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059A -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059A
KR20160059059A KR1020140160101A KR20140160101A KR20160059059A KR 20160059059 A KR20160059059 A KR 20160059059A KR 1020140160101 A KR1020140160101 A KR 1020140160101A KR 20140160101 A KR20140160101 A KR 20140160101A KR 20160059059 A KR20160059059 A KR 2016005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ber
adhesive tap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259B1 (ko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주)유니즌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즌이엠씨 filed Critical (주)유니즌이엠씨
Priority to KR102014016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2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섬유 기재 및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도전성 물질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인체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의 산화 발생을 억제하고 백화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어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접착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부품의 고정이나, 회로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Environment-friendly double-sided adhesive tape preventing oxidation of adherend}
본 발명은 피착물 표면의 산화 방지 성능이 향상되고, 사용 중에 인체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어 환경 친화적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또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때, 부품의 고정이나, 회로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서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전자제품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며, 전자제품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한 점착 테이프의 다양한 형태들 중 하나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는 도전성 기재상의 양 표면에 도전성 점착제가 도포된 구조를 가지며,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 안테나 등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해당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광학필터에 전자파 차폐 필름을 포함시키거나 외부에 장착되는 외장 케이스, 외부 보호 필름 등에 전자파 차단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제조시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아크릴 점착제가 원재료의 원가가 저렴하고 고분자 합성이 매우 용이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아크릴을 원료로 한 아크릴 감압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이용해 제조된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는 제조공정 중, 고분자 합성고정, 고분자의 가공을 위한 점도조절공정, 코팅성 확보를 위한 가공공정 및 기능성 부여를 위한 첨가제 혼합공정에 있어 톨루엔(tolu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다량 사용하는데, 이들 톨루엔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서 유해성이 높아 공업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선진국에서는 이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톨루엔은 아크릴계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제조과정 중에서 열풍이나, 적외선(infrared ray drying, IR) 건조, 자외선(ultraviolet ray, UV) 건조에 의하여 상당 부분 제거되지만, 미량의 톨루엔은 근본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테이프에 일부 잔존할 여지가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이 요구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감압형 점착제로 주로 아크릴산(acrylic acid)을 원료로 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아크릴산을 원료로 한 아크릴계 감압형 점착제는 고온에서 아웃 가스의 발생이나 수분을 통과시키기 쉽기 때문에, 내열조건에서 발포가 생길 수 있으며, 습열조건에서는 수분 유입에 의한 점착제 층의 백화가 일어나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점착제에 산 성분을 배합해 제조하여 왔다.
이때, 산 성분은 높은 수분산성을 갖기 때문에, 점착제 층 상에 물분자를 넓게 분산시킴으로써 백화를 억제하고, 수소결합성에 의해 응집력도 아울러 갖기 때문에, 내열 발포에 있어서의 기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한 아크릴산을 원료로 한 아크릴계 감압형 점착제를 이용해 제조된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는 피착물이 특정 금속 합금일 경우, 부착시 아크릴 산이 생성되어 아크릴산에 의해 금속 합금에 부식이 발생하여 저항값이 상승하게 되고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도전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 제10-1427617호 (공개일 : 2012.06.19) 한국공개특허 : 제10-2009-0095479호 (공개일 : 2009.09.09) 한국공개특허 : 제10-2013-0046971호 (공개일 : 2013.05.08) 한국등록특허 : 제 10-0808146호 (공개일 : 2006.11.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고,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의 산화 발생을 억제하고, 도전성 점착제층에 백화 발생을 억제하여, 산화 방지 성능이 향상되고, 점착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섬유 기재 및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도전성 물질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는 도전성 코팅층이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형성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코팅층은 도전성 금속, 도전성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conducting polymer)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스티렌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유리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시아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금속, 도전성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conducting polymer)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메틸알콜(methyl alcohol), 부틸알콜(but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 butyl ketone), 부틸셀루솔브(butyl cellosolve) 및 에틸셀루솔브(ethyl cellosolv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산화방지제(antioxidant), 광안정제(light stabilizer), 점착부여제(tackifier), 소포제(antiformer), 가소제(plasticizer),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또는 리워크제(rework ag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 장기간 사용해도 유해물질의 배출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는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제외하고, 카르복실기, 인산기 또는 술폰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산(acid) 성분이 발생하지 않아 도전성 점착제층 표면에 백화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어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접착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부품의 고정이나, 회로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를 포함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는 도전성 섬유 기재(110) 및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110)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층(12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120)은,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도전성 물질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도전성 섬유 기재(110)는 도전성 코팅층이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형성된 원단(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스티렌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유리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코팅층은 도전성 금속, 도전성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원단에 금속을 코팅할 경우 니켈(Ni), 철(Fe), 아연(Zn), 납(Pb), 동(Cu), 금(Au) 및 은(Ag) 등의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무전해도금법 등을 이용하여 도금할 수 있다.
