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518A -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518A
KR20140067518A KR1020120134852A KR20120134852A KR20140067518A KR 20140067518 A KR20140067518 A KR 20140067518A KR 1020120134852 A KR1020120134852 A KR 1020120134852A KR 20120134852 A KR20120134852 A KR 20120134852A KR 20140067518 A KR20140067518 A KR 2014006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ata
screen display
data transmission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웨어
김영규
김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웨어, 김영규, 김효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to KR102012013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518A/ko
Publication of KR2014006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4Loading of the micro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글 안드로이드(Google Android), 리눅스(Linu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S Window), 애플 아이오에스(Apple IO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 및 노트북 등에 종속된 어플리케이션을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 및 기타 구성원의 스마트 기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발명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21)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케이블 등의 수단으로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와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연계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5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어 개개인의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장비에 대한 사용효율성 및 장비의 사용가치를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하는 각종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내믹한 운용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real-time virtual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구글 안드로이드(Google Android), 리눅스(Linu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S Window), 애플 아이오에스(Apple IO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 및 노트북 등에 종속된 어플리케이션을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 및 기타 구성원의 스마트 기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발명한 실시간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보급되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노트북 등)의 플랫폼은 게임, 교육, 금융, 프레젠테이션, 엔터테인먼트, 의료, 소셜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하고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작은 화면으로만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전용으로 이용되고 있는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영상장비)를 이용해 다수의 사용자들과 함께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공유(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각종 회의나 세미나, 발표회 등과 같이 정보의 제공 및 교류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행사에서는 확실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해 빔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활용하거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를 활용하는 프레젠테이션 방식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프레젠테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는 행사의 종류와 범위는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어서 다양한 형태의 프레젠테이션 행사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타입의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프레젠테이션 행사 등에 사용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경우 상당한 규모를 갖는 고가의 장비인데, 그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특정 행사에 전용한다는 것은 비용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인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컨텐츠들은 해당 기기의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으로 여러 컨텐츠 중에는 제한된 특정 플랫폼에서만 구동하는 컨텐츠가 많아 운영체제를 달리하는 스마트 기기들끼리는 상호 간에 공유나 사용이 불가하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공급되는 컨텐츠는 아이오에스나 윈도우 기반의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안드로이드와 아이오에스 운영체제를 모두 지원하는 컨텐츠도 일반 컴퓨터와 노트북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에서 다운로드 받는 다양한 컨텐츠 중에는 무료 컨텐츠도 많이 존재하지만 이들 무료 컨텐츠는 보통 유료 컨텐츠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막아놓은 라이트 버전이고 그와 같은 무료 컨텐츠의 구동 중에는 지나친 팝업 광고가 나오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과 불편함을 주고 있으며, 또한, 유익하고 편리한 컨텐츠 경우에는 대부분 고가의 유료판매로 운영되고 있는데, 스마트 기기마다 필요한 유료 컨텐츠를 모두 다운로드 받으려면 그 비용부담은 상당하다 할 것이다.
그에 따라 운영체제를 달리하는 스마트 기기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운용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운용방안은 대부분이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거리나 사용 장소 등에 대한 많은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뿌려주는 화상을 시청하는 정도의 단순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의 운용 및 구매에 따른 문제점과 스마트 기기에 의한 컨텐츠의 공유 및 사용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모든 스마트 기기들의 플랫폼에 대해 독립성을 가지도록 하며,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multimodal interface)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와 복수의 스마트 기기를 연동시켜 다수의 사용자들이 컨텐츠에 대한 단순한 화상의 공유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영체제를 달리하는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다양한 컨텐츠를 좀 더 인터랙티브(interactive)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구동 화면을 처리하여 동작, 음성, 키보드, 펜, 마우스, 터치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에 화상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비에 입력되는 사용자 이벤트(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플랫폼에 종속적인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시스템에서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각종 컨텐츠에 대한 공유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스마트 기기와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스마트 기기와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 간에 인터랙티브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여 진행자와 참여 구성원 간의 괴리감을 없애고 역동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프레젠테이션) 행사를 진행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실시간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와 케이블 등의 수단으로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연계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개인용 스마트 기기(태블릿 피씨, 스마트 폰, 노트북 등) 또는 컴퓨터와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유익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공유할 수 있어 개개인의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고가의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에 대한 사용 효율성 및 장비의 사용가치를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하는 각종 컨텐츠의 다이내믹한 운용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구글 안드로이드(Google Android), 리눅스(Linu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S Window), 애플 아이오에스(Apple IO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구분하지 않고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 및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운영체제로 인한 컨텐츠의 중복구매를 방지하면서 구성원 간에 컨텐츠의 공유 및 사용이 가능한 연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실속적인 컨텐츠의 구매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운영체제를 달리하는 스마트 기기에 종속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은 프레젠테이션 행사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 간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고가의 장비나 별도의 전용화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이고 역동적인 프레젠테이션 행사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이로써, 다양한 규모의 프레젠테이션 행사에서 탄력적으로 사용하여 프레젠테이션 행사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동작순서도.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10)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21)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케이블 등의 수단으로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와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연계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50) 등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50)는 태블릿 피씨(Tablet PC)나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노트북(Note Book)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고 동작, 음성, 키보드, 펜, 마우스, 터치 등과 같은 사용자 이벤트의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기기(20)는 구글 안드로이드(Google Android), 리눅스(Linu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S Window), 애플 아이오에스(Apple IO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50)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연계되어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따른 좌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50)에 구비되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는 스마트 기기(50)에서 구동되는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좌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2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50)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50)에 종속된 제2 데어터 송수신장치(50a)와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의 상호 송수신 작용에 의해 스마트 기기(50)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의 연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 6의 동작순서도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스마트 기기(50)의 연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스마트 기기(50) 중에서 특정 스마트 기기(50)를 선택하여 해당 스마트 기기(50)에 보관된 컨텐츠(어플리케이션)의 구동영상을 출력하면(S1단계) 스마트 기기(50)를 구성하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가 구동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면(S2단계)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후 대화면 디스플레이장비(20)로 전송하여(S3단계) 대화면 디스플레이장비(20)에 특정 스마트 기기(50)에서 구동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데,(S4단계) 이때, 스마트 기기(50)에서 대화면 디스플레이장비(2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는 동작, 음성, 키보드, 펜, 마우스, 터치 등과 같은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다양한 사용자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대화면 디스플레이장비(20)에서 다양한 이벤트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여 출력되면(S5단계)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 데이터 또는 좌표 데이터가 스마트 기기(50)의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에 전송하며,(S6 및 S7단계)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좌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50)에 디스플레이(S8단계)하여 줌으로써 특정 스마트 기기(50)에서 구동하는 구동영상을 대화면 디스플레이장비(20)와 복수의 스마트 기기(50)에서 연동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에 필터링 장치(31)를 부가하여 복수의 스마트 기기(50)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스마트 기기(5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해주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어느 하나의 특정 스마트 기기(50)에서 출력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영상정보를 선택하여 복수의 스마트 기기(50)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공유할 수 있게끔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21)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케이블 등의 수단으로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와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연계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와 케이블 등의 수단으로 연계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50) 등으로 발명을 완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50)는 태블릿 피씨(Tablet PC)나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노트북(Note Book)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고 동작, 음성, 키보드, 펜, 마우스, 터치 등과 같은 사용자 이벤트의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기기(20)는 구글 안드로이드(Google Android), 리눅스(Linu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S Window), 애플 아이오에스(Apple IOS)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50)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연계되어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따른 좌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는 스마트 기기(50) 중 임의의 스마트 기기(50)에서 구동되는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좌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20)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한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로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복수의 스마트 기기(50)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50)를 영상정보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에 연결하고,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를 연결하여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 및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의 상호 송수신 작용에 의해 각 스마트 기기(50)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4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송수신 장치(30)에 구비되는 필터링 장치(31)를 이용하여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에서 전송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해주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어느 하나의 특정 스마트 기기(50)에서 출력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영상정보를 선택하여 복수의 스마트 기기(50)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공유할 수 있게끔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연동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 송수신 장치(40)에 구비되는 필터링 장치(41)를 이용해 스마트 기기(20)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로 전송해주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어느 하나의 특정 스마트 기기(50)에서 출력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영상정보를 선택하여 복수의 스마트 기기(50)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공유할 수 있게끔 구성할 수 있다.
10: 실시간 연동 시스템
20: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
30: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
40: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
50: 스마트 기기

