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071A -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071A
KR20160071071A KR1020140178328A KR20140178328A KR20160071071A KR 20160071071 A KR20160071071 A KR 20160071071A KR 1020140178328 A KR1020140178328 A KR 1020140178328A KR 20140178328 A KR20140178328 A KR 20140178328A KR 20160071071 A KR20160071071 A KR 2016007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ode
terminal
function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819B1 (ko
Inventor
지명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19B1/ko
Priority to US14/791,448 priority patent/US9408244B2/en
Priority to DE102015214166.7A priority patent/DE102015214166A1/de
Priority to CN201510566746.3A priority patent/CN105704200B/zh
Publication of KR2016007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단말이 개시된다. 본 단말은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MULTIMEDIA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고려된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은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은 텔레매틱스 유닛과 CAN 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거나, 일체형으로 텔레매틱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은 기기들과 유/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단말은 USB/블루투스 등을 통해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OS에 다양한 플랫폼이 탑재된 이동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량 멀티미디어 단말과 스마트폰을 연동하는 Connectivity 기술이 나날이 발달하고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의 OS 상에 설치해야 하는 앱 형태가 아닌, OS 자체에 Framework 형태로 기본 제공하는 Connectivity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Apple社 iOS에 Framework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Apple CarPlay 와, Google社 Android Framework 상에 포함되어 있는 Google Android Auto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이 상술한 기능을 탑재한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시점에 신속히 이동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기술의 대두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OS 및 FrameWork 기반의 서로 다른 Connectivity 기술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서로 다른 OS 상에서 구현된 Connectivity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단말에 연결되는 경우, 동일한 시점에서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단말은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OS 및 FrameWork 기반의 서로 다른 Connectivity 기술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OS 상에서 구현된 Connectivity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단말에 연결되는 경우, 동일한 시점에서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 중 iPod 기능이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 중 Carplay 기능이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텔레매틱스 센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모뎀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디스레이(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모뎀부(110) 및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시에,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모뎀를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유닛(미도시)과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등의 차량 통신을 통해 텔레매틱스 유닛(미도시)와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차량 내부의 전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모뎀부(11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다른 텔레매틱스 단말 사이,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외부센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뎀부(11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성에서 모뎀부(110)와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나누어 설명하나, 구현시에는 텔레매틱스 유닛(미도시)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모뎀부(110)는 텔레매틱스 센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뎀부(1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텔레매틱스 센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뎀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센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3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5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센터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멀티미디어 단말(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이동 단말(300)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가능케하는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이동 단말(300)과 USB 를 통해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이동 단말(300)과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텔레매틱스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정보는 GPS 수신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센터(200)는 이동 단말(400, 가령, 3G/LTE)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센터(200)는 이동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시퀀스도이다.
일단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300)과 통신 연결하도록 인터페이스부(160)를 제어한다(S210).
제어부(150)는 유선으로는 USB, 직렬통신 등을 통해 이동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고, 무선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통해 이동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300)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300)로 전송한다(S220).
여기서, 제1 모드는 안드로이드 OS의 Accessory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세지는 Accessory 모드 버전(Version) 리퀘스트(Request)이다. Accessory 모드는 이동 단말(300) 입장에서 Accessory 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왜 제어부(150)가 Accessory 모드 버전(Version) 리퀘스트(Request)를 현 단계에서 이동 단말(300)로 전송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벤더 ID, 프로덕트 ID를 통해, 이동 단말(300)이 Accessory 모드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가령, 제어부(150)는 벤더 ID 가 0x18D1, 프로덕트 ID 가 0x2D00 또는 0x2D01 인 경우, Accessory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300)이 Accessory 모드를 지원하더라도, Accessory 모드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 해당 벤더 ID 또는 프로덕트 ID 가 상술한 값과 다른 값이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로 Accessory 모드 버전(Version) 리퀘스트(Request)를 전송하여, 이동 단말(300)의 해당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에 iOS 가 탑재된 경우에도,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를 이용하여 iOS 가 지원되는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이 벤더 ID 가 0x05AC 이고 프로덕트 ID 가 0x12NN 인 경우, iOS 를 탑재한 이동 단말(300)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S220 단계를 이동 단말(300)의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 를 수신하기 전에 배치함으로써, 신속하게 Accessory 모드가 지원되는 이동 단말인지 iOS 가 지원되는(제2 모드) 단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장치 효율성의 향상도 기대될 수 있다.
그 후에,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300)이 제1 모드(Accessory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iOS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230).
여기서, 단말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300)의 벤더 ID, 프로덕트 ID 가 될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150)는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300)이 제2 모드(iOS 지원 모드)인 경우(S235), 롤(Role) 스위치를 위한 롤 스위치 리퀘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S240).