스퍼터링에 의해 금속 코팅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원단에 형성된 개공부 내측면에 금속 코팅을 용이하게 하며, 두께를 나노미터 규모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하고 코팅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반면,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스퍼터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대면적으로 코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전성 섬유 기재(110)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층(120)은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110)의 양쪽 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도전성 물질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하여, 공지된 다양한 코팅 방법으로 코팅하면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110)의 양쪽 면에 도전성 점착제층(12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종래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점착력이나 응집력을 제어하기 위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산계 단량체를 이용해 제조되었으나, 상기한 아크릴산 단량체를 공중합한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점착물질로 사용하면, 카르복실기, 인산기 또는 술폰기 등이 도전성 첨착제층(120)에 포함되어, 장기간 피착물에 부착시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에 부식을 유도하여, 도전성 테이프의 내구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계 단량체가 아닌 단량체만을 이용해 중합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시아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아크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수산기를 작용기로 가지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질소 원자를 곁사슬로 가지는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해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나아가,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50 내지 90 중량%, 수산기를 작용기로 가지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4 내지 10 중량%, 질소 원자를 곁사슬로 포함하고 있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2 내지 5 중량% 혼합하여 후술할 도전성 물질, 가교제 및 용제 등과 혼합하고 공중합 반응하여 얻어지는 중량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이 50,000 내지 3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참고로,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수산기를 작용기로 가지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는 후술할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를 형성하고,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단량체는 질소 원자를 곁사슬로 포함하고 있어, 도전성 점착제층(120)의 포화 수분량을 향상시켜, 도전성 점착제층(120) 표면에 백화 발생이 억제되며,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도전성 점착제층(120) 내부에 유입된 물 분자의 방산이 신속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을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에 아크릴산(acrylic acid)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제외한 아크릴계 단량체를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제조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이용하기 때문에, 제조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부착을 위해 사용했을 때, 도전성 점착제층(120)에 산(acid) 성분이 발생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카르복실기, 인산기 또는 술폰기 또한 포함하지 않아 금속 부식성이 낮으므로,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에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자유도가 높도록 5만 내지 30만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제조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이용하기 때문에 도전성 점착제층(120) 내로 유입한 물 분자의 방산효율을 높여 도전성 점착제층(120)에 백화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도전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도전성이 우수한 은(Ag), 금(Au), 니켈(Ni), 구리(Cu) 등의 금속과, ITO 등의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conducting polymer) 등의 분말을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용제에 첨가하여 전도성 점착제 층에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하지 않으며, 아크릴계 단량체, 전도성 물질 및 후술할 가교제 등을 효과적으로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고, 이러한 용제는 대표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메틸알콜(methyl alcohol), 부틸알콜(but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부틸셀루솔브(butyl cellosolve) 및 에틸셀루솔브(ethyl cellosolv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는 첨가량이 전체 용제량 중 3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용제 량의 50 내지 60중량%을 첨가하고, 아세톤과 알콜은 첨가량이 전체 용제량 중 40 중량% 이내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물성 및 최적의 점도를 가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도전성 물질을 용제에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물론, 아크릴계 단량체, 도전성 물질, 용제가 혼합된 상태에서 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중합 반응이 완료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에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를 예로 들면, 아크릴계 단량체를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40 내지 60중량%로, 도전성 물질은 1 내지 10중량%로 하고, 중합 용제를 40 내지 60중량% 첨가하고 0.1 내지 5중량%의 중합개시제를 첨가한 후 공중합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참고로, 중합개시제는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핵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HDDA)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등의 가교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공중합이 더욱 원활히 진행되어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용액 중합 반응은 비활성기체 분위기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용제의 비점이 낮기 때문에 반응온도 50 내지 90 ℃에서 4 내지 20 시간 정도 용액 중합 반응을 진행한다. 