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12A -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 Google Patents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12A
KR20160069212A KR1020140174903A KR20140174903A KR20160069212A KR 20160069212 A KR20160069212 A KR 20160069212A KR 1020140174903 A KR1020140174903 A KR 1020140174903A KR 20140174903 A KR20140174903 A KR 20140174903A KR 20160069212 A KR20160069212 A KR 2016006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boom
pin
skelet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267B1 (ko
Inventor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기계
Priority to KR102014017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267B1/ko
Priority to PCT/KR2014/012304 priority patent/WO2016093408A1/ko
Publication of KR2016006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차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셀프로더에 있어서, 상기 차대의 하부브래킷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래킷을 갖는 레일조립체; 상기 레일조립체의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서랍부; 상기 서랍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차대의 가로빔에 연결되어 있는 붐신축장치; 및 상기 서랍부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골격착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SELF LOADER FOR SMALL SIZE TRUCK}
본 발명은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톤 이하의 소형 트럭에 설치되어 건설현장 또는 농어촌의 이동 장비를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대 사용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변화 되고 있는 현대의 산업구조에 따라 특장차의 수요도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게 늘어가고 있다.
예컨대, 특수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갖가지 특수 장비를 장착한 자동차는 특장차(Special equipment car)로 불리운다.
특장차는 양산차의 기본적인 구조를 용도에 맞게 개조한 것으로 시작되었고,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특장차 역시 양산차의 보디에 특정 용도에 맞도록 운전석 뒷부분을 개조하는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 산업구조가 다변화 되면서 자동차 또한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쓰이게 되어 단순한 개조나 건설 장비 탑재에서 여러 가지 특수 장비들을 장착하는 것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예컨대, 특장차는 중형 또는 대형 트랜스포터, 벌크 시멘트 트랙터, 냉동 탑차, 윙보디, 렉커, 세이프티 로더, 활어 운반차, 셀프로더, 앰뷸런스 등이 있다.
특히 셀프로더의 경우에는 4.5톤 또는 그 이상의 트럭으로 제작된 경우가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의 차량운반용 트럭은 차대(車臺) 위를 하부 적재대로 하고, 차대의 양측 앞쪽에 세운 기둥 상에 유압 모터와 나사축 및 회동체를 가진 캐리어를 가진 앞쪽 승강장치로 상부 적재대의 앞쪽을 밀어 올리고 또는 끌어내리는 동시에 상부 적재대를 뒤로 경사질 수 있게 하면서, 차대의 뒷쪽 양편에 앞쪽 기둥과 나란히 세운 뒷쪽 기둥과; 상기 뒷쪽 기둥상에 설치한 상부 적재대용 뒷쪽 승강장치와; 뒷쪽 승강장치에 탑재한 레일 가이드와, 상부 적재대 후반부에서 상기 레일 가이드에 안내되는 레일을 부착한 상부 적재대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소형 트럭에 적합하면서 운반대상 또는 적재물(예: 농기계, 소형 건축 기계 등)을 하차시키기 위한 서랍 방식 이동 수단이나, 트럭 자체를 경사지게 틸트시켜서, 신속하게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특히, 특허문헌1과 달리 소형 트럭의 경우에는 셀프로더 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렵고, 탑재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 알루미늄 사다리 또는 경사 발판을 소형 트럭의 적재함 뒤쪽에 걸친 다음 상차 또는 하차를 하게 된다.
만일 사다리가 이탈할 경우 전복 위험성이 크고, 부상 및 사망 사고에 이르는 일이 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특허문헌2의 크레인 셀프로더 트럭은 대형 트럭의 적재함을 개조한 것으이다.
이러한 특허문헌2는 대형 트럭용으로 제작된 제 1, 제 2, 제 3 탑재판을 구비하되, 각 탑재판 별로 각각 구비된 제 1, 제 2, 제 3 실린더로 해당 탑재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제 1, 제 2, 제 3 실린더 및 복수개의 실린더 용량을 지원할 수 있는 대형 파워팩 장치는 자체 중량 증가 문제, 파워팩 장치의 설치 공간 협소 문제 등으로 인하여 소형 트럭에 적용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제 1, 제 2, 제 3 탑재판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레일홈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 2, 제 3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오작동 또는 고장날 경우, 제 1, 제 2, 제 3 탑재판 전체 또는 고장난 쪽 탑재판을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 시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는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위에 복수개의 레일 골격을 각각 배치하면서 레일홈의 폭 간격을 맞추듯이 개별적으로 조립 또는 설치하기 때문에, 개조 작업 및 제작 공정이 매우 복잡하거나 어렵고, 모듈 또는 세트화되어 차량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는 단순히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피스톤로드를 움직이는 실린더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 거리에 제한이 있다. 즉, 제 1, 제 2, 제 3 탑재판은 해당 실린더별로 정해진 스트로크 거리만큼 밖에 이동될 수 없고, 실린더의 스트로크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멀리 해당 탑재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없다.
