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518B1 -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518B1
KR102140518B1 KR1020140177685A KR20140177685A KR102140518B1 KR 102140518 B1 KR102140518 B1 KR 102140518B1 KR 1020140177685 A KR1020140177685 A KR 1020140177685A KR 20140177685 A KR20140177685 A KR 20140177685A KR 102140518 B1 KR102140518 B1 KR 10214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cific
communication
surrounding
surroun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564A (ko
Inventor
유병용
오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HV(Host Vehicle)이 개시된다. 본 HV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하는 차로인식부,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통신 후보군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V2V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특정 주변 차량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 분야는 나날히 고속으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V2X 통신이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 V2X의 X는 everything, 즉, Infra/Vehicle/Nomadic/..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지칭하며, 일반용어로서 'Connected Vehicle' 또는 'Networked Vehicle'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통신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V2X 통신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차량과 인프라 간(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그리고 차량과 모바일 기기 간(Vehicle to Nomadic devices) 통신으로 구분되며, 최근 다른 형태의 통신 범주가 추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에서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은 HV(Host Vehicle, 자차)와 주변 차량과의 통신을 의미한다. 다만, 종래에는 HV가 주변 차량과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불편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해볼 수 있다. HV(11)는 주변 차량(12~15)과 V2V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HV(11)는 주변 차량(12~15)에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HV(11)는 주변 차량(12~15)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의 경우, HV(11)가 주변 차량 중 하나의 차량하고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는 없다.
이런 점에 있어서, 특정 주변 차량과만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의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주변 차량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Host Device 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HV(Host Vehicle)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하는 차로인식부;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통신 후보군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후보군 중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특정 주변 차량과 통신 가능할때까지, 무선 신호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통신하고자 하는 주변 차량과만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파워 조절에 따른 전력 손실 절감되고, 장치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차량 간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상태를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상태를 차량의 HUD에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의 시퀀스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V 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HV(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차로인식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HV(100)는 Host Vehicle 의 약어로써, 자차를 의미한다. HV(100)는 자동차가 일반적이나, 구현시 상기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자동차가 아니여도 상관없다.
HV(100)는 V2V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V2V 통신의 일 예로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의 기술이 상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라면 V2V 통신으로 채용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HV(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탑재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WAVE 를 포함한 차량 간 통신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기술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채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무선 신호를 외부 차량에 전송하기도 하고, 주변 차량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주변 차량에도 HV(100)와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로인식부(130)는 센서부(110)를 통해 HV(100)의 차로를 인식할 수 있다. 자차의 차량 인식 방법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차로인식부(130)는 센싱된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로인식부(130)는 센싱된 주변 차량 각각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해, 통신부(120)를 통해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로인식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주변 차량으로 '몇 차인가?' 메세지를 요청하고, 주변 차량으로부터 '1차로다'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차로인식부(130)는 주변 차량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다. 가령, HV(100)는 거리 센서부(110)를 통해 주변 차량의 거리를 측정하고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방향을 인식하는 경우, 차로인식부(130)는 해당 주변 차량의 차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H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따르면, HV(100)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210~240)이 배치된다. HV(100) 및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210~240)는 주행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HV(100)에 가까운 순서는 제1 주변 차량(210), 제2 주변 차량(220), 제3 주변 차량(230), 제4 주변 차량 순으로 상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210~240) 중 제3 주변 차량이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될 수 있다. 