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942A -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942A
KR20160069942A KR1020140176203A KR20140176203A KR20160069942A KR 20160069942 A KR20160069942 A KR 20160069942A KR 1020140176203 A KR1020140176203 A KR 1020140176203A KR 20140176203 A KR20140176203 A KR 20140176203A KR 20160069942 A KR20160069942 A KR 2016006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vacuation
tag
battery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이택우
Original Assignee
김형욱
이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욱, 이택우 filed Critical 김형욱
Priority to KR102014017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942A/ko
Publication of KR2016006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상황 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재난으로 인하여 전동차의 내부 전원 공급장치가 훼손되거나 단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때, 탑승객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원 공급 선로에 대용량 축전지를 설치하여 단전 사고 시에도 비상조명장치 및 비상안내방송장치를 작동시켜 탑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전동차 내부 및 대피로 각 요지에 NFC태그, 비콘태그 또는 블루투스 태그 등을 부착시켜 탑승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당해 태그의 부착지점에서 최상의 접근성이 있는 대피로를 제안해주어 전동차 재난상황 발생시 탑승객의 안정과 재난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도모하여 전동차 이용승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상황 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Emergency circumstance notification and evacuation system}
본 발명은 비상상황 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전동차 재난상황 발생시 탑승객의 안정과 재난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도모하여 전동차 이용승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상황 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혹은 대형건물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경보음, 안내방송, 비상 조명장치의 작동을 하게 되고, 사람들은 이에 따라 대피하거나
자리에서 대기한다. 하지만, 최근 상왕십리역 열차추돌사고에서 살펴 볼 수 있듯이, 추돌충격으로 인하여, 전체 20량의 전동차 중 8~11량이 부분적으로 단전되어 안내방송,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없었다. 만약 상왕십리역 열차추돌사고가 화재 사건이었다면, 화재 발생을 직접 목격한 탑승객은 즉각적으로 대피하였겠지만, 화재 발생 위치에서 원거리에 있었던 승객들은 화재 상황에 대하여 안내방송 등에 의지하여 대피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단전사고로 인하여, 안내방송, 비상조명 장치 등이 작동하지 아니하는 경우, 탑승객이 대피할 수 없어 더 큰 인명피해로 연결되었을 것이다. 즉, 전동차의 전원 공급선이 사고에 의하여 단전될 때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비상조명장치나 스피커와 안내방송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재난이 발생한 경우, 단전이 될 수 있으며 통신수단이 마비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하여, 출원번호 제10-2014-0074882호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재난 발생에 의해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재난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였으나, 지하철로에서 재난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지하철역사 및 지하철내부에 전력으로 작동하는 통신네트워크 중계기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는 화재나 단전 사고시 무용지물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재난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전원과 연결된 무선통신네트워크의 중계기를 작동시켜 재난정보를 수신자의 모바일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인데, 지하에서는 무선통신네트워크의 중계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지하철 혹은 지하철 역사 내에서 개개인인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 또한, 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이 불가능함으로써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재난 상황시 단전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 중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일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재난 상황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확보하여 안내방송, 경보음, 대피로안내 작동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난사고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활한 전력 공급을 도모하여 비상조명장치, 비상안내방송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율적인 대피로의 안내를 도모할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상시 전동차 내부 선로에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도록 축전지를 설치하여 단전시 비상조명장치 및 비상안내방송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대피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전동차 및 전동차 역사 내부의 중계기를 평상시와 같이 작동시킴으로서, 통신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탑승객들의 대피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피로의 다수의 지점에 위치정보가 입력된 NFC태그, 비콘 태그 또는 블루투스 태그가 부착되어 있어, 탑승객이 탈출하였을 때,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당해 태그를 인식하면 당해 태그의 부착지점에서 최상의 대피로를 안내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탑승객이 보다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재난으로 인하여 전동차의 전원이 단전되었을 때, 안내방송 및 비상조명장치의 작동을 보장함으로서 대중교통 탑승객의 안전적인 대피를 도모하고 더욱이, 전동차 내부 및 대피로 다수의 지점에 부착된 NFC태그, 비콘 태그 또는 블루투스 태그를 모바일 단말기로 인식시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탑승객들이 효율적인 대피로를 안내 받을 수 있어 탑승객의 신속한 대피를 도모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이 사용되는 지하철 내부도이다.
도 2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한 비상조명장치의 회로연결도이다.
도 3은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한 스피커의 회로연결도이다.
도 4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이 작동하는 대피로 내부도이다.
도 5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시도이다.
도 6은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구동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단계도이다.