만일, 제 1, 제 2, 제 3 탑재판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스트로크 거리 또는 실린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중량 증가로 인하여 실린더 자체의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등록실용신안 제20-0226127호(2001.03.23)
(특허문헌2)한국등록특허 제10-0918368호(2009.09.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붐신축장치, 가이드레일, 복수개의 서랍부, 골격착탈부, 레일연결부 및 붐지지부를 세트 또는 모듈화하여, 적재함 바닥과 차대 사이에서 용이하게 설치하고,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차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셀프로더에 있어서, 상기 차대의 하부브래킷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래킷을 갖는 레일조립체; 상기 레일조립체의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서랍부; 상기 서랍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차대의 가로빔에 연결되어 있는 붐신축장치; 및 상기 서랍부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골격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레일조립체는, 상기 차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대 위에 올려지고, 상기 상부브래킷이 축부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받침부; 상기 레일받침부의 상면에 용접되고, 상기 소형 트럭의 폭방향을 따라서 일측 서랍홈, 중앙 서랍홈, 타측 서랍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서랍부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의 저면에 고정되고, 중간에 U자형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는 레일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서 양측 외곽의 가이드레일의 끝단의 저부에 구비되고, 상향으로 안전핀을 출몰시키는 안전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서랍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서랍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서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랍부와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서랍골격과, 상기 서랍골격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foot hold)의 역할을 담당하는 타공판 구조의 서랍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는, 상기 안전핀을 삽입시키도록 상기 서랍골격의 저부에 핀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랍부는, 상기 제 2 서랍부의 서랍골격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붐신축장치가 배치되는 붐설치공간부; 및 상기 붐신축장치의 아래에서 상기 붐설치공간부를 따라 이격 배열되고, 상기 붐설치공간부의 테두리 프레임의 양측의 고정판에 볼트 및 너트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U자형 절곡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U자형 붐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붐신축장치는, 상기 차대의 가로빔에 연결되어 있는 중공 직사각 케이스 형상의 제 1 붐; 상기 제 1 붐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제 2 붐; 상기 제 2 붐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서랍부 중 제 2 서랍부의 붐설치공간부의 피봇체결부에 연결된 제 3 붐; 상기 가로빔에 로드 끝단을 연결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유압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붐에 연결된 실린더케이스를 갖는 붐실린더; 상기 가로빔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일측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붐, 상기 제 2 붐 및 상기 제 3 붐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케이스의 상기 케이스 끝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도르래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3 붐의 내부의 이동체결단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타측끝단을 갖는 한 쌍의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3 붐의 내부의 이동체결단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일측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붐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붐의 내표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도르래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1 붐의 내표면의 고정체결단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타측끝단을 갖는 한 쌍의 제 2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격착탈부는, 상기 제 1 서랍부 및 상기 제 2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과, 상기 핀브래킷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1 조인트핀과, 상기 제 1 조인트핀의 지름 방향으로 제 1 조인트핀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을 갖는 제 1 골격착탈부; 및 상기 제 1 골격착탈부에 대하여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과, 상기 핀브래킷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2 조인트핀과, 상기 제 2 조인트핀의 지름 방향으로 제 2 조인트핀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을 갖는 제 2 골격착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격착탈부는, 상기 제 1 서랍부,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샤프트브래킷과, 상기 샤프트브래킷 사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서랍부의 끝단에서 좌, 우 한 쌍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고 샤프트구멍을 갖는 스토퍼브래킷; 상기 샤프트브래킷 및 상기 스토퍼브래킷의 샤프트구멍에 체결되는 이동샤프트; 및 상기 이동샤프트의 중간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를 갖는 제 3 