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569B1 -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569B1
KR101895569B1 KR1020170079539A KR20170079539A KR101895569B1 KR 101895569 B1 KR101895569 B1 KR 101895569B1 KR 1020170079539 A KR1020170079539 A KR 1020170079539A KR 20170079539 A KR20170079539 A KR 20170079539A KR 101895569 B1 KR101895569 B1 KR 10189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evacuation
terminal
real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569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10 priority patent/WO20182360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자동 실행하고,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고,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재난 대피자 단말; 재난 관리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입력받고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는 재난 관리자 단말;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상황 정보 및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는 상황 인지 서버; 상황 인지 서버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대피 유도 경로를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대피 유도 서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SMART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CONTEXT AWARENESS ALGORITHM}
본 발명은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증강 현실(virtual reality)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context awareness algorithm)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면,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조명이 설치된 비상구 표지판과 방송 스피커의 안내에 의존하여 대피를 하고 있다.
영화관에서는 영화 상영 전 스크린을 통해서 대피로를 안내하고 있기도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대피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다. 또한, 방송 스피커를 통해 대피를 안내하는 관리자 역시 전체적인 재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대피로의 붕괴라든가 사람들이 어디에 몰려 있는지도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대피로도 화재나 천정 붕괴 등의 다양한 상황에 의해 대피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높은 고층 빌딩의 경우나 대형 구조물에서는 이러한 대피가 더더욱 수월하지 않다.
특히, 대형 여객 선박의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객실에 운집하여 있게 되고, 선장 역시 선박의 상황과 객실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객실에서는 바깥으로 나가는 통로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배가 얼마나 침수되어 있는지 어느 통로가 현재 침수되지 않고 대피 가능한 통로인지도 쉽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재난 상황을 총체적으로 실시간 파악하여 관리하고 재난 대피자들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고 재난 구조자에게도 재난 상항이나 재난 피해자들의 위치, 최적의 구조 경로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재난 상황의 파악과 수집도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대피 경로 역시 제대로 알려줄 수 없는 실정이다.
10-1638972 10-1632967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 상기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상기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자동 실행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고,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재난 대피자 단말;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관리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는 재난 관리자 단말;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하는 상황 인지 서버;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실시간 생성된 대피 유도 경로를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대피 유도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구조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고, 음성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재난 구조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황 인지 서버는, 상기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방법은, 재난 대피자 단말이 구조물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자동 실행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재난 관리자 단말이 재난 관리자로부터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황 인지 서버가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하는 단계; 대피 유도 서버가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실시간 생성된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이 상기 대피 유도 서버로부터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이 재난 관리자로부터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는, 추가적으로 재난 구조자 단말이 재난 구조자로부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고, 음성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황 인지 서버가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상기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인지 서버가 상기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건물 등에 설치된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나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재난 대피자 단말에 즉시 설치하고 이를 통해 대피 유도 경로를 재난 대피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증강 현실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난 대피자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로를 확보하고 누구든지 쉽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의 부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near-field communicat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의 부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내 통로 벽면 아래 또는 통로 바닥 상에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건물 내 통로 벽면 아래에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는 재난 발생시에 재난 대피자 단말(120)에 NFC에 기반하여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는 재난 발생시에 로라 통신에 의해 재난 대피자 단말(120)에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유사시에 