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96A -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96A
KR20160068396A KR1020140174070A KR20140174070A KR20160068396A KR 20160068396 A KR20160068396 A KR 20160068396A KR 1020140174070 A KR1020140174070 A KR 1020140174070A KR 20140174070 A KR20140174070 A KR 20140174070A KR 20160068396 A KR20160068396 A KR 2016006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vehicle body
welding
current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593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593B1/ko
Priority to US14/807,955 priority patent/US9937591B2/en
Priority to CN201510490830.1A priority patent/CN106181004B/zh
Publication of KR2016006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로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기; 상기 정렬기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을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기; 및 상기 부품과 상기 차체의 밀착부분을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WELDING DEVICE AND METHOD OF AUTOMOBILE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의 파지, 정렬 및 용접까지 한번에 수행이 가능한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많은 패널의 용접 및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는 제조과정을 보면 프론트부분, 플로어부분, 그리고 리어부분을 각각 1차적으로 용접 제조하고, 2차 공정에서 상기 3부분을 한데 모아 용접하며, 다시 각 부분에 필요한 외장 패널을 용접 또는 조립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시스템은 패널 등의 부품이 수용된 파렛트,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취출하는 그리퍼가 장착된 다관절 로봇, 상기 그리퍼에 의해 취출된 부품을 정렬시킨 상태로 차체에 밀착시키는 지그, 및 상기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용접장치를 포함한다.
특허공개번호 10-2014-0107017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시스템은 다관절 로봇, 지그 및 용접장치가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하나의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기까지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며, 특히 설치 공간을 크게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취출, 정렬 및 용접을 한번의 연결동작으로 수행하도록 개선하여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로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기; 상기 정렬기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을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기; 및 상기 부품과 상기 차체의 밀착부분을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에 결합되는 정렬본체, 상기 정렬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일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정렬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정렬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부품의 일단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부품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부품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편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편과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정렬본체에 장착되되, 파지된 부품을 향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정렬본체의 타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눌러서 부품을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회전바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회전바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회전바에 상기 인덱스 핀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인덕스 핀이 장착되며, 파지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부품에 맞는 인덕스 핀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각 표면에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인덕스 핀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부를 60~120°씩 회전시켜서 부품의 종류에 맞는 인덕스 핀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기는 다관절 로봇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기는, 상기 부품을 가압하여 차체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형성시키는 용접부재, 상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와, 상기 차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를 구비한 전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에 공급된 +전류와 상기 차체에 공급된 -전류가 상기 부품과 차체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에 집중되고 고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돌기부가 차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부재의 가압력은 50~70k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부재는 상기 부품의 표면에 높이 0.5~2.0mm, 폭 2.0~8.0mm 크기의 돌기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기는 상기 부품의 단부를 가압하여 차체에 임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용접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파지 및 정렬단계(S10); 정렬된 부품을 상기 파렛트로부터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단계(S20); 및 상기 부품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차체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차체에 -전류를 공급하며, 이에 상기 부품에 공급된 +전류와 상기 차체에 공급된 -전류가 상기 부품과 차체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에 집중되고 고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돌기부를 차체에 용접하는 용접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 및 정렬단계는 정렬기를 통해 부품을 파지하고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단계는 용접기를 통해 부품과 차체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품을 파지, 정렬, 취출 및 용접까지 하나의 연속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부품의 일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구비함으로서 부품의 파지와 정렬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셋째: 다양한 규격의 인덱스 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 차종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차체에 밀착되도록 부품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로 전류가 집중되도록 함에 따라 부품과 차체를 용접할 수 있으며, 이에 용접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렬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는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하는 정렬기, 부품을 차체에 밀착시키는 이동기 및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용접기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다. 즉, 부품의 파지, 정렬, 취출 및 용접까지 한번의 연속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장치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비용절감 및 설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자동차의 조립라인은 프론트부분, 플로어부분 및 리어부분을 각각 제조하는 1차 공정과, 상기 3부분을 연결되게 용접하여 차체를 제조하는 2차 공정과, 상기 차체에 외장 패널을 용접 및 조립하는 3차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3차 공정 중에서 차체에 프런트 필러 인너(이하, 부품이라 함)를 용접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렛트(미도시)에 수용된 부품(10)을 차체(20)에 용접하는 것으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10)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기(100), 정렬기(100)를 이동시켜서 부품(10)을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20)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기(200), 및 부품(10)과 차체(20)의 밀착부분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렬기(100), 이동기(200) 및 용접기(300)는 하나의 장치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에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렬기(100)는 도 2를 참조하면,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렬본체(110),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10)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부재(120), 및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부재(130)를 포함한다.