골격착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에 의하면, 붐신축장치, 가이드레일, 3개의 서랍부, 골격착탈부, 레일연결부 및 붐지지부가 하나의 세트 또는 모듈을 이루어져서, 적재함 바닥과 차대 사이에서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 및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개의 서랍부는 제 1 서랍부, 제 2 서랍부 및 제 3 서랍부로서, 각각 발판(foot hold)의 역할을 담당하는 타공판 구조의 서랍판 및 상기 서랍판의 저면에 고정된 서랍골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1 서랍부 및 제 2 서랍부는 제 1 골격착탈부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제 2 서랍부 및 제 3 서랍부는 제 2 골격착탈부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제 1 서랍부 또는 제 3 서랍부와 해당 가이드레일은 안전핀부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과 객실 사이에는 아우트리거가 구비되어 있고, 소형 트럭의 뒷바퀴를 회전 중심으로 소형 트럭 전체를 후미 하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원래 상태로 수평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붐신축장치 만으로 3개의 서랍부를 모두 슬라이딩 이동 시키거나, 3개의 서랍부 중에서 안전핀부로 고정시킨 일측 서랍부 한 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한 쌍의 서랍부만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이후 아우트리거에 의해 소형 트럭 전체를 후미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넓은 길은 물론, 좁은 길 또는 공간이 협소한 상차 또는 하차 공간에서 운반대상 또는 적재물(예: 농기계, 소형 건축 기계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연결부를 사용하여 미리 정한 수치의 레일 간격에 대응하게 가이드레일을 서로 연결시키고 있고, 또한, 가이드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의 저면에 레일받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레일연결부, 가이드레일 및 레일받침부가 모듈 또는 세트와 같은 레일조립체가 되어서 소형 트럭의 차대 위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서랍부의 서랍골격의 중간에 붐설치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붐설치공간부에 붐신축장치를 배치하고, 그렇게 배치된 붐신축장치의 아래에 U자형 붐지지부를 배치한 후, 붐지지부의 양단부를 붐설치공간부의 테두리 프레임의 양측의 고정판에 볼트 및 너트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붐신축장치의 처짐을 지지하거나, 상기 볼트 및 너트를 풀어 용이하게 붐신축장치를 탈거시킬 수 있음으로, 붐신축장치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레버 이동식 제 3 골격착탈부를 더 구비하여, 제 1 서랍부, 제 2 서랍부 및 제 3 서랍부간 연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농촌 또는 어촌, 산지 등에서 농기계 등을 안전하게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고, 점점 노령화되고 있는 현장에서 누구나 안전하고 신속하게 농기계 등의 소형 이동 장비들을 운반,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조립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서랍부들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레일조립체와 서랍부들이 결합된 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붐신축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서랍부 인출 또는 인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하차 또는 승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응용예에 따른 제 3 골격착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응용예에서 소형 트럭의 소형이란 의미는 자동차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1톤 이하의 적재중량(payload)을 갖거나, 또는 상기 1톤 이상의 적재중량에 대응한 트럭 사이즈를 갖도록 중형 또는 대형 트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소형 트럭(1)은 트럭 전방의 객실과, 트럭 후방의 적재함을 포함한다. 소형 트럭(1)은 중형 또는 대형 트럭과 달리, 트럭 사이즈가 중형 또는 대형에 비하여 작고, 트럭 중량을 고려하여 중형 또는 대형 트럭의 셀프로더 장비를 다수로 설치하기 매우 어려운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소형 트럭의 경우에는 셀프로더(100) 자체를 소형 트럭(1)에 적합하게 최적화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실현하면서 발생되는 붐신축장치(110) 처짐 문제, 가이드레일 설치 문제, 붐신축장치(110) 유지보수 문제를 해결하거나, 좁은 길 또는 공간이 협소한 상차 또는 하차 공간에서 제 1 서랍부(121),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의 전체 또는 일부만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 또는 요구 수단은 하기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갖는 본 실시예를 통해서 해소될 수 있다.
예컨대, 셀프로더(100)는 적재함 바닥(2)과 차대(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적재함 바닥(2)의 저면은 레일조립체(130)의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상면에 용접될 수 있다.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셀프로더(100)는 차대(3)를 기반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즉, 셀프로더(100)의 레일조립체(130)는 차대(3)의 하부브래킷(3a)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래킷(131)을 갖는다. 즉, 하부브래킷(3a) 및 상부브래킷(131)의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할 경우, 셀프로더(100)가 하나의 세트 또는 모듈로서 소형 트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서랍부(120)는 각각 분리 제작된 제 1 서랍부(121)와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를 통칭한다.
제 1 서랍부(121)와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32b, 132c) 각각의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133)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서랍골격(124)과, 상기 서랍골격(124)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foot hold)의 역할을 담당하는 타공판 구조의 서랍판(125)을 포함한다.
