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270A -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270A
KR20160058270A KR1020140158520A KR20140158520A KR20160058270A KR 20160058270 A KR20160058270 A KR 20160058270A KR 1020140158520 A KR1020140158520 A KR 1020140158520A KR 20140158520 A KR20140158520 A KR 20140158520A KR 20160058270 A KR20160058270 A KR 2016005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weight
pumpkin
anticanc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호
Original Assignee
허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호 filed Critical 허태호
Priority to KR102014015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270A/ko
Publication of KR2016005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주원료로 하여 약선죽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약선죽은 약리작용을 가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으로부터 항암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면역 증진이 극대화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곡류, 채소, 식용유지, 정제염, 매실추출액, 정제수를 포함시키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주원료에 울금이 더 포함하며,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은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0 내지 30 ℃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와,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40 내지 -30 ℃로 1 내지 5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급속동결단계(S50)와,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1 내지 1.0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1 내지 5 %의 수분 함량이 유지되도록 45 내지 55 ℃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가지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Traditional gruel mainly containing neungi mushroom, songi mushroom and pumpkin for anticancer and antioxid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주원료로 하여 약선죽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약선죽은 약리작용을 가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으로부터 항암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면역 증진이 극대화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황음식은 보릿고개로 인한 배고픔을 견디기 위해 먹던 음식으로 평소에는 식용하는 일이 드문 음식을 말하는데, 보통 산과 들에 자생하는 식물과 평소에 먹지 않는 생선, 동물 등을 재료로 하는 음식이다. 구황음식의 종류에는 쑥범벅, 송기떡, 돼지감자, 도토리묵, 보리개떡, 나물죽, 된장떡, 고구마죽 등이 있다.
이렇게 배고픔을 견디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먹던 구황음식들이 요즘은 건강을 지켜주는 웰빙음식으로 각광받으면서 평상시에도 즐겨 먹는 음식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음식이 적은 양으로 많은 사람이 나누어 먹을 수 있었던 죽이다.
일반적으로, 죽은 곡식을 묽게 풀어서 오래 끓여 알갱이가 무르게 만든 음식으로, 초기 농경시대에는 수확한 곡물을 끓여 죽을 쑤고 여기에다 사냥한 수조육류와 산나물 등을 넣고 끓여 먹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또한, 죽은 곡식을 주재료로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부재료를 추가함으로써, 균형잡힌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식사대용 음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함께 첨가되는 재료 및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보양음식, 별미음식, 구황음식 등이 된다.
예를 들어보면, 전복죽, 매생이 굴죽, 해물죽과 같이 몸을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것도 있고, 미음, 암죽과 같이 환자나 노인, 어린이들을 위해 만드는 것도 있다. 여기에서, 미음은 보통 쌀과 좁쌀을 주재료로 하는데 주재료에 밤, 대추, 차조, 인삼 등의 부재료를 추가하기도 한다. 또한 암죽에는 밤암죽, 쌀암죽, 식혜암죽 등이 있다.