건물이나 각종 구조물, 선박 등에 구비된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와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설치하여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안내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은 재난 대피자 단말(120) 상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실제 현실 상의 통로 상에서 어느 통로로 대피하여야 하는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피 유도 경로는 현재 재난 대피자의 위치에서 가장 최적화된 대피 유도 경로가 산출되어 제공되며, 재난 상황이 수집됨에 따라 상황 인지를 통해 최적화된 대피 유도 경로가 실시간 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재난 대피자가 도보 버튼을 누르면 도보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자동차 버튼을 누르면 차량 대피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게임 화면처럼 대피 유도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하여 대피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재난 현장으로부터 현장 응급 의료소까지 가는 대피 유도 경로를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피 유도 화면에서는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도착 예정 시간이 실시간 위치에 따라 실시간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간 교통 상황 등이 모두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대피 유도 경로는 도보 모드 또는 차량 모드 간에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으로 대피하다가 차량으로 움직일 수 없을 때에는 도보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은 평상시에는 대피 훈련이나 연습 등을 위해 게임 모드(game mode)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실제 유사시에는 대피 모드(evacuation mode)에서 실행될 수 있다. 대피 모드와 게임 모드는 상호 간에 화면을 통해 쉽게 모드 인식이 될 수 있도록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재난 대피자는 기존의 비상구 표시등만 보고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대피 유동 경로를 통해 대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난 상황을 피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NFC(near-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 재난 대피자 단말(120), 재난 관리자 단말(130), 재난 구조자 단말(140), 연기 감지 모듈(150), 화재 감지 모듈(151), 스프링 쿨러 모듈(152), 소화전 모듈(153), 지진 감지 모듈(154), 선박 기울기 감지 모듈(155), 선박 침수 감지 모듈(156), 실시간 교통 상황 서버(160), 실시간 기상 상황 서버(161), 상황 인지 서버(170), 대피 유도 서버(180), 구조 경로 제공 서버(1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는 고층 건물이나 경기장, 영화관, 전시관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대형 여객 선박에도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진이나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일반 시내 도로나 건물 외면, 공원과 같은 야외에서도 안전 지역으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대형 산불의 경우에는 산속 곳곳에서 대피 유도 경로나 대피 방향을 알려주기 위해 설치될 수도 있다. 설치 장소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는 화재, 지진, 홍수, 침수, 선박 침몰 등의 재난 발생시에 재난 대피자 단말(120)에 NFC에 기반하여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는 재난 발생시에 로라 통신에 의해 재난 대피자 단말(120)에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라 통신 방식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서, 대략 15 km까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는 로라 기지국(미도시)과 서버(미도시)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링크를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제공하거나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 단말(120)은 화재 건물에 갇히거나 침몰하는 선박에 갇히거나 또는 지진 피해에 의해 대피하거나, 캠핑 중에 산불에 노출되는 등의 다양한 재난에 처한 재난 대피자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 단말(120)에는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나, 재난 발생 시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나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를 통해 즉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 단말(120)은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이를 자동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황 인지 서버(170)에서는 현재 재난 상황에 처한 재난 대피자의 실시간 위치와 상황 그리고 그 인원수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재난 대피자 단말(120)은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상황을 재난 대피자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로라망이나 이동통신/와이파이망 등을 통해 현재 상황을 상황 인지 서버(17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대피자는 건물에 갇히거나 한 경우, 현재 주변 상황을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재난 대피자 단말(120)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의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상황 인지 서버(17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황 인지 서버(170)에서는 각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부터 각 재난 대피자의 현재 위치와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재난 대피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재난 대피자의 신원도 실시간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재난 대피자 단말(120)은 로라망 또는 이동통신/와이파이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17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 단말(120)은 상황 인지 서버(170)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대피 유도 경로를 따라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서도 쉽게 탈출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재난 관리자 단말(130)은 재난 관리자의 스마트 폰 또는 PC,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재난 관리자 단말(130)은 화재 현장, 홍수 현장, 지진 현장을 지휘하거나 원격에서 화재 현장, 홍수 현장, 지진 현장을 원격 지휘하는 재난 관리자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재난 관리자 단말(130)은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관리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거나 문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동영상 촬영이나 이미지 촬영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관리자 단말(130)은 앞서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로라망 또는 