각 서랍골격(124)은 소형 트럭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중공 파이프와 같은 복수개의 골격축부와, 골격축부를 서로 연결하고 골격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복수개의 골격빔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랍부(120)에 해당하는 제 1 서랍부(121)와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조립체(130)의 가이드레일(132a ~ 132f)에 의해 구획된 일측 서랍홈(134), 중앙 서랍홈(135), 타측 서랍홈(136)에 삽입되어서,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32a ~ 132f)에서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일측 서랍홈(134), 중앙 서랍홈(135), 타측 서랍홈(136)은 제 1 서랍부(121)와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의 슬라이딩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중앙 서랍홈(135)의 경우에는 홈 아래의 부위에 도 7의 붐신축장치(110), U자형 붐지지부(129)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이를 위해서 레일연결부(170)의 중간에는 U자형 절곡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붐신축장치(110)는 서랍부(120)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 2 서랍부(122)에 붐신축장치(11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붐신축장치(110)의 타측 끝단이 차대(3)의 가로빔(4)에 연결되어 있다.
붐신축장치(110)는 일반적인 실린더와 달리, 붐실린더의 스트로크 거리의 2배정도로 제 2 서랍부(12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기존의 중형 또는 대형 셀프로더에 비해 제 2 서랍부(122)의 인출 또는 인입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증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제 1 서랍부(121)와 제 3 서랍부(123)는 하기에 설명할 제 1 골격착탈부(140) 또는 제 2 골격착탈부(150)를 통해서 제 2 서랍부(122)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상태에 대응하여 제 2 서랍부(12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 골격착탈부(140) 및 제 2 골격착탈부(150)는 서랍부(120)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골격착탈부를 지칭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일조립체(130)는 차대(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대(3) 위에 올려지고, 상부브래킷(131)이 축부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받침부(137)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형 트럭(1)의 차대(3)는 2열 프레임이므로, 2열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게 레일받침부(137)도 2개, 즉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일조립체(130)는 각각의 레일받침부(137)의 상면에 용접되고, 소형 트럭(1)의 폭방향을 따라서 일측 서랍홈(134), 중앙 서랍홈(135), 타측 서랍홈(136)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32a ~ 132f)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가이드레일(132a ~ 132f)은 한글 ㄷ자 단면 형상의 채널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32a ~ 132f) 중에서 양측 외곽의 가이드레일(132a,132f)은 중간에 배치된 가이드레일(132b ~ 132e)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중간에 배치된 가이드레일(132b ~ 132e)의 길이는 제 2 서랍부(122)의 서랍골격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길이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제 1 골격착탈부(140) 및 제 2 골격착탈부(15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레일조립체(130)의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133)는 도 5 또는 도 6에 보이듯이,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내표면(예: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해당 서랍부(121,122)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솔리드윤활부재일 수 있다.
또한, 레일조립체(130)는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끝단의 저면에 고정되고, 중간에 U자형 절곡부(171)를 형성하고 있는 레일연결부(170)를 포함한다.
레일연결부(170)는 두께 9t 정도의 철재 부재로서, 서랍홈(134), 중앙 서랍홈(135), 타측 서랍홈(136)의 간격에 대응하게 해당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끝단을 용접시키기 위한 표식(미 도시)이 마련되어서, 가이드레일(132a ~ 132f)의 설치 또는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정도 품질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레일연결부(170)는 소형 트럭의 리어램프(5)를 설치할 수 있는 램프거치대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레일조립체(130)는 가이드레일(132a ~ 132f) 중에서 양측 외곽의 가이드레일(132a,132f)의 끝단의 저부에 구비되고, 상향으로 안전핀을 출몰시키는 안전핀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32a,132f)의 끝단의 저부에는 안전핀의 출몰을 위한 핀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안전핀부(180)는 핀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의 탄성력과, 스프링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회전식 레버 장치 및 회전식 레버 장치에 연결된 안전핀을 구비한다. 이러한 안전핀부(180)는 회전식 레버 장치를 하향으로 잡아 당기고, 이후 회전시킬 경우, 회전식 레버 장치 및 회전핀이 하향 위치에서 임시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원래의 상향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는 작동 구조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서랍부들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레일조립체와 서랍부들이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서랍부(120)는 가이드레일(132a,132b)의 일측 서랍홈(134)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서랍부(121)와, 가이드레일(132c,132d)의 중앙 서랍홈(135)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서랍부(122)와, 가이드레일(132e,132f)의 타측 서랍홈(136)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서랍부(123)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서랍부(121) 및 상기 제 3 서랍부(123)는 안전핀부(180)의 안전핀을 삽입시키도록 제 1 서랍부(121) 및 상기 제 3 서랍부(123)의 서랍골격의 저부에 핀구멍(12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안전핀부(180)의 안전핀이 핀구멍(126)에 체결될 때에는 제 1 서랍부(121) 및 상기 제 3 서랍부(123)는 가이드레일(132a,132b,132e,132f)에서 임시 구속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보이듯이, 제 2 서랍부(122)는 제 2 서랍부(122)의 서랍골격의 중간에 형성되고, 붐신축장치(110)가 배치되는 붐설치공간부(127)를 갖는다.