여기서, 이동 단말(300)이 제2 모드 즉, iOS 지원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이동 단말(300)은 iOS 7.1 이후 버전부터 Carplay 기능을 지원하는 iAP2(Apple Accessory Protocol 2) 및 iPod 기능을 지원하는 iAP1(Apple Accessory Protocol 1)을 모두 지원한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상술한 iAP1, iAP2 가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이므로, 제어부(150)는 iAP1, iAP2 모두 지원하나, 한번에 하나의 프로토콜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iAP1, iAP2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즉, 제어부(150)는 iAP2에서 제공하는 Carplay 를 제공받거나, iAP1에서 제공하는 iPod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로부터 동시에 두 기능을 함께 제공받을 수는 없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상술한 롤(Role) 스위치를 위한 롤 스위치 리퀘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300)이 iAP2 프로토콜을 탑재하여 Carplay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경우, 롤 스위치는 성공(S250)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300)이 iAP1 프로토콜만 탑재한 경우, 롤 스위치는 실패하게 된다(S250). 제어부(150)는 롤 스위치가 성공(S250)하는 경우, 제1 기능(Carplay 기능)을 실행하고, 롤 스위치가 실패(S250)하는 경우, 제2 기능(iPod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이 제2 모드(iOS 지원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S235)되면, 이동 단말(300)이 제1 모드(Accessory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245).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300)이 Accessory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로 안드로이드 오토가 지원되는지 문의하고, 이동 단말(300)로부터 안드로이드 오토가 지원가능하다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오토를 실행한다.
여기서, 안드로이드 오토는 iOS 의 카플레이어에 대응되는 기능이다.
만약, 제어부(15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 경우, USB Interface Descriptor 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300)이 대용량 저장 장치인 경우(Class 코드가 9) 데이터 송수신을 대기한다(S270).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도 아닌 경우 ,충전 모드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S28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 중 iPod 기능이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현재 iAP1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 제어부(150)는 Pandora(410), aha 라디오, SNS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 중 Carplay 기능이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Carplay(510),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디스플레에된 화면은 이동 단말(300)에도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AVN 4.x 단말기에서 USB 연결을 통하여 다음의 기능들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USB 대용량 저장 매체을 통한 USB Media 기능, Apple CarPlay 지원 iPhone 연결을 통한 iPhone을 통한 전화/음악/길찾기 서비스 기능, Google Android Auto 연결을 통한 Android Phone을 통한 전화/음악/길찾기 서비스 기능, CarPlay 미지원하고, iPod을 지원하는 iPod touch 연결시 기존의 iPod Music 서비스 기능, Accessory Mode는 지원하지만, Android Auto를 지원하지 않는 G2(LG 스마트폰) 연결시 충전 모드로만 동작하는 기능이 그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의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에 포함된다.
100 : 멀티미디어 단말 110 : 모뎀부

Claims (29)

  1.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및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2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기능을 실행하는지 또는 제2 기능을 실행하는지 롤(Role) 스위치를 위한 롤 스위치 리퀘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위치가 성공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위치가 실패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제3 기능을 실행하는지 상기 이동 단말로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도 아닌 경우 ,충전 모드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 USB 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의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
  13. 멀티미디어 단말에 있어서,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및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제2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기능을 실행하는지 또는 제2 기능을 실행하는지 롤(Role) 스위치를 위한 롤 스위치 리퀘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 스위치가 성공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 스위치가 실패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제3 기능을 실행하는지 상기 이동 단말로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도 아닌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을 충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과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미디어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과 USB 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미디어 단말.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미디어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미디어 단말.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의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25.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및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모드를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1 모드와 서로 다른 제2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2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기능을 실행하는지 또는 제2 기능을 실행하는지 롤(Role) 스위치를 위한 롤 스위치 리퀘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모두 지원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저장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위치가 성공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위치가 실패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178328A 2014-12-11 2014-12-11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5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328A KR101655819B1 (ko) 2014-12-11 2014-12-11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14/791,448 US9408244B2 (en) 2014-12-11 2015-07-05 Multimedia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DE102015214166.7A DE102015214166A1 (de) 2014-12-11 2015-07-27 Multimedia-Terminal, Steuerverfahren dafür und Aufzeichnungsmedium
CN201510566746.3A CN105704200B (zh) 2014-12-11 2015-09-08 多媒体终端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328A KR101655819B1 (ko) 2014-12-11 2014-12-11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71A true KR20160071071A (ko) 2016-06-21
