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345B1 -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45B1
KR101833345B1 KR1020160144971A KR20160144971A KR101833345B1 KR 101833345 B1 KR101833345 B1 KR 101833345B1 KR 1020160144971 A KR1020160144971 A KR 1020160144971A KR 20160144971 A KR20160144971 A KR 20160144971A KR 101833345 B1 KR101833345 B1 KR 10183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malt
tea
powd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회
Original Assignee
유인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회 filed Critical 유인회
Priority to KR102016014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강과 치자를 엿기름을 이용한 발효법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여, 맛과 향이 좋고 음용이 편리한 생강 발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맛이 충분하면서도 매운맛이 없고 열량이 높지 않은 건강기능성이 증진된 생강차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생강과 치자의 유용성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ginger tea}
본 발명은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강과 치자를 엿기름을 이용한 발효법을 이용하여 생강 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Zingiber officitiale Roscoe)은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약리 성분뿐만 아니라 향을 가지고 있다. 생강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근경을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며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를 지닌 향신료이다. 생강의 풍미 성분은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인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으로 분류된다. 정유 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oleoresin)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 또한, 이들 분획(fraction)이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면역능력을 증진시키며 만병의 원인이 되는 혈액의 오염을 정화시키는 효능이 뛰어나다. 생강의 핵심적인 효능은 백혈구의 수를 늘려 혈액의 활동을 촉진하고 면역력을 높이며, 위장 내벽의 혈액 순환을 도와 위장 활동을 촉진시켜 소화 흡수력을 높인다. 생강의 진저롤 성분은 담즙을 촉진시켜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없애며, 체온 상승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를 예방하고 발한, 배뇨, 배변 작용을 촉진시켜 체내의 음식물(식독)이나 혈액(어혈, 오염된 피), 체액(수독)을 정화시키고, 에너지가 과도하게 축적된 경우에는 혈액순환을 도와 체내 세포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
치자는 꼭두서니과 식물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치자나무는 우리 나라의 중부 이남에서 심으며 북부에서는 온실에 심는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며 습열사를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또한 출혈을 멈추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해독한다. 약리 실험에서 누런 색소 배당체인 가르데닌(크로친)과 그 분해산물인 가르데니딘(크로체틴)이 이담 작용을 나타내고 치자의 탕약과 알콜 우림약은 혈압강하 작용,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가슴이 답답하면서 잠을 자지 못하는 데, 황달, 임증, 소갈, 결막염, 토혈, 코피, 부정자궁출혈, 적리, 헌데, 타박상 등에 쓴다. 적응증에 따라 법제하여 하루 6~12g을 탕제, 산제, 환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는 가루 내서 기초(약)제에 개어 바른다. 생것은 주로 해열약으로, 까맣게 덖은 것은 지혈약으로 쓰며 생강즙에 축여 덖은 것은 가슴이 답답한 데와 토하는 데 주로 쓴다. 비위가 허한한 데는 쓰지 않는다.