또한, 제 2 서랍부(122)는 붐신축장치(110)의 아래에서 상기 붐설치공간부(127)를 따라 이격 배열되고, 상기 붐설치공간부(127)의 테두리 프레임의 양측의 고정판(128)에 볼트 및 너트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 절곡부(17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U자형 붐지지부(129)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판(128)은 상기 붐설치공간부(127)의 테두리 프레임 및 서랍빔의 저면에 용접되어 있다. 고정판(128)은 서랍빔의 폭보다 넓은 평철로서, 서랍빔을 기준 양측으로 편심되게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구멍 형성 위치 및 평철 형상에 의해, 붐설치공간부(127)의 테두리 프레임 및 서랍빔에 구멍을 내지 않게 되어 제 2 서랍부(122)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시키고, 또한, 작업자가 제 2 서랍부(122)의 고정판(128)에 대하여 U자형 붐지지부(129)를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붐지지부(12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붐지지부(129)는 붐신축장치(110)의 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 및 지지함으로써, 붐신축장치(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물론, 붐신축장치(110)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붐지지부(129)의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붐신축장치(110)를 제 2 서랍부(12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붐신축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붐신축장치(110)는 도 9의 좌측으로 인입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와, 도 9의 우측으로 인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붐신축장치(110)는 차대의 가로빔(4)에 연결되어 있는 중공 직사각 케이스 형상의 제 1 붐(111)과, 상기 제 1 붐(111)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제 2 붐(112)과, 상기 제 2 붐(112)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서랍부 중 제 2 서랍부의 붐설치공간부의 피봇체결부(127)(도 3 참조)에 연결된 제 3 붐(113)을 포함한다.
또한, 붐신축장치(110)는 가로빔(4)에 로드 끝단을 연결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유압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붐(112)에 연결된 실린더케이스를 갖는 붐실린더(114)를 포함한다.
붐실린더(114)는 소형 트럭에 구비되는 파워팩 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파워팩 장치는 통상의 차량용 장치일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파워팩 장치는 유압제어기, 유압회로를 경유하여 아우트리거(9)(도 1 또는 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유압회로에는 유압 부하가 미리 설정된 조건값보다 크게 증가되는 상황, 예컨대, 아우트리거(9)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도중, 인출된 서랍부의 끝단이 지면에 접촉할 때, 상기 크게 증가되는 상황에 유압회로의 릴리프 밸브가 작동하여 유압을 우회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런 경우, 이상 아우트리거(9)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지 않고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파워팩 장치의 유압회로는 지면과 접촉한 서랍부에 과도한 하중이 부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더 가지고 있다.
또한, 붐신축장치(110)는 가로빔(4)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일측끝단(117a)으로부터 상기 제 1 붐(111), 상기 제 2 붐(112) 및 상기 제 3 붐(113)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케이스의 상기 케이스 끝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도르래(115)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3 붐(113)의 내부의 이동체결단(116)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타측끝단(117b)을 갖는 한 쌍의 제 1 와이어(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와이어 일측끝단(117a)은 가로빔(4)에 연결되도록 나사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 타측끝단(117b)은 이동체결단(116)에 연결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붐신축장치(110)는 제 3 붐(113)의 내부의 이동체결단(116)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일측끝단(119a)으로부터 상기 제 2 붐(112)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붐(112)의 내표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도르래(118)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1 붐(111)의 내표면의 고정체결단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타측끝단을 갖는 한 쌍의 제 2 와이어(119)를 포함한다.
붐신축장치(110)는 비교적 작은 스트로크 거리의 붐실린더(114)를 사용하면서, 제 3 붐(113)의 이동 거리를 상기 스트로크 거리에 비해 월등(예: 2배)하게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서랍부들을 소형 트럭의 선미 뒤쪽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골격착탈부는 제 1 골격착탈부(140)와 제 2 골격착탈부(150) 혹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 3 골격착탈부(160)를 지칭할 수 있다.
제 1 골격착탈부(140)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랍부(121) 및 제 2 서랍부(122)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141)과, 상기 핀브래킷(141)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1 조인트핀(142)과, 상기 제 1 조인트핀(142)의 지름 방향으로 제 1 조인트핀(142)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143)을 갖는다.
