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08A -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 Google Patents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08A
KR20160069208A KR1020140174885A KR20140174885A KR20160069208A KR 20160069208 A KR20160069208 A KR 20160069208A KR 1020140174885 A KR1020140174885 A KR 1020140174885A KR 20140174885 A KR20140174885 A KR 20140174885A KR 20160069208 A KR20160069208 A KR 2016006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
extract
latilobum
jujube
chrysanthemum zawadsk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4017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208A/ko
Publication of KR2016006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은 구절초와 대추를 준비하는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 상기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시간 가열하여 구절초 및 대추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 엿기름으로부터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을 분리하여 엿기름물을 제조하는 엿기름물 제조단계; 상기 구절초 추출액과 찹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밥 짓는 단계;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에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발효된 혼합물에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절초 식혜는 구절초의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한 기능성 식혜를 제공하고 전통적인 맛과 함께 건강에도 좋으며, 구절초의 쓴맛을 엿기름의 단맛으로 순화하여 누구나가 쉽게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METHOD FOR MANUFACTURING CHRYSANTHEMUM SIKHYE AND CHRYSANTHEMUM SIKHYE MANUFACTURED BY THEREOF}
본 발명은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절초를 이용하여 우리의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함으로써, 구절초의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구절초의 쓴맛을 엿기름의 단맛으로 순화하여 누구나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약식동원의 개념에서 음식을 섭취해 왔고, 근래에 들어 한약재를 포함한 천연물을 활용하여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들로 약선음식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구절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며 심경, 비경, 위경으로 들어간다. 주요 효능은 단전을 따뜻하게 하고 몸을 덥게 하며 소화기능을 촉진하므로 위 냉증, 소화불량, 생리불순이나 불임증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폐렴, 기관지염, 기침감기, 인두염 및 방광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두통이나 신경통치료에도 이용된다. 고혈압 중에서도 유전, 체질에 의한 본태성 고혈압 증세일 때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구절초 추출물이 비만세포에서 나오는 알레르기 물질의 분비를 막아주는 근본적인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숙취해소는 물론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기능성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민간에서는 구절초 풀 전체를 고아서 물엿처럼 만들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으면 밥맛이 없을 때 식욕을 북돋운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절초는 향과 쓴맛이 강해 약선음식에 흔하게 쓰지 않고 있으나 일부 생선류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그 향을 이용하기 위해 식품조리에 사용한 예도 있으며 풀 전체 뿐 만 아니라 꽃으로 약차나 약술을 만들어 그 향을 즐길 수 있어 국내에서 음료나 차제조법으로 특허 출원이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경제발전에 따른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건강을 위한 식품 및 음료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우리의 산야에서 자라는 토속 식물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을 응용한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의 들과 산에는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이들 식물들 중 식용으로 할 수 있는 식물들을 식품 또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간장, 고추장, 된장 등 우리 고유의 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식품들이 있었으나, 전통적인 발효음료는 아직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지 못하였고, 고두밥에 엿기름물을 붓고 삭혀서 제조하는 식혜 정도가 고유한 음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우리의 고유한 음료가 제대로 개발되지 않아서 탄산음료나 이온음료 및 유제품 등에 밀려 그 자리를 내주었고, 최근에는 건강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고유 식물의 잎이나 뿌리 또는 꽃, 열매 등을 이용한 다양한 음료가 개발되고 있긴 하나, 대부분 엑기스를 추출한 혼합추출음료 또는 차음료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식혜에 구절초의 향미를 가미하고자 하였고, 구절초의 쓴맛과 강한 향을 조절하여 기호성 높은 구절초 식혜의 최적 배합비율을 찾아 구절초의 약성과 그윽한 향을 살린 구절초 식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구절초 식혜를 제조할 경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63175호(2012년 6월 29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75313호(2014년 6월 19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426473호(2014년 7월 29일 등록)