그리고, 고반응성의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는 톨루엔 등의 중합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반응성이 다소 낮을 수 있으므로, 오랜시간 동안 충분히 용액 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공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4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양을 조절하여 점착력 및 도전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용제는 첨가량에 따라 제조된 점착 물질의 점도 조절 희석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점착제층(120)의 점착성 및 안정성 등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전자파 차폐 또는 빛 차단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도록 점착제 조성물 제조시 전체 점착제 조성물 중량의 5중량%의 범위로 산화방지제(antioxidant), 광안정제(light stabilizer), 점착부여제(tackifier), 소포제(antiformer), 가소제(plasticizer),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또는 리워크제(rework agent) 등을 추가로 첨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전성 섬유 기재(110)에 코팅하여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스핀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역그라비아 코팅, 다이코팅 등의 공지된 다양한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을 도전성 섬유 기재(110) 상에 코팅하면, 도전성 섬유 기재의 기공에 용이하게 유입되어 도전성 섬유 기재(110)와 도전성 점착제층(120) 사이의 점착 강도가 매우 높은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조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에서 도전성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0 내지 500㎛의 두께로 코팅하여 피착물 간에 충분한 간격을 요구하는 다양한 부품 및 회로 고정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130)를 포함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는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120) 표면을 덮어 보호하며 사용시 용이하게 제거되는 종이,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이형지(1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100)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 유해물질의 배출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고,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기, 인산기 또는 술폰기 등의 작용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산(acid) 성분이 발생하지 않아 도전성 점착제층(120) 표면에 백화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어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접착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도전성 금속 및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각종 전자 제품의 부품 고정이나, 회로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서 중합 반응 장치에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3종류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데기 및 질소 도입관를 구비한 1L 용량의 중합 반응 장치에 전체 반응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20 중량%(60%의 에틸아세테이트, 30%의 에틸알콜 및 10%의 메틸에틸케톤의 용제를 반응기에 미리 장입하고 내부온도를 80℃로 유지시켰다.
그리고,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40 중량%,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8중량%,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7중량%로 장입하고, 니켈(Ni) 분말을 20 중량% 첨가하고, 아조계 개시제 1중량%를 첨가하였으며, 이소시아네이트를 4중량%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70℃로 승온한 후, 5시간 중합 반응시켰으며, 메틸에틸케톤으로 불휘발분 농도 40질량%로 희석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PET 필름 위에 다이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0㎛ 이하가 되도록 코팅하고, 이어서 도전성 점착제층 면에 박리 처리된 은 입자가 코팅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도전성 섬유 기재를 첩합하고,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다시 코팅한 후, 80℃의 건조기에서 2분간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23℃, 65% RH에서 7일간 에이징을 행하여 총 두께가 500㎛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경면)에 첩부하고, JISZ0237에 준거한 측정법으로 180도 박리점착력(UV 조사 전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점착력을 측정한 결과 초기 점착력이 8900 mN/25㎜ 이상이었으며, 7일 방치 후 점착력이 더욱 증가한 9000 mN/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에 따른 불 휘발분과 점도 측정한 결과, 고형분이 60%이상이고, 점도가 14000 cps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점착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였다.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저항 측정을 위해서, 20mm × 50mm로 자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에 1에서 10 암페어로 점진적으로 전류를 증가시키고 10 암페어에서 2 분간 유지시킨 후, 다시 1 암페어로 서서히 전류를 낮추었다. 시험 중, 상기 접합부 전체의 전압을 기록한 후, 상기 저항을 오옴의 법칙에 따라 계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의 저항 측정 결과, 1 암페어에서 측정된 저항은 0.07mΩ으로 나타났으며, 5 암페어에서는 0.0075mΩ으로 나타났고, 10 암페어에서는 0.0081mΩ으로 나타나 전체 저항값의 변화는 대략 12% 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ITO 증착 PET 필름에 20mm × 50mm로 자른 본 실시예의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50 ℃ × 5 기압으로 20분간 멸균한 후 500시간 방치한 후, 상온에서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 측정한 저항값의 변화가 저항값 측정 전에 비해 10%미만으로 증가하여, 내부식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전성 점착제 층의 헤이즈 값을 측정한 결과 헤이즈가 1% 이하로 나타나 도전성 점착제층의 백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산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가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가혹한 환경에서도 점착력이 우수하며, 저항의 변화가 미미하여 다양한 분야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110 : 도전성 섬유 기재
