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575A -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575A
KR20160063575A KR1020140166921A KR20140166921A KR20160063575A KR 20160063575 A KR20160063575 A KR 20160063575A KR 1020140166921 A KR1020140166921 A KR 1020140166921A KR 20140166921 A KR20140166921 A KR 20140166921A KR 20160063575 A KR20160063575 A KR 2016006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cket
regulator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791B1 (ko
Inventor
황석인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00Geometrical instruments
    • Y10S33/21Geometrical instruments with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고정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이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소켓이 이동부를 향하도록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장착부와, 이동부에 힌지 연결되며 소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소켓단자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높이감지바와, 이동부에 설치되어 단자높이감지바의 상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소켓단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HEIGHT CHECKING APPARATUS FOR TERMINAL OF REGULATOR}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복수개의 소켓단자의 높이를 측정하여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가 포함되는 칩부품, 패키지 부품 등은 정밀하고 복잡한 회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바, 그 제조과정에서 정상작동 여부에 대한 성능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는 차량에 장착된 발전기(Alternator)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레귤레이터에는 칩(Chip)과 결합된 PCB판이 내측에 구비되며, 다른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위치에 단자들이 돌출된다. 또한 레귤레이터 패키지부재의 소켓 내부에 형성된 소켓단자는 소켓의 내부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레귤레이터의 소켓단자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에 복수로 설치된 소켓단자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높이를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6552호(2013.08.30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발전기의 레귤레이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복수개의 소켓단자의 높이를 측정하여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고정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이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소켓이 이동부를 향하도록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장착부와, 이동부에 힌지 연결되며 소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소켓단자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높이감지바와, 이동부에 설치되어 단자높이감지바의 상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소켓단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단자는 소켓 내부의 바닥면에서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이동부 하강시 소켓 내로 진입하여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설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높이감지바의 일단부는 이동부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단자접촉부는 힌지축에서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되며 소켓단자의 상단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높이감지바는 복수로 구비된 소켓단자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인 선회운동을 하며, 단자접촉부는 소켓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센서는, 단자높이감지바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센서는,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 상측에 위치하며 소켓단자의 상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상측센서 및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 하측에 위치하며 소켓단자의 하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하측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이동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가 상측센서와 하측센서에 동시에 감지된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는, 소켓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이 단자높이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단자높이의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생산되는 레귤레이터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검사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에 레귤레이터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소켓단자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소켓단자에 접하여 소켓단자의 높이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에서 단자접촉부와 기준설정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발전기의 레귤레이터를 검사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에 레귤레이터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소켓단자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높이감지바가 소켓단자에 접하여 소켓단자의 높이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에서 단자접촉부와 기준설정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는, 소켓(110) 내부의 바닥면(115)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소켓단자(111,112,113)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100)를 검사대상으로 하며, 소켓단자(111,112,113)의 높이를 자동으로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신속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는, 프레임부(10), 베이스부(15), 구동부(20), 이동부(30), 단자높이감지바(40), 감지센서(50), 가이드레일(60), 장착부(70)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100)는 차량 등의 발전기(alternator)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품으로써 발전기(alternator)의 발생전압을 감지하여 정해진 전압에 따라 발전기의 로터(rotor)에 흐르는 필드전류를 온/오프(On/Off)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PCB판이 설치되기 전 레귤레이터(100)는, 중앙에 칩(Chip)과 결합된 PCB판이 설치되는 설치공(160)이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며, 설치공(160)의 내측으로 PCB판에 납땜되기 위한 단자(140)가 구비된다.
