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912A -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912A
KR20160061912A KR1020157035168A KR20157035168A KR20160061912A KR 20160061912 A KR20160061912 A KR 20160061912A KR 1020157035168 A KR1020157035168 A KR 1020157035168A KR 20157035168 A KR20157035168 A KR 20157035168A KR 20160061912 A KR20160061912 A KR 2016006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resin
dental
resin block
mold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500B1 (ko
Inventor
미즈키 나카야마
노부히토 다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6006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 A61C5/1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vulcanising pans
    • B29C35/0238Presses provided with pressure vessels, e.g. steam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32Artificial members, protheses
    • B29L2031/7536Artifici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포나 깨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치과용 레진 블록으로 되는 경화 전의 재료를, 금속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틀에 주입하는 공정과,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경화 전의 재료를 1.0㎫ 이상으로 가압하는 공정과,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재료를 60℃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IN BLOCK}
본 발명은 인레이, 크라운 등 치과용 보철물을 CAD/CAM 장치에 의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할 때 사용하는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인레이, 크라운 등의 증례 중 심미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치과용 컴퍼짓 레진에 의한 충전 수복, 또는 세라믹 인레이, 레진 전장 주조관, 도재 소부 전장 주조관 및 올세라믹 크라운 등 치과용 보철물에 의한 수복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치과용 컴퍼짓 레진에 의한 충전 수복의 경우에는, 페이스트 형상의 치과용 컴퍼짓 레진을 치아의 공동 내에서 중합 경화시키기 때문에, 미중합 단량체가 잔류하는 것은 피할 수 없고, 그 결과 치수 자극의 문제가 있다. 또한, 구강 밖에서 충분히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치과용 보철물의 경우에는, 구강 내 형상이나 보철물을 제작하는 대상 부위가 환자 한사람 한사람에 따라 다르고, 게다가 제작한 치과용 보철물에는 수㎛ 단위의 매우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기공사의 숙련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치과 보철물의 제조에 대해서, 최근 들어 컴퓨터를 이용해서 화면 상에서 크라운이나 브리지 등의 치과용 보철물의 설계를 행하고, 절삭 가공에 의해 치과용 보철물을 제조하는 CAD/CAM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일정한 품질의 치과용 보철물을 단시간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CAD/CAM 장치에 있어서의 절삭 가공에서는 형상을 잘라내기 전의 재료로서, 치과용 레진을 블록 형상으로 형성한 치과용 레진 블록이 사용된다. 이 치과용 레진 블록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균 입경 0.001㎛ 이상 0.04㎛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를 2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한 재료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레진 중합체를 블록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323353호 공보
이 방법에서는, 중합 전의 치과용 레진 재료를 압력 50㎫ 이상 300㎫ 이하, 온도 100℃ 이상 200℃ 이하의 조건으로 가압·가열하여 중합·경화시켜 블록 형상의 치과용 레진 재료를 얻는다. 그로 인해, 중합 전의 페이스트를 금형에 전입하여, 열프레스기를 사용하여 가압할 필요가 있다.
이 치과용 레진 재료는, 평균 입경 0.001㎛ 이상 0.04㎛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를 2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한 아크릴계 레진이기 때문에 중합(경화) 전의 점성이 매우 높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가압·가열하여 중합할 때 기포가 말려 들어가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화 시에 있어서 깨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기포가 말려 들어간 상태, 깨짐이 발생한 상태의 치과용 레진 블록은, 그 품질이 좋다고는 할 수 없으며, CAM에 있어서의 절삭 시에 세부가 이지러져 버리는 칩핑을 일으키기 쉬워, 정밀도가 높은 치과용 보철물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포나 깨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금속제가 아닌 틀에 경화 전의 조성물을 넣어, 틀마다 전체적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넣어 가압 및 가열을 하고, 틀의 안팎의 압력이 똑같아지도록 중합시킴으로써 기포 및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지견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치과용 레진 블록으로 되는 경화 전의 재료를, 금속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틀에 주입하는 공정과,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경화 전의 재료를 1.0㎫ 이상으로 가압하는 공정과,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재료를 60℃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포 및 깨짐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 시에 칩핑이 발생하지 않는 등, 품질이 높은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1개의 예시에 관한 틀의 외관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한 작용 및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형태로부터 명백해진다. 단, 본 발명은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본 형태에 사용되는 치과용 레진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후 이 재료를 사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되는 치과용 레진 재료는, 종래로부터 치과용 재료에 많이 사용되어 온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1,3-디메타크릴옥시프로판,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비스(메타크릴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히드록시-3-메타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2-메타크릴옥시에틸-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카르바메이트, 1,3,5-트리스[1,3-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2-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헥산]-1,3,5-(1H,3H,5H)트리아진-2,4,6-트리온 및 이들 아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는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중합시켜서 블록 형상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중합 촉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 가열하여 성형하는 점에서, 중합 촉매로서는 가열 중합 촉매가 바람직하다. 