정렬본체(110)는 이동기(200)가 결합되는 수평바(111)와, 수평바(1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정렬부재(130)가 결합되는 수직바(112)를 포함한다. 즉, 정렬본체(110)는 수평바(111)와 수직바(112)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파지부재(120)는 도 4를 참조하면, 부품의 일단을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정렬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되고 부품(10)의 일단(도 1에서 보았을 때 부품의 우측단)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1)와, 지지판(121)의 힌지부(1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부품(10)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22a)를 형성하는 가압편(122), 및 가압편(122)의 타측과 연결되고 가압부(122a)가 부품(10)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도록 가압편(122)을 회전시키는 실린더(123)를 포함한다.
즉, 파지부재(120)는 실린더(123)의 피스톤로드(123a)가 인장되면서 가압편(122)의 타측을 하강시키며, 이와 동시에 가압편(122)의 가압부(122a)는 힌지부(121a)를 중심으로 상승하면서 부품(10)의 일단 하면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파지부재(120)는 부품(10)의 일단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1)과, 실린더(123)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품(10)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22a)를 형성한 가압편(122)의 압입력에 의해 부품(10)의 일단을 파지한다.
한편, 파지부재(120)는 정렬본체(1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파지부재(120)에서 가압편(122)과 실린더(123)는 지지판(121)에 구비되고, 지지판(121)은 정렬본체(110)에 장착되되, 고정볼트(미도시)를 통해 파지된 부품(10)을 향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파지부재(120)는 부품(10)의 높이 또는 형상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호환성과 안정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정렬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지부재에 파지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렬본체(110)의 타측, 즉 수직바(112)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31)와, 회전부(131)에 장착되고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10)의 타단에 삽입되고 지지되면서 부품(10)을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 핀(132)을 포함한다.
회전부(131)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회전바(131a)(131b)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회전바(131a)(131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회전바(131a)(131b)에 인덱스 핀(132)을 각각 구비한다.
즉, 곡선이 많은 자동차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정렬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인덱스 핀(132)을 사용하고, 또한 2개 이상의 인덱스 핀(132)의 높이와 위치를 달리해야 한다. 이에 회전부(131)는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회전바(131a)(131b)에 인덱스 핀(132)을 각각 결합하여 인덱스 핀(132) 높이와 위치를 달리함에 따라 부품(10)의 타단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한편, 눌러서 설정된 높이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인덱스 핀(132)은 도 3을 참조하면, 부품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거나 끝단에 끼워지면서 부품을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회전부(131)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132a)의 선단에 구비되고 부품(10)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거나 끝단에 끼워지면서 부품(10)을 눌러서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한다.
한편, 회전부(131)의 외주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인덕스 핀(132)이 장착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131)의 측면,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의 복수개의 인덕스 핀(132a)(132b)(132c)이 장착되며, 복수개의 인덕스 핀(132a)(132b)(132c)은 회전부(131)가 90°씩 회전함에 따라 부품(10)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한편, 회전부(131)는 모터(133)에 의해 60~120°, 바람직하게는 90°씩 회전하며, 모터(133)는 회전부(131)의 일측 단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회전부(131)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회전부(131)의 각 표면에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인덕스 핀(132)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렬기(100)는 파지부재(120)로 부품(10)의 일단을 파지하고, 정렬부재(130)로 부품(10)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200)는 정렬기를 이동시켜서 부품을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다관절 로봇팔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품과 차체를 용접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품(10)을 가압하여 차체(20)에 밀착되는 돌기부(11)를 형성시키는 용접부재(310), 부품(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321)와 차체(2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322)를 구비한 전류부재(320)를 포함한다.
용접부재(310)는 부품(10)의 표면을 타격하여 차체(10)에 밀착되는 돌기부(11)를 형성한다. 여기서 용접부재(310)는 돌기부(11)를 50~70kgf의 가압력으로 차체(20)에 밀착시킨다. 즉, 용접부재(310)의 가압력이 50kgf 보다 낮으면 돌기부(11)가 차체(20)로부터 떨어질 수 있고, 70kgf 보다 높으면 차체(2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1)는 부품(10)의 표면에 높이 0.5~2.0mm, 폭 2.0~8.0mm, 바람직하게는 높이 1.0mm, 폭 5.0mm 크기로 형성하며, 이는 부품(10)과 차체(20)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돌기부(11)의 높이를 통해 차체(20)에 밀착시킬 수 있고, 폭을 통해 용접 면적을 증대시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전류부(321)와 -전류부(322)는 용접부재(310)에 의해 돌기부(11)가 차체(20)에 밀착되면 선단부가 차체(20)와 부품(10)에 각각 밀착되어 +전류와 -전류를 각각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접기(300)는 부품(10)에 공급된 +전류와 차체(20)에 공급된 -전류가 부품(10)과 차체(20)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11)에 집중되면서 고열이 발생하고, 이 고열에 의해 상기 돌기부(11)가 녹아면서 차체(20)에 용접된다.