또한, 레귤레이터(100)의 선단부에는 소켓(110)이 구비되며, 소켓(110)은 패키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소켓(110)의 내부에는 바닥면(115)에서부터 소정높이로 동일하게 돌출된 복수의 소켓단자(111,112,11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단자(111,112,113)는 3개가 설치되고 각 소켓단자(111,112,113)는 설치공(160) 내부에 돌출된 단자(140)들과 연결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소켓단자(111,112,113)는 소켓(110) 내부의 바닥면(115)에서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켓단자(111,112,113)의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며,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에 의해 소켓단자(111,112,113)의 돌출된 높이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는, 베이스부(15)와, 베이스부(15)에 고정된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30)와,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이동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0)와, 이동부(30)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귤레이터(100)에 구비된 소켓(110)이 이동부(30)를 향하도록 레귤레이터(100)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장착부(70)와, 이동부(30)에 힌지 연결되며 소켓(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소켓단자(111,112,113)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41a,42a,43a)를 구비하는 단자높이감지바(40)와, 이동부(30)에 설치되어 단자높이감지바(40)의 상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0) 및 감지센서(5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소켓단자(111,112,113)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베이스부(15)의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물로서, 베이스부(15)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10b)와, 수직연장부(10b)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꺾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0a)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의 형성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부(10)에 구동부(20)와 이동부(30)와 단자높이감지바(40)와 감지센서(50) 등이 설치된다.
구동부(2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이동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는 공압실린더(22)를 사용하며, 공압실린더(22)가 수평연장부(10a)의 상면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22a)가 수평연장부(10a)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부(30)와 결합된다.
이동부(30)는 프레임부(10)를 따라 상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는 기준설정핀(31,32,33), 힌지축(31a), 감지바결합부(35), 걸림턱(35a), 레일결합부(36), 상단연결부(37)를 포함한다.
이동부(30)는 구동부(20)에 연결되며, 구동부(20)의 작동에 따라 프레임부(10)를 따라 상하 이동된다. 이동부(30)는 프레임부(10)의 수평연장부(10a)의 하측에 위치하며, 구동부(20)인 공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22a)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실린더로드(22a)의 신축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이동부(30)는, 프레임부(10)의 수직연장부(10b)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60)을 타고 이동하는 레일결합부(36)와, 레일결합부(36)와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감지바결합부(35)와, 레일결합부(36)와 감지바결합부(35)의 각 상단에 결합되어 레일결합부(36)와 감지바결합부(35)를 연결하는 상단연결부(37)를 포함한다. 상단연결부(37)에는 공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22a)가 결합된다. 레일결합부(36)는 수직연장부(10b)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이동되므로, 레일결합부(36)와 함께 감지바결합부(35)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의 감지바결합부(35)에는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가 힌지축(31a)에 의해 결합되므로, 단자높이감지바(40)는 이동부(3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한편, 기준설정핀(31,32,33)은 이동부(30)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이동부(30) 하강시 소켓(110) 내로 진입하여 바닥면(115)과 접촉하여 이동부(30)의 하측 이동을 구속한다.
단자접촉부(41a.42a,43a)는 감지바결합부(35)를 관통하여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기준설정핀(31,32,33)은 단자접촉부(41a,42a,43a)가 관통된 감지바결합부(35)의 인근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기준설정핀(31,32,33)은 이동부(30)에 고정된 상태로 하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따라서 기준설정핀(31,32,33)은 이동부(30)의 하강시 장착부(70)에 고정된 레귤레이터(100)의 소켓(110) 내로 진입하여 바닥면(115)과 접촉한다. 즉 기준설정핀(31,32,33)이 하강하여 바닥면(115)과 접촉하므로 이동부(30)의 하강이 멈추며, 이로 인하여 이동부(30)의 하강 거리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부(30)와 함께 하강하는 단자접촉부(41a.42a,43a)의 하강 거리도 기준설정핀(31,32,33)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하나의 힌지축(31a)에 의해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가 모두 힌지 연결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단자높이감지바(40)는 일단부(도 4기준 우측)가 이동부(30)의 힌지축(31a)에 힌지 결합된다. 단자높이감지바(40)는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하여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도 4기준 좌측)가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단자높이감지바(40)의 자중에 의한 선회시 선회량을 제한하는 걸림턱(35a)이 도 6의 확대된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30)에 구비된다. 따라서 단자높이감지바(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자중에 의해 걸림턱(35a)에 걸친 상태가 된다.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는 레일결합부(36)에 설치되는 감지센서(50)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단자높이감지바(40)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몸체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단자접촉부(41a.42a,43a)가 구비된다. 단자접촉부(41a.42a,43a)는 힌지축(31a)에서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되며 소켓단자(111,112,113)의 상단과 접촉한다. 따라서 단자높이감지바(40)가 소켓단자(111,112,113)에 접하면, 단자높이감지바(40)는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단자높이감지바(40)가 이동부(30)와 함께 하강하면, 단자접촉부(41a.42a,43a)는 장착부(70)의 고정홈(71)에 고정된 레귤레이터(100)의 소켓(110) 내로 진입하여 소켓단자(111,112,113)의 상단과 접촉한다.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는 소켓단자(111,112,113)의 개수와 동수이며, 단자접촉부(41a.42a,43a)도 소켓단자(111,112,113)와 동수로 형성되어 대응하는 소켓단자(111,112,113)에 각각 일대일로 접촉한다.
