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920A -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 Google Patents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920A
KR20160063920A KR1020140167825A KR20140167825A KR20160063920A KR 20160063920 A KR20160063920 A KR 20160063920A KR 1020140167825 A KR1020140167825 A KR 1020140167825A KR 20140167825 A KR20140167825 A KR 20140167825A KR 20160063920 A KR20160063920 A KR 2016006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blanket
printing
adhes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731B1 (ko
Inventor
김주연
명지은
김사라
구범모
박민수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7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COMPOSITION INCLUDING SILICONE ADHESIVE, MANUFACTURING METHOD OF BLANKET FOR PRINTING USING THE SAME AND BLANKET FOR PRINTING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명세서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소자는 기판 상에 수많은 층들의 패턴이 형성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소정의 패턴 마스크를 제작해야 하고, 화학적 에칭, 스트립핑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환경에 유해한 화학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곧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턴 형성방법으로서 인쇄롤을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이 제안되었다.
롤 프린팅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크게 그라비아 인쇄 및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법의 2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통상 그라비아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은 딱딱한 마스터 몰드에 실리콘계 수지를 캐스팅하여 제조되었는바, 이렇게 제조된 블랭킷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럿 스케일로 양산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밀한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주로 리버스 오프셋 인쇄방식이 채용된다.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는 공정은 콤마(comma)형 블레이드(blade)를 이용한 갭 코팅(gap coating) 방식으로 제작하며 실리콘계 수지의 기재와의 낮은 부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형분 함량 5wt% 이하의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속 오프셋 인쇄 시 블랭킷에 도포하는 잉크의 용매가 실리콘계 수지에 흡수되어 실리콘계 수지가 팽윤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실리콘계 수지의 부피가 증가하여 기재와의 부착 특성이 저하되어 기재와 실리콘계 수지층이 분리되는 박리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블랭킷의 코팅 불균일 및 인쇄 불량 현상이 나타나며 블랭킷 수명 저하의 주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 방법은 패턴 형성에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속도가 향상된다는 측면에서 각광받는 기술이지만, 정밀한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실리콘계 수지와 기재와의 부착 특성이 향상된 블랭킷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8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00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3883호
본 명세서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용매 및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70 중량%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 및 건조하여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부착향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향상층의 상기 기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실리콘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또한, 블랭킷 심; 및 상기 블랭킷 심의 외면에 구비되는 블랭킷을 포함하고, 상기 블랭킷은 상기 인쇄용 블랭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인쇄롤; 상기 블랭킷의 표면에 잉크를 코팅하는 코터; 및 클리쉐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은 실리콘계 수지층의 기재와의 향상된 부착력을 보인다. 부착성 증진은 결과적으로 블랭킷의 내구성 향상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하여 블랭킷의 코팅 불균일 및 인쇄 불량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경우, 블랭킷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다량의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기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부착력이 향상된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이 블랭킷 심에 부착된 그림이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 단계를 도식화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용매 및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70 중량%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 및 반응성이 낮아 초기 밀착성 대비 기재와의 밀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함량이 70 중량% 초과인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어 코팅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적절한 부착성 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인쇄용 블랭킷은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경우, 블랭킷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다량의 정밀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점착 또는 접착 특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부착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착, 점착 및 접착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수지와 가교제의 반응 결과물이다. 이 때,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수지는 직쇄 실록산으로서, 직쇄의 양 말단에 하나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유기기를 함유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 및 규소가 결합된 알킬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하이드록시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siloxane)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유기기를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에테닐, 프로페닐, 페닐기 등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 등이 있다.
한편, 상기 가교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오카노하이드로겐실록산, 구체적으로는 디메틸하이드로겐실록신 그룹 말단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그룹 말단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 그룹 말단 봉쇄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폴리(하이드로겐실세스퀴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에 따라 부착향상층 제작 시 다양한 두께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 대비 50 중량 %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촉매제 및 밀착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촉매제는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알코올 용액, 염화백금산과 알코올과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 화합물과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비닐기 함유 실록산과의 반응물, 백금-올레핀 착체, 백금-비닐기 함유 실록산 착제 등의 백금계 촉매, 로튬 착체, 루테늄 착제 등의 백금조 금속계 촉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촉매제는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착 증진제는 실리콘계 점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란계 커플링제 또는 실란계 커플링제와 PDMS 혼합체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 실리콘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점착제용 조성물 또는 접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용 블랭킷에 적용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용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용 블랭킷의 실리콘계 수지층과 기재의 부착을 위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 및 건조하여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부착향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향상층의 상기 기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실리콘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5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 대비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부착향상층은 실리콘계 점착제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향상층은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메이어 바(mayer bar) 또는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 applicator)를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는 0.005mm 내지 0.02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는 0.005mm 내지 0.05mm 또는 0.01 mm 내지 0.05mm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는 0.015mm 내지 0.05mm일 수 있다.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가 0.005mm 미만일 경우, 접착 또는 점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부착 특성이 거의 발현되지 않으며, 0.02mm 초과일 경우, 부착향상층의 상/하간 불균일한 경화 상태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정적인 부착 특성이 발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 비율은 80:1 내지 8:1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실리콘 하이드록시검, 실리콘 하이드로겐 수지 및 실리콘 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로 구성된 실리콘계 점착제의 경우, 기재에 대한 점착력이 높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점착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실리콘계 수지층의 성분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실리콘 하이드록시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은 400gf/inch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은 400gf/inch 내지 완전 부착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완전 부착 상태는 완전 부착되어 부착력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 떼어낼 수 없는 상태, 즉 부착력 측정용 시판 제작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부착력은 20mm х 150mm 크기의 부착력 측정용 시판을 제작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은 500gf/inch 이상 또는 600gf/inch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700gf/inch 이상 또는 800gh/inch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은 완전 부착 상태이다.