이렇듯 구황음식이었던 죽은, 밥을 소화시키기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 어린이들을 위한 영양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바쁜 현대인들의 간편한 아침식사 대용음식, 여성들의 다이어트 음식뿐만 아니라 일반 사람들도 즐겨 찾는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 예로 쌀을 이용한 죽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231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쌀눈 죽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쌀눈 죽은 죽용 쌀, 죽용 액체,및 쌀눈을 포함하고, 죽용 쌀, 죽용 액체 및 쌀눈을 포함하는 죽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죽 원료를 가열하여 죽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죽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의 죽은 쌀의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소비자들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의 죽은 단백질 및 비타민과 같은 특정 영양소만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상기 죽을 통해서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2517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건강 기능성 죽에 관한 것으로, 멥쌀 43 내지 48 중량%, 찹쌀 8 내지 12 중량%, 발아현미 17 내지 20 중량%, 표고버섯 1 내지 2 중량%, 뽕잎분말 13 내지 16 중량%, 차조기 매실엑기스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며, 검은콩 2 내지 4 중량%, 함초소금 0.5 내지 1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죽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단백질, 비타민, 탄수화물, 식이섬유 등이 포함된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고 미감 증진이라는 효과가 있지만, 상기 죽은 건강 기능성에 관련된 재료의 함량이 낮아 상기 죽을 통해서 건강 기능성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주원료로 하여 약선죽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약선죽은 약리작용을 가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으로부터 항암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면역 증진이 극대화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곡류, 채소, 식용유지, 정제염, 매실추출액, 정제수를 포함시키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원료에 울금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은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0 내지 30 ℃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와,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40 내지 -30 ℃로 1 내지 5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급속동결단계(S50)와,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1 내지 1.0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1 내지 5 %의 수분 함량이 유지되도록 45 내지 55 ℃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가지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은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주원료로 하여 약선죽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약선죽은 약리작용을 가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으로부터 항암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면역 증진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후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선(藥膳)은 건강증진, 질병예방 및 치료 등의 작용이 있는 특수 선식(膳食)이다. 즉, 동양의학의 이론에 따라서 약물(藥物)과 식물(食物)을 조리ㆍ가공하여 색, 향, 맛, 모양을 가지게 하며, 먹는 즐거움과 포만감을 주고 동시에 생리기능을 조절 및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ㆍ치료하며 또한 기체강복(機體康復)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는 음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곡류, 채소, 식용유지, 정제염, 매실추출액, 정제수를 포함시키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능이버섯은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림의 땅위에 무리지어 나고, 가을철에 1달 정도만 채취가 가능하다. 능이버섯은 풀향기, 꽃향기, 흙향기가 나는데 말리면 그 향이 강해진다.
능이버섯은 단백질 분해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육류를 먹고 체했을 때 효과가 있다. 능이버섯 속에는 enltedenine 성분이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관지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어서 기관지염이나 기침이 있을 때 달여 먹으면 좋다.
능이버섯은 렌티안 성분이 들어 있어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위암, 폐암, 자궁암, 간암에 효과가 있다. 능이버섯의 유용성분은 종양괴사인자인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해서 항암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능이버섯은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사이토카인의 분비 유도작용이 떨어져 항암작용 낮아지며, 15 중량% 초과인 경우 위에 부담을 주게 되어 속이 메슥거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송이버섯은 송심·송균·송화심이라고도 한다. 송이버섯은 적송의 잔뿌리에 균근(菌根)을 형성하여 공생한다. 해마다 가을이면(19℃ 정도) 균사의 군데군데가 팽대하여 싹이 생기고, 이것이 갑자기 발육하여 약 2주일이면 지상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子實體:균사가 모여 덩이를 이룬 것)는 갓과 자루로 이루어지는데, 갓의 윗면은 흑갈색이고, 아랫면에는 많은 주름살이 있다.
송이버섯은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 또한, 비타민 D1의 전구체인 에르고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니아신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송이버섯은 녹말과 단백질의 소화효소가 있어서 송이버섯을 곁들인 음식은 소화가 잘 된다.
송이버섯 속의 다당체(polysaccharides)는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동물실험에 투여한 결과 종양이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투여 농도에 따라 종양 소실 정도가 비례했다. 또 다른 동물실험에서 송이버섯 달인 물을 암에 걸린 흰쥐에게 먹였을 때, 암의 억제율이 91.3 %였는데 팽나무버섯은 86.5 %, 아카시아버섯은 77.5 %, 표고버섯은 80.7 %, 상황버섯은 64.9 %로 나타나 송이버섯의 암 억제율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송이버섯은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항암작용 및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떨어지며, 15 중량% 초과인 경우 비린 향이 강하여 본 발명의 약선죽의 미감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호박은 항암효과와 관련된 성분인 루텐인, 페놀,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 A 및 이의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류, 미량원소로서 Ca, Na, P 등의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호박을 구성하고 있는 당류의 높은 소화 흡수성 및 풍부한 섬유질 등 호박이 갖는 영양적 의의는 다른 과채류에 결코 뒤지지 않는 식품이다. 당호박, 밤호박으로 불리는 단호박은 무농약 식품으로 크기는 다소 작으나 기존의 호박과는 달리 당도 및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높고 맛이 독특하다.