즉, 단자높이감지바(40)는 복수로 구비된 소켓단자(111,112,113)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인 선회운동을 하며, 단자접촉부(41a,42a,43a)는 소켓단자(111,112,113)에 각각 대응하여 접촉한다.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에는 감지연장부(41b)가 형성되므로, 단자높이감지바(40)의 전체적 형상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감지센서(50)의 하측센서(51a)와 상측센서(51b)가 단자높이감지바(40)의 상하 움직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높이감지바(40)는 복수의 소켓단자(111,112,113)에 대응하도록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인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단자높이감지바(40)의 각 단자접촉부(41a.42a,43a)는 복수의 소켓단자(111,112,113)에 각각 대응하여 접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는 좁은 공간에 밀집한 소켓단자(111,112,113)를 검사하는 것이므로, 단자접촉부(41a.42a,43a)가 설치된 부분에서는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소켓(110) 내로 복수의 단자접촉부(41a.42a,43a)들이 동시에 진입한다.
감지센서(50)는, 단자높이감지바(40)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50)는,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 상측에 위치하며 소켓단자(111,112,113)의 상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상측센서(51b)와,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 하측에 위치하며 소켓단자(111,112,113)의 하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하측센서(51a)를 포함한다.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에는 각 단자높이감지바(40) 별로 독립적인 감지센서(50)가 설치되어 그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센서(50)의 설치편의를 위해 복수의 단자높이감지바(40)가 타단부로 갈수록 서로간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배치된다.
감지센서(50)는 레일결합부(36)에서 감지바결합부(35)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며, 단자높이감지바(40)의 상하운동을 감지한다. 감지센서(50)는 이동부(30)와 단자높이감지바(40)와 함께 상하 이동되며, 단자높이감지바(40)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어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상하이동을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단자높이감지바(40)가 힌지축(31a)을 중심을 하는 회전할 경우,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감지센서(50)가 동작되어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자높이감지바(40)가 하강하면서 단자접촉부(41a.42a,43a)가 소켓단자(111,112,113)에 접촉하면, 단자높이감지바(40)는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될 것이므로 감지센서(50)는 그 선회된 상태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센서(51b)와 하측센서(51a)는 광센서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장착부(70)는 이동부(30)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귤레이터(100)에 구비된 소켓(110)이 이동부(30)를 향하도록 레귤레이터(100)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70)는 프레임부(10)와 이격된 일측편에서 베이스부(15)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장착부(70)의 내측에 레귤레이터(10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장착부(70)에는 고정홈(71)이 소정 깊이로 홈을 형성한다. 고정홈(71)에 레귤레이터(100)가 삽입되면, 레귤레이터(100) 선단에 있는 소켓(110)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소켓(110) 내부의 소켓단자(111,112,113)들도 상측을 향하여 소켓(110)의 바닥면(115)으로부터 돌출된 자세가 된다.
고정홈(71)에는 레귤레이터(1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방돌출단자(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방돌출단자삽입부(71a)가 형성되므로, 레귤레이터(100)는 고정홈(71)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는, 이동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가 상측센서(51b)와 하측센서(51a)에 동시에 감지된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할 레귤레이터(100)를 장착부(70)의 고정홈(71)에 삽입하여 소켓(110)이 상측을 향하도록 도 3의 (b)와 같이 고정시킨다.
