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43B1 -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43B1
KR101723543B1 KR1020150185531A KR20150185531A KR101723543B1 KR 101723543 B1 KR101723543 B1 KR 101723543B1 KR 1020150185531 A KR1020150185531 A KR 1020150185531A KR 20150185531 A KR20150185531 A KR 20150185531A KR 101723543 B1 KR101723543 B1 KR 10172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ata
network
emergency re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원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배준원
박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원, 박영진 filed Critical 배준원
Priority to KR102015018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2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기 설정된 번호로 호(Call) 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를 CS(Circuit Switch)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부터 CS망 및 데이터망을 통한 실시간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형성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채널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URGENT CALL}
본 발명은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확한 위치 및 긴급 상황을 긴급 전화와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다양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이 연구 및 개발되어 활성화되면서, 긴급 상황에서 스마트 폰 사용자를 보호하거나 긴급 상황을 보다 편리하게 알리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때, 긴급 전화를 하는 방법은 영상으로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27988호(2008.05.08 공고)에는, 영상 생성 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신호의 통신 프로토콜을 판별 및 분석하며, 신호를 디코딩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 추출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영상 생성 수단에 가장 근접한 관할 기관에 실시간으로 신고 접수를 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위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때, 신호를 디코딩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는데, 영상 통화 자체도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딜레이 및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긴급 전화의 호가 발생하는 경우, 호 발생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의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활성화시켜 정확한 신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관제 센터에서는 정확한 관할 배분 및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설정된 번호로 호(Call) 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를 CS(Circuit Switch)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부터 CS망 및 데이터망을 통한 실시간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형성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채널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긴급 전화의 호가 발생하는 경우, 호 발생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의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활성화시켜 정확한 신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관제 센터에서는 정확한 관할 배분 및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 신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모바일 단말(100), CS 망(Circuit Switch Network, 300),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출동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CS 망(3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를 통하여 출동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네트워크(200) 및 CS 망(300)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출동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출동자 단말(500) 및 모바일 단말(10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출동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출동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를 경유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100), CS 망(300),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출동자 단말(5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전화 번호로 호(Call) 발신을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긴급 전화 번호는, 112, 119 등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전화로 발신이 된 경우,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는 도중, 즉 CS 망(300)과 연결된 경우,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은, 데이터망(미도시)을 통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상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상황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또는 출동자 단말(500)에 의해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이 원격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의 구동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정지 및 삭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상황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황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의 정확도에 기반하여, 정확도가 기 설정된 정확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제 센터 및 출동자 단말(500)을 검색하여 상황 데이터 및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채널을 형성하여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출동자 단말(500)로 모바일 단말(100)의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파악하여, 상황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100)에서 정확히 수집 및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100)을 제어하고, 네트워크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이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혼잡도가 기 설정된 혼잡도를 초과하여 상황 데이터가 기 설정된 속도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타 모바일 단말(미도시)의 우선권을 박탈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의 네트워크 점유권을 최우선으로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긴급 상황이 지연 없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신속하게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동자 단말(5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부터 사건을 배분받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출동자 단말(5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부터 지속적으로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고,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부터 부여받은 모바일 단말(100)의 제어권으로 모바일 단말(100)을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출동자 단말(500)은 자신의 위치를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에서 모바일 단말(100)과 가장 근접한 단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출동자 단말(500)이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할 때까지, 모바일 단말(100)에서 상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출동자 단말(500)은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출동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동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출동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 신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은, 제 1 전송부(110), 웨이크업부(120), 제 2 전송부(130), 수신부(140), 제 3 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또는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모바일 단말(100) 또는 출동자 단말(500)로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 또는 출동자 단말(500)은,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모바일 단말(100) 또는 출동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모바일 단말(100), CS 망(300),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출동자 단말(5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전송부(110)는, 기 설정된 번호로 호(Call) 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를 CS(Circuit Switch) 망(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S 망(300)은, 발신 또는 수신을 위한 망으로, 모바일 단말(100)에서 CS 망(300)을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은 CS 망(300) 사용 우선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LTE를 이용하는 사용자라고 할지라도 CS 망(300) 사용에 의해 데이터 망의 원활한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S 망(300)에 접속, 즉 모바일 단말(100)에서 호 발신을 한 경우라고 할지라도, 영상 및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도록, 데이터 망의 우선권을 CS 망(300)에 의해 박탈되지 않도록 제어되도록 한다.
웨이크업부(120)는,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시킬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100)에서 동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하여 긴급 상황을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GPS 및 WIFI를 활성화시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가 파악된 경우, CCTV 관제 센터(미도시)와 연동하여, 파악된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CCTV의 영상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상을 기준으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재난 사고의 경우, 각종 재난 사고 영상이 포착된 CCTV의 위치와 각종 재난 사고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전송부(130)는,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 확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하고, 모바일 단말(10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혼잡도가 기 설정된 혼잡도를 초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에 우선권을 부여하도록 한다.