엿기름(malt)은 맥아라고도 하며 맥주, 위스키의 원료 또는 물엿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리 또는 겉보리를 발아시킨 것이다. 맥아는 당화효소력이나 단백분해효소력이 강하다. 엿기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보리 또는 겉보리 원료를 선별하고 충분히 세정하여 수침을 한다. 수침은 여름철에는 1일 3~4회의 환수를 하면서 1~2일, 겨울철은 1일 1~2회의 환수를 하면서 3~4일 동안 한다. 수침이 완료된 보리 또는 겉보리(수분 45% 내외)는 물빼기를 하고 온도 10~15℃의 변동이 적은 장소에 11~15cm의 두께로 하여 표면을 덮어 7~8시간마다 반전하면 5 ~7일에 유근과 유아가 나온다. 이 사이 발열하여 30℃를 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분을 보급하면서 동시에 두께를 엷게 하여 온도를 강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유아가 맥립의 길이의 1.5~2.0배 정도가 되면 발아공정이 끝난다. 이것을 녹맥아라고 한다. 부패를 막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건조하지만 효소력은 건조하지 않은 것이 더 좋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생강차의 제조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하던 중, 생강에 치자를 첨가하고 이를 엿기름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맛과 향이 좋고 음용이 편리한 생강 발효차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293호 (발명의 명칭 : 발효 생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인 : 한국식품연구원, 등록일 : 2015년01월2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643호 (발명의 명칭 : 암예방 기능성 한방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 식혜, 출원인 : 한완석, 공개일 : 2004년08월3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생강과 치자를 엿기름을 이용한 발효법을 이용하여 생강 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 생강과 치자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생강 및 치자 분쇄물을 얻는 단계;
(제2단계) 상기 생강과 치자 분쇄물에 엿기름액을 첨가하여 생강, 치자 및 엿기름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혼합물을 20~35℃에서 8~10일간 발효하여 생강 및 치자 발효물을 얻는 단계;
(제4단계) 상기 생강 및 치자 발효물에서 건더기를 제거하여 액상만을 수거하는 단계; 및,
(제5단계) 상기 액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갱엿을 제조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생강 및 치자 분쇄물에는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치자 10~3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엿기름액은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8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엿기름액은 엿기름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0~1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액상일 수 있따.
상기 제5단계에서, 제4단계에서 얻은 상기 액상을 끓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갱엿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생강 발효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생강과 치자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생강 및 치자 분쇄물을 얻는 단계에서, 상기 생강 및 치자 분쇄물에는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치자 10~3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이 때 치자는 치자나무의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치자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차의 색상이나 맛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치자가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어도 역시 차의 색상이나 맛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생강 및 치자의 분쇄는 통상의 식품 분쇄기, 믹서기 등을 통해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후 건더기를 제거하는 등의 착즙 과정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생강과 치자의 건더기에 포함된 섬유소 등의 발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물을 착즙하여 액상만을 수거하여 발효하는 것보다는 발효물을 그대로 발효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생강과 치자의 분쇄물은 엿기름액이 작용하기에 좋은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좋으며, 사방 1cm 내외의 크기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잘게 부수어도 좋으며, 완전히 죽과 같은 상태로 분쇄하여도 그 이후의 엿기름액을 이용한 발효 과정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단계) 상기 생강과 치자 분쇄물에 엿기름액을 첨가하여 생강, 치자 및 엿기름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단계의 엿기름액은 제1단계에서 사용된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8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엿기름액의 함량이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중량부 미만 또는 8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될 때에도 발효과정이 원활하지 않아 최종 제조되는 차의 맛과 기호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엿기름액은 엿기름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0~1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액상으로서, 이 때 엿기름 분말의 건더기는 천, 체, 부직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용 거름망 등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엿기름 분말과 물을 혼합할 때, 혼합 후 바로 건더기를 제거할 수도 있지만, 엿기름 분말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효소의 활성화를 위해 5분~1시간 동안 20~35℃에 그대로 둔 후 건더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 때 엿기름 분말에 혼합되는 물의 온도는 2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 상기 혼합물을 20~35℃에서 8~10일간 발효하여 생강 및 치자 발효물을 얻는 단계에서, 발효온도가 20℃ 미만이 되면 엿기름액 내의 효소가 작용하지 않아 발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발효온도가 35℃를 초과하게 되면 과발효되어 최종 제조되는 생강차의 맛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엿기름액의 효소 작용이 불활성화되어 발효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효시간이 8일 미만이 되어도 효소 작용이 충분하지 않아 생강차의 맛이 나뻐질 수 있고 생강 내의 유용성 성분의 이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발효시간이 10일을 초과하여도 과발효되어 맛이 나뻐질 수 있다.
(제4단계) 상기 생강 및 치자 발효물에서 건더기를 제거하여 액상만을 수거하는 단계에서, 천, 체, 부직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용 거름망 등을 이용하여 건더기를 제거할 수 있다.
