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042A -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042A
KR20120076042A KR1020100138012A KR20100138012A KR20120076042A KR 20120076042 A KR20120076042 A KR 20120076042A KR 1020100138012 A KR1020100138012 A KR 1020100138012A KR 20100138012 A KR20100138012 A KR 20100138012A KR 20120076042 A KR20120076042 A KR 2012007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wire
carbon dioxide
base frame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803B1 (ko
Inventor
김진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0013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03B1/ko
Priority to CN201110415184.4A priority patent/CN102528257B/zh
Priority to US13/325,399 priority patent/US8653418B2/en
Publication of KR2012007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73Butt welding of long articles advanced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에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 및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홈을 지닌 (+)의 제1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2 안착홈을 지닌 (-)의 제2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용접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와,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로 (+)(-)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 부분을 접합한다.

Description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DEVICE FOR CONNECTING WELDING WIRE OF CO2 GAS WELDING SYSTEM}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의 잔량과 새로 교체하는 용접 와이어를 접합할 수 있도록 한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가스(CO2) 용접은 불활성 가스인 탄산가스(CO2)를 방출하여 용접부를 대기와 차단하고, 그 속에 용접 와이어를 송급시켜 이를 전극으로 하여 용접 모재와 방전현상을 일으켜 용접하는 용접방법이다.
특히, 차체 구조의 특성상 용접 건이 들어갈 수 없는 막힌 구조물의 접합방법으로 탄산가스 용접이 많이 사용되며,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어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산가스 용접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탄산가스 용접장치는 로봇(101)의 아암(103) 선단에 용접 토치(105)가 장착되고, 상기 용접 토치(105)의 내부에는 와이어 드럼(107)으로부터 이송관(115)을 통하여 용접 와이어(109)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 토치(105)는 탄산가스 탱크(111)와 가스관(113)을 통하여 연결되어 탄산가스(CO2)를 공급받아 용접부를 향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 토치(105)는 탄산가스 용접기(110)와 연결되어 용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산가스 용접장치를 이용한 용접은 용접 와이어(109)와 용접부의 매칭상태, 와이어의 송출속도, 적정 전류 및 전압 조정 등이 용접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탄산가스 용접장치는 용접 중에, 와이어 드럼(107) 내 용접 와이어(109)가 완전히 소진된 경우, 이에 미리 대처하지 못하고, 용접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제품결함은 물론, 공정 재 진행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용접 와이어(109)의 교체작업을 줄이기 위해 300Kg 급의 대용량 와이어 드럼이 사용되지만, 대규모 사업장에서는 용접 와이어 교체작업이 수시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 중인 와이어 드럼(107) 내의 용접 와이어(109)가 소진된 경우, 용접 와이어(109)의 미공급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 와이어(109)의 잔량을 남겨 두고 신규의 용접 와이어(109)를 교체하고 있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109)를 교체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일정 길이의 용접 와이어 잔량을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용접 와이어(109)의 불필요한 소모를 증가시키고, 용접 원가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의 잔량과 새로 교체하는 용접 와이어를 전기적인 저항으로서 접합할 수 있도록 한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는, 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용접 토치와, 상기 용접 토치와 이송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용접 토치와 가스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탄산가스(CO2)를 용접부로 공급하는 탄산가스 탱크와, 상기 용접 토치와 연결되는 탄산가스 용접기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 및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의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용접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는,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로 (+)(-)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는 (+)(-) 전원의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는,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와 상호 절연되며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와 상호 절연되고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에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는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에 관통 설치되며, 이의 양단부가 너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된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스토핑 볼트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에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 및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홈을 지닌 (+)의 제1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2 안착홈을 지닌 (-)의 제2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용접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와,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로 (+)(-)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 부분을 접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 부분을 상호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가 소진되어 용접 와이어를 새로 교체할 경우, 사용 중인 일정 길이의 용접 와이어 잔량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접 와이어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산가스 용접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101)의 아암(103) 선단에 용접 토치(105)가 장착되고, 용접 토치(105)의 내부에는 와이어 드럼(107)으로부터 이송관(115)을 통하여 용접 와이어(109)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 토치(105)는 탄산가스 탱크(111)와 가스관(113)을 통하여 연결되어 탄산가스(CO2)를 공급받아 용접부를 향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 토치(105)는 탄산가스 용접기(110)와 연결되어 용접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산가스 용접장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드럼(107) 내에서 소진된 일정 길이 잔량의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W1)(이하에서는 편의 상 "제1 용접 와이어" 라고 한다)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W2)(이하에서는 편의 상 " 제2 용접 와이어" 라고 한다)를 접합할 수 있는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100)가 구성된다.
