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01B1 -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01B1
KR102294001B1 KR1020210049326A KR20210049326A KR102294001B1 KR 102294001 B1 KR102294001 B1 KR 102294001B1 KR 1020210049326 A KR1020210049326 A KR 1020210049326A KR 20210049326 A KR20210049326 A KR 20210049326A KR 102294001 B1 KR102294001 B1 KR 10229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ansfer unit
rods
uni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성
김낙회
Original Assignee
(주)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흥 filed Critical (주)부흥
Priority to KR102021004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상호 접합시키기 위한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잔봉 연결 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이송부측으로 하나씩 순차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 잔봉의 소재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의 결과에 따라 와이어 잔봉의 소재가 기설정된 소재와 일치하면 정회전하고, 기 설정된 소재와 불일치하면 역회전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가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부와, 상기 제3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3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와이어 잔봉을 안착블럭에 공급하되,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는 제4 이송부와, 상기 제4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호 접합되어야 하는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서로 접촉되어 나란하게 안착되기 위해 와이어 잔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접합하여 연결시키는 용접유닛과, 상기 안착블럭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며, 상기 용접유닛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와이어 잔봉을 배출시키는 제5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사용 후 짧아져서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접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생와이어에 대한 재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와이어 잔봉을 폐기하기 위한 폐기 비용을 절감하는등 경제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APPARATUS FOR CONNECTING WELDING WIRE}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후 짧아져서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시 사용되는 와이어는, 용접 후 와이어 잔여부인 와이어 잔봉이 필연적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잔봉은 더 이상의 사용이 불가하며,
종래에는 와이어 잔봉을 분리 및 수거하여 별도의 폐기비용을 지불하고 폐기하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6803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 후 짧아져서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서로 접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상호 접합시키기 위한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잔봉 연결 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이송부측으로 하나씩 순차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 잔봉의 소재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검사유닛의 결과에 따라 와이어 잔봉의 소재가 기설정된 소재와 일치하면 정회전하고, 기 설정된 소재와 불일치하면 역회전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가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부와, 상기 제3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3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와이어 잔봉을 안착블럭에 공급하되,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는 제4 이송부와, 상기 제4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호 접합되어야 하는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서로 접촉되어 나란하게 안착되기 위해 와이어 잔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접합하여 연결시키는 용접유닛과, 상기 안착블럭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며, 상기 용접유닛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와이어 잔봉을 배출시키는 제5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안착홈이 길게 형성되는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부측 사이공간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드럼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상부안내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안내패널과 회전드럼 사이공간에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이 적재되고, 회전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안착홈에 수용된 하나의 와이어 잔봉이 이송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후 짧아져서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접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생와이어에 대한 재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와이어 잔봉을 폐기하기 위한 폐기 비용을 절감하는 등 경제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는, 작업대(100), 공급부(200), 이송부(300), 검사유닛(400), 용접유닛(5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와이어 잔봉이 상호 연결(접합)되기 위해 진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한다.
먼저, 상기 작업대(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면에는 후술할 공급부, 이송부, 검사유닛, 용접유닛 등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이 용접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200)는 복수 개의 잔봉이 작업대로 순차 공급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200)는, 지지프레임(220), 회전드럼(240), 구동모터(M), 상부안내패널(260), 하부안내패널(28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공간에는 상기 회전드럼(240)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되, 상기 회전드럼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모터(M)에 의해 1회에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드럼(240)의 외주연에는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안착홈(24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42)은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잔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와이어 잔봉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와이어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부측 사이공간에는 상기 회전드럼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상부안내패널(26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안내패널은, 상기 회전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연과 상부안내패널의 상부측 내측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에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안내패널은 회전드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와이어 잔봉이 경사면에 의해 회전드럼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하부측 사이공간에는 상기 회전드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부안내패널(28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안내패널은 상기 회전드럼과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의해 이송부로 이송되는 와이어 잔봉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안내패널과 하부안내패널은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와이어 잔봉 이송방향)의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잔봉이 후술할 이송부로 하나씩 순차 이송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안내패널(260)에 수용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은 회전드럼의 안착홈(242)에 하나씩 수용되며, 회전드럼(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부안내패널(280)을 거쳐 이송부(300)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부(300)는 와이어 잔봉을 이송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 잔봉의 소재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500) 또는 분리함(600)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310)와, 상기 제1 이송부가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600)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320)와, 상기 제1 이송부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500)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부(330)와, 상기 제3 이송부와 용접유닛 사이에 장착되는 제4 이송부(340)와, 상기 용접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유닛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와이어 잔봉을 배출함으로 이송시키는 제5 이송부(35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덧붙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송부는, 각각 컨베이어벨트(30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안착된 와이어 잔봉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잔봉을 정렬하는 가이드프레임(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4)은 한 쌍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되,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별도의 지지부재(부호미표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공급부(200)로부터 와이어 잔봉을 공급받는 제1 이송부(310)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04)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공급부로부터 비교적 안정적으로 와이어 잔봉을 공급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200)의 제1 이송부(310)와 대향되는 작업대의 상면에는 와이어 잔봉의 소재(성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유닛(40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검사유닛으로, PMI(Positive Material Identification)장비를 사용하여 와이어 잔봉의 성분이 분석 및 파악되도록 하였다.