KR101655819B1 KR101655819B1 (ko) 2016-09-08

Family

ID=5608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328A KR101655819B1 (ko) 2014-12-11 2014-12-11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08244B2 (ko)
KR (1) KR101655819B1 (ko)
CN (1) CN105704200B (ko)
DE (1) DE102015214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19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8143B (zh) * 2015-03-20 2018-06-01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主动与苹果设备连接并进行通信的方法和苹果设备附件
US10027759B2 (en) 2016-08-05 2018-07-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HMI) device operation of a handheld mobile device
US10819793B2 (en) * 2016-09-15 2020-10-27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ntent access
CN108255459A (zh) * 2016-12-28 2018-07-06 乐视汽车(北京)有限公司 车机音频播放方法、车机、移动终端以及车辆
CN107453428B (zh) * 2017-08-08 2019-05-17 天津瑞发科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苹果和安卓设备的方法
CN110557616A (zh) * 2019-09-18 2019-12-10 深圳市华宝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视频监控数据传输方法、设备、服务器和存储介质
CN117278975B (zh) * 2023-11-20 2024-01-30 湖南湘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部标主机与部标外设间无线通信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415A (ko) * 2011-08-29 2013-03-08 조동혁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외부 모니터 장치와 외부 모니터 연결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KR20130125112A (ko) * 2012-05-08 2013-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관리 가능한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관리 방법
KR20130137491A (ko) * 2012-06-07 2013-12-17 홍바다 이기종 단말들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38177A (ko) * 2012-02-21 2014-12-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미러링 인터페이스 내비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96084C (zh) * 2006-04-20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电路域用户接入ims网络的系统及其接入的注册方法
US9002315B2 (en) * 2009-05-0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30324191A1 (en) 2012-05-29 2013-12-05 Hsin-Yu Che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accessing storage device
CN102799484B (zh) * 2012-07-11 2017-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运行多操作系统的方法及装置
CN102826047B (zh) * 2012-08-28 2015-04-29 广东翼卡车联网服务有限公司 一种利用汽车触摸屏操控智能手机的方法及系统
CN202979024U (zh) 2012-09-20 2013-06-05 吴李海 基于iOS/Android/Linux的远程服务管理系统
US10021533B2 (en) * 2012-09-24 2018-07-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Group messag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3713915A (zh) * 2012-09-29 2014-04-09 联想(北京)有限公司 系统启动方法和电子设备
CN202918410U (zh) 2012-10-23 2013-05-01 周诗哲 跨平台影音调节装置
KR20140067518A (ko)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알엔웨어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US9456352B2 (en) * 2013-06-19 2016-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terference information
CN109982429B (zh) * 2013-09-25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模式切换的方法及装置
US9832686B2 (en) * 2014-07-07 2017-11-28 Apple Inc. Procedures for 3GPP circuit switched fallb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415A (ko) * 2011-08-29 2013-03-08 조동혁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외부 모니터 장치와 외부 모니터 연결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KR20140138177A (ko) * 2012-02-21 2014-12-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미러링 인터페이스 내비게이션
KR20130125112A (ko) * 2012-05-08 2013-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관리 가능한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관리 방법
KR20130137491A (ko) * 2012-06-07 2013-12-17 홍바다 이기종 단말들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19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429425B2 (en) 2016-12-23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to provide display based on oper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4200A (zh) 2016-06-22
US20160174275A1 (en) 2016-06-16
US9408244B2 (en) 2016-08-02
DE102015214166A1 (de) 2016-06-16
CN105704200B (zh) 2020-07-28
KR101655819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19B1 (ko)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9858211B2 (en) In-vehicle multimedia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9274786B2 (en) Vehicle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US8943438B2 (en) Vehicle-mounted device having portable-device detection capability
KR101698514B1 (ko) Avn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웨어러블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8040746A1 (zh) 一种驱动程序的安装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0297658B (zh) 功能组件共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10553111B2 (en) Traffic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CN109936838B (zh) 射频设置系统和移动终端
KR102140518B1 (ko)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150160037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CN105698810B (zh) 移动终端及控制方法、avn终端及控制方法和路径引导系统
KR20160061466A (ko) Avn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2012099924A (ja) 車載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制御方法
KR20160106324A (ko) 차량에 탑재된 avn 단말, 그 제어 방법, 서버 및 avn 시스템
US9690592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647113B1 (ko) 텔레매틱스 단말, 데이터 센터, 각각의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JP2016206921A (ja) コンテンツローカル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ローカル配信プログラム
KR101780279B1 (ko) 텔레매틱스 센터,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612831B1 (ko) 이동 단말기, 그의 통신 방법,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0563A (ko) Avn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12826B1 (ko) Avn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46133A (ja) 車載器
KR101572939B1 (ko) 음성 서비스의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61468A (ko) Avn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