상기 부착력은 기재와 부착향상층 및/또는 기재와 실리콘계 수지층간의 부착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도 2를 참고하면, 블랭킷 심과 실리콘계 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실리콘계 수지층의 신축을 억제하고, 인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축성이 작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온에서의 인장 탄성률이 1000MPa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2000MPa 내지 5000MPa인 수지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등의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필름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은 기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향상된 부착력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 400㎛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공정간 이동 및 체결과정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재 필름의 두께 균일도 등의 물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열경화성, 실온 경화성, 촉매 경화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은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siloxane)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은 촉매제(Catalyst) 및 결합제(Cross-link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의 경도는 20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경도 값은 Shore A 경도 값을 의미한다. 상기 Shore A 경도는 일반적인 고무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JIS K 6301(스프링 타입 A형) 규격을 따르며 시험 스프링 하중은 539 내지 8,379 mN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25℃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9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12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는 갭 코팅(Gap Goating)법에 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갭 코팅법은 콤마(comma)형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 상단에 코팅하고자 하는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지지층 상에 일정한 거리(갭)로 블레이트를 위치시킨 뒤, 블레이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층 상의 진행 방향의 폭 방향으로 일정하고 균일한 두께로 코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갭 코팅법의 적용시, 일정한 갭으로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코팅이 가능하며,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흡착 기능이 있는 스테이지 상에 상기 기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를 고정시키는 단계 전 또는 후에 기재 상의 먼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을 라미네이션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가열 또는 UV에 의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경화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경화하는 단계 이후에 검사 및 재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다량의 정밀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으로, 선폭이 1㎛ 이상 5㎛이하인 패턴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 단면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재(3)와 실리콘계 수지층(1) 사이에 실리콘계 점착제(2)가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2는 부착향상층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그 두께 비율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상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이 블랭킷 심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블랭킷 심(4)의 표면에 기재(3)가 구비되어 있고, 기재(3)의 표면에 실리콘계 점착제(2)가 구비되어 있으며, 실리콘계 점착제(2)의 일 표면에 실리콘계 수지층(1)이 구비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2는 부착향상층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그 두께 비율은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기재의 일면 일부, 구체적으로 인쇄에 의해 실리콘계 수지의 팽윤이 발생하는 영역인 인쇄 영역에 한하여 구비될 수 있으나, 기재의 일면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기재의 일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블랭킷 심; 및 상기 블랭킷 심의 외면에 구비되는 블랭킷을 포함하고, 상기 블랭킷은 전술한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롤; 상기 블랭킷의 표면에 잉크를 코팅하는 코터; 및 클리쉐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는 전술한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인쇄용 블랭킷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인쇄장치의 구성요소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성요소이면 어떠한 구성요소든지 무방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 방법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PET 필름의 먼지를 제거한 후, 필름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였다. 고정한 필름 상에 조성물 총중량 대비 25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메이어 바 No. 9(Mayer bar No.9)으로 코팅한 후, 25℃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실리콘계 점착제의 코팅 두께는 0.005mm이며, 그 다음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을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 상에 코팅하고 경화하였다. 표면 육안 검사 및 이물 제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총중량 대비 39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0.005mm가 되도록 메이어 바 No. 5(Mayer bar No.5)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조성물 총중량 대비 56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0.005mm가 되도록 메이어 바 No. 4(Mayer bar No.4)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후, 60℃에서 30분간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후, 120℃에서 5분간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조성물 총중량 대비 56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0.014mm가 되도록 메이어 바 No. 10(Mayer bar No.10)으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조성물 총중량 대비 56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0.037mm가 되도록 메이어 바 No. 26(Mayer bar No.16)으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조성물 총중량 대비 68 중량%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0.008mm가 되도록 메이어 바 No. 5(Mayer bar No.5)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 성분의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 성분의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 성분의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용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 있어서, 실리콘계 점착제의 건조 후 두께는 부착향상층의 두께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8에 의하여 제조된 블랭킷과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하여 제조된 블랭킷의 부착력을 비교한 180° 필 테스트(peel test) 실험결과를 하기의 [표 1]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측정 장비는 TA.XT.PLUS Texture Analyer를 이용하였으며, 하기의 값은 5회 측정 후 산출한 평균값이다.