즉, 상기한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100)는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제1 용접 와이어(W1)와 제2 용접 와이어(W2)의 끝 부분을 상호 접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과,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와, 제1 전극 플레이트(60)와, 제2 전극 플레이트(70)와, 클램퍼(80)와, 전원 공급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바닥판(11)과 그 바닥판(11)의 양 사이드에 수직판(13)이 직립하게 배치된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 수직판(13)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체결 볼트(21)를 통하여 일측 수직판(13)에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30)는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30)는 고정부재(2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1)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바아(31)는 한 쌍으로서 구비되고,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에 관통 설치되며, 이의 양단부가 너트(N)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수직판(13)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아(31)는 고정부재(20)가 체결 볼트(21)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부재(30)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이의 양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수직판(13)에 너트(N)로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고정부재(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이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에는 위치결정부재(4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결정부재(40)는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 사이에서 이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수직판(13)에는 이동부재(30)의 이동 거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5)는 이동부재(30)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수직판(13)에 체결되는 스토핑 볼트(46)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수직판(13)과 이동부재(30) 사이에는 그 이동부재(30)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수직판(13)과 이동부재(30) 사이에서 가이드 바아(31)에 장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0)는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수직판(13)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 단부가 이동부재(30)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60)는 고정부재(20)와 상호 절연되고 그 고정부재(2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제1 용접 와이어(W1)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홈(6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60)는 (+)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고정부재(20)의 상부면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70)는 이동부재(30)와 상호 절연되고 그 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제2 용접 와이어(W2)를 안착시키는 제2 안착홈(7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70)는 (-)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는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 각각 장착되므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안착홈(61)에 안착되는 제1 용접 와이어(W1)와 제2 안착홈(71)에 안착되는 제2 용접 와이어(W2)는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는 이와 같이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70)에 (+)(-) 전원이 각각 인가되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퍼(80)는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의 각 안착홈(61, 71)에 안착된 각각의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를 클램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클램퍼(80)는 제1 및 제2 안착홈(61, 71)에 안착되며 끝 부분이 서로 밀착되는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를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퍼(80)는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 상에 각각 구성되는 바,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재(81)와, 그 회동부재(81)에 힌지 결합되며 제1 및 제2 안착홈(61, 71)에 안착된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를 가압하는 가압부재(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클램퍼(80)는 회동부재(8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83)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안착홈(61, 71)에 안착된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80)는 회동부재(81)를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83)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에 대한 클램핑을 해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90)는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로 (+)(-) 전원을 각각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전극 플레이트(60, 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90)는 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에 (+)(-) 전원을 각각 인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프레임(10)을 상부면에 지지하며 전선을 통해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100)의 작동은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제1 및 전극 플레이트(60, 70) 상의 클램퍼(80)를 언클램핑 한 상태에서, 제1 용접 와이어(W1)를 제1 전극 플레이트(60)의 제1 안착홈(61)에 안착시킨다.
이 때,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는 위치결정부재(4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용접 와이어(W1)의 끝 부분은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 및 도 6c에서와 같이, 클램퍼(80)의 회동부재(8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83)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전극 플레이트(60)의 제1 안착홈(61)에 안착된 제1 용접 와이어(W1)를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d에서와 같이, 외력에 의해 이동부재(30)를 도면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즉, 상기 이동부재(30)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가이드 바아(31)에 가이드되면서 일정 거리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된 스토퍼(45)인 스토핑 볼트(46)에 의해 스토핑되면서 일정한 거리 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6e에서와 같이 제2 용접 와이어(W2)를 제2 전극 플레이트(70)의 제2 안착홈(71)에 안착시키고, 클램퍼(80)의 회동부재(8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용접 와이어(W2)를 가압부재(83)를 통해 클램핑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용접 와이어(W2)의 끝 