상기 루테인은 황금색이 감도는 색소로 폐암, 자궁암, 유방암, 피부암,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페놀도 역시 암 발생과 진행을 억제한다고 밝혀졌다.
상기 베타카로틴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활성 산소의 작용을 막아주기 때문에 동맥경화, 노화, 암 등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호박은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활성 산소의 작용을 막아주는 역할이 낮아져 항산화 작용 효과를 얻지 못하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칼륨의 함량이 높아지고, 소변배설을 촉진시켜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은 살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곡류는 쌀, 보리, 수수, 귀리, 기장, 콩, 조, 녹두, 옥수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곡류는 곡류 중량 대비 1 내지 5배의 물을 넣고 40 내지 60 ℃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끓인 후 20 내지 25℃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냉각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류는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곡류 속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등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하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에게는 변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채소는 체내에 비타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약선죽에 채소를 첨가하는 것으로, 당근, 오이, 양파, 배추, 무청, 파, 미나리, 부추, 브로컬리, 셀러리, 피망, 파프리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소는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0.5 중량% 미만인 경우 비타민을 섭취량이 낮아지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약선죽의 미감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식용유지는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땅콩기름, 고추씨기름, 쌀겨기름,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면실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참기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유지는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0.5 중량% 미만인 경우 식용유지가 가지고 있는 산화방지력이 낮아지며, 5 중량% 초과인 경우 유지 성분에 의해 약간의 비린 맛 또는 향을 느끼게 되어 약선죽의 미감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정제염은 본 발명의 약선죽의 간을 조절하여 맛을 좋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제염은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0.5 중량% 미만인 경우 약선죽의 밋밋한 맛을 제공하여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3 중량% 초과인 경우 짠 맛을 느낄 수 있어 약선죽의 맛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매실 추출액은 매실을 열수 추출하여 만든 추출액으로, 상기 매실은 구연산, 파크란산, 카테킨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로회복, 신장과 간, 변비치료에 좋은 식품이며, 산도가 높아서 해독작용을 하고 식중독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매실 추출액은 일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구연산, 파크란산, 카테킨산의 함유가 낮아 매실의 효능이 떨어지며, 3 중량% 초과인 경우 매실의 시큼한 맛이 느껴져서 약선죽의 미감을 반감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기 위한 용매로, 정제수를 첨가함으로써, 약선죽의 조성물 총 중량 100 %로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주원료에 울금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 울금에 곡류, 채소, 식용유지, 정제염, 매실추출액, 정제수를 포함시키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울금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5 내지 73.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금은 Curcuma 속에 속한 몇 개 종의 뿌리줄기와 덩이줄기를 약재로,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통증을 치료하고 토혈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담즙분비, 배설 촉진, 관상동맥안의 반괴형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울금에 함유된 커큐민(curcumin)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고, 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소화 기관의 암을 예방해준다. 상기 커큐민은 암 세포 성장을 돕는 특정 작용을 방해하여 식도암과 관련된 주요한 단백질 발현을 차단함으로써, 식도계의 암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울금은 다른 실시예의 조성물 중 총 중량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 울금에 함유된 커큐민의 함량이 낮아져 암 세포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일시적으로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을 제공한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고,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스(Lactobcillus rhamnose),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써모필러스(Lactobcillus thermophil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산균의 종균배양을 위해서는 변형 영양 배지(5 g/L 소이톤, 5 g/L 비프 추출물 및 20 g/L 자일로오스, pH 7.0)를 사용하여 37 ℃에서 12 내지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유산균을 고압 살균기에서 110 내지 130 ℃ 온도로 20 내지 40 분 동안 살균을 한다. 살균 처리된 배양 유산균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접종하여 20 내지 25 ℃ 호기적 조건에서 80 내지 120 시간 동안 배양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은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0 내지 30 ℃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와,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40 내지 -30 ℃로 1 내지 5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급속동결단계(S50)와,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1 내지 1.0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 % 이하가 되도록 45 내지 55 ℃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갖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은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재료의 혼합비율은 거듭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최적화된 약선죽 제조 혼합비율이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가열 온도가 95 ℃ 미만인 경우 상기 재료들이 골고루 익혀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10 ℃ 초과인 경우 재료의 영양성분들이 파괴되어 재료가 가지고 효능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0 내지 30 ℃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냉각 온도가 20 ℃ 미만인 경우 죽이 응집되어 덩어리가 생기는 문제가 있으며, 30 ℃ 초과인 경우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가 일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성형단계(S40)는 후술하게 되는 포장단계(S70)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죽을 규격화된 건조용기에 담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40 내지 -30 ℃로 1 내지 5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급속동결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급속동결단계(S50)는 약선죽이 빙결점(상압에서 0℃)을 통과하게 되는 데, 이러한 빙결점에서의 통과시간에 따라 죽의 복원력 등에 영향을 미친다. 동결온도를 높게 처리함에 따라 냉각속도가 저하되어(완만동결) 빙결점에서의 통과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기공이 큰 균일한 다공성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동결 건조된 약선죽이 빠른 복원력을 가지지 위해서는 완만동결이 이루어져야 하고, 동결온도와 동결시간이 조직의 기공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에 따른 최적 온도와 시간 설정이 중요하게 된다.