특정 주변 차량 선정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210~240)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서대로 통신 후보군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후보군이란 HV(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차량의 그룹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10) 및 차로 인식부(130)를 통해,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210~240)의 거리 및 차로를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주변 차량(210)이 HV(100)에 가장 근접해있고, 제4 주변 차량(240)이 HV(100)에 가장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제어부(140)는 통신 후보군 중 하나의 주변 차량(230)이 특정 주변 차량(230)으로 선정되는 경우, 통신 후보군 중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가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면, 초기의 무선 신호 파워는 제1 동심원(270-1)의 커버리지를 갖게 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해당 커버리지(270-1)는 제1 주변 차량과는 통신이 어렵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무선 신호 파워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동심원의 커버리지(270-2)로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고, 다시 통신 가능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1 주변 차량(2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40)는 제1 주변 차량(210)이 특정 차량으로 선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제1 주변 차량(210)은 특정 차량으로 선정되지 않은 바, 제어부(140)는 무선 신호 파워를 제2 동심원의 커버리지(270-3)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특정 주변 차량과 통신 가능할 때까지, 무선 신호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지 않은 제1 주변 차량(210)을 통신 후보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심원의 커버리지(270-3)에 특정 주변 차량(230)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바, 제어부(140)는 무선 신호 파워를 크게 하여, 제3 동심원의 커버리지(270-4)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3 주변 차량(230)과 통신 수행이 가능하고, 제3 주변 차량(230)이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3 주변 차량(230)에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신호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나 먼저 간다', '운전 조심하세요', '전조등이 고장 났어요' 등의 메세지를 제3 주변 차량(210)에만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특정 주변 차량(210)에만 특정 신호를 전송할 있게 된다. 상술한 특정 신호는 저장부(160)에 기 저장되어, HV(100)의 탑승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HV(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210~240)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을 도 3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210~240)의 일 영역에 주변 차량(210~240)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거리순위를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제1 주변 차량(210)의 일 영역(280-1)에 1을 병기할 수 있고, 제2 주변 차량 내지 제4 주변 차량(220~240)에 2(280-2), 3(280-3), 4(280-4)를 병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 터치 입력이 활성화되도록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주변 차량 중 하나(230)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된 제3 주변 차량(230)과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파워를 설정하고, 특정 메세지를 포함함 특정 무선 신호를 제3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HV(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특정 주변 차량에 전송될 특정 메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메세지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하여,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특정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특정 메세지를 입력 받아,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특정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에 의해, 특정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메세지를 생성하여, 특정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메세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상태를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는 HV(100) 및 주변 차량(210~240)의 위치를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HV(100)와 주변 차량(210~240)의 거리차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제1 주변 차량(210)이 HV(100)에 가장 가까운 바, 순번 1이라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주변 차량(240)이 HV(100)에 가장 떨어진 바, 순번 4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U)에 의해 제3 주변 차량(230)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3 주변 차량(23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파워 출력을 높힐 수 있다. 제3 주변 차량(230)과 HV(100)가 통신 가능 범위에 있으면, 제어부(140)는 특정 신호를 제3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10)는 거리 센서 외에 가속도 센서, 방향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40)는 센서부(110)를 통해, 주변 차량(210~240)의 위치와 현재 속도 등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210~240)과 특별한 통신 없이도 주변 차량(210~240)의 현재 위치와 차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상태를 차량의 HUD에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HV(100)와 주변 차량(210~240)의 떨어진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제1 주변 차량(210)이 HV(100)에 가장 가까운 바, 순번 1이라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주변 차량(240)이 HV(100)에 가장 떨어진 바, 순번 4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U)에 의해 제3 주변 차량(230)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3 주변 차량(23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파워 출력을 높힐 수 있다. 제3 주변 차량(230)과 HV(100)가 통신 가능 범위에 있으면, 제어부(140)는 특정 신호를 제3 주변 차량(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상태를 차량의 HUD에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HUD(Head Up Display)에 차량 간 통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HUD는 차량 전면 유리에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40)는 네비게이션(520) 기능, 차량 상태 정보 표시 기능 등을 HUD 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의 시퀀스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우선 HV(10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한다(S610).
그 다음으로, HV(100)는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주변 차량 통신 후보군을 생성한다(S620).
그 후에, HV(100)는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는 경우, 통신 후보군에서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고, 특정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할때까지, 무선 신호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S630).