부분은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용접 와이어(W1)의 끝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이동부재(3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그 이동부재(30)는 클램퍼(80)를 통해 제2 용접 와이어(W2)를 클램핑한 상태로 탄성부재(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전진 이동(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하게 되는 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위치결정부재(40)에 의해 고정부재(2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재(30)가 고정부재(2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용접 와이어(W2)의 끝 부분은 제1 용접 와이어(W1)의 끝 부분에 밀착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친 후,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부(90)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에 (+)(-) 전원을 각각 인가하게 되면, 도 6f에서와 같이 이러한 (+)(-) 전원이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60, 70)를 통해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에 공급되면서 (+)(-) 전원의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용접 와이어(W1, W2)의 끝 부분을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100)에 의하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W1)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W2)의 끝 부분을 상호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W1)가 소진되어 용접 와이어를 새로 교체할 경우, 사용 중인 일정 길이의 용접 와이어 잔량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접 와이어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용접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베이스 프레임 11... 바닥판
13... 수직판 20... 고정부재
21... 체결 볼트 30... 이동부재
31... 가이드 바아 40... 위치결정부재
45... 스토퍼 46... 스토핑 볼트
50... 탄성부재 60... 제1 전극 플레이트
61... 제1 안착홈 70... 제2 전극 플레이트
71... 제2 안착홈 80... 클램퍼
81... 회동부재 83... 가압부재
90... 전원 공급부 W1... 제1 용접 와이어
W2... 제2 용접 와이어

Claims (13)

  1. 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용접 토치와, 상기 용접 토치와 이송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용접 토치와 가스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탄산가스(CO2)를 용접부로 공급하는 탄산가스 탱크와, 상기 용접 토치와 연결되는 탄산가스 용접기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 및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의 제1 및 제2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용접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로 (+)(-)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는 (+)(-) 전원의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와 상호 절연되며, 상기 제1 전극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와 상호 절연되고, 상기 제2 전극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에서 이들의 끝 부분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는,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에 관통 설치되며, 이의 양단부가 너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된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스토핑 볼트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12. 탄산가스 용접장치에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 및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접합하기 위한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로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1 안착홈을 지닌 (+)의 제1 전극 플레이트;
    상기 이동부재와 상호 절연되고 그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제2 안착홈을 지닌 (-)의 제2 전극 플레이트;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단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용접 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위치결정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각 전극 플레이트로 (+)(-)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서 상기 사용 중인 용접 와이어와 새로 교체될 용접 와이어의 끝 부분을 접합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KR1020100138012A 2010-12-29 2010-12-29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KR10125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12A KR101256803B1 (ko) 2010-12-29 2010-12-29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CN201110415184.4A CN102528257B (zh) 2010-12-29 2011-12-13 二氧化碳气体保护焊接装置用焊丝接合装置
US13/325,399 US8653418B2 (en) 2010-12-29 2011-12-14 Device for connecting welding wire for CO2 gas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12A KR101256803B1 (ko) 2010-12-29 2010-12-29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042A true KR20120076042A (ko) 2012-07-09
KR101256803B1 KR101256803B1 (ko) 2013-04-22

Family

ID=4633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012A KR101256803B1 (ko) 2010-12-29 2010-12-29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53418B2 (ko)
KR (1) KR101256803B1 (ko)
CN (1) CN1025282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8925A (zh) * 2012-12-17 2013-04-03 济南玛钢钢管制造有限公司 焊丝对接设备
CN104551456B (zh) * 2013-10-14 2016-10-05 苏州东南碳制品有限公司 一种焊丝自动移送装置
DE102014104936B4 (de) * 2014-04-08 2016-06-23 Brandenburgische Technische Universität Cottbus-Senftenberg Schweißein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mittels Schweißung und Verwendung einer Elektrode aus Schweißzusatzwerkstoff
CN107442933A (zh) * 2016-06-01 2017-12-0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焊接系统和焊接方法
CN109079388B (zh) 2017-06-14 2020-06-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焊接用固定设备和焊接方法
CN108436238A (zh) * 2018-04-28 2018-08-24 华工法利莱切焊系统工程有限公司 焊丝的在线熔接夹具以及系统
CN112993707B (zh) * 2021-02-23 2023-07-21 天津市金桥焊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操作的接线装置
KR102294001B1 (ko) 2021-04-15 2021-08-26 (주)부흥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1900A (en) * 1932-12-10 1936-08-25 Bendix Brake Co Method of making cable ends
US2115649A (en) * 1936-03-17 1938-04-26 Columbus Mckinnon Chain Corp Method of bonding the ends of wire ropes
US2115652A (en) * 1936-03-17 1938-04-26 Columbus Mckinnon Chain Corp Apparatus for bonding the ends of wire ropes