핀브래킷(141)은 제 1 서랍부(121) 및 제 2 서랍부(122)의 끝단의 서랍골격에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 후, 서랍골격의 끝단에 용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인트핀(142)이 가이드레일(132b, 132c)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골격착탈부(150)도 배치 방향을 제외하고,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제 2 골격착탈부(150)는 제 1 골격착탈부(14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서랍부(122) 및 상기 제 3 서랍부(123)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151)과, 상기 핀브래킷(151)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2 조인트핀(152)과, 상기 제 2 조인트핀(152)의 지름 방향으로 제 2 조인트핀(152)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153)을 갖는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응용예에 따른 제 3 골격착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제 3 골격착탈부(160)는 제 1 서랍부(121),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샤프트구멍을 갖는 복수개의 샤프트브래킷(161)과, 샤프트브래킷(161) 사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 2 서랍부(122)의 끝단에서 좌, 우 한 쌍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고 샤프트구멍을 갖는 스토퍼브래킷(162)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골격착탈부(160)는 샤프트브래킷(161) 및 스토퍼브래킷(162)의 샤프트구멍에 체결되는 이동샤프트(163)와, 상기 이동샤프트(163)의 중간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164)를 갖는다.
만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4)가 스토퍼브래킷(162)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다.
안전핀부(180, 180a)는 릴리스 상태, 예컨대 안전핀부(180,180a)의 안전핀이 핀구멍(126)에서 빠져 있는 경우의 상태이거나, 혹은 록킹 상태, 즉 안전핀부(180,180a)의 안전핀이 핀구멍(126)에 끼워져 있는 경우의 상태일 수 있다.
만일,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안전핀부(180, 180a)가 모두 릴리스 상태이고, 이때, 제 3 골격착탈부(160)의 레버(164)가 중간 상태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샤프트(163)가 샤프트브래킷(161) 및 스토퍼브래킷(162)의 샤프트구멍에 끼워져서, 모든 서랍부(121,122,123)를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붐신축장치(110)의 신장 작동으로 인하여, 모든 서랍부(121,122,123)가 동시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도움을 받아서, 도 14 또는 도 15와 같이, 레버(164)가 스토퍼브래킷(162) 중 어느 하나 쪽으로 밀착되듯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14는 레버(164) 및 이동샤프트(163)가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이고, 도 15는 레버(164) 및 이동샤프트(163)가 우측으로 이동된 경우이다.
특히, 레버(164)의 이동 방향쪽의 안전핀부(180,180a)가 릴리스 상태일 수 있다.
2. 또한, 이동샤프트(163)는 모든 제 1, 제 2 서랍부(121,122)를 서로 연결시키는 대신 제 3 서랍부(123)에서 분리된 상태일 수 있고(도 14 참조), 반대로 제 2, 제 3 서랍부(122,123)를 서로 연결시키는 대신 제 1 서랍부(121)에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도 15참조). 여기서, 서로 연결시킨다는 의미는 이동샤프트(163)가 해당 샤프트브래킷(161)의 샤프트구멍에 삽입되어 있다는 뜻이고, 분리된 상태의 의미는 이동샤프트(163)가 해당 샤프트브래킷(161)의 샤프트구멍에서 빠져있다는 뜻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붐신축장치(110)의 신장 작동으로 인하여, 모든 서랍부(121,122,123) 중 안전핀부(180,180a)로 고정시킨 일측 서랍부 한 개를 제외하고 타측 한 쌍의 서랍부만을 슬라이딩 이동, 즉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이렇게 선택적으로 서랍부(121,122,123)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길 또는 공간이 협소한 상차 또는 하차 공간에서 운반대상 또는 적재물(예: 농기계, 소형 건축 기계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서랍부 인출 또는 인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의 하차 또는 승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셀프로더(100)에서 제 1 서랍부(121), 제 2 서랍부(122) 및 제 3 서랍부(123)는 앞서 언급한 제 1 골격착탈부(140) 또는 제 2 골격착탈부(1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서랍부(120)가 될 수 있다.
또한, 소형 트럭(1)의 뒷바퀴는 트럭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켜서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운전자는 셀프로더(100)의 파워팩 장치의 유압제어기를 조작하고, 그 결과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붐신축장치(110)가 신장 작동이 이루어진다.