이동통신/와이파이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황 인지 서버(170)는 각 재난 관리자 단말(130)로부터 각 재난 관리자의 현재 위치와 그 위치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구조자 단말(140)은 소방 대원, 경찰, 응급 요원 등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재난 구조자는 재난 현장에서 직접 재난 대피자를 구조하고 대피시키며, 재난 현장의 중심부의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재난 구조자 단말(140)은 재난 현장 중심부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구조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거나, 이미지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구조자 단말(140)은 재난 현장 중심부에서 음성 입력,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에 의한 재난 상황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재난 구조자 단말(140)은 구조 경로 제공 서버(190)로부터 재난 대피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구조 경로를 로라망 또는 이동통신/와이파이망을 통해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재 건물 현장에서 최적의 구조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 경로는 건물 옥상위에 구조 헬기가 있는 경우에는 건물 옥상으로 향하는 경로가 될 수도 있으며, 구조용 에어베드가 있는 경우 구조용 에어베드가 있는 창밖으로 유도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재난 구조자 단말(140)은 HMD(head mount display) 형식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연기 감지 모듈(150)은 연기 감지 센서 및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기 감지 모듈(150)은 건물 내부 등에서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로라 통신기를 통해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는 단순한 GPS 정보는 물론 건물명, 해당 층수, 정확한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모듈(151)은 화재 감지 센서 및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는 화재를 감지하고 로라 통신기는 화재 감지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기 감지 모듈(150)과 마찬가지로 현재 위치 정보는 단순한 GPS 정보는 물론 건물명, 해당 층수, 정확한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쿨러(spring cooler) 모듈(152)은 스프링 쿨러와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쿨러는 연기 감지 모듈(150)이나 화재 감지 모듈(151)이 연기나 화재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로라 통신기는 스프링 쿨러의 동작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화전 모듈(153)은 소화 장치와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화 장치는 재난 구조자 등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데 이용되며 로라 통신기는 소화 장치 동작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는 단순한 GPS 정보는 물론 건물명, 해당 층수, 정확한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진 감지 모듈(154)은 지진 감지 센서와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진 감지 센서는 지진을 감지하며 로라 통신기는 지진 감지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박 기울기 감지 모듈(155)은 선박 기울기 감지 센서와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박 기울기 감지 센서는 선박의 양옆단, 앞단, 뒷단, 윗단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의 기울기 상태를 알 수 있다. 로라 통신기는 선박명, 선박 소속명, 선박 등록 번호, 선박의 현재 위치 정보, 선박 기울기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와 함께 선박의 기울기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박 침수 감지 모듈(156)은 선박 침수 감지 센서와 로라 통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박 침수 감지 센서는 선박의 양옆단, 앞단, 뒷단, 윗단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의 침수 여부와 침수 상태를 알 수 있다. 로라 통신기는 선박명, 선박 소속명, 선박 등록 번호, 선박의 현재 위치 정보, 선박 침수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와 함께 선박의 침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황 인지 서버(170)는 재난 대피자 단말(120), 재난 관리자 단말(130), 재난 구조자 단말(140) 각각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각종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상황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성,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서버(170)는 연기 감지 모듈(150), 화재 감지 모듈(151), 스프링 쿨러 모듈(152), 소화전 모듈(153), 지진 감지 모듈(154), 선박 기울기 감지 모듈(155), 선박 침수 감지 모듈(156)로부터 연기 감지 정보, 화재 감지 정보, 스프링 쿨러 동작 정보, 소화전 동작 정보, 지진 감지 정보, 선박 기울기 감지 정보, 선박 침수 감지 정보 등과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교통 상황 서버(160)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교통 상황은 지진이나 홍수, 화재 등에 있어서 구조 지휘나 대피 유도 경로 생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실시간 기상 상황 서버(161)은 실시간 기상 상황을 상황 인지 서버(17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기상 상황은 화재나 홍수 등이 발생했을 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산불 등이 발생했을 때 불이 번지는 속도와 방향을 분석하여 대피 유도 경로를 산출하고 구조 경로를 산출하며 산불 확산 예상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황 인지 서버(170)는 앞서 수신된 각종 재난 상황 정보와 그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각종 감지 정보와 그 현재 위치 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 및 실시간 기상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각종 데이터들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황 인지 서버(170)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며, 문자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수행하고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각 위치의 재난 상황과 재난 대피자의 상황, 구조 상황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복합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인지 분석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27층 고층 건물 중 10층에서 27층까지 화재가 번져 있는 상황과, 화재가 발생한 10-27층 중 가스나 불길이 심한 통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로를 제외하고 대피 가능한 경로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10-27층 중에서 어느 층에 어느 재난 대피자가 있는지 어떠한 경로로 움직이고 있는지, 어디에 몇 명 정도가 갇혀 있는지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를 통해 재난 대피자의 신원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분석에 의해 구조 가능한 경로도 산출할 수 있으며, 재난 구조자의 진입 경로와 구조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상황 분석 수행도 가능하다.