수신부(140)는,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부터 CS망 및 데이터망을 통한 실시간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0)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 전송부(150)는, 형성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 및 모바일 단말(100) 간의 채널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은, 위치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위치 감지 수단은 GPS 및 WIF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은, 모바일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우선순위를 가지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 중 위치 감지 수단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매핑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모바일 단말(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감지된 위치를 데이터망을 통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황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및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위치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100)의 GPS와, 모바일 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 및 WIFI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위치 데이터의 관할 또는 위치 데이터와 최근접한 위치 데이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500)을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500)로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최근접한 위치 데이터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고려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500)의 위치 데이터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 간 실시간 교통 상황을 검색하고, 검색된 실시간 교통 상황에 기반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로 최단시간 이동가능한 출동자 단말(500)을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상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가 각종 재난 사고를 발견한 경우, (b), (c)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긴급 전화로 호 발신을 실시하고, 긴급 전화가 발신될 때, 모바일 단말(100)은 카메라, GPS, WIFI,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 모든 감지 수단을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이때, 도 3의 불꽃은 화재를 의미하지만, 각종 재난 사고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d) 모바일 단말(100)은 CS 망(3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함과 동시에, 데이터 망을 통하여 위치 및 영상을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망은 IMS 망일 수 있다.
또한, (e) 모바일 단말(100)은,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자신의 위치를 검색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하는데,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위치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정확도를 초과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f)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는 경우, 출동자 단말(500)로 상황을 전송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동자 단말(500)로 스트리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출동자 단말(500)의 위치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할 때까지, 출동자 단말(500)은, 모바일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0)의 상황 데이터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이때, 출동자 단말(500)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부터 사건 분배를 받고난 후에는, 상황 데이터를 신속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선점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있고,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외한 포어 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에서 긴급 전화가 발생하고(S4100), 음성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S4200), 모바일 단말(100)은,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S4300).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은, 위치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을, 생성된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하여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로 전송한다(S4500, S4600).
그리고 나서, 통화가 종료되기 전까지 S4400 내지 S4600 과정을 반복하고,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S4700), 위치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출동자 단말(500)이 도착할 때까지 지속한다(S4900. S4910).
한편, 긴급 신고 접수 서버(400)는, 수집된 상황 데이터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정확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정확한 위치 데이터의 수집을 위하여 모바일 단말(100)로 위치 데이터를 재요청하고(S4800), 수집된 상황 데이터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정확도를 초과하는 경우, 관할 및 출동자 단말을 검색한다(S4810).
여기서, 검색된 관할 지점 및 단말을 호출하고(S4820), 출동자 단말(500)은 상황 데이터를 접수하여(S4930), 접수 응답을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S4850). 그리고, 출동자 단말(500)이 도착한 후에는 모바일 단말(100)은 상황 데이터의 수집을 종료한다(S4930).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기 설정된 번호로 호(Call) 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를 CS(Circuit Switch) 망으로 전송한다(S5100).
그리고 나서, 모바일 단말은,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시킨다(S5200).
또한, 모바일 단말은,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한다(S5300).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부터 CS망 및 데이터망을 통한 실시간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이벤트를 수신한다(S5400).
마지막으로, 모바일 단말은, 형성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채널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번호로 호(Call) 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를 CS(Circuit Switch)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호 발신 이벤트로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
    상기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부터 CS망 및 데이터망을 통한 실시간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형성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채널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은, 위치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 중 위치 감지 수단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위치에 매핑된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된 위치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하여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및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및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GPS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연결된 기지국 및 WIFI를 통하여 수집되며,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촬영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황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 데이터의 관할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와 최근접한 위치 데이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황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긴급 신고 접수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동자 단말의 위치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데이터 간 실시간 교통 상황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실시간 교통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최단시간 이동가능한 출동자 단말을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황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85531A 2015-12-24 2015-12-24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31A KR101723543B1 (ko) 2015-12-24 2015-12-24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31A KR101723543B1 (ko) 2015-12-24 2015-12-24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543B1 true KR101723543B1 (ko) 2017-04-18

Family

ID=5870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531A KR101723543B1 (ko) 2015-12-24 2015-12-24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69B1 (ko) * 2017-06-23 2018-09-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919243B1 (ko) * 2017-07-24 2018-11-15 신후덕 폭력 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21B1 (ko) 2012-02-06 2014-02-12 이창화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KR101547835B1 (ko) 2014-09-01 2015-08-28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장)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21B1 (ko) 2012-02-06 2014-02-12 이창화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KR101547835B1 (ko) 2014-09-01 2015-08-28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장)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69B1 (ko) * 2017-06-23 2018-09-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및 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919243B1 (ko) * 2017-07-24 2018-11-15 신후덕 폭력 감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4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lternate communication pathway
US20190102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97949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lternate communication pathway
US739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notifying a user of a portable wireless device
US9992654B2 (en) Policy driven emergency traffic handling for machine-to-machine device communication
KR20120136221A (ko) 위치기반 안심 서비스와 실시간 카메라 동영상을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9451880B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13892282B (zh) 上报信息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1723543B1 (ko) 긴급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83681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20150111267A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4172964B (zh) 内容分发网络的调度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69701A1 (en) Paging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136563A (zh) 获取终端位置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406513A (zh) QoS监控结果的订阅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261885A (zh) 信息上报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0461046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24521166A (ja) 端末能力情報の報告方法、装置、通信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CN116438764A (zh) 混合自动重传请求harq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26484A (ko)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채널을 이용한 알에스에스 서비스방법
CN116324467A (zh) 定位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584113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7769863A (zh) 无线通信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759795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7957822A (zh) 上报bsr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