본 발명은 구절초의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한 기능성 식혜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맛과 함께 건강에도 좋은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절초의 쓴맛을 엿기름의 단맛으로 순화하여 누구나가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은 종래의 식혜에 구절초의 향미를 가미하고, 구절초의 쓴맛과 강한 향을 조절하여 기호성 높은 구절초 식혜의 최적 배합비율을 찾아 구절초의 약성과 그윽한 향을 살린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은 구절초와 대추를 준비하는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 상기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시간 가열하여 구절초 및 대추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 엿기름으로부터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을 분리하여 엿기름물을 제조하는 엿기름물 제조단계; 상기 구절초 추출액과 찹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밥 짓는 단계;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에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발효된 혼합물에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는 건조된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한 용량의 용기에 투입한 후 90~110℃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엿기름물 제조단계는, 엿기름 준비단계; 상기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엿기름을 불린 후,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제조하는 엿기름 추출액 제조단계; 및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일정시간 정체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을 분리하는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는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20~60분 동안 용기에 넣고 정체시킨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엿기름물 상층액에 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는 단계는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7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절초 식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은 말린 구절초 20g과 마른 대추 100g을 세척한 후, 세척된 구절초 및 마른 대추를 물 2000g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100℃의 온도에서 60분간 가열하고, 60분간 구절초 및 대추를 가열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구절초 및 대추와 추출액을 분리함으로써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며, 엿기름을 불리기 위하여 엿기름 400g과 물 2000g을 용기에 넣어 혼합한 후, 30분간 정체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30분간 용기에 넣어놓고, 엿기름 추출액에서 침전물이 가라앉아 분리가 된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만을 분리하며, 찹쌀 150g과 구절초 추출액 500g을 이용하여 찹쌀밥을 짓고, 전기 밥솥에 찹쌀밥 150g, 구절초 추출액 1000g, 엿기름물 상층액 2000g, 설탕 350g이 포함된 혼합물을 넣은 후, 7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발효하고, 상기 혼합물에 생강가루 5g을 넣고 95℃의 온도에서 7분간 끓여서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는 구절초의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한 기능성 식혜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맛과 함께 현대인들의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는 구절초의 쓴맛을 엿기름의 단맛으로 순화하여 누구나가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는 종래의 식혜에 구절초의 향미를 가미하고, 구절초의 쓴맛과 강한 향을 조절하여 기호성 높은 구절초 식혜의 최적 배합비율을 찾아 구절초의 약성과 그윽한 향을 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절초 식혜는 구절초를 이용하여 우리의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함으로써, 구절초의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함과 동시에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구절초의 쓴맛을 엿기름의 단맛으로 순화하여 누구나가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은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S100),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S200), 엿기름물 제조단계(S300), 밥 짓는 단계(S400), 엿기름물 상층액에 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는 단계(S500) 및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S600)을 포함한다.
1.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S100)
상기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구절초와 대추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구절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며 심경, 비경, 위경으로 들어간다. 주요 효능은 단전을 따뜻하게 하고 몸을 덥게 하며 소화기능을 촉진하므로 위 냉증, 소화불량, 생리불순이나 불임증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폐렴, 기관지염, 기침감기, 인두염 및 방광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두통이나 신경통치료에도 이용된다. 고혈압 중에서도 유전, 체질에 의한 본태성 고혈압 증세일 때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뛰어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절초는 8월에서 9월에 사이에 수확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수확한 구절초의 표면에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끼일 수 있어 이를 바람으로 떨어내며,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과 표면에 있는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달정도 그늘에 자연건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절초의 건조는 자연건조 이외에 건조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기계적인 건조는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1차 건조하고, 상기 열풍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구절초를 원적외선 건조기에서 2차 건조할 수 있다. 이때,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큰 원적외선이 건조된 구절초의 표면과 내부에 방사되어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독성을 제거하며, 건조된 구절초에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등의 작용을 하도록 하여 구절초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의 변질을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대추에는 아미노산은 라이신(lysine),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글라이신(glycine),아스파라진(asparagine),글루타민산(glutamicacid),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로이신(leucine), 프롤린(prolin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단맛에 따뜻한 성질로 심장을 도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잠을 잘 오게 하며. 또한 비, 위장을 건강하게 하며 배속이 차서 아프고 대변이 묽으며 설사할 때도 좋다. 한약에 대추를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기와 혈을 보하는 효능이 크고 여러 가지 약물을 조화시켜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추는 건조된 대추를 사용할 수 있다.