지진의 경우 지진으로 인해 이동이 어려운 재난 대피자들의 대피 유도 경로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대피 유도 서버(180)는 상황 인지 서버(170)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고층 건물에서 재난 대피자들이 현재 위치에서 밖으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유도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불길이 심한 곳이나 붕괴가 발생한 곳, 연기가 심하게 감지되는 곳 등은 피하여 대피 유도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대피 유도 경로의 산출이 어려운 경우 비교적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여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유도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지진이 발생한 경우, 지진으로 지반이 붕괴된 곳을 피해 안전 지역으로 유도하고, 홍수가 발생한 경우에도 홍수로 인해 침수가 심한 곳을 피해 안전 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서버(180)는 종합적인 상황 인지 분석을 통해 실시간 생성된 대피 유도 경로를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 경로 제공 서버(190)는 위와 같은 종합적인 상황 인지 분석을 통해 재난 구조자가 재난 대피자들을 구조해야 할 구조 경로를 실시간 산출하여 재난 구조자 단말(1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대피자들을 찾아가는 안전한 경로와 재난 대피자들을 대피시키는 안전한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피 유도 경로와 구조 경로는 상황 인지 서버(170)의 실시간 상황 인지 분석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대피 유도 서버(180)는 상황 인지 서버(170)의 상황 인지 분석에 따라 대피자가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가 많이 감지되면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 탈출하거나 또는 손수건으로 막고 대피하는 등의 정보를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황 인지 서버(170)는 게임 모드 동작 모듈(미도시) 및 대피 모드 동작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피 모드 동작 모듈(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각종 센싱 정보 등을 수집하여 상황 인지 분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임 모드 동작 모듈(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각종 센싱 정보 등을 수집하지 않고 이러한 각종 센서 정보 등을 자동으로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상황 인지 분석을 하고, 대피 유도 서버(180)는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대피 유도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평상시에 탈출 경로에 대한 연습을 할 수 있고, 소방 대피 훈련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재난 대피자 단말(120)이 구조물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110) 또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111)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01).
다음으로, 재난 대피자 단말(120)이 앞서 설치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자동 실행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한다(S102).
다음으로, 재난 관리자 단말(120)이 재난 관리자로부터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한다(S103).
여기서, 추가적으로 재난 구조자 단말(140)이 재난 구조자로부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고, 그 음성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상황 인지 서버(17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황 인지 서버(170)가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관리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그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한다(S104).
여기서, 상황 인지 서버(170)가 재난 구조자 단말(140)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그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대피 유도 서버(180)가 상황 인지 서버(170)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그 실시간 생성된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120)로 실시간 송신한다(S105).
다음으로, 재난 대피자 단말(120)이 대피 유도 서버(180)로부터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그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S1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111: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
120: 재난 대피자 단말
130: 재난 관리자 단말
140: 재난 구조자 단말
150: 연기 감지 모듈
151: 화재 감지 모듈
152: 스프링 쿨러 모듈
153: 소화전 모듈
154: 지진 감지 모듈
155: 선박 기울기 감지 모듈
156: 선박 침수 감지 모듈
160: 실시간 교통 상황 서버
161: 실시간 기상 상황 서버
170: 상황 인지 서버
180: 대피 유도 서버
190: 구조 경로 제공 서버

Claims (4)

  1. 구조물에 설치되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
    상기 NFC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 기반 대피 유도 센서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상기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자동 실행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고,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재난 대피자 단말;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관리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실시간 송신하는 재난 관리자 단말;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하는 상황 인지 서버;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실시간 생성된 대피 유도 경로를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면서 대피 요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피 유도 서버;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구조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고, 음성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구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구조 경로를 로라망 또는 이동통신/와이파이망을 통해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재난 구조자 단말; 및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분석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구조자가 재난 대피자들을 구조해야 할 구조 경로를 실시간 산출하여 재난 구조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조 경로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인지 서버는,
    상기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며, 문자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수행하고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각 위치의 재난 상황과 재난 대피자의 상황, 구조 상황을 분석하여 구조 가능한 경로를 산출하며, 재난 구조자의 진입 경로와 구조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2. 삭제
  3. 재난 대피자 단말이 구조물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대피 유도 태그 또는 로라(LoRa) 기반 대피 유도 센서와의 비접촉 통신에 의해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자동 실행된 스마트 대피 유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로라망(LoRa network)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재난 관리자 단말이 재난 관리자로부터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disaster context information)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를 로라망을 통해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재난 구조자 단말이 재난 구조자로부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재난 상황 정보를 음성 입력받고, 음성 입력받은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상황 인지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황 인지 서버가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재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상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실시간 수행하고, 상기 상황 인지 서버가 상기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재난 구조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재난 상황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재난 상황 인지를 실시간 수행하며,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며, 문자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수행하고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를 수행하여 각 위치의 재난 상황과 재난 대피자의 상황, 구조 상황을 분석하여 구조 가능한 경로를 산출하며, 재난 구조자의 진입 경로와 구조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대피 유도 서버가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실시간 수행된 재난 상황 인지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난 대피자의 최적의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생성하고 실시간 생성된 대피 유도 경로와 대피 요령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재난 대피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대피자 단말이 상기 대피 유도 서버로부터 로라망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대피 유도 경로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대피 유도 경로를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구조 경로 제공 서버에서 상기 상황 인지 서버에서 분석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구조자가 재난 대피자들을 구조해야 할 구조 경로를 실시간 산출하여 재난 구조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구조 경로를 로라망 또는 이동통신/와이파이망을 통해 실시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방법.