한편, 용접기(300)는 부품과 차체의 용접시 부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330)는 부품과 차체가 밀착면 중 카울부 측을 가압하는 카울 고정부와, 사이드실부 측을 가압하는 사이드실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는 부품의 파지, 정렬, 취출, 차체에 밀착 및 용접까지 하나의 연속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을 높일 있고, 특히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설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를 이용한 용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파지 및 정렬단계(S10), 정렬된 부품을 상기 파렛트로부터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단계(S20), 및 부품과 차체를 용접하는 용접단계(S30)를 포함한다.
파지 및 정렬단계(S10)는 도 1을 참조하면, 정렬기(100)를 통해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한다. 즉, 부품(10)의 일단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1)과, 실린더(123)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품(10)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22a)를 형성한 가압편(122)를 포함하는 파지부재(110)로 부품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정렬부재(130)를 통해 부품(10)의 타단을 지지하여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킨다. 즉, 회전부(131)를 회전시켜 부품(10)의 종류에 맞는 인덱스 핀(132)을 위치시키고, 인덱스 핀(132)에 의해 부품(10)의 타단이 지지되거나 또는 눌려지면서 일정한 높이로 정렬된다.
이동단계(S20)는 파지 및 정렬된 부품(10)을 차체의 설치위치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관절 로봇팔인 이동기(200)를 통해 정렬기(100)를 이동시켜서 부품(10)을 파렛트로부터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10)의 설치 위치를 향하게 부품(10)을 회전시킨 다음, 밀착시킨다.
용접단계(S30)는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접기(300)를 사용한다. 즉, 부품의 표면을 용접부재(310)로 가압하여 차체에 밀착되는 돌기부(11)를 형성하는 한편, 부품(10)에 +전류부(321)를 밀착시켜 +전류를 공급하고, 차체(20)에 -전류부(322)를 밀착시켜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부품(10)에 공급된 +전류와 차체(20)에 공급된 -전류가 부품(10)과 차체(20)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11)에 집중되면서 고열이 발생하고, 고열에 의해 돌기부(11) 또는 차체(20)가 녹으면서 용접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정렬기
110: 정렬본체
120" 파지부재
121: 지지판
122: 가압편
122a: 가압부
122b: 링크부
123: 실린더
130: 정렬부재
131: 회전부
131a: 작은 회전바
131b: 큰 회전바
132: 인덱스 핀
133: 모터
200: 이동기
300: 용접기
310: 용접부재
320: 전류부재
321: +전류부
322: -전류부
330: 고정부재

Claims (17)

  1.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로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기;
    상기 정렬기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을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기; 및
    상기 부품과 상기 차체의 밀착부분을 용접하는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에 결합되는 정렬본체,
    상기 정렬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일단을 파지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정렬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정렬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부품의 일단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부품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부품의 일단 하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편을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과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정렬본체에 장착되되, 파지된 부품을 향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정렬본체의 타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의 타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눌러서 부품을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회전바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회전바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회전바에 상기 인덱스 핀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인덕스 핀이 장착되며, 파지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부품에 맞는 인덕스 핀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각 표면에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인덕스 핀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부를 60~120°씩 회전시켜서 부품의 종류에 맞는 인덕스 핀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는 다관절 로봇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상기 부품을 가압하여 차체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형성시키는 용접부재,
    상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와, 상기 차체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부를 구비한 전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에 공급된 +전류와 상기 차체에 공급된 -전류가 상기 부품과 차체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에 집중되고 고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돌기부가 차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의 가압력은 50~70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는 상기 부품의 표면에 높이 0.5~2.0mm, 폭 2.0~8.0mm 크기의 돌기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상기 부품의 단부를 가압하여 차체에 임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15.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차체에 용접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용접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수용된 부품을 파지함과 동시에 정렬시키는 파지 및 정렬단계(S10);
    정렬된 부품을 상기 파렛트로부터 취출함과 동시에 차체의 설치 위치에 밀착시키는 이동단계(S20); 및
    상기 부품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차체에 밀착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차체에 -전류를 공급하며, 이에 상기 부품에 공급된 +전류와 상기 차체에 공급된 -전류가 상기 부품과 차체의 밀착된 부분인 돌기부에 집중되고 고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돌기부를 차체에 용접하는 용접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파지 및 정렬단계는 정렬기를 통해 부품을 파지하고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는 용접기를 통해 부품과 차체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용접방법.