빙결점에서의 통과시간은 냉각속도에 좌우하게 되고, 냉각속도는 시료와 주변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므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동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조절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빙결점에서의 통과시간은 1 내지 5 시간이며, 상기 통과시간이 1 시간 미만인 경우 충분히 완만동결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통과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경제성의 측면에서 적절히 조절될 필요도 있다.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1 내지 1.0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1 내지 5 %의 수분 함량이 유지되도록 45 내지 55 ℃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를 수행한다.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동결된 약선죽의 염도나 당도가 높을 경우 수분 함량 등에 있어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보존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1 내지 5%의 수분 함량이 적당하다.
진공동결 건조란 일반적으로 물질을 동결시키고, 수증기(water vapor)의 부분압을 낮춤으로써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부분압을 낮춘다는 의미는 물의 3중점 이하로 압력을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낮은 압력하에서 얼음의 형태를 가지는 수분은 열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액체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수증기로 직접 승화한다. 승화된 얼음 결정체들은 공간을 남기기 때문에, 건조된 물질은 무수히 많은 틈을 포함하고 있어서, 수분 흡수가 용이해 재수화(re-hydration) 시 완전하게 복원된다.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가지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단계(S70)를 수행한다.
건조된 죽을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되, 가열탱크에 울금을 더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울금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5 내지 73.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후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을 제조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후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되, 재료혼합단계(S10) 전에 상기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단계(T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산균의 종균배양을 위해서는 변형 영양 배지(5 g/L 소이톤, 5 g/L 비프 추출물 및 20 g/L 자일로오스, pH 7.0)를 사용하여 37 ℃에서 12 내지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유산균을 고압 살균기에서 110 내지 130 ℃ 온도로 20 내지 40 분 동안 살균을 한다. 살균 처리된 배양 유산균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접종하여 20 내지 25 ℃ 호기적 조건에서 80 내지 120 시간 동안 배양을 한다.
본 발명은 약선죽의 제조단계 중 재료혼합단계(S10) 내지 가열단계(S20)를 거쳐서 소비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냉각단계(S30) 내지 포장단계(S70)를 더 거쳐서 약선죽을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능이버섯 ,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제조방법의 실시예 1
재료혼합단계(S10) :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10 중량%, 송이버섯 10 중량%, 호박 7.5 중량%, 곡류 7.5 중량%, 채소 5.25 중량%, 식용유지 2.75 중량%, 정제염 1.55 중량%, 매실추출액 1.75 중량%, 정제수 53.7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가열단계(S20) :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100 ℃로 열을 가해 20분 동안 익혔다.
냉각단계(S30) :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3 ℃로 냉각하였다.
성형단계(S40) :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였다.
급속동결단계(S50) :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33 ℃로 3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건조단계(S60) :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5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50 ℃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포장단계(S70) :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갖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아 본 발명의 약선죽을 완성하였다.