(제5단계) 상기 액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갱엿을 제조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에서, 액상의 수분 제거를 통해 갱엿을 제조할 때, 동결건조, 감압건조, 가열법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가열법으로 상기 액상을 끓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갱엿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5단계에서 제조된 갱엿은 수분함량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된 갱엿을 완전히 식혀, 바람직하게는 동결한 후, 단단하게 굳은 갱엿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강과 치자를 엿기름을 이용한 발효법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여, 맛과 향이 좋고 음용이 편리한 생강 발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맛이 충분하면서도 매운맛이 없고 열량이 높지 않은 건강기능성이 증진된 생강차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생강과 치자의 유용성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생강은 감기, 두통, 관절염 등에 대한 약리학적 효과가 뛰어나며 항산화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자는 주로 염색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식용으로 바로 섭취하기에는 그 독성이 매우 강하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해 발효와 가열 과정을 통해 치자가 갖는 각종 유용성 성분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치자는 체내 열을 내리는 역할 즉 수승화강의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예로부터 부종, 염증, 홧병을 다스리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자가 포함된 생강차의 음용을 통해 각종 질환의 건강증진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293호에도 발효 생강 음료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생강을 유산균, 효모, 초산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 초산발효 등을 함으로써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본 발명과는 기술구성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643호에는 치자분말, 생강 분말을 함유한 식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쌀을 주 원료로 하는 식혜에 관한 기술로서 또한 본 발명과는 기술구성에 차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생강 발효차의 제조>
생강과 치자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생강과 치자를 혼합하여 생강 및 치자 분쇄물을 얻었다. 이 후 생강과 치자 분쇄물에 엿기름액을 첨가하여 생강, 치자 및 엿기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엿기름액은 엿기름 분말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10분간 둔 후 건더기를 체에 걸러 액상만을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여 생강 및 치자 발효물을 얻었고, 상기 생강 및 치자 발효물에서 건더기를 체에 걸러 제거하여 액상만을 수거하였다. 상기 액상을 끓여 수분을 제거하여 갱엿을 제조하였다. 상기 갱엿을 식힌 후 동결하여 덩어리 상태로 제조하였고, 이 덩어리 갱엿을 분쇄하여 분말 상태의 생강차를 최종적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각 구성성분의 혼합비와 발효온도, 발효기간 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조건 생강 치자 엿기름액 발효온도 발효기간
실시예 1-1 1kg 200g 500g 30℃ 9일
실시예 1-2 1kg 100g 600g 25℃ 8일
실시예 1-3 1kg 300g 400g 35℃ 10일
<비교예 1. 비교대상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차를 제조하되, 각 구성성분의 혼합비와 발효온도, 발효기간 등은 하기 표 2를 참조하여 생강차를 제조하였다.
조건 생강 치자 엿기름액 발효온도 발효기간
비교예 1-1 1.2kg 0g 500g 30℃ 9일
비교예 1-2 200g 1.0kg 500g 30℃ 9일
비교예 1-3 1kg 400g 200g 30℃ 9일
비교예 1-4 1kg 30g 570g 30℃ 9일
비교예 1-5 1kg 200g 500g 30℃ 4일
<실험예 1. 차의 맛, 향, 색생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차를 이용하여 남녀노소 50명에게 시음하게 하여 이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차에 대한 평가는 항목당 1~5점을 부가하게 하였고 각 점수는 5점:매우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나쁨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시판되는 생강청을 구입하여 맛을 비교하게 하였다.