가열 중합 개시제(촉매)로서는,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 화합물 등이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벤조일퍼옥시드, 케톤퍼옥시드, 퍼옥시 케탈, 히드로퍼옥시드, 디알킬퍼옥시드, 디아실퍼옥시드, 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2,2'-아조비스-(2-아미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레진 재료에는 충전재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로서는 평균 입경이 0.01㎛ 이상 2㎛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가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0.01㎛ 이상 0.04㎛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가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닛본에어로실 가부시키가이샤의 에어로실 OX-50(평균 입경 0.04㎛), 에어로실 R-972(평균 입경 0.01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균 입경이 0.1㎛ 이상 2㎛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로서는 분쇄된 유리 분말이 일반적이며,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석영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X선 조영성을 갖는 유리인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유리, 아연 유리, 납 유리 등이 적합하다. 유리 분말은 표면을 실란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표면 처리제로서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란화하여 사용된다. 평균 입경이 0.01㎛ 이상 0.04㎛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의 함유량은, 0.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증점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고, 한편 2질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치과용 레진 재료 제작 시의 레진 페이스트가 굳어져서 레진 중합체에 기포가 혼입되기 쉬워져 적당하지 않다. 평균 입경이 0.1㎛ 이상 2㎛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의 함유량은, 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마모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고, 한편 80질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치과용 레진 재료 제작 시의 레진 페이스트가 굳어져서 레진 중합체에 기포가 혼입되기 쉬워져 적당하지 않다.
또한,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상기한 평균 입경이 0.01㎛ 이상 2㎛ 이하의 무기질 충전제를 적어도 1개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의 단량체와 혼합하여 경화시켜 분쇄시켜서 평균 입경 5㎛ 이상 50㎛ 이하로 조정한 유기 무기 복합 충전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유기 무기 복합 충전제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가 적당하며, 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활택성이나 내마모성의 향상 효과가 확인되지 않고, 40질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그 외,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중합 금지제 등이 미량 사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치과용 레진 재료를 사용하여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는, 상기 설명한 페이스트 형상의 치과용 레진 재료를, 원하는 형상을 갖는 틀(예를 들어 도 1에 한쪽에 바닥(1a)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모양의 틀(1)을 나타냄. 단, 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입하여, 1.0㎫ 이상 8㎫ 이하의 범위로 가압하고, 승압 완료와 함께 6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로 가열함으로써 중합·경화시켜 블록체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틀을 구성하는 재료는, 금속 이외의 재료로 한다. 그 중에서도 틀로서의 치수 정밀도나 성형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수지이다.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치과용 레진 블록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종래로부터 일반 공업계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경화 전의 재료를 1.0㎫ 이상으로 가압하는 공정, 및 틀 및 그 틀에 주입된 경화 전의 재료를 60℃ 이상 200℃ 이하에서 가열하는 공정은, 금속제가 아닌 틀에 조성물을 넣어, 틀마다 전체적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넣어 가압 및 가열하고, 틀의 안팎의 압력이 똑같아지도록 중합시키는 공정이다.
이 용기로서는,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토 클레이브나 압력솥 등의 가압 가열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 틀의 안팎의 압력이 똑같아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는, 틀에 개방구를 형성해 두거나, 예를 들어 요철의 맞춤 틀에 있어서, 오목한 틀의 오목부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부유 상태로 불룩한 틀을 얹어 그대로 용기 내에서 가압 가열하거나 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용기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상면 개방구로부터 조성물 상면에 랩 등의 얇은 수지 제막을 얹어서 가압 가열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가압력에 대해서는, 가압력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의 혼입을 충분히 억제시키지 않아, 칩핑의 원인으로 되는 기포가 생겨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가압력이 8㎫를 초과해도 치과용 레진 블록의 성능 자체에 영향은 없지만, 가압력을 높이는 것에 의한 한층 더한 효과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으며 또한 고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가열 온도에 대해서는, 가열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미중합 단량체가 남을 가능성이 있어 적당하지 않다. 단, 중합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피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00℃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한 가압 및 가열의 용기에 사용하는 패킹의 재질이 제한되어 버려 적당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조건으로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성형성이 좋아, 균열이나 기포가 적은 치과용 레진 블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가압 및 가열을 맞추어서 통상 10분 이상 90분 이하 정도에서 중합·경화시키면 품질과 생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의 형상은 통상 직육면체 또는 원주체를 이루는 것이지만, 미리 인레이나 크라운의 형상에 근사시킨 형상으로 해 두면 절삭 가공 시의 절삭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은 치과용 레진 블록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치과용 보철물을 제작한다.