[ 실시예 2] 능이버섯 , 송이버섯, 호박, 울금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제조방법의 실시예 2
재료혼합단계(S10) :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8.5 중량%, 송이버섯 8.5 중량%, 호박 7.5 중량%, 곡류 7.5 중량%, 울금 7.5 중량%, 채소 5.25 중량%, 식용유지 2.75 중량%, 정제염 1.55 중량%, 매실추출액 1.75 중량%, 정제수 49.2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가열단계(S20) :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100 ℃로 열을 가해 20분 동안 익혔다.
냉각단계(S30) :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3 ℃로 냉각하였다.
성형단계(S40) :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였다.
급속동결단계(S50) :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33 ℃로 3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건조단계(S60) :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5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50 ℃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포장단계(S70) :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갖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아 본 발명의 약선죽을 완성하였다.
[ 실시예 3] 능이버섯 , 송이버섯, 호박에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후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을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 3
유산균 접종 및 배양단계(T10) : 상기 유산균은 변형 영양 배지(5 g/L 소이톤, 5 g/L 비프 추출물 및 20 g/L 자일로오스, pH 7.0)를 사용하여 37 ℃에서 20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유산균을 고압 살균기에서 121 ℃ 온도로 30 분 동안 살균을 하였다. 살균 처리된 배양 유산균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접종하여 23 ℃ 호기적 조건에서 100 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재료혼합단계(S10) : 상기 유산균 접종 및 배양단계(T10)에 얻은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이용하되,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10 중량%, 송이버섯 10 중량%, 호박 7.5 중량%, 곡류 7.5 중량%, 채소 5.25 중량%, 식용유지 2.75 중량%, 정제염 1.55 중량%, 매실추출액 1.75 중량%, 정제수 53.7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가열단계(S20) :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100 ℃로 열을 가해 20분 동안 익혔다.
냉각단계(S30) :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3 ℃로 냉각하였다.
성형단계(S40) :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였다.
급속동결단계(S50) :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33 ℃로 3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건조단계(S60) :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5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50 ℃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포장단계(S70) :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갖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아 본 발명의 약선죽을 완성하였다.
[ 실시예 4] 능이버섯 , 송이버섯, 호박에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킨 후 울금을 더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제조방법의 실시예 4
유산균 접종 및 배양단계(T10) : 상기 유산균은 변형 영양 배지(5 g/L 소이톤, 5 g/L 비프 추출물 및 20 g/L 자일로오스, pH 7.0)를 사용하여 37 ℃에서 20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유산균을 고압 살균기에서 121 ℃ 온도로 30 분 동안 살균을 하였다. 살균 처리된 배양 유산균을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접종하여 23 ℃ 호기적 조건에서 100 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재료혼합단계(S10) : 상기 유산균 접종 및 배양단계(T10)에 얻은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이용하되,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8.5 중량%, 송이버섯 8.5 중량%, 호박 7.5 중량%, 곡류 7.5 중량%, 울금 7.5 중량%, 채소 5.25 중량%, 식용유지 2.75 중량%, 정제염 1.55 중량%, 매실추출액 1.75 중량%, 정제수 49.2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가열단계(S20) :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100 ℃로 열을 가해 20분 동안 익혔다.
냉각단계(S30) :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3 ℃로 냉각하였다.
성형단계(S40) :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였다.
급속동결단계(S50) :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33 ℃로 3시간 동안 동결시켰다.
건조단계(S60) :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5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50 ℃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포장단계(S70) :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갖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아 본 발명의 약선죽을 완성하였다.
[ 비교예 ]
본 발명의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비교예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조성물의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맵쌀과 찹쌀을 5:5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8배의 물에 1시간 동안 불려서 50 g의 죽용 쌀을 준비한다. 물 600 ml를 준비하여 죽용 액체를 준비한다. 부재료로 10 g의 당근과 20 g의 시금치를 5 mm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쌀눈을 0.5 g 준비한다.
죽용 쌀의 물기를 제거하고 냄비에 넣은 후 절구로 죽용 쌀을 살짝 으깨어 지도록 찧어준다. 죽용 액체 200 g을 이용하여 죽용 쌀과 쌀눈을 볶다가, 나머지 죽용 액체를 넣고 죽이 끓어오르면 불을 중불로 줄이고 가끔 저어가며 끓인다. 물의 양이 많이 졸아들면 당근과 시금치를 넣고 끓이다가, 1 g의 소금을 넣고 농도를 조절한 후에, 2 ml의 참기름을 얹어서 쌀눈 죽의 제조를 완료한다.