붐신축장치(110)의 신장 작동으로 인하여, 서랍부(120)는 소형 트럭(1)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나온다. 이때, 서랍부(120)에 해당하는 제 1 서랍부, 제 2 서랍부 및 제 3 서랍부는 제 1 골격착탈부(140) 또는 제 2 골격착탈부(150)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만일 제 1 골격착탈부(140) 또는 제 2 골격착탈부(150) 중 어느 하나로 해당 서랍부의 서랍골격을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로 해당 서랍부의 서랍골격을 분리시킬 경우, 한 쌍의 서랍부만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나머지 서랍부는 붐신축장치(110)의 신장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붐신축장치(110) 및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서랍부(120)가 소형 트럭(1)의 적재함 거의 끝까지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서랍부(120)가 거의 적재함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또한, 운전자는 셀프로더(100)의 파워팩 장치의 유압제어기를 통해서 아우트리거(9)를 신장 작동시킨다.
이런 경우, 소형 트럭(1) 전체가 뒷바퀴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또는 틸트되고, 그 결과 도 12에 보이듯이, 서랍부(120)가 후미 하향으로 완만하게 경사면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완만한 경사면이란 소형 트럭(1)이 지면을 기준으로 각도 12도 정도로 기울어져 있는 서랍부(12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재함에 있던 운반대상 또는 적재물(10)(예: 농기계, 소형 건축 기계 등)이 서랍부(120)를 타고 안전하게 하차될 수 있다.
물론, 적재물(10)의 하차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운전자가 아우트리거(9)를 축소 작동시키고, 또한, 붐신축장치(110)를 축소 작동시킴으로써, 서랍부(120)를 원상태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서랍부(120)의 끝단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장치를 통해 결합되는 삼각형 단면의 보조발판(190)이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발판(190)을 통해서 적재물(10)의 하차 또는 승차가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 소형 트럭 100 : 셀프로더
110 : 붐신축장치 120 : 서랍부
130 : 레일조립체 140 : 제 1 골격착탈부
150 : 제 2 골격착탈부 160 : 제 3 골격착탈부
170 : 레일연결부 180,180a : 안전핀부

Claims (8)

  1. 트럭의 적재함 바닥과 차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셀프로더에 있어서,
    상기 차대의 하부브래킷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래킷을 갖는 레일조립체;
    상기 레일조립체의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서랍부;
    상기 서랍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차대의 가로빔에 연결되어 있는 붐신축장치; 및
    상기 서랍부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골격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조립체는,
    상기 차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대 위에 올려지고, 상기 상부브래킷이 축부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받침부;
    상기 레일받침부의 상면에 용접되고, 상기 소형 트럭의 폭방향을 따라서 일측 서랍홈, 중앙 서랍홈, 타측 서랍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서랍부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의 저면에 고정되고, 중간에 U자형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는 레일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서 양측 외곽의 가이드레일의 끝단의 저부에 구비되고, 상향으로 안전핀을 출몰시키는 안전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서랍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서랍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 서랍홈에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서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랍부와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 패드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하는 서랍골격과, 상기 서랍골격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foot hold)의 역할을 담당하는 타공판 구조의 서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는,
    상기 안전핀을 삽입시키도록 상기 서랍골격의 저부에 핀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랍부는,
    상기 제 2 서랍부의 서랍골격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붐신축장치가 배치되는 붐설치공간부; 및
    상기 붐신축장치의 아래에서 상기 붐설치공간부를 따라 이격 배열되고, 상기 붐설치공간부의 테두리 프레임의 양측의 고정판에 볼트 및 너트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U자형 절곡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U자형 붐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신축장치는,
    상기 차대의 가로빔에 연결되어 있는 중공 직사각 케이스 형상의 제 1 붐;
    상기 제 1 붐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제 2 붐;
    상기 제 2 붐의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서랍부 중 제 2 서랍부의 붐설치공간부의 피봇체결부에 연결된 제 3 붐;
    상기 가로빔에 로드 끝단을 연결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유압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붐에 연결된 실린더케이스를 갖는 붐실린더;
    상기 가로빔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일측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붐, 상기 제 2 붐 및 상기 제 3 붐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케이스의 상기 케이스 끝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도르래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3 붐의 내부의 이동체결단에 연결된 제 1 와이어 타측끝단을 갖는 한 쌍의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3 붐의 내부의 이동체결단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일측끝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붐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붐의 내표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도르래에서 회유된 후, 상기 제 1 붐의 내표면의 고정체결단에 연결된 제 2 와이어 타측끝단을 갖는 한 쌍의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착탈부는,