KR1020140174070A 2014-12-05 2014-12-05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KR10165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70A KR101655593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US14/807,955 US9937591B2 (en) 2014-12-05 2015-07-24 Welding device and method of welding automobile parts
CN201510490830.1A CN106181004B (zh) 2014-12-05 2015-08-11 焊接设备以及焊接汽车零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70A KR101655593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96A true KR20160068396A (ko) 2016-06-15
KR101655593B1 KR101655593B1 (ko) 2016-09-07

Family

ID=5609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070A KR101655593B1 (ko) 2014-12-05 2014-12-05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7591B2 (ko)
KR (1) KR101655593B1 (ko)
CN (1) CN106181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29B1 (ko) * 2019-02-27 2020-06-05 (주)진명정밀 머플러 행거 앗세이 조립 시스템
CN114260611B (zh) * 2022-02-09 2022-09-13 成途智能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汽车焊装线的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7182402B (zh) * 2023-11-03 2024-01-09 吉林富锋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零部件的定位焊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391A (ja) * 1992-10-01 1994-04-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KR20110085087A (ko) * 2010-01-19 2011-07-27 주식회사 신영 벤딩 기능을 갖는 차량 프레임 용접용 지그장치
JP2011230129A (ja) * 2010-04-23 2011-11-17 Nippon Steel Corp 薄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
KR20140107017A (ko) 2013-02-27 2014-09-0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클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용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1749A (en) * 1983-11-28 1986-09-16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of and system for assembling a plurality of parts into a unit
JPS60118391A (ja) 1983-11-30 1985-06-25 Mazda Motor Corp ロボットによる溶接組立装置
IT1261262B (it) * 1993-09-15 1996-05-09 Comau Spa Dispositivo per la saldatura a punti di strutture costituite da elementi di lamiera stampata
US6193142B1 (en) * 1996-12-25 2001-02-27 Nissan Motor Co., Ltd. Assembling apparatus assembling body side of automotive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DE50006680D1 (de) 1999-01-11 2004-07-08 Thyssenkrupp Technologies Ag Einrichtung zum spannen und schweissen von blechen
JP5415896B2 (ja) * 2009-01-29 2014-0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インダイレクトスポット溶接方法
JP5525269B2 (ja) 2010-01-20 2014-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加工システム及び加工方法
JP5620327B2 (ja) 2011-04-19 2014-11-05 日本発條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構造
JP5859836B2 (ja) 2011-12-09 2016-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仮組み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391A (ja) * 1992-10-01 1994-04-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KR20110085087A (ko) * 2010-01-19 2011-07-27 주식회사 신영 벤딩 기능을 갖는 차량 프레임 용접용 지그장치
JP2011230129A (ja) * 2010-04-23 2011-11-17 Nippon Steel Corp 薄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
KR20140107017A (ko) 2013-02-27 2014-09-0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클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81004B (zh) 2019-12-13
US20160158893A1 (en) 2016-06-09
CN106181004A (zh) 2016-12-07
KR101655593B1 (ko) 2016-09-07
US9937591B2 (en)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593B1 (ko)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CN202943402U (zh) 前底板下纵梁总成焊接装夹工装
CN201579565U (zh) 焊接工装回转台
KR20120076042A (ko)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CN202984973U (zh) 一种定位锁紧装置
KR101448771B1 (ko) 편 방향 스폿 용접장치
KR101542999B1 (ko) 차량용 파트의 조립 장치
US20200038987A1 (en) Multi point projection welding method and loading-welding system for car-body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30120392A (ko) 고정력이 향상된 차량부품 제조용 지그장치
CN202411705U (zh) 一种加油口焊接夹具
CN205290165U (zh) 汽车背门铰链加强板夹具装置
CN206445415U (zh) 一种用于汽车底板焊接的夹具
CN104128730A (zh) 焊接定位夹紧装置
KR101453832B1 (ko) 로봇핸드 툴체인저
CN216066162U (zh) 汽车冲压件拼接的侧向定位装置
CN205290209U (zh) 新能源车b柱横梁总成焊接夹具
JP2012218008A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半体の位置決め・把持装置
CN104493373A (zh) 汽车座椅靠背板与角扣固定板焊接装置
JP2708434B2 (ja) 車体組付方法および装置
CN105436789B (zh) 新能源车b柱横梁总成焊接夹具
KR20040043520A (ko) 부품 이송 로봇의 클램핑 장치
CN107617900A (zh) 内孔工件加工夹具
CN110936097A (zh) 气动锚杆钻机顶杆套组件焊接定位工装及使用方法
CN220364023U (zh) 一种顶盖定位抓手
CN203610847U (zh) 一种焊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