실리콘 점착제 함량 실리콘 점착제 경화 후 두께 실리콘 점착제 코팅 후 경화 온도, 시간 Force(gf/inch)
실시예 1 25 중량% 0.005 상온(25℃), 30 분 480
실시예 2 39 중량% 0.005 상온(25℃), 30 분 542
실시예 3 56 중량% 0.005 상온(25℃), 30 분 568
실시예 4 56 중량% 0.007 60℃, 30 분 완전 부착
실시예 5 56 중량% 0.007 120℃, 5 분 완전 부착
실시예 6 56 중량% 0.014 상온(25℃), 30 분 완전 부착
실시예 7 56 중량% 0.037 상온(25℃), 30 분 완전 부착
실시예 8 68 중량% 0.008 상온(25℃), 30 분 585
비교예 1 프라이머 적용 0.005 상온(25℃), 30 분 348
비교예 2 프라이머 적용 0.005 60℃, 30 분 380
비교예 3 프라이머 적용 0.005 120℃, 5 분 385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리콘계 점착제를 적용하여 제조한 블랭킷이 기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제조한 블랭킷보다 부착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과 비교예 1, 실시예 4와 비교예 2 및 실시예 5와 비교예 3을 비교하면, 프라이머를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부착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은 실리콘계 수지층과 기재와의 향상된 부착 특성을 보인다.
1: 실리콘계 수지층
2: 실리콘계 점착제 (부착향상층)
3: 기재
4: 블랭킷 심

Claims (19)

  1. 용매 및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 대비 20 중량% 내지 70 중량%인 것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 대비 50 중량%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촉매제 및 밀착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 및 건조하여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부착향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향상층의 상기 기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 면에 실리콘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어 바(mayer bar) 또는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 applicator)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가 0.005mm 내지 0.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 상기 부착향상층의 두께 비율이 80:1 내지 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실리콘 하이드록시검, 실리콘 하이드로겐 수지 및 실리콘 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이 400gf/inc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의 부착력이 800gf/inc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이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siloxane)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의 경도가 2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25℃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4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인쇄용 블랭킷.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블랭킷은 오프셋 인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블랭킷.
  16. 청구항 14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을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으로, 선폭이 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17. 블랭킷 심; 및
    상기 블랭킷 심의 외면에 구비되는 블랭킷을 포함하고,
    상기 블랭킷은 청구항 14에 따른 인쇄용 블랭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18. 청구항 17에 따른 인쇄롤;
    상기 블랭킷의 표면에 잉크를 코팅하는 코터; 및
    클리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9. 청구항 18의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KR1020140167825A 2014-11-27 2014-11-27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KR10181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25A KR101810731B1 (ko) 2014-11-27 2014-11-27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25A KR101810731B1 (ko) 2014-11-27 2014-11-27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20A true KR20160063920A (ko) 2016-06-07
KR101810731B1 KR101810731B1 (ko) 2017-12-19

Family

ID=5619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825A KR101810731B1 (ko) 2014-11-27 2014-11-27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799B2 (en) 2018-06-20 2022-05-31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03B1 (ko) 2019-11-22 2021-04-14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응집성과 기재 밀착성이 우수한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점착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090003883A (ko)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090020076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용 인쇄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71B1 (ko) * 2006-09-05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기판의 표면처리방법및 미세 패턴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890A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KR20090003883A (ko)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090020076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용 인쇄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8799B2 (en) 2018-06-20 2022-05-31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731B1 (ko)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9105B2 (ja) 剥離コントロール剤、それを含むシリコーン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及び積層体
JP5061308B2 (ja) 密着シート
KR102037127B1 (ko) 그린 시트 제조용 박리 필름 및 그린 시트 제조용 박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6866353B2 (ja) 高誘電性フィルム、その用途および製造方法
KR101927851B1 (ko) 점착제용 이형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KR101989905B1 (ko) 실리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이형필름
KR101810731B1 (ko)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KR100942675B1 (ko) 하드롤 인쇄성이 뛰어난 2층 구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5202A (ko) 실리콘 겔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774874B1 (ko) 폴리프로필렌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95984B2 (ja) 剥離シート
JPWO2020017480A5 (ko)
KR20180018058A (ko) 보호필름
KR20170063439A (ko)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0072B1 (ko) 이형층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KR20110065668A (ko)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62954A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03509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KR20140143801A (ko) 박리 시트
KR101628551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2489922B1 (ko) 코팅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형 필름 및 점착 필름
JP6888868B2 (ja) 溶剤吸収用粘着シート、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KR20200012266A (ko) 이형층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KR101929111B1 (ko) 이형 필름
KR101376129B1 (ko) 리버스오프셋 인쇄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