    상기 제 1 서랍부 및 상기 제 2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과, 상기 핀브래킷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1 조인트핀과, 상기 제 1 조인트핀의 지름 방향으로 제 1 조인트핀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을 갖는 제 1 골격착탈부; 및
    상기 제 1 골격착탈부에 대하여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브래킷과, 상기 핀브래킷의 핀구멍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반대쪽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제 2 조인트핀과, 상기 제 2 조인트핀의 지름 방향으로 제 2 조인트핀의 지름관통구멍에 삽입된 분리방지핀을 갖는 제 2 골격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착탈부는,
    상기 제 1 서랍부, 상기 제 2 서랍부 및 상기 제 3 서랍부의 끝단에서 각각 돌출되고 서로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면되어 있거나 끝단 주변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샤프트브래킷과, 상기 샤프트브래킷 사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서랍부의 끝단에서 좌, 우 한 쌍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고 샤프트구멍을 갖는 스토퍼브래킷;
    상기 샤프트브래킷 및 상기 스토퍼브래킷의 샤프트구멍에 체결되는 이동샤프트; 및
    상기 이동샤프트의 중간에서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를 갖는 제 3 골격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KR1020140174903A 2014-12-08 2014-12-08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KR10163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03A KR101633267B1 (ko) 2014-12-08 2014-12-08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PCT/KR2014/012304 WO2016093408A1 (ko) 2014-12-08 2014-12-15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03A KR101633267B1 (ko) 2014-12-08 2014-12-08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12A true KR20160069212A (ko) 2016-06-16
KR101633267B1 KR101633267B1 (ko) 2016-06-24

Family

ID=561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03A KR101633267B1 (ko) 2014-12-08 2014-12-08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3267B1 (ko)
WO (1) WO20160934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78B1 (ko) * 2018-06-21 2019-05-02 최태근 차량적재용 슬라이딩 데크
KR20230045479A (ko) 2021-09-28 2023-04-04 손영철 셀프로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443A (ja) * 1990-10-18 1992-05-27 Fuji Heavy Ind Ltd 車両運搬車の歩み板装置
KR200226127Y1 (ko) 2000-11-21 2001-06-01 주식회사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KR100918368B1 (ko) 2009-01-19 2009-09-22 방성출 크레인 셀프로더 트럭
KR20100092133A (ko) * 2009-02-12 2010-08-20 김태호 트럭의 컨베이어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552A (ja) * 1993-10-20 1995-05-09 Bunichi Yokoyama 重量物運搬用トラック
JPH10217828A (ja) * 1997-02-05 1998-08-18 Furukawa Co Ltd 伸縮ステップを備えたトラック
KR20120136032A (ko) * 2011-06-08 2012-12-18 선진정공 주식회사 카 캐리어 적재대의 로딩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443A (ja) * 1990-10-18 1992-05-27 Fuji Heavy Ind Ltd 車両運搬車の歩み板装置
KR200226127Y1 (ko) 2000-11-21 2001-06-01 주식회사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KR100918368B1 (ko) 2009-01-19 2009-09-22 방성출 크레인 셀프로더 트럭
KR20100092133A (ko) * 2009-02-12 2010-08-20 김태호 트럭의 컨베이어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78B1 (ko) * 2018-06-21 2019-05-02 최태근 차량적재용 슬라이딩 데크
KR20230045479A (ko) 2021-09-28 2023-04-04 손영철 셀프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267B1 (ko) 2016-06-24
WO2016093408A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787B2 (en) Counterweight attachment and removal system and machine using same
CN101708809B (zh) 用于起重机的卷筒机架系统
CN102756763B (zh) 一种大型运输车并车运输系统及方法
EP2879983B1 (en) Traveler roller
CN102166936B (zh) 自动升降车辆底盘装置
CN202574372U (zh) 一种副车架和具有该副车架的随车起重运输车
US20120189415A1 (en) UTILITY LIFT HAULER CONFIGURED TO TRANSPORT MOTORCYCLES, ATVs AND THE LIKE
KR101633267B1 (ko) 소형 트럭용 셀프로더
US8740190B2 (en) Vehicle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121960A (ko) 철도차량의 차체 용접용 회전장치
EP3184405B1 (en) Low bed semi-trailer
CN104891386A (zh) 一种无动力锁止顶点的肘关节臂举升装置
CN102464034A (zh) 铰接车架可升降式运输车
CN108454677B (zh) 一种矿用油桶专用运输车
CN201895698U (zh) 铰接车架可升降式运输车
WO2003022725A1 (en) Lifting and transfer device for heavy objects
AU2014256368B2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CN105253816A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KR101266028B1 (ko) 횡방향 구동 타입의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KR101643004B1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US10011465B2 (en) Mobile crane, support device, and assembly process for a support device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KR102015420B1 (ko) 소형 차량용 셀프로더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GB2371788A (en) A bogie for supporting a railway vehic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