이용을 체계적으로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관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벤치가 설치될 수 있는 모든 지역 및 장소(일조량에 문제가 없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제품으로 자전거 전용도로, 공원, 녹지, 등산로, 산책로, 주택가등 전력구축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시민들의 휴식 및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며, 중앙관제센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 연동되며 긴급 및 비상상황(사건사고, 지진, 폭우, 폭염) 발생시 긴급호출(SOS)기능을 제공하여 호출시 자체적으로 싸이렌을 발생시켜 위급상황을 주변에 빠르게 전달하여 긴급구호가 가능하게 하며, 긴급호출과 동시에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CCTV가 작동하여 주변상황을 녹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중앙관제센터(관리의 주체에 따라 관리센터 및 보안센터로 구성되어 질 수 있음)로 동시에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시민의 안전요소를 확인하도록 하고, 위험인지시 체계적인 구호가 가능하게 해주는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앙관제서버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ICT)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앙관제서버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스마트 벤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태양광 모듈의 일사량을 고려하여 TOP면에 배치 장착하여 낮 시간에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축전지에 전기를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LED조명 및 유무선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신개념의 친환경 벤치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벤치가 설치될 수 있는 모든 지역 및 장소(일조량에 문제가 없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제품으로 자전거 전용도로, 공원, 녹지, 등산로, 산책로, 주택가등 전력구축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시민들의 휴식 및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며, 중앙관제센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 연동되며 긴급 및 비상상황(사건사고, 지진, 폭우, 폭염) 발생시 긴급호출(SOS)기능을 제공하여 위급상황을 주변에 빠르게 전달하여 긴급구호가 가능하게 하며, 긴급호출과 동시에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CCTV가 작동하여 주변상황을 녹화하여 영상 데이터를 중앙관제 센터(관리의 주체에 따라 관리센터 및 보안센터로 구성되어 질 수 있음)로 동시에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시민의 안전요소를 확인하도록 하고, 위험인지시 체계적인 구호가 가능하게 해주는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벤치는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LED조명 기능을 제공하여 보안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범죄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기기의 유무선 충전기능을 제공하여 시민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중앙관제센터(관리센터 및 보안센터)로 동시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전달되어 체계적인 구호가 가능하게 해주어 사회안전관리망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기온이 낮아질 경우 사용되는 벤치 온열기능을 가지는데, 온열기능은 외부 온도가 많이 낮을 경우 사전에 세팅된 온도 또는 중앙관제센터의 조작에 의하여 벤치에 온열을 발생시켜 겨울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의 모든 기능은 벤치에 내장된 콘트롤보드 및 주변 센서에 의해 동작이 되며, 시스템 자체진단기능을 가진다. 또한,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네트워킹되는 모든 벤치의 상태 및 환경조건(태양광 발전량, 배터리 잔량, 주변온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유무와 방문자수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시스템내 제어(LED등 On/Off, 온열기능 On/Off)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의 배터리에는 특정위치에 침수센서가 부착되어 폭우시 갑자기 물이 불어날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사실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전기사고 예방 및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스마트벤치 마스터를 매개로 중앙관제센터의 중앙관제서버와 연결되며,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제공 기능(유무선망 이용)을 제공받아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태양광에서 생산되는 발전량과 배터리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력절감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LED등 밝기 조절을 위하여 평상시 LED등의 밝기를 일정조도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접근시 인체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조도를 높여 밝게 사용하게 한다.
단순히, 모션 감지 센서만 사용할 경우 일정시간 후에 조도가 다시 낮아지므로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있을 경우는 지속적으로 밝은 조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초음파 센서를 별개로 두어 사람이 있을 경우 LED의 조도변화없이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전력에 대한 기능을 조금 더 구체화하는 방법론에 대한 알고리즘도 도입하였는데, 배터리 잔량 정도에 따라 서비스 제한 기능을 가지며, 배터리 잔량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대한 구분은 다음 표 1과 같다.