용접용 와이어는 텅스텐, 카본,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사유닛은 와이어 잔봉의 소재를 검사하여, PLC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와이어 잔봉의 소재만이 용접유닛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동일소재의 재생와이어가 제조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검사유닛(400)은 제1 이송부의 컨베이어벨트 상면에 안치된 와이어 잔봉의 성분을 검사하며,
검사유닛의 검사 결과에 따라 제1 이송부의 컨베이어벨트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 잔봉이 용접유닛 또는 분리함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검사유닛(400)에 의해 상기 와이어 잔봉이 기 설정된 소재로 판정되면, 상기 제1 이송부는 정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500)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검사유닛에 의해 와이어 잔봉의 소재가 이종 소재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이송부는 역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600)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이송부(320)는, 제1 이송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600)으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잔봉이 소재에 따라 각각 분리되어 적재되도록 4개의 분리함을 구비하였으며, 상기 분리함은 상기 제2 이송부의 양측방에 각각 배치된다.
와이어 잔봉이 분리 적재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부에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검사유닛의 검사 결과에 따라 특정 마그네틱 스위치가 작동되어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와이어 잔봉을 이송경로를 안내하여 상기 와이어 잔봉이 적합한 분리함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3 이송부(330) 및 제4 이송부(340)는 제1 이송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에 안착된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500)으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3 이송부(330)는 제1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공급받은 와이어 잔봉을 제4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4 이송부(340)는 제3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3 이송부로부터 공급받은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의 안착블럭(520)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안착블럭에는 용접유닛에 의해 끝단부가 상호 접합될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안착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4 이송부는 용접작업을 위해 안착블럭(520)으로 이송되는 와이어 잔봉의 이송 정도를 정밀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이송부와 제4 이송부는 하나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제1 이송부와 용접유닛 사이에 2개의 이송부(제3 이송부 및 제4 이송부)를 마련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안착블럭(520)은, 제4 이송부와 제5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용접유닛(500)과 대향되도록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안착되는 요소이다.
상기 안착블럭의 상면에는 와이어 잔봉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한 브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블럭에는 와이어 잔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호미표시)가 복수 개 장착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호 접합되고자 하는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위치 및 간극을 조정하기 위한 요소이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값에 의해 제4 이송부 및 제5 이송부는 구동 및 정지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4 이송부와 제5 이송부는 와이어 잔봉을 이송시키되,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조정을 위한 요소인 것으로, 상기 제4 이송부와 제5 이송부는 사이에 안착블럭을 두고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와이어 잔봉의 양단이 감지되는 정도에 따라 구동 및 정지되어 상기 안착블럭에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블럭에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이 서로 접촉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용접유닛(500)은 와이어를 스팟 용접하여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상기 용접유닛(500)은 와이어 잔봉의 이음부에 스팟 용접을 하여 와이어 잔봉을 상호 접합하기 위한 장비인 것으로, 상기 용접유닛은 와이어 잔봉의 종류(성분)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이 조정되는 일반적인 스팟용접 장비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용접유닛(500)은 엑추에이터(540)에 연결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용접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스팟용접되는 지점에 와이어 잔봉의 끝단부가 도달했음이 감지되면, 하강하여 와이어를 용접하고, 용접이 완료된 이후 승강하도록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안착블럭(5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5 이송부(350)는 상기 안착블럭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며, 상기 용접유닛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와이어 잔봉을 별도의 배출함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권취부를 더 포함하여, 용접이 완료되어 재사용이 가능해진 재생와이어가 제5 이송부로부터 배출되면 롤형상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된 PLC제어부(부호미표시)를 포함하며, 작업자가 입력 및 출력도구인 터치스크린(도면미도시)에 표준작업조건을 입력하면, PLC 제어에 의하여 작업공정 순서대로 작동되며, 작업조건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도록 마련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한 PLC제어에 의해 작동도중 표준작업조건의 한계를 벗어나면 알람이 울리고 작업이 자동으로 중단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