US2796511A (en) * 1954-03-22 1957-06-18 Rome Cabl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wires by brazing
US2756308A (en) * 1954-03-25 1956-07-24 Western Electric Co Electric welder
US2784297A (en) * 1955-05-20 1957-03-05 Albert F Pity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welding pins to one or both sides of a metalstrip
US3166665A (en) * 1962-06-11 1965-01-19 Schlatter Ag Method of butt welding of metallic workpieces
US3259969A (en) * 1963-01-22 1966-07-12 Central Cable Corp Method of making butt welded joints
GB995678A (en) * 1963-04-22 1965-06-23 British Welding Res Ass Improvements in devices for joining lengths of wire employing friction welding
US3309766A (en) * 1964-03-27 1967-03-21 Kelsey Hayes Co Cold pressure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US3340596A (en) * 1964-09-11 1967-09-12 Kelsey Hayes Co Cold pressure welding of wires and the like
US3514574A (en) * 1965-03-10 1970-05-26 Fansteel Inc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resistance welded articles,especially bimetallic contact rivets
US3394241A (en) * 1965-11-04 1968-07-23 Mallory & Co Inc P R Method for welding dissimilar metals
US3372263A (en) * 1966-02-07 1968-03-05 Jerome H. Lemelson Welding apparatus
US3487188A (en) * 1967-02-17 1969-12-30 Micro Miniature Parts Corp Welding method
US3384731A (en) * 1967-05-18 1968-05-21 Philadelphia Metal Stamping Co Methods and apparatus for butt welding wires and the article produced therefrom
US3590207A (en) * 1969-06-16 1971-06-29 Gen Electric Method of joining wires of different diameters
US3653571A (en) * 1969-06-19 1972-04-04 Kelsey Hayes Co Fine wire butt welder
JPS4922B1 (ko) * 1970-02-03 1974-01-05
US3621176A (en) * 1970-02-16 1971-11-16 Manco Mfg Co Weld re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3751621A (en) * 1972-03-30 1973-08-07 R Maier Transfer unit for an automatic machine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parts comprising two welded elements
US3828601A (en) * 1972-06-05 1974-08-13 A Tess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finished joint between ends of wires, rods and the like
US3802061A (en) * 1972-09-08 1974-04-09 Anaconda Co Process for splicing and drawing metallic strand and wire article made thereby
US3847323A (en) * 1973-01-02 1974-11-12 Kelsey Hayes Co Flash removal mechanism
US3934784A (en) * 1975-05-27 1976-01-27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for interjoining stranded wire cable ends
US4049414A (en) * 1975-07-28 1977-09-20 Corning Glass 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optical fibers
IT1159576B (it) * 1983-05-03 1987-03-04 Tomatis Cmt Macchina filatrice e formatrice di cagliata per la produzione di formaggi a pasta filata
US4779789A (en) * 1986-12-05 1988-10-25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lectrical contact
CH677309A5 (ko) * 1987-11-27 1991-05-15 Buehler Ag
US4960043A (en) * 1989-06-07 1990-10-02 Nabisco Brands, Inc.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CN2120654U (zh) * 1992-04-11 1992-11-04 昆明油漆总厂制罐分厂 一种可重复使用焊丝的缝焊机
JPH07254359A (ja) * 1994-03-16 1995-10-03 Sony Corp ダンパーワイヤ張架方法とダンパーワイヤ張架装置
US5690842A (en) * 1995-09-12 1997-11-25 Zimmer, Inc. Orthopaedic wire with an enlarged end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952030A (en) * 1997-06-04 1999-09-14 Jakob Nelles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reduced and low-fat pasta filata cheese
US6588646B2 (en) * 2001-11-24 2003-07-08 Delphi Technologies, Inc. Ultrasonic welding of wires through the insulation jacket thereof
JP4187066B2 (ja) * 2003-01-27 2008-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抵抗溶接方法、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7227095B2 (en) * 2003-08-06 2007-06-05 Micron Technology, Inc. Wire bonders and methods of wire-bonding
ITMI20050225A1 (it) * 2005-02-16 2006-08-17 Fava S P A Impastatrice omogeneizzatrice
US20080089987A1 (en) * 2006-10-12 2008-04-17 Horn Darrell C Continuous Intermeshing Agitator Food Cooker
KR200449772Y1 (ko) * 2008-01-07 2010-08-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용접 와이어의 이음장치
KR101526275B1 (ko) * 2009-01-20 2015-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DE102009011037B4 (de) * 2009-03-02 2012-03-15 Dirk Hauss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weißen von Dräh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8414A1 (en) 2012-07-05
US8653418B2 (en) 2014-02-18
CN102528257A (zh) 2012-07-04
KR101256803B1 (ko) 2013-04-22
CN102528257B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803B1 (ko)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CN108067760B (zh) 汽车三元催化器系统焊接装置及汽车焊接设备
US9108265B2 (en) Spot welding apparatus
JP2011194464A (ja) スポット溶接方法及びスポット溶接装置
KR101331424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JP3564006B2 (ja) 帯状金属薄板の突き合せ接合装置
KR20150042980A (ko) 스폿 용접장치
KR101448771B1 (ko) 편 방향 스폿 용접장치
CN109689274B (zh) 电阻焊接装置
KR101426685B1 (ko) 휴대형 용접 와이어 이음장치
KR101526275B1 (ko)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KR200449772Y1 (ko) 휴대용 용접 와이어의 이음장치
KR101655593B1 (ko)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KR101228301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101649118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CN212734614U (zh) 一种凸点焊标准件防漏防错机构
KR102119655B1 (ko) 용접봉 홀더
CN210451337U (zh) 一种焊接工装设备
CN207873377U (zh) 电阻焊装置
JPH06226457A (ja) 溶接装置
KR101218373B1 (ko) 스폿 용접팁 드레서
CN214395465U (zh) 超声波焊接装置
CN114192950B (zh) 电阻点焊方法以及电阻点焊装置
JP6986401B2 (ja) 抵抗溶接装置
KR102063917B1 (ko) 팁체인저용 용접팁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