2.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S200)
상기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S200)는 상기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시간 가열하여 구절초 및 대추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S200)는 건조된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한 용량의 용기에 투입한 후 90~110℃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거름망을 이용하여 구절초 및 대추가 투입된 용기로부터 구절초 및 대추와 추출액을 분리함으로써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3. 엿기름물 제조단계(S300)
상기 엿기름물 제조단계(S300)는 엿기름으로부터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을 분리하여 엿기름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엿기름물 제조단계(S300)는 ① 엿기름 준비단계, ② 엿기름 추출액 제조단계, 및 ③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엿기름 준비단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엿기름을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 엿기름(맥아)은 엿, 조청의 제조에 가장 중요한 원료중의 하나이다. 엿기름은 보리를 발아시킨 것으로 엿, 식혜, 알코올, 고추장 등을 만들 때 전분을 당화시키는 주원료로 쓰인다. 엿기름에는 전분 분해효소가 특히 많은데, 이를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엿기름 추출액 제조단계는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엿기름을 불린 후,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엿기름 추출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압착추출법 또는 회전추출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압착추출법은 불려진 엿기름을 기계적으로 압착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추출법은 불려진 엿기름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회전시켜서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엿기름 추출액 제조단계는 20~60분 동안 상기 엿기름을 물에 불린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엿기름과 추출액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불려진 엿기름에 남아있는 엿기름 추출액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불려진 엿기름을 압착하여 엿기름 추출액을 더욱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는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일정시간 정체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20~60분 동안 용기에 넣고 정체시키면, 엿기름 침전물이 하부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상층액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4. 밥 짓는 단계(S400)
상기 밥 짓는 단계(S400)는 구절초 추출액과 찹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단계인데, 상기 밥 짓는 단계(S400)에서 밥을 짓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찹쌀과 구절초 추출액을 혼합하여 전기 밥솥에서 밥을 지을 수 있다.
5. 엿기름물 상층액에 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는 단계(S500)
상기 엿기름물 상층액에 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는 단계(S500)는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에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발효는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일정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7시간 동안 행할 수 있으며, 75℃에서 4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탕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호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6.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S600)
상기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S600)는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함유하여 발효된 혼합물에 향미를 가하기 위하여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30분 가열함으로써 구절초 식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말린 구절초 20g과, 도 3과 같이 마른 대추 100g을 흐르는 물에 깨끗히 세척한 후, 도 4와 같이 세척된 구절초 및 마른 대추를 물 2000g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100℃의 온도에서 60분간 가열한다.
다음으로, 60분간 구절초 및 마른 대추를 가열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구절초 및 대추와 추출액을 분리함으로써, 도 5와 같은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한다.
그 다음으로, 엿기름을 불리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엿기름 400g과 물 2000g을 용기에 넣어 혼합한 후, 30분간 정체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한다. 이때, 불려진 엿기름을 도 7과 같이 압착함으로써, 도 8과 같은 엿기름 추출액을 얻는다.
이어서, 엿기름 추출액을 30분간 용기에 넣어놓고, 엿기름 추출액에서 침전물이 가라앉아 분리가 된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만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찹쌀 150g과 구절초 추출액 500g을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찹쌀밥을 짓고, 전기 밥솥에 찹쌀밥 150g, 구절초 추출액 1000g, 엿기름물 상층액 2000g, 설탕 350g이 포함된 혼합물을 넣은 후, 7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발효한다.
그 다음으로,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합물에 생강가루 5g을 넣고 95℃의 온도에서 7분간 끓임으로써,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 식혜를 완성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구절초와 대추를 준비하는 구절초 및 대추 준비단계;
    상기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시간 가열하여 구절초 및 대추의 추출액을 제조하는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
    엿기름으로부터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을 분리하여 엿기름물을 제조하는 엿기름물 제조단계;
    상기 구절초 추출액과 찹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밥 짓는 단계;
    분리된 엿기름물 상층액에 찹쌀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발효된 혼합물에 생강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절초 추출액 제조단계는 건조된 구절초 및 대추를 일정한 용량의 용기에 투입한 후 90~110℃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엿기름물 제조단계는,
    엿기름 준비단계;
    상기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엿기름을 불린 후,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제조하는 엿기름 추출액 제조단계; 및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일정시간 정체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을 분리하는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으로부터 상층액 분리단계는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20~60분 동안 용기에 넣고 정체시킨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엿기름물 상층액에 밥, 구절초 추출액 및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는 단계는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7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 식혜.