Claims (5)

  1.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21)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상기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연계되어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디스플레이 화면을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시켜 주도록 한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와, 다양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고 구동 중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입력이 지원되고, 구동 중인 영상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20)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한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50a)를 구비하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50)로 구성하며;
    상기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50)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좌표 데이터에 따른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장치(30)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50) 중에서 선택된 스마트 기기(5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해주도록 한 필터링 장치(3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3. 사용자 이벤트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벤트 감지 모듈(21)을 구비하며 휴먼 입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
    상기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와 연계되어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서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따른 좌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시켜 주도록 한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
    다양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하고 구동 중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 입력이 지원되며, 외부에서 발생한 사용자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50);
    상기 스마트 기기(50)와 연계되어 스마트 기기(50)에서 구동되는 영상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전송하거나 와이파이(wifi) 통신체계로 수신된 좌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20)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한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로 구성하며;
    상기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는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50)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를 통해 수신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장치(30)는 제2 데이터 송수신장치(40)에서 전송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20)에 전송해주도록 한 필터링 장치(3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장치(40)는 스마트 기기(20)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제1 데이터 송수신장치(30)로 전송해주도록 한 필터링 장치(4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KR1020120134852A 2012-11-26 2012-11-26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KR20140067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52A KR20140067518A (ko) 2012-11-26 2012-11-26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52A KR20140067518A (ko) 2012-11-26 2012-11-26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18A true KR20140067518A (ko) 2014-06-05

Family

ID=5112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852A KR20140067518A (ko) 2012-11-26 2012-11-26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8244B2 (en) 2014-12-11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Multimedia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8244B2 (en) 2014-12-11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Multimedia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12B1 (ko)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EP3005093B1 (en) Portable apparatus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US11893702B2 (en) Virtual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3440116A (zh) 一种交互式电子演示系统
CN107077311A (zh) 输入信号仿真
CN104657211A (zh) 一种用于操作对应设备上目标应用的方法与设备
CN111381790A (zh) 操控方法、装置、系统、电子白板及移动端
CN103782325A (zh) 信息显示程序和信息显示装置
CN203552237U (zh) 一种交互式电子演示系统
US20180150458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translation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70185269A1 (en) Display management solution
CN113094015A (zh) 全息多屏显示实现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15162149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40067518A (ko)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대화면 디스 플레이 장비의 실시간 연동 시스템
CN11249239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274692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presentation
KR20140005522A (ko)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실시간 가상화 시스템의 구축방법 및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실시간 가상화 시스템
US20160036873A1 (en) Custom input routing using messaging channel of a ucc system
US20150351144A1 (e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JP3196713U (ja) 双方向の展示支援システム
KR2021015714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949150A (zh) 控制外设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902144A (zh) 一种时间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1513339B1 (ko) 다중 모니터가 설치된 단말 장치
KR102630775B1 (ko)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