120 : 도전성 점착제층 130 : 이형지

Claims (8)

  1. 도전성 섬유 기재; 및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단량체로 사용하지 않고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도전성 물질;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 기재는 도전성 코팅층이 일표면 또는 양표면에 형성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코팅층은 도전성 금속, 도전성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conducting polymer)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 폴리스티렌(polystyrene) 섬유, 폴리이미드(polyimide) 섬유, 폴리아미드(polyamide) 섬유,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섬유,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섬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섬유, 유리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콕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시아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미드(메타)아크릴레이트계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금속, 도전성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도전성 중합체(conducting polymer)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메틸알콜(methyl alcohol), 부틸알콜(butyl alcohol),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 butyl ketone), 부틸셀루솔브(butyl cellosolve) 및 에틸셀루솔브(ethyl cellosolv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산화방지제(antioxidant), 광안정제(light stabilizer), 점착부여제(tackifier), 소포제(antiformer), 가소제(plasticizer),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또는 리워크제(rework ag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1020140160101A 2014-11-17 2014-11-17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10166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01A KR101668259B1 (ko) 2014-11-17 2014-11-17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01A KR101668259B1 (ko) 2014-11-17 2014-11-17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059A true KR20160059059A (ko) 2016-05-26
KR101668259B1 KR101668259B1 (ko) 2016-10-24

Family

ID=5610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101A KR101668259B1 (ko) 2014-11-17 2014-11-17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2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75A1 (ko) * 2016-08-26 2018-03-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감압성 점착테이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GB2559272A (en) * 2016-02-16 2018-08-01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273809A1 (en) * 2017-03-27 2018-09-27 Asia Electronic Material Co., Ltd. Multi-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having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thereof
CN109929353A (zh) * 2019-04-15 2019-06-25 河南星彩涂料有限公司 一种会议室用信号干扰涂料及其制备方法
US10343375B2 (en) 2017-08-03 2019-07-09 Ich Co., Ltd Low-resistance conductive tape enhancing and maintaining RF performance and having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galvanic corrosion and oxidation
CN110408342A (zh) * 2019-06-10 2019-11-05 江西蓝海芯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碳纳米球填充的双固化导电胶带的制备方法及其在电磁屏蔽胶带中的应用
US11016350B2 (en) 2016-12-23 2021-05-25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fiber sheet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oated on a non-conductive polymer fiber sheet
US11485879B2 (en) 2018-08-31 2022-11-01 Ich Co., Ltd. High-dielectric adhesive fil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77Y1 (ko) * 2005-07-21 2005-10-13 (주)데카닉스 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
JP2007302860A (ja) * 2006-04-14 2007-11-22 Hitachi Chem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剤、接着シート又は接着テープ
KR100808146B1 (ko) 2005-04-29 2008-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박형 도전성 테이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용 박형 도전성테이프
KR20090095479A (ko) 2008-03-04 2009-09-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시트
KR20130006330A (ko) * 2011-07-06 2013-01-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20130008467A (ko) * 2011-07-12 2013-01-22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터치패널용 적층체