조건 매운맛 감소 단맛에
대한 기호도
색상에 대한
기호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1 4.2 4.4 4.1 4.0 4.2
실시예 1-2 4.3 4.3 4.2 4.2 4.3
실시예 1-3 4.4 4.3 4.0 4.3 4.2
비교예 1-1 4.2 3.3 3.3 1.6 3.2
비교예 1-2 4.5 1.5 3.2 1.3 2.3
비교예 1-3 4.3 3.5 3.7 2.4 3.4
비교예 1-4 4.6 3.2 2.3 3.7 3.5
비교예 1-5 1.8 2.7 2.5 2.4 2.3
생강청 3.5 3.0 2.4 2.2 2.3
상기 표 3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의 생강차는 비교예 1의 차 또는 생강청에 비해 매운맛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생강청은 설탕, 꿀, 올리고당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단맛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섭취할 때 인공적인 단맛이 바로 느껴진 반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의 생강차는 불쾌하지 않으면서도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단맛이 충분히 있다는 평가자들의 평이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생강차는 다른 차들에 비해 향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치자가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어 색상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데, 본 발명의 제조방법대로 생강차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치자의 함량은 생강차의 색 뿐만 아니라 맛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생강차가 남녀노소에게 모두 마시기에 좋은 것이 확인된다.

Claims (5)

  1. (제1단계) 생강과 치자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생강 및 치자 분쇄물을 얻는 단계;
    (제2단계) 상기 생강과 치자 분쇄물에 엿기름액을 첨가하여 생강, 치자 및 엿기름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혼합물을 20~35℃에서 8~10일간 발효하여 생강 및 치자 발효물을 얻는 단계;
    (제4단계) 상기 생강 및 치자 발효물에서 건더기를 제거하여 액상만을 수거하는 단계; 및,
    (제5단계) 상기 액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갱엿을 제조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엿기름액은 생강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8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엿기름액은 엿기름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0~1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건더기를 제거하고 얻은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제4단계에서 얻은 상기 액상을 끓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갱엿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발효차.
KR1020160144971A 2016-11-02 2016-11-02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KR10183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71A KR101833345B1 (ko) 2016-11-02 2016-11-02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71A KR101833345B1 (ko) 2016-11-02 2016-11-02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345B1 true KR101833345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71A KR101833345B1 (ko) 2016-11-02 2016-11-02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28B1 (ko) 2018-08-07 2019-11-08 김완섭 발효생강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28B1 (ko) 2018-08-07 2019-11-08 김완섭 발효생강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0957B (zh) 紫玉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468557B (zh) 苦荞醒酒醋及其制备方法
CN106418106A (zh) 一种速溶生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JP4616413B1 (ja) 発酵食材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食品
CN103320304B (zh) 一种山茱萸醋的生产方法
CN102697126A (zh) 银杏复合保健饮料的制造方法
KR101892392B1 (ko) 고혈압 및 당뇨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3289859B (zh) 一种火龙果罗汉果复合型果酒及其酿制方法
KR101836377B1 (ko) 아로니아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704974B1 (ko) 당도 13브릭스 이상인 무가당 전통식혜 제조방법
CN107897716A (zh) 一种橘皮纳豆产品
KR101833345B1 (ko) 생강 발효차의 제조방법
CN104381775A (zh) 一种降血脂保健固体蜂蜜粉
CN105199917B (zh) 青梅青稞酒及其酿制方法
KR101654211B1 (ko) 청국장의 향미를 개선한 건강보조식품과 이의 제조방법
KR101435566B1 (ko) 막걸리 성분 함유 분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286413A1 (en) Making Process of Extract Containing Ingredients of a Radish and a Pumpkin, and Making Process of Granules and Pills by Using the Extract
CN110804518A (zh) 一种茉莉花香酒的制备方法
KR20200137842A (ko) 대추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차
JP3779740B2 (ja) 米からの肥満予防・治療剤
KR102390434B1 (ko) 가을무를 이용한 식혜
CN106472744A (zh) 一种玫瑰姜枣通经专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591018B1 (ko) 선학초 발효 효소의 조성물 제조방법
CN106262376A (zh) 莲雾果酱及其制备方法
KR20220125973A (ko) 금화규를 이용한 조청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