우선 치과용 인상재를 사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의 지대치측 및 대합치측의 인상을 채득한다. 상하턱의 인상 채득은 동시 인상 채득을 행해도 되고, 상하턱 따로따로 인상 채득을 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채득한 인상에 기초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그리고, 석고 모형을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계측기를 사용하여 계측하여 구강 내 형상의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얻고, 이것을 디지털 신호로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축적한다.
그 후, 메모리에 축적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CRT 화면 상에 환자의 지대치 형상을 와이어 프레임 등을 사용하여 그래픽 표시한다. 대합치와의 위치 관계는, 미리 상하턱의 석고 모형에 어떤 기준점을 정해 두고, 상악의 석고 모형의 형상 측정 데이터, 하악의 석고 모형의 형상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준점을 맞춤으로써 CRT에 그래픽으로 재현한다.
CRT 상에 그래픽 표시된 지대치 형상과 대합치 형상을 기초로 해서, 인레이나 크라운의 형태를 도면을 만들어 설계한다. 또한 이때에, 미리 등록해 둔 인레이나 크라운의 표준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인레이나 크라운의 내면측에 임의의 치수의 오프셋을 거는 것에 의해 시멘트 스페이스를 제작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인레이나 크라운의 설계가 종료되어 3차원 좌표 데이터가 얻어지면 컴퓨터로부터 NC 제어의 가공기에 가공 지령을 전달한다. 지령을 받은 가공기는, 상기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지령대로 인레이나 크라운을 제작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환자의 잔존 치아와의 색조 조정을 위해 치과용 경질 레진을 사용해서 스테인 등의 캐릭터라이즈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치과용 레진 블록에 의하면, 균열이나 기포가 적으므로 제조 시에 있어서도 칩핑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려워, 품질이 높은 치과 보철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 및 이것과 비교해야 할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작하고, 그 품질을 검증하였다. 이하에 설명한다.
<치과용 레진 재료>
여기서는 페이스트 1 내지 4의 4종류의 페이스트 형상(미경화)의 치과용 레진 재료를 준비하였다. 각 페이스트는 시린지에 충전되어, 틀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페이스트에 대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즉, 셀로판 상에 시린지로부터 페이스트를 1.0㎖ 압출하여, 살짝 셀로판을 씌운 후, 총 중량 750g으로 한 커버 유리와 추를 살짝 얹어, 60초간 정치하였다. 60초 경과 후에 즉각 커버 유리와 추를 떼어내, 넓어진 페이스트의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점도(㎜)로 하였다.
표 1에 페이스트의 조성 및 점도를 나타냈다. 표 1 중 MPTS는, γ-메타크릴옥시프롤릴트리에톡시실란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표 1 중 단량체 1 내지 단량체 4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또한, 표 2를 사용한 약칭은 각각 다음의 화학 물질을 의미한다.
UDMA : 우레탄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BPO : 벤조일퍼옥시드
Bis-MEPP : 2,2-비스(4-메타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HDMP : 2-히드록시-1,3-디메타크릴옥시프로판
Figure pct00002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두께 1㎜인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진공 성형하여, 종횡이 12㎜×14㎜, 깊이가 20㎜인 오목한 틀을 얻었다. 이 오목한 틀에 페이스트 1을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페이스트 1이 채워진 틀을 오토클레이브(가부시키가이샤 교신엔지니어링 제조) 내에 고정하여, 농도 99.9%인 질소를 0.3㎫로 3회 치환하여 산소 농도를 1.0% 미만으로 하였다.
그 후 질소로 2.0㎫까지 승압하고, 승압 완료와 동시에 노 내를 120℃로 승온시켜 1시간 중합 경화시켰다. 1시간 경과 후, 압력을 대기압까지 강하시켜, 노 내를 60℃ 이하로 식히고 나서 틀을 떼내어, 중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그 틀로부터 빼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이 틀에 페이스트 2를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페이스트 2가 채워진 틀을 오토클레이브(가부시키가이샤 교신 엔지니어링 제조) 내에 고정하여, 농도 99.9%의 질소를 0.3㎫로 3회 치환하여 산소 농도를 1.0% 미만으로 하였다.