공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22a)가 신장되면, 이동부(30)가 프레임부(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60)의 안내를 받아 하강한다.
이때, 이동부(30)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높이감지바(40)와 감지센서(50)도 이동부(30)와 함께 하강한다.
이동부(30)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준설정핀(31,32,33)과 단자높이감지바(40)의 단자접촉부(41a.42a,43a)가 레귤레이터(100)의 소켓(110) 내로 진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22)의 공기압이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준설정핀(31,32,33)이 소켓(110) 내부의 바닥면(115)에 접하면서 이동부(30)의 하강이 구속된다.
복수의 단자접촉부(41a.42a,43a)는 각각 대응하는 소켓단자(111,112,113)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하강하므로, 소켓단자(111,112,113)가 단자접촉부(41a.42a,43a)의 하측을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30)의 하강이 중지된 상태에서 단자접촉부(41a.42a,43a)와 접촉하는 소켓단자(111,112,113)는 대응하는 각 단자높이감지바(40)를 밀어올려 단자높이감지바(40)가 그 밀려올라간 양만큼 선회한다.
단자높이감지바(40)가 소켓단자(111,112,113)에 의해 밀어올려지면,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는 상측센서(51b)와 하측센서(51a)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어부(80)는 상측센서(51b)와 하측센서(51a)가 모두 단자높이감지바(40)를 측정하면 정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8은 소켓단자(111,112,113)의 높이가 불량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특정 소켓단자(111)의 높이가 정상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동부(30)의 하강이 멈춘 상태에서 그 특정 소켓단자(111)가 대응하는 단자접촉부(41a)를 밀어올리는 높이가 크지 않거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단자높이감지바(40)는 감지센서(50)의 하측센서(51a)에 의해 타단부가 감지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감지센서(50)의 감지신호를 받아 경보음이나 경고등에 의해 불량판정사실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각 단자높이감지바(40)의 타단부의 끝단은 감지연장부(41b)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소켓단자(111,112,113)의 높이가 정상치를 만족하는 경우, 단자높이감지바(40)의 감지연장부(41b)는 하측센서(51a)와 상측센서(51b)에 동시에 감지된다.
만일, 소켓단자(111,112,113)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은 불량의 경우라면, 단자높이감지바(40)가 힌지축(31a)을 중심으로 과도하게 선회하여 감지연장부(41b)가 더 하강하게 될 것이므로, 하측센서(51a)만 감지연장부(41b)를 감지하고 상측센서(51b)는 감지연장부(41b)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80)는 해당 소켓단자(111,112,113)의 높이가 정상치를 초과한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높이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 모두를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참고로, 타 부품과 소켓(110)을 통한 전기적 연결시, 소켓단자(111,112,113)의 높이불량은 접촉불량을 유발하게 되므로 정확한 회로연결이 이루어질 수 없다.