100: 작업대
200: 공급부
220: 지지프레임
240: 회전드럼
242: 안착홈
260: 상부안내패널
280: 하부안내패널
300: 이송부
302: 컨베이어벨트
304: 가이드프레임
310: 제1 이송부
320: 제2 이송부
330: 제3 이송부
340: 제4 이송부
350: 제5 이송부
400: 검사유닛
500: 용접유닛
520: 안착블럭
540: 엑추에이터
600: 분리함
M:구동모터

Claims (2)

  1.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상호 접합시키기 위한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 장치에 있어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적재된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을 이송부측으로 하나씩 순차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 잔봉의 소재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의 결과에 따라 와이어 잔봉의 소재가 기설정된 소재와 일치하면 정회전하고, 기 설정된 소재와 불일치하면 역회전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가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분리함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잔봉을 용접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부;
    상기 제3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3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와이어 잔봉을 안착블럭에 공급하되,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는 제4 이송부;
    상기 제4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호 접합되어야 하는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이 서로 접촉되어 나란하게 안착되기 위해 와이어 잔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안착블럭;
    상기 안착블럭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끝단을 접합하여 연결시키는 용접유닛;
    상기 안착블럭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블럭에 안착된 한 쌍의 와이어 잔봉의 간극을 조정하며, 상기 용접유닛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 와이어 잔봉을 배출시키는 제5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안착홈이 길게 형성되는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부측 사이공간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드럼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상부안내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안내패널과 회전드럼 사이공간에 복수 개의 와이어 잔봉이 적재되고, 회전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안착홈에 수용된 하나의 와이어 잔봉이 이송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KR1020210049326A 2021-04-15 2021-04-15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KR10229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26A KR102294001B1 (ko) 2021-04-15 2021-04-15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26A KR102294001B1 (ko) 2021-04-15 2021-04-15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01B1 true KR102294001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26A KR102294001B1 (ko) 2021-04-15 2021-04-15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296A (ko) * 2009-01-20 2010-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KR101256803B1 (ko) 2010-12-29 2013-04-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KR20130073493A (ko) * 2011-12-23 2013-07-03 인찬진 용접봉 재활용 장치
KR20130004569U (ko) * 2012-01-16 2013-07-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권취릴이 구비된 용접용 와이어 접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296A (ko) * 2009-01-20 2010-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KR101256803B1 (ko) 2010-12-29 2013-04-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KR20130073493A (ko) * 2011-12-23 2013-07-03 인찬진 용접봉 재활용 장치
KR20130004569U (ko) * 2012-01-16 2013-07-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권취릴이 구비된 용접용 와이어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8927B (zh) 金属构筑成形制造系统及其封装单元
CN106695096B (zh) 一种壳体与螺柱的全自动焊接生产线
CN103010699B (zh) 工装板送取循环系统
CN107442890B (zh) 道岔垫板自动化焊接生产线上料系统及方法
KR101536602B1 (ko)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US10421104B1 (en) Automatic seam fitter attachment for welder
JP5297600B2 (ja) 鋼棒の加工装置
CN108339761B (zh) 一种基于红外热像仪检测的分拣焊接装置及其方法
US20120035759A1 (en) Bag Dispensing Device, Bag Dispensing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and Automated Method for Packing Bags
KR100611365B1 (ko)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KR102294001B1 (ko) 용접용 와이어 잔봉 연결장치
CN105414375A (zh) 钢管焊缝识别定位装置
KR101839241B1 (ko) 소재 이송형 용접장치
KR102241657B1 (ko) 파이프 용접 와이어 커팅장치
KR101287933B1 (ko) 자립형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지주 제조장치
KR101749733B1 (ko) 파이프 자동 용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2239A (ko) 미성형 포장박스 묶음 해체시스템
KR101890529B1 (ko) 지그 착탈식 레이저 융착장치
KR101779142B1 (ko) 운반 박스 일관 제조 설비
CN215263272U (zh) 一种拨叉超声波检测设备
CN215316797U (zh) 一种全自动组装设备
CN108971734B (zh) 一种上下料装置及生产线
CN208825452U (zh) 一种线圈生产用自动化设备
KR200377936Y1 (ko) 휴대폰용 배터리셀 용접장치
CN109108544A (zh) 全自动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