배터리잔량 제공서비스 비고
50%이상일경우 비상벨, 사이렌, LoRa통신, 통화기능, LED 조명기능, CCTV 녹화기능, 공용 WiFi제공, 배터리 유무선충전기능, 벤치온열기능 전체서비스제공
40%~50%미만 일경우 비상벨, 사이렌, LoRa통신, 통화기능, LED 조명기능, CCTV 녹화기능, 공용 WiFi제공, 배터리 유무선충전기능 벤치온열기능제한
30%~40%미만 일 경우 비상벨, 사이렌, LoRa통신, 통화기능, LED 조명기능, 벤치온열기 제한, CCTV 녹화기능, 공용 WiFi, 배터리 유무선충전기능, 벤치온열기능 제한
30% 미만일경우 비상벨, 싸이렌, LoRa 통신 비상서비스제공
완전방전시 비상벨, 싸이렌, LoRa 통신 비상용 내장배터리로 12시간 서비스유지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배터리잔량에 따른 서비스 제공 우선순위 관리는 관제센터 모니터링 시스템 메뉴상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설치장소에 따라 필요한 기능의 우선순위가 상이할 수 있고, 이를 감안하여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시스템내 배터리 잔량을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주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중앙관제센터와 태양광 스마트벤치(단말부)로 구성되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중앙관제센터와 LoRa망 또는 LTE망을 통하여 접속된다. 물론 이 네트워크 구성은 유무선랜통신망(20) 또는 기타 네트워크 연결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양광 스마트벤치시스템(10)에서, 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최대 11개의 슬레이브(Slave)모듈(14-1,...,14-N)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슬레이브 모듈과 스마트벤치 마스터 모듈(12)이 한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접속은 블루투스로 연결된다. 상기 스마트벤치 슬레이브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벤치는 측면에서 보면 'ㄷ'자형 형태이며,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받침대부가 구성되어 있고 수직하게 설치된 부분에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각종 디바이스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고, 머리부분에는 차양막 역할을 하는 태양광 패널이 장착되어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LoRa망으로 네트워크구성시 중앙관제서버에는 LoRa AP가 RS-485로 연결되며, 중앙관제서버와 LoRa AP는 최대 10Set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각 AP당 스마트벤치는 120대 연결이 가능하며, 하나의 중앙관제시스템(중앙관제센터)(30)은 10개의 AP와 연결이 가능하므로 모니터링시스템의 최대 스마트벤치 모듈 접속은 1,200대까지 가능하다. 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며, 지역특성별 탄력적인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관제센터(30)는 중앙관제서버(32), 모니터링시스템(34), 및 모바일 앱(36)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스마트 벤치 제어시스템(300) 내부구성을 살펴보면(도 2에 내부 블럭도 참조), 제어보드(310)에는 각종 센서류(블루투스(311), CCTV(312), LED등(313), 배터리잔량표시부(314), 무선충전패드(315), 온도센서(316), 조도센서(317), 침수센서(320), LoRa/유무선랜/LTE 장치(321))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템 전면에 모션센서(318)와 초음파센서(319)를 포함하고 있으며, SOS호출버튼(144) 및 비상통화장치 등이 있다(도 3 참조). 한편,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참조부호 321은 LoRa/유무선랜/LTE 장치, 320은 태양광콘트롤러, 324는 태양광패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마트벤치는 긴급호출 서비스와는 별개로 통화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긴급상황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관리의 주체(치안센터, 관리센터, 콜택시 회사)가 되는 센터로 호출 및 통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통화장치는 PSTN(공중전화교환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LTE망, 유무선 무선랜등 다양한 형태로 접속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상통화 기능은 장애인 및 노약자등 사회취약계층에게 교통편의서비스(예를 들면 콜택시 연결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태양광 스마트벤치시스템
12: 스마트벤치 마스터
14-1,...,14-N: 스마트벤치 슬레이브
20: 유무선통신망
30: 중앙관제센터
32: 중앙관제서버
34: 모니터링시스템
36: 모바일 앱
300: 스마트벤치 제어시스템
310: 제어보드
311: 블루투스
312: CCTV
313: LED등
314: 배터리잔량표시부
315: 무선충전패드
316: 온도센서
317: 조도센서
318: 모션센서
319: 초음파센서
320: 침수센서
321: LoRa/유무선랜/LTE 장치
320: 태양광콘트롤러
324: 태양광패널

Claims (7)

  1.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에 있어서,
    중앙관제센터와 태양광 스마트벤치(단말부)를 포함하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중앙관제센터와 LoRa망 또는 기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태양광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소정개수의 슬레이브(Slave)모듈로 구성되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은 블루투스를 통해 접속되며,
    다수의 스마트벤치 각각은 다수의 AP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와 연결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벤치는 제어보드에는 태양광패널을 제어하는 태양광콘트롤러, 배터리, USB 충전포트를 구비하며, 모션센서와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SOS호출버튼 과 자체 싸이렌 알림기능, CCTV 감시기능 및 비상통화장치,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벤치(단말부)는 마스터 모듈과 최대 11개의 슬레이브(Slave)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슬레이브 모듈과 스마트벤치 마스터 모듈이 한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접속은 블루투스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벤치는 LoRa망으로 네트워크구성시 중앙관제서버에는 LoRa AP가 RS-485로 연결되며, 중앙관제서버와 LoRa AP는 최대 10Set와 연결되며, 각 AP당 스마트벤치는 120대 연결되며, 하나의 