마지막으로, HV(100)는 특정 주변 차량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특정 신호를 전송한다(S640).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V(100)는 주변 차량 통신 후보군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HV(100)는 차량 내부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부(150)에 HV(100) 및 주변 차량(210~24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V(100)는 주변 차량과의 떨어진 거리 순서로 거리순위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 뿐 아니라, 음성 인식, 모션 인식 등으로 통신 후보군 중 하나의 주변 차량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HV(10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특정 메세지를 입력 받아, 특정 주변 차량으로 상기 특정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특정 메세지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에 포함된다.
100 : 텔레매틱스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HV(Host Vehicle)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하는 차로인식부;및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포함하는 통신 후보군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후보군 중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차량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판단된 차량을 상기 통신 후보군에서 제외하고,
    상기 통신 후보군 중 제외된 차량 다음으로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파워를 더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을 검색하는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주변 차량 각각의 일 영역에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순위를 병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주변 차량 중 하나를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특정 메세지를 입력 받아, 상기 특정 메세지를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6. 제4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특정 메세지를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
  7. HV(Host Vehicle)의 차량 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포함하는 통신 후보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후보군에서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차량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판단된 차량을 상기 통신 후보군에서 제외하는 단계;
    상기 통신 후보군 중 제외된 차량 다음으로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무선 신호 파워를 더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된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 통신 후보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주변 차량 통신 후보군에 포함된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일 영역에 거리순위를 병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특정 메세지를 입력 받아,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상기 특정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특정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
  13. HV의 차량 간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주변 차량 각각의 차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주변 차량 각각의 거리 및 차로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순으로 주변 차량 통신 후보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후보군 중 하나가 특정 주변 차량으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후보군에서 가장 근접한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신호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특정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할때까지, 무선 신호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주변 차량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변 차량으로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177685A 2014-12-10 2014-12-10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14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85A KR102140518B1 (ko) 2014-12-10 2014-12-10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85A KR102140518B1 (ko) 2014-12-10 2014-12-10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64A KR20160070564A (ko) 2016-06-20
KR102140518B1 true KR102140518B1 (ko) 2020-08-03

Family

ID=5635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685A KR102140518B1 (ko) 2014-12-10 2014-12-10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236B1 (ko) 2016-10-05 2023-08-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의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KR102367053B1 (ko) * 2017-07-13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452552B1 (ko) * 2017-11-28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2x 통신 채널 점유율 기반 v2x 메시지 전송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04708A (zh) * 2018-07-23 2018-12-28 昆明理工大学 一种关于移动车辆间建立d2d通信连接对的选择方法
KR20200029201A (ko) 2018-09-10 2020-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0703386B2 (en) * 2018-10-22 2020-07-07 Ebay Inc.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8678A (ja) * 2012-06-12 2013-12-26 Hyundai Motor Co Ltd V2x通信のための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61B1 (ko) * 2010-11-11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변 차량 화면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6631A (ko) * 2010-11-25 2012-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간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8678A (ja) * 2012-06-12 2013-12-26 Hyundai Motor Co Ltd V2x通信のための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64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518B1 (ko) 챠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030811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11343621B (zh) 运行应用的方法和设备
US201900129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imag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655819B1 (ko) 멀티미디어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2468655B (zh) 智能电子装置
CN103493452A (zh) 无线通信系统中信道控制的系统和方法
US20160169685A1 (en) Av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3942022A (zh) 移动终端与车载终端之间的互联方法及系统、移动终端
KR20190100897A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5704201A (zh) 车载多媒体终端及其控制方法
US11589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ed on-demand localized video sharing
CN103548007A (zh) 用户装置和外部装置的连接系统和方法
US2020013328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798776B2 (en) V2V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13764A (ko) 랜드마크 센서를 통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6197435B (zh) Avn终端及其控制方法
US9791293B2 (en) Detachable navigation system
CN109756553B (zh) 通信方法、车载通信设备和系统、以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20095650A (ko) 소프트웨어 통합 업데이트 가능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통합 업데이트 방법
KR102366746B1 (ko)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18054B1 (ko)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US20180306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caling route display
JP2014146133A (ja) 車載器
KR101780279B1 (ko) 텔레매틱스 센터,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