그 후 질소로 3.0㎫까지 승압하고, 승압 완료와 동시에 노 내를 120℃로 승온시켜 1시간 중합 경화시켰다. 1시간 경과 후, 압력을 대기압까지 강하시켜, 노 내를 60℃ 이하로 식히고 나서 틀을 떼내어, 중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그 틀로부터 빼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종횡 높이가 12㎜×14㎜×18㎜인 더미 블록을 치과용 실리콘 인상재인 퓨전II 워시 타입(가부시키가이샤 지시)으로 포매하여, 경화 후에 이 더미 블록을 떼내서 오목한 틀을 얻었다. 이 오목한 틀에 페이스트 3을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페이스트 3이 채워진 틀을 오토클레이브(가부시키가이샤 교신 엔지니어링 제조) 내에 고정하여, 농도 99.9%의 질소를 0.3㎫로 3회 치환하여 산소 농도를 1.0% 미만으로 하였다.
그 후 질소로 3.0㎫까지 승압하고, 승압 완료와 동시에 노 내를 120℃로 승온시켜 1시간 중합 경화시켰다. 1시간 경과 후, 압력을 대기압까지 강하시켜, 노 내를 60℃ 이하로 식히고 나서 틀을 떼내어, 중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그 틀로부터 빼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이 틀에 페이스트 4를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페이스트 4가 채워진 틀을 오토클레이브(가부시키가이샤 교신 엔지니어링 제조) 내에 고정하여, 농도 99.9%의 질소를0.3㎫로 3회 치환하여 산소 농도를 1.0% 미만으로 하였다.
그 후 질소로 4.0㎫까지 승압하고, 승압 완료와 동시에 노 내를 120℃로 승온시켜 1시간 중합 경화시켰다. 1시간 경과 후, 압력을 대기압까지 강하시켜, 노 내를 60℃ 이하로 식히고 나서 틀을 떼내어, 중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그 틀로부터 빼냈다.
<비교예 1>
분해 가능한 알루미늄제의 틀에 페이스트 1을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틀의 재질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해 가능한 스테인리스(SUS303)제의 틀에 페이스트 2를 살짝 주입하여 내부를 간극없이 채웠다. 틀의 재질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 조건에서 치과용 레진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4에 대하여 질소로 승압하는 압력을 0.9㎫로 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표 3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주요 조건을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03
각 예에서 얻은 치과용 레진 블록에 대하여 다음 시험을 하였다.
<성형성>
떼낸 치과용 레진 블록에 간극없이 틀의 내면 형상을 따르고 있고, 형상이 적정한지를 확인하였다.
<균열·기포>
떼낸 치과용 레진 블록을 1㎜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얻어진 10장의 판을 7배의 룹으로 관찰하여, 균열이나 기포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굽힘 강도>
중합으로부터 24시간 이상 경과한 후, 치과용 레진 블록을 두께 1.2㎜±0.2㎜, 폭 4.0㎜±0.2㎜, 길이 14㎜ 이상으로 되도록 잘라내어, 표면을 내수 연마지 1000번으로 균일화하고 나서 지점간 거리 12㎜, 크로스헤드 스피드 1.0㎜/분의 조건에서 3점 굽힘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에 대해서는, 경화 전의 페이스트 1은 점도가 68㎜이며, 가장 유동성이 높았다. 성형성은 양호하여 균열이나 기포도 확인되지 않으며, 균일하여 틀 그대로의 형상인 치과용 레진 블록이 얻어졌다. 굽힘 강도에 대해 필러량이 64질량%(실리카 분말 0.9질량%+MPTS 처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63.1질량%)에 대해서 234㎫로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 2에 대해서는, 경화 전의 페이스트 2는 점도가 53㎜이며, 비교적 유동성은 높았다. 성형성은 양호하여 균열이나 기포도 확인되지 않으며, 균일하여 틀 그대로의 형상인 치과용 레진 블록이 얻어졌다. 굽힘 강도에 대해 필러량이 70.8질량%에 대해서 218㎫로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 3에 대해서는, 경화 전의 페이스트 3은 점도가 47㎜이며, 비교적 유동성은 낮았다. 성형성은 양호하여 균열이나 기포도 확인되지 않으며, 균일하여 틀 그대로의 형상인 치과용 레진 블록이 얻어졌다. 굽힘 강도에 대해 필러량이 65.8질량%에 대해서 184㎫로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 4에 대해서는, 경화 전의 페이스트 4는 점도가 30㎜이며, 가장 유동성은 낮았다. 성형성은 양호하여 균열이나 기포도 확인되지 않으며, 균일하여 틀 그대로의 형상인 치과용 레진 블록이 얻어졌다. 굽힘 강도에 대해 필러량이 65.8질량%에 대해서 243㎫로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성형성이 불량해서, 공극의 발생 개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치과용 레진 블록의 표면 또는 내부에 균열이 확인되었다. 단, 치과용 레진 블록의 내부에 기포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형성이 불량하여 균열도 발생하였기 때문에 굽힘 시험을 행하는 시험체를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2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달리 성형성이 불량해서, 공극이 발생한 개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치과용 레진 블록 표면 또는 내부에 균열이 확인되었다. 단, 치과용 레진 블록의 내부에 기포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형성이 불량하여 균열도 발생하였기 때문에 굽힘 시험을 행하는 시험체를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3에 대해서는, 실시예 4와 달리 치과용 레진 블록의 내부에 기포가 다수 확인되었다. 굽힘 시험을 행한 바 기포가 많았기 때문에 그 값은 낮았다.
1 : 틀