중앙관제센터는 10개의 AP와 연결되며, 모니터링 시스템의 1,200대의 스마트벤치 모듈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중앙관제센터와 태양광 스마트벤치와의 구성은 비면허 대역(LoRa, 블루투스등을 사용함으로써 무료 망 구축 솔루션)을 이용한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벤치는 비상통화기능을 이용하여 장애인 및 노약자등 사회취약계층에게 교통편의서비스(예를 들면 콜택시 연결서비스), 도우미서비스 등 콜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벤치는 제한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배터리잔량에 따라 서비스제공 우선순위를 다르게 제공하고 중앙관제센터에서 파라미터값으로 우선순위가 조정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네트워킹되는 모든 벤치의 상태 및 환경조건(태양광 발전량, 배터리 잔량, 주변온도등 기간별 통계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 유무와 방문자수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7.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된 블루투스(311), CCTV(312), LED등(313), 배터리잔량표시부(314), 무선충전패드(315), 온도센서(316), 조도센서(317), 침수센서(320), LoRa/유무선랜/LTE 장치(321))를 내장하고 있으며, 시스템 전면에 모션센서(318)와 초음파센서(319)를 포함하고 있으며, SOS호출버튼(144) 및 자체 싸이렌 알림기능, 비상통화장치를 가지며, 전력 저장된 배터리가 침수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관제센터로 상기 침수센서의 센싱신호에 따라 침수위험을 통보하여 관리자가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에 따른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벤치.
KR1020190138930A 2019-11-01 2019-11-01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KR10233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930A KR102332266B1 (ko) 2019-11-01 2019-11-01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930A KR102332266B1 (ko) 2019-11-01 2019-11-01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406A true KR20210053406A (ko) 2021-05-12
KR102332266B1 KR102332266B1 (ko) 2021-11-30
KR102332266B9 KR102332266B9 (ko) 2022-04-11

Family

ID=7591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930A KR102332266B1 (ko) 2019-11-01 2019-11-01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566B1 (ko) 2022-11-21 2023-02-20 이온어스(주)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공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10006239A (ko) * 2009-07-14 2011-01-20 고수동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20120133809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하이브리드 멀티 벤치
KR20130042808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에이알이알앤디 태양광 가로등장치
KR20160071606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에스엔씨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KR101829040B1 (ko) * 2017-05-10 2018-02-13 주식회사 레오에이아이씨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10006239A (ko) * 2009-07-14 2011-01-20 고수동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20120133809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하이브리드 멀티 벤치
KR20130042808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에이알이알앤디 태양광 가로등장치
KR20160071606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에스엔씨 스마트 안전봉 기반의 침수 알림 시스템
KR101829040B1 (ko) * 2017-05-10 2018-02-13 주식회사 레오에이아이씨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566B1 (ko) 2022-11-21 2023-02-20 이온어스(주)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공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266B9 (ko) 2022-04-11
KR102332266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KR101895215B1 (ko) 태양광과 일반전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형 무선비상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734351B1 (ko) 스마트 led 가로등모듈
CN203038441U (zh) 一种输电线路防外力破坏智能监测/预警系统
KR101336724B1 (ko) 조명 통합형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106448091A (zh) 一种监控报警终端及系统
US20160196746A1 (en) Led lighting device for outdoor parking lot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JP2011040639A (ja) 開閉式太陽光パネル街路灯
CN104202881A (zh) 路灯控制系统
KR102441270B1 (ko) 무선통신망 기반 블록형 스마트 폴
CN106678661A (zh) 一种路灯和技术安全防范系统
CN206193946U (zh) 一种智能公共设施
KR20210053406A (ko) 지능형센서 기반의 태양광 스마트 벤치 및 그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아이씨티시스템
KR20100107659A (ko) 긴급통보기능을 갖는 감성 엘이디 가로등 시스템
CN106658884A (zh) 一种具有无线通讯功能的路灯
KR101895213B1 (ko) 태양광 무선비상 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213814996U (zh) 一种基于远程控制的智能化弱电系统
JP2017059414A (ja) 街路灯
CN211979010U (zh) 应急照明电表和应急照明系统
CN110460823A (zh) 一种易于部署的智能视频监控系统
CN209708266U (zh) 一种具备快速报警功能的路灯公安监控系统
KR101554345B1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CN114173278B (zh) 一种应用于无人区的智慧救援系统
CN201439653U (zh) 太阳能多功能救灾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