[ 시험예 1] 항암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 효과를 가지는 약선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죽을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죽을 열수 추출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항암동물실험은 약 15×15×15 ㎣ 크기로 자란 종양을 수술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다른 세포와 분리하였으며, 여러 번 세척하여 얻은 암세포를 2×105 cell/㎖의 농도로 만들어 실험동물의 겨드랑이에 0.1 ㎖씩 주사하여 암을 유발하였다. 암 이식 후 다음날부터 14일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죽을 100 ㎎/㎏의 용량으로 실험동물에게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구분 실시예 1의
추출물
실시예 2의
추출물
실시예 3의
추출물
실시예 4의
추출물
비교예의
추출물
종양 크기(㎣) 3821 3325 2359 2082 5482
암 부피
억제율(%)
30 39 57 62 1.2
종양 무게(g) 3.40 2.96 2.21 1.90 4.95
암 무게
억제율(%)
31 40 55 62 1.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과 비교예의 추출물을 비교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은 비교예의 추출물보다 종양크기 및 종양무게가 감소하였으며, 암 부피 억제율 및 암 무게 억제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추출물에서 종양크기 및 종양무게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암 부피 억제율 및 암 무게 억제율이 크게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항암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면역기능 증가효과 확인
본 발명의 약선죽의 면역기능 증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죽을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의 건조분말을 증류수에 녹여서 면역세포와 함께 시험관에 넣고 배양하여 면역세포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면역세포는 활성화되면 세포대사가 증폭되고, 세포가 분열되어 유전자(DNA)를 복제하게 되는데, 이때 배양액에 DNA의 전구물질의 하나인 티미딘(thymidine)에 동위원소(3H)를 표지하여 세포가 흡수한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여 면역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면역세포로는 실험용 생쥐의 비장 림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생쥐(C57BL/6 mouse)는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온도가 22 ±2℃, 습도가 55 ∼ 60%로 유지되며 명암이 12 시간씩 조절되는 표준사육 환경에서 생육하고, 고형사료와 물을 제한없이 공급하였다.
상기 생쥐의 비장 림프구를 얻기 위하여, 생쥐(C57BL/6 mouse)를 경추 탈구법으로 희생시킨 뒤, 복부를 절개하여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하고 멸균된 핀셋과 수술용 칼로 지분거려 생리식염수(HBSS)에 세포를 부유시켰다. 상기 비장세포 부유액을 2 분간 방치하여 부유되지 않은 세포 덩어리를 제거한 후, 암모늄 완충용액(Tris-NH4Cl용액)을 가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HBSS로 2 회 세척하여 비장 림프구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비장 림프구를 트라이판 블루(Trypan blue) 염색법으로 세포수를 측정한 후, 배양액으로 적정하게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의 건조분말을 증류수에 100 mg/ml 농도로 녹이고, 무균 상태로 적용하기 위하여 0.45 ㎛의 밀리포아 멤브레인(Millipore membrane)의 무균 여과지로 여과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면역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lymphocyte proliferation test), 먼저 생쥐의 비장 림프구를 소액 배양용 시험관(96-well microplate)에 2×105 개/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의 건조분말을 증류수에 희석시킨 용액을 첨가한 다음 세포배양기(CO2-incubater)에서 2 일 또는 3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웰당 1.5 μCi의 트리티움티미딘(3H-thymidine)을 첨가한 다음 4 시간 추가로 배양하였고, 세포수집기(cell harvester)로 세포를 수거하였다.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을 2.5 ㎖씩 첨가하여, 베타-신틸레이션 카운터(β-scintillation counter)로 세포가 흡수한 트리티움티미딘(3H-thymidine) 양을 분당 카운트 수(cpm)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분당 카운트 수(cpm)
실시예 1 3,570
실시예 2 4,650
실시예 3 5,800
실시예 4 6,870
비교예 1,50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보다 월등히 높은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를 보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분당 카운트 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면역기능 증가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3] 항산화 활성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 실시예 1 > 내지 < 실시예 4 >과 < 비교예 >에 의해 제조된 죽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 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5, 10, 20, 30 ppm)의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의 용액 2 ml를 접종하고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 시켰다. 그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약선죽에 의한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농도(%) 자유라디칼소거 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0 0 0 0 0 0
5 18.8 20.4 30.3 49.1 15.3
10 45.6 57.5 79.8 87.6 33.6
30 81.9 84.6 89.7 99.1 68.5
50 95.4 96.8 98.5 100 79.8
SC50 10.05 9.89 9.01 8.68 21.7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약선죽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가 비교예에서 제조된 죽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SC50은 유해 활성산소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을 말하며, 여기서 SC50은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를 50% 감소시키는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말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9)