Claims (1)

  1. 치과용 레진 블록으로 되는 경화 전의 재료를, 금속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틀에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틀 및 상기 틀에 주입된 상기 경화 전의 재료를 1.0㎫ 이상으로 가압하는 공정과,
    상기 틀 및 상기 틀에 주입된 상기 재료를 60℃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157035168A 2013-09-24 2014-08-22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KR101870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7115 2013-09-24
JP2013197115 2013-09-24
PCT/JP2014/071997 WO2015045698A1 (ja) 2013-09-24 2014-08-22 歯科用レジンブロッ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12A true KR20160061912A (ko) 2016-06-01
KR101870500B1 KR101870500B1 (ko) 2018-06-22

Family

ID=5274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168A KR101870500B1 (ko) 2013-09-24 2014-08-22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128812A1 (ko)
EP (1) EP3050533B1 (ko)
JP (2) JP5727112B1 (ko)
KR (1) KR101870500B1 (ko)
CN (1) CN105283146B (ko)
ES (1) ES2954934T3 (ko)
HU (1) HUE063227T2 (ko)
PL (1) PL3050533T3 (ko)
WO (1) WO20150456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912A (ko) 2018-02-28 2019-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62814A1 (ko) * 2019-06-28 2020-12-30 (주) 베리콤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5920B2 (ja) * 2015-07-16 2020-10-2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補綴物切削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補綴物作製システム
KR101676343B1 (ko) * 2015-08-17 2016-11-15 (주) 베리콤 치과용 임시수복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EP3147095B1 (de) * 2015-09-28 2019-01-30 Coltène/Whaleden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ntalen kompositblöcken
DE102017103084A1 (de) 2017-02-15 2018-08-16 Voco Gmbh Dentaler Kompositblock zur Herstellung permanenter indirekter Restaurationen im CAD/CAM Verfahren
WO2019004506A1 (ko) * 2017-06-30 2019-01-03 (주)하이템 인공치관 및 그 제조 방법
JP7077329B2 (ja) * 2017-09-26 2022-05-30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122993B4 (de) * 2017-10-04 2021-03-11 Kulzer Gmbh Monochrome Komposit-Fräsblöck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19132595A1 (ko) * 2017-12-28 2019-07-04 (주) 베리콤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1353B1 (ko) * 2018-12-28 2020-06-10 (주) 베리콤 복수층을 갖는 갖는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 방법
JPWO2020166667A1 (ja) * 2019-02-14 2021-12-09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歯科用ミルブランク
DE102022116932A1 (de) 2022-07-07 2024-01-18 Voco Gmbh Herstellung von dentalen Fräsrohlingen
KR102589939B1 (ko) * 2023-02-17 2023-10-16 송은영 불소 및 카프르산이 포함된 치과 절삭가공용 하이브리드 복합 레진블록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353A (ja) 1997-05-26 1998-12-08 G C:Kk 歯科用レジン材料及びその作製方法
WO2011162286A1 (ja) * 2010-06-25 2011-1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歯科切削加工用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01783A (ja) * 2008-09-12 2012-01-26 ミッシェル サドゥン 複合セラミックブロック
KR20120120616A (ko) * 2011-04-25 2012-11-02 (주) 베리콤 디스크 형태의 간접 수복용 컴포지트 레진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9296A (en) * 1970-03-27 1971-09-28 Fuel Engineering Electrically heated autoclave apparatus
DE3544750A1 (de) * 1985-12-18 1987-06-25 Fkb Feinwerktech Kunststof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steuerten erhitzung von reaktiven gemischen, insbesondere von zu polymerisierenden kunststoffen fuer dentalzwecke
EP0260216A3 (en) * 1986-09-10 1990-07-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olid flowable polymer molding medium
AU6036199A (en) * 1998-09-18 2000-04-10 Jean-Pierre Durand Microwave polymerization system for dentistry