  4. 말린 구절초 20g과 마른 대추 100g을 세척한 후, 세척된 구절초 및 마른 대추를 물 2000g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100℃의 온도에서 60분간 가열하고,
    60분간 구절초 및 대추를 가열한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구절초 및 대추와 추출액을 분리함으로써 구절초 추출액을 제조하며,
    엿기름을 불리기 위하여 엿기름 400g과 물 2000g을 용기에 넣어 혼합한 후, 30분간 정체시켜 엿기름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엿기름 추출액을 30분간 용기에 넣어놓고, 엿기름 추출액에서 침전물이 가라앉아 분리가 된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액만을 분리하며,
    찹쌀 150g과 구절초 추출액 500g을 이용하여 찹쌀밥을 짓고, 전기 밥솥에 찹쌀밥 150g, 구절초 추출액 1000g, 엿기름물 상층액 2000g, 설탕 350g이 포함된 혼합물을 넣은 후, 7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발효하고,
    상기 혼합물에 생강가루 5g을 넣고 95℃의 온도에서 7분간 끓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KR1020140174885A 2014-12-08 2014-12-08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KR20160069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885A KR20160069208A (ko) 2014-12-08 2014-12-08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885A KR20160069208A (ko) 2014-12-08 2014-12-08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08A true KR20160069208A (ko) 2016-06-16

Family

ID=5635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885A KR20160069208A (ko) 2014-12-08 2014-12-08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59A (ko) * 2019-11-12 2021-05-21 이경자 팥 식혜의 제조방법
CN115336692A (zh) * 2022-08-24 2022-11-15 陈俊利 一种熬夜羹保健饮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75B1 (ko) 2009-10-20 2012-07-06 송시덕 무가당 천마 약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가당 천마 약초 식혜
KR20140075313A (ko) 2012-12-11 2014-06-19 올리고마을영농조합법인 단호박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 식혜
KR101426473B1 (ko) 2012-12-10 2014-08-05 주식회사 아라심수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식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75B1 (ko) 2009-10-20 2012-07-06 송시덕 무가당 천마 약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무가당 천마 약초 식혜
KR101426473B1 (ko) 2012-12-10 2014-08-05 주식회사 아라심수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식혜
KR20140075313A (ko) 2012-12-11 2014-06-19 올리고마을영농조합법인 단호박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 식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59A (ko) * 2019-11-12 2021-05-21 이경자 팥 식혜의 제조방법
CN115336692A (zh) * 2022-08-24 2022-11-15 陈俊利 一种熬夜羹保健饮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0116B (zh) 一种保健茶酒的制作方法
CN102048167B (zh) 一种抗辐射功能性饮料的添加剂以及含有该添加剂的麦绿素奶酒、茶饮料
CN105861226A (zh) 一种石斛保健酒的酿造方法
CN104017690B (zh) 一种天麻娘酒的制备方法
CN104962431A (zh) 一种八月瓜乌饭子混合型果酒
CN103976115B (zh) 一种竹香蓝莓蒸糕及其制备方法
CN104774700A (zh) 一种金樱子精酿啤酒及其制备方法
KR20170006725A (ko) 모링가 된장과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6001A (ko) 보이차를 이용한 장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9208A (ko) 구절초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절초 식혜
CN106136297A (zh) 一种槐花酒香型烟丝
CN106987506A (zh) 多花黄精配制酒及其制备方法
CN105725017A (zh) 一种开胃茶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599579A (zh) 一种清香米糊的制备方法
CN105166851A (zh) 一种甘草橄榄菜酱
KR20130012447A (ko) 동충하초 버섯 식혜 및 그 제조방법
CN105519921A (zh) 一种黑豆酱油制作方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CN105942368A (zh) 一种山楂果酱
CN105935137A (zh) 一种苹果果酱
CN105925456A (zh) 一种荷花茶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942363A (zh) 一种番茄果酱
CN105132239A (zh) 一种消食焦香山楂酒
CN101606682A (zh) 绿茶酱油的酿造方法
KR101833345B1 (ko)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