본 실시에에 의한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1)는, 각 단자높이감지바(40)에 대응하는 감지센서(50)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므로, 전체 소켓단자(111,112,113) 중 불량 판정된 소켓단자(111,112,113)의 개수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110)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이 단자높이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단자높이의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생산되는 레귤레이터(100)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검사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발전기의 레귤레이터를 검사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장치에 구비된 터미널이나 단자의 높이측정에도 본 발명에 의한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10: 프레임부 10a: 수평연장부 10b: 수직연장부
15: 베이스부
20: 구동부 22: 공압실린더 22a: 실린더로드
30: 이동부 31,32,33 ; 기준설정핀 31a: 힌지축 35: 감지바결합부 35a: 걸림턱 36: 레일결합부 37: 상단연결부
40: 단자높이감지바 41a,42a,43a: 단자접촉부 41b: 감지연장부
50: 감지센서 51a: 하측센서 51b: 상측센서
60: 가이드레일
70: 장착부 71: 고정홈 71a: 측방돌출단자삽입부
80: 제어부
100: 레귤레이터 110: 소켓 115: 바닥면 111,112,113: 소켓단자 130: 측방돌출단자 140: 단자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소켓이 상기 이동부를 향하도록 상기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장착부;
    상기 이동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소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소켓단자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높이감지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의 상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소켓단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는 상기 소켓 내부의 바닥면에서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이동부 하강시 상기 소켓 내로 진입하여 상기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설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단자접촉부는 상기 힌지축에서 이격되어 하측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소켓단자의 상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높이감지바는 복수로 구비된 상기 소켓단자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인 선회운동을 하며,
    상기 단자접촉부는 상기 소켓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에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켓단자의 상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상측센서; 및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켓단자의 하한치 불량을 감지하는 하측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높이감지바의 타단부가 상기 상측센서와 상기 하측센서에 동시에 감지된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KR1020140166921A 2014-11-26 2014-11-26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KR10167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921A KR101671791B1 (ko) 2014-11-26 2014-11-26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921A KR101671791B1 (ko) 2014-11-26 2014-11-26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575A true KR20160063575A (ko) 2016-06-07
KR101671791B1 KR101671791B1 (ko) 2016-11-04

Family

ID=5619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921A KR101671791B1 (ko) 2014-11-26 2014-11-26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161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원익큐브 종이판재 적층 높이 감지장치
KR20210003483A (ko) * 2019-07-0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550302B1 (ko) * 2023-05-10 2023-07-03 주식회사 라이쏠 차량 핸들용 스위치 접점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702U (ko) * 1987-05-06 1988-11-17
JPH07226278A (ja) * 1994-02-09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クリンプハイト測定装置およびクリンプハイト測定方法
JPH07263517A (ja) * 1994-03-24 1995-10-1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Icソケットの位置決め装置
CN203881292U (zh) * 2014-05-12 2014-10-15 上海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Pin 针有效长度测试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702U (ko) * 1987-05-06 1988-11-17
JPH07226278A (ja) * 1994-02-09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クリンプハイト測定装置およびクリンプハイト測定方法
JPH07263517A (ja) * 1994-03-24 1995-10-1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Icソケットの位置決め装置
CN203881292U (zh) * 2014-05-12 2014-10-15 上海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Pin 针有效长度测试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161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원익큐브 종이판재 적층 높이 감지장치
KR20210003483A (ko) * 2019-07-0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550302B1 (ko) * 2023-05-10 2023-07-03 주식회사 라이쏠 차량 핸들용 스위치 접점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791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791B1 (ko) 레귤레이터용 단자높이 검사장치
KR100518546B1 (ko) 집적회로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보드 및 이를이용한 테스터 보정방법
JP4571076B2 (ja) 半導体装置の検査装置
KR20070075757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장치
KR101744483B1 (ko) 전자제품 테스트용 지그
KR101625951B1 (ko) 이어잭 어셈블리용 검사장치
KR20180012423A (ko) 테스트 장치
JP4200182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KR20120066242A (ko) 패드 테스트 장치
JP2002107438A (ja) 半導体試験装置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KR20140006390U (ko) 커넥터 검사지그
JP5290672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KR20100013641A (ko) 커넥터 검사장치 및 방법
KR100568513B1 (ko) 반도체 검사 장치
JP2017150911A (ja) 回路基板検査装置
JP5356749B2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プローブのz軸オフセット取得方法
JP3814600B2 (ja) 微少電位差計測装置
KR20020041750A (ko) 테스트헤드의 접속장치
KR101669558B1 (ko) 차량용 발전기의 레귤레이터용 내전압 검사장치
CN215640066U (zh) 一种扭力梁弹簧测试工装
KR20170015266A (ko) 와이어 하네스용 자동 검사 시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자동 검사 시험 시스템
KR102688240B1 (ko) 오븐히터 전기적 특성 검사장치
JP4308038B2 (ja) 部品実装検査方法および回路基板検査装置
CN211374829U (zh) 一种老化板测试设备
TWI382172B (zh) 檢測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