  4. 삭제
KR1020170079539A 2017-06-23 2017-06-23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89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39A KR101895569B1 (ko) 2017-06-23 2017-06-23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7/014910 WO2018236016A1 (ko) 2017-06-23 2017-12-18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39A KR101895569B1 (ko) 2017-06-23 2017-06-23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569B1 true KR101895569B1 (ko) 2018-09-05

Family

ID=6359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539A KR101895569B1 (ko) 2017-06-23 2017-06-23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569B1 (ko)
WO (1) WO201823601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73B1 (ko) * 2018-12-07 2019-03-12 (주)리더스테크 연동경보형 화재감지기와 LoRa망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지 시스템
CN111508172A (zh) * 2020-03-06 2020-08-07 深圳市瑞邦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点式精准测算逃生路线的安全疏散方法及系统
KR20210019168A (ko) * 2019-08-12 2021-02-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9293B1 (ko) * 2021-11-09 2022-01-11 대한민국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5471991A (zh) * 2022-11-15 2022-12-13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消防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6338B2 (en) * 2019-03-05 2021-11-02 Osense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method
CN115394023A (zh) * 2022-09-14 2022-11-2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客运站应急疏散系统以及应急疏散平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12B1 (ko) * 2014-09-17 2015-03-20 주식회사초록물고기아트텍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대피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JP2016006652A (ja) * 2015-07-03 2016-01-14 能美防災株式会社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KR20160069942A (ko) * 2014-12-09 2016-06-17 김형욱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38972B1 (ko) 2014-08-11 2016-07-12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4913A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익성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3543B1 (ko) * 2015-12-24 2017-04-18 배준원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67B1 (ko) 2014-07-29 2016-06-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38972B1 (ko) 2014-08-11 2016-07-12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4612B1 (ko) * 2014-09-17 2015-03-20 주식회사초록물고기아트텍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대피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20160069942A (ko) * 2014-12-09 2016-06-17 김형욱 비상 상황안내 및 대피시스템
JP2016006652A (ja) * 2015-07-03 2016-01-14 能美防災株式会社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KR101723543B1 (ko) * 2015-12-24 2017-04-18 배준원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2029B1 (ko) * 2016-02-01 2017-02-02 주식회사 유진코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913A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익성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73B1 (ko) * 2018-12-07 2019-03-12 (주)리더스테크 연동경보형 화재감지기와 LoRa망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지 시스템
KR20210019168A (ko) * 2019-08-12 2021-02-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5769B1 (ko) * 2019-08-12 2021-04-27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08172A (zh) * 2020-03-06 2020-08-07 深圳市瑞邦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点式精准测算逃生路线的安全疏散方法及系统
KR102349293B1 (ko) * 2021-11-09 2022-01-11 대한민국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1995736B2 (en) 2021-11-09 2024-05-2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CN115471991A (zh) * 2022-11-15 2022-12-13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消防系统
CN115471991B (zh) * 2022-11-15 2023-02-28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消防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016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569B1 (ko)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05561492B (zh) 人的行为统计信息动态获取终端、疏散系统和方法
US20220215742A1 (en) Contextualize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KR101944354B1 (ko) 재난 대응 드론을 이용한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JP6321134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JP7434498B2 (ja) 防災システム
KR102019438B1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US20160381537A1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KR102086564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201316295A (zh) 環境安全監測與逃生導引系統及警示逃生方法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JP6929758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20210019168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52612A1 (ja) 指示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915823A (zh) 消防系统、服务器及移动终端设备
Wada et al.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everyday use smartphones
CN111640277A (zh) 一种火灾情况显示系统
JP2015060338A (ja) 誘導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34806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CN213661664U (zh) 高层建筑智能消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