DE19846556A1 (de) * 1998-10-09 2000-04-13 Degussa Dentalwerkstoff aufweisend poröse Glaskeramiken, poröse Glaskeramiken, Verfahren und Verwendung
JP2001061864A (ja) * 1999-08-27 2001-03-13 Dental Supply:Kk 金属歯冠の製造法と該製造に用いる歯冠咬合部成形用型材
JP2001137263A (ja) * 1999-11-10 2001-05-22 Gc Corp 歯科用補綴物の作製方法
US6482284B1 (en) * 2000-08-31 2002-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dental mill blank and support stub assembly
US6669875B2 (en) * 2000-12-18 2003-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dental mill blank assembly
US20050040551A1 (en) * 2003-08-19 2005-02-24 Biegler Robert M. Hardenable dental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37444B2 (en) * 2005-05-16 2009-05-26 Shepard John 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product for dental usage
WO2009154301A1 (ja) * 2008-06-18 2009-12-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補綴物加工用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EP2515794B1 (en) * 2009-12-22 2020-05-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compositions, mill blocks, and methods
WO2014021343A1 (ja) * 2012-07-31 2014-02-06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の製造方法
US9492252B2 (en) * 2013-02-15 2016-11-15 Cmp Industries Llc Molding artificial teeth in denture base dis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353A (ja) 1997-05-26 1998-12-08 G C:Kk 歯科用レジン材料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2501783A (ja) * 2008-09-12 2012-01-26 ミッシェル サドゥン 複合セラミックブロック
WO2011162286A1 (ja) * 2010-06-25 2011-1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歯科切削加工用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20616A (ko) * 2011-04-25 2012-11-02 (주) 베리콤 디스크 형태의 간접 수복용 컴포지트 레진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912A (ko) 2018-02-28 2019-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62814A1 (ko) * 2019-06-28 2020-12-30 (주) 베리콤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1624A (ko) 2019-06-28 2021-01-06 (주) 베리콤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146A (zh) 2016-01-27
JPWO2015045698A1 (ja) 2017-03-09
HUE063227T2 (hu) 2024-01-28
ES2954934T3 (es) 2023-11-27
KR101870500B1 (ko) 2018-06-22
EP3050533A1 (en) 2016-08-03
JP5745198B2 (ja) 2015-07-08
US20160128812A1 (en) 2016-05-12
EP3050533A4 (en) 2017-05-10
JP5727112B1 (ja) 2015-06-03
JP2015097854A (ja) 2015-05-28
PL3050533T3 (pl) 2023-12-11
EP3050533B1 (en) 2023-07-26
CN105283146B (zh) 2020-05-05
WO2015045698A1 (ja)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500B1 (ko) 치과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
US5990195A (en) Dental resin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865564B2 (ja) 多層歯科切削加工用レジン材料
US10117731B2 (en) Material for denture base, denture bas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nture base, plate den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te denture
US20130101778A1 (en) Block body for producing denture base
CN105310889A (zh) 含有链转移剂的牙科用固化性组合物
JP6617205B2 (ja) 歯科切削加工用複合レジ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76759B2 (en) Dental shaped bodies with continuous shade gradient
JP2012214398A (ja) 歯科切削加工用レジン材料
KR20190080807A (ko)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US666019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ental prosthesis
CN107920959B (zh) 牙科用聚合性组合物
JP2012187357A (ja) 歯科切削加工用レジン材料及び歯科補綴物
JP7018257B2 (ja) 歯科用レジン硬化体の製造方法
JP2022052540A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製造用の容器、及び歯科用ミルブランクの製造方法
JPS61194006A (ja) 歯科用コンポジツトレジンの粘度調節剤
JP2013202180A (ja) 歯科切削加工用レジン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