도 7은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재난으로 인하여 전동차의 내부 전원 공급선(100)이 훼손되거나 단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때, 탑승객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원 공급선(100)에 대용량 축전지(11)를 설치하여 단전 사고 시에도 비상조명장치(30) 및 비상안내방송장치(40)를 가동시켜 탑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전동차 내부 및 대피로 각 요지에 NFC태그, 비콘태그 또는 블루투스 태그(20) 등을 부착시켜 탑승객의 모바일 단말기(50)로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당해 태그의 부착지점에서 최상의 접근성이 있는 대피로를 제안해주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시 단전이 될 경우, 전동차 내부에서 작동하는 비상조명장치(30) 및 비상안내방송(40)을 하기 위한 스피커(19) 등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더욱이, 재난으로 인하여 전동차가 역과 역 사이에서 그 운행이 중단되었을 때, 전동차 내부(60)에 설치된 무선통신네트워크 중계기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탑승객들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무선통신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어, 외부와 연락이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동차 내부에서 비상조명장치(30) 및 무선통신네트워크(40) 중계기가 작동하도록 하고 또한, 비상안내방송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비상조명장치(30), 비상안내방송시스템(40), 무선통신네트워크 중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전동차의 각 차량에 내설 되어 있는 전원공급선(100)과 연결된 AC/DC converter(12), 내부충전배터리유닛(13) 및 LED 전구(14)로 구성된 비상조명장치(30) 사이에 축전지(11)를 상시 충전시킬 수 있는 DC5V충전기(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충전기에서 충전되는 축전지를 이용하여, 각 차량의 단전시 비상조명장치(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상안내방송장치(40)의 경우, 상기 각 차량에 내설 되어 있는 전원공급선(100)과 AC/DC converter(12), 내부충전배터리유닛(13), amplifier(15), 스피커 제어유닛(18), 송신기(16), 수신기(17) 및 스피커(19)로 구성된 비상안내방송장치 사이에 축전지(11)가 내설된 DC5V충전기(10)가 연결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각각의 비상안내방송장치는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DC5V충전기와 연결되어 있어, 전동차의 각 차량의 단전시 축전지를 이용하여 각 비상안내방송장치에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도모할 수 있다.
비상안내방송장치(40)는 AC/DC converter(12), 내부충전배터리유닛(13), amplifier(15), 스피커 제어유닛(18), 송신기(16), 수신기(17) 및 스피커(19)로 구성되어 있는데,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동차의 경우 전원 공급선로에 연결된 상기 DC5V충전기를 이용하여 축전지를 충전시키고 이는 비상안내방송장치의 AC/DC converter로 공급하고 이는 내부충전배터리유닛를 이중으로 충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amplifier, 송신기 및 수신기를 작동시켜 스피커제어유닛을 통하여 스피커를 발성시킨다. 각 비상안내방송장치는 송신기(16)와 수신기(17)를 구비하고 있는데, 전동차 각 차량의 단전시, 비상안내방송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하거나 가능하더라도 그 비상안내방송장치의 일부가 훼손되어 각 차량마다 그 안내 내용이 전달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축전지(11)를 통한 안정적인 전원 공급하여 무선통신중계기를 가동시켜 3G, 4G와 같은 무선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함으로써 송신기와 수신기가 상호 비상안내의 내용을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신된 신호는 비상안내방송장치내의 amplifier(15)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스피커제어유닛(18)을 통하여 스피커(19)로 발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타 비상안내방송장치의 수신기로 당해 내용을 무선으로 전달하며 타 비상안내방송장치(40)의 수신기가 이를 수신하고 이를 amplifier를 이용해 증폭하여 스피커제어유닛을 통하여 스피커로 안내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각 비상안내방송장치는 신호를 전동차 각 차량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단전시에도 비상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어 그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전동차의 각 차량 및 대피로의 각 요지에 NFC태그, 비콘태그 혹은 블루투스 태그(20)가 부착되어 있으며 탑승객은 모바일 단말기로 이를 인식시켜 가장 효율적인 대피로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태그는 당해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대피로안내 어플리케이션을 런칭시킬 수 있는 트리거(trigger)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태그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s1)를 통하여, 런칭단계(s2)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상에 대피로안내어플리케이션이 런칭되면 도 7과 같이, 무선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와 모바일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수신단계(s3)를 거쳐 표시단계(s4)에서는 모바일단말기상 대피로(70)가 표시되도록 하여, 탑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 예로는,
전동차에 탑승시 재난상황에서 단전이 발생하는 경우, DC5V충전기에 내설되어 있는 축전지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조명장치 및 비상안내방송을 작동시킨다. 탑승객들은 비상조명장치 및 비상안내방송의 전달내용에 따라 대피로로 이동하는데, 전동차 내부 및 대피로 각 요지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모바일단말기로 인식시켜 당해 모바일 단말기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가장 효과적인 대피로를 모바일단말기상 실행되는 대피로안내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어 재난시 탑승객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비상안내방송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는 무선통신네트워크 중계기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네트워크 중계기가 상기 비상안내방송장치에 결합되어 그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로안내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은 전동차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대형빌딩, 공장 및 여행지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100. 전원 공급선
10. DC충전기
11. 축전지
12. AC/DC converter
13. 내부충전배터리유닛
14. LED전구
15.Amplifier
16. 송신기
17. 수신기
18. 스피커제어유닛
19. 스피커
20. 태그
30. 비상조명장치
40. 비상안내방송장치
50. 모바일단말기
60. 전동차내부
70. 지하대피로

Claims (5)