KR20130046971A (ko) 2011-10-28 2013-05-08 (주)엘지하우시스 터치스크린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427617B1 (ko) 2009-11-06 2014-08-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박리 시트 부착 양면 점착제 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146B1 (ko) 2005-04-29 2008-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박형 도전성 테이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한 전자파 차폐용 박형 도전성테이프
KR200398477Y1 (ko) * 2005-07-21 2005-10-13 (주)데카닉스 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
JP2007302860A (ja) * 2006-04-14 2007-11-22 Hitachi Chem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剤、接着シート又は接着テープ
KR20090095479A (ko) 2008-03-04 2009-09-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시트
KR101427617B1 (ko) 2009-11-06 2014-08-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박리 시트 부착 양면 점착제 시트
KR20130006330A (ko) * 2011-07-06 2013-01-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20130008467A (ko) * 2011-07-12 2013-01-22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터치패널용 적층체
KR20130046971A (ko) 2011-10-28 2013-05-08 (주)엘지하우시스 터치스크린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9272B (en) * 2016-02-16 2020-04-29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GB2559272A (en) * 2016-02-16 2018-08-01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54842B2 (en) 2016-08-26 2022-02-22 Amogreentech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9642126A (zh) * 2016-08-26 2019-04-16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压敏胶带、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电子设备
CN109642126B (zh) * 2016-08-26 2021-08-20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压敏胶带、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电子设备
WO2018038475A1 (ko) * 2016-08-26 2018-03-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감압성 점착테이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US11016350B2 (en) 2016-12-23 2021-05-25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fiber sheet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oated on a non-conductive polymer fiber sheet
US10822529B2 (en) * 2017-03-27 2020-11-03 Asia Electronic Material Co., Ltd. Multi-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having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thereof
US20180273809A1 (en) * 2017-03-27 2018-09-27 Asia Electronic Material Co., Ltd. Multi-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having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thereof
US11634612B2 (en) 2017-03-27 2023-04-25 Asia Electronic Material Co., Ltd. Multi-layered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having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thereof
US10343375B2 (en) 2017-08-03 2019-07-09 Ich Co., Ltd Low-resistance conductive tape enhancing and maintaining RF performance and having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galvanic corrosion and oxidation
US11485879B2 (en) 2018-08-31 2022-11-01 Ich Co., Ltd. High-dielectric adhesive film
CN109929353A (zh) * 2019-04-15 2019-06-25 河南星彩涂料有限公司 一种会议室用信号干扰涂料及其制备方法
CN110408342A (zh) * 2019-06-10 2019-11-05 江西蓝海芯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碳纳米球填充的双固化导电胶带的制备方法及其在电磁屏蔽胶带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259B1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259B1 (ko) 피착물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환경 친화형 양면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102258327B1 (ko) 도전성 점착 테이프, 전자 부재 및 점착제
KR101826374B1 (ko)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090088898A (ko) 내열성 마스킹 테이프 및 그 사용
KR101523332B1 (ko) 점착 시트, 전자파 쉴드 시트 및 전자 기기
KR101534644B1 (ko) 도전성 박형 점착 시트
JP4403360B2 (ja) 導電性粘着シート
CN106574161B (zh) 粘合剂组合物、使其交联而成的粘合剂、遮蔽薄膜用粘合剂、耐热粘合薄膜用粘合剂、遮蔽用耐热粘合薄膜和其使用方法
US20090169852A1 (en) Conductive adhesive tape having different adhesion on both surfa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24001B (zh) 黏著劑組成物及黏著帶
JP2005277145A (ja) 電磁波シールド用粘着シート
JP2008280520A (ja) 半導体固定用粘着テープ
JP2020142525A (ja)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TW200813185A (en)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2007262318A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60056362A (ko) 내열성 마스킹 테이프
JP6159098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ガラス散乱防止フィルム
JP2011201942A (ja) 導電膜表面用粘着剤および導電膜表面用粘着シート
KR20180035705A (ko) 도전성 감압 점착 테이프 및 도전성 감압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JP2020105268A (ja) 帯電防止性積層体及び帯電防止性接着剤
JP6357012B2 (ja) パターン電極シート
KR20180035703A (ko) 도전성 감압 점착 테이프
CN114921203A (zh) 无卤阻燃压敏胶和防火胶带
CN105358648A (zh) 粘合剂组合物、透明导电层用粘合剂层、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JPWO2017104665A1 (ja) 導電性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