  1. 단전시 작동하는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공급 선로에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는 대용량 축전지가 내설된 DC충전기와;
    상기 DC충전기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조명장치 또는 비상안내방송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대용량 축전지가 내설된 DC충전기를 통하여 평상시 전기가 충전되고 단전시 축전기가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비상조명장치 또는 비상안내방송자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조명장치는 대용량 축전지가 내설된 DC충전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AC/DC converter와;
    상기 AC/DC converter와 연결되어 평상시 이중으로 충전되는 내부충전배터리유닛과;
    상기 내부충전배터리유닛과 연결되어 비상시 발광되는 LED전구로 구성되어 있어, 평상시 대용량 축전지 및 내부충전배터리유닛이 충전되고 단전시 상기 대용량 축전지 및 내부충전배터리유닛에서 전기를 공급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안내방송장치는 대용량 축전지가 내설된 DC충전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AC/DC converter와;
    상기 AC/DC converter와 연결되어 평상시 이중으로 충전되는 내부충전배터리유닛과;
    비상시, 상기 내부충전배터리유닛 또는 대용량축전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되며 안내내용을 각 차량에 전달할 수 있는 송신기 및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안내내용을 증폭하는 amplifier와;
    상기 증폭된 안내내용을 스피커로 발성시키기 위한 스피커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을 통하여 발성되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어, 비상시 공급선로에 연결된 상기 DC5V충전기를 이용하여 대용량 축전지를 충전시키고 이는 비상안내방송장치의 AC/DC converter로 공급하고 내부충전배터리유닛을 이중으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amplifier, 송신기 및 수신기를 작동시켜 스피커제어유닛 및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스피커를 발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전동차의 각 차량 및 대피로의 각 요지에 부착되어 있는 NFC태그, 비콘태그 혹은 블루투스 태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 탑승객은 모바일단말기로 이를 인식시켜 가장 효율적인 대피로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s1)와;상기 인식단계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상 실행되는 대피로안내어플리케이션 의 런칭단계(s2)와;
    상기 런칭단계 후 무선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와 모바일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수신단계(s3)와;
    모바일단말기상 대피로가 표시되도록 하여, 탑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표시단계(s4)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비상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KR1020140176203A 2014-12-09 2014-12-09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KR2016006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03A KR20160069942A (ko) 2014-12-09 2014-12-09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03A KR20160069942A (ko) 2014-12-09 2014-12-09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42A true KR20160069942A (ko) 2016-06-17

Family

ID=5634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203A KR20160069942A (ko) 2014-12-09 2014-12-09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9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69B1 (ko) * 2017-06-23 2018-09-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17246379A (zh) * 2023-10-18 2023-12-19 中国矿业大学 一种轨道交通应急疏散路线的生成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69B1 (ko) * 2017-06-23 2018-09-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WO2018236016A1 (ko) * 2017-06-23 2018-12-27 이동규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17246379A (zh) * 2023-10-18 2023-12-19 中国矿业大学 一种轨道交通应急疏散路线的生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598B1 (ko) 철도 차량의 무선기반 비상방송 통신 시스템
EP3422039A1 (en) First responder tracking breadcrumbs
JP6395395B2 (ja) 支援システム
KR101856850B1 (ko) 철도차량의 비상방송장치
KR101480017B1 (ko) 철도 차량의 비상안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635672A (zh) 一种有轨电车的交叉路口控制器系统
JP6659055B2 (ja) プログラム
KR20160069942A (ko)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CN110035942A (zh) 用于紧急切断轨道车辆的电气化路线或电气化路线区段的供应电压或行驶电流供应的方法
JP2013049395A (ja) 列車制御システム
KR101077035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와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60064663A (ko) 열차 화재 대피유도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대피유도장치
BR112014023970A2 (pt) Sistema de controle de trem
KR101414344B1 (ko) 긴급차량접근 알림 및 피양 안내 시스템
KR100991407B1 (ko) 지상제어 기반의 도시철도차량 자동운전시스템
KR20090104379A (ko)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KR20160087937A (ko) 다기능성 스마트 볼라드 및 볼라드 제어 시스템
CN104527736A (zh) 一种有轨电车的交叉路口信号控制方法
RU2606755C1 (ru) Способ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при выполнении работ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ути
ES285206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ción para el control de un volumen de salida de al menos un dispositivo de salida acústica
Kato et al. Straddle-type monorail systems with driverless train operation system
KR20110038198A (ko) 무선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기관사 안내경보 시스템
KR20110010895A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US10991216B1 (en) Auditory and visual guidance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US20240185703A1 (en) Beacon assisted emergency personnel lo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