  1.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에 곡류, 채소, 식용유지, 정제염, 매실추출액, 정제수를 포함시키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에 울금이 더 포함하되,
    상기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울금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5 내지 73.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은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5.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9 내지 78.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6. 가열탱크에 능이버섯 5 내지 15 중량%, 송이버섯 5 내지 15 중량%, 호박 5 내지 10 중량%, 울금 5 내지 10 중량%, 곡류 5 내지 10 중량%, 채소 0.5 내지 10 중량%, 식용유지 0.5 내지 5 중량%, 정제염 0.1 내지 3 중량%, 매실추출액 0.5 내지 3 중량%, 정제수 25 내지 73.4 중량%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재료혼합단계(S10);
    상기 재료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재료를 95 내지 110 ℃로 열을 가해 15 내지 30분 동안 익히는 가열단계(S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얻은 죽 속에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20 내지 30 ℃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
    상기 냉각단계(S30)에서 얻은 냉각된 죽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건조용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40);
    상기 성형단계(S40)에서 성형된 죽을 급속동결실에서 -40 내지 -30 ℃로 1 내지 5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급속동결단계(S50);
    상기 급속동결단계(S50)에서 급속동결된 죽을 0.1 내지 1.0 Torr의 진공도로 유지되는 진공동결건조기에서 1 내지 5 %의 수분 함량이 유지되도록 45 내지 55 ℃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
    상기 건조단계(S60)에서 건조되어 블럭형태 또는 후레이크형태를 가지는 죽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인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은 유산균으로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단계(T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KR1020140158520A 2014-11-14 2014-11-14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8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520A KR20160058270A (ko) 2014-11-14 2014-11-14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520A KR20160058270A (ko) 2014-11-14 2014-11-14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70A true KR20160058270A (ko) 2016-05-25

Family

ID=5611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520A KR20160058270A (ko) 2014-11-14 2014-11-14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8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24A1 (ko) * 2017-03-23 2018-09-27 우혜진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인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24A1 (ko) * 2017-03-23 2018-09-27 우혜진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인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857586B2 (en) 2017-03-23 2024-01-02 Hye Jin WOO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ynecological diseases containing Sarcodon aspratu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8242A (zh) 一种复合蔬菜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10122744A (zh) 一种藜麦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4649817A (zh) 一种鸡腿菇专用培养基
KR101855421B1 (ko) 약리작용을 가진 농산물과 곡물균사체가 혼합되어 발효된 발효 선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942507B (zh) 一种全价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213973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1077A (ko) 버섯 함유 양갱과 그 제조방법
KR101214935B1 (ko) 오메가-3 함유 팽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20180109357A (ko) 발효 닭가슴살을 이용한 저지방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945207B1 (ko)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4528A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20130010775A (ko) 항산화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21807A (ko) 곡물도정 부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조성물과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793230B1 (ko) 미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58270A (ko) 능이버섯, 송이버섯, 호박을 함유하는 항암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선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5274B1 (ko) 홍삼환청국장 제조방법
CN103766758A (zh) 一种土豆糯米糕及其制作方法
CN107897719B (zh) 一种纳豆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73279B1 (ko) 버섯이 함유된 수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프
KR20070095592A (ko) 인삼청국장, 인삼가루청국장. 및 인삼환청국장 그제조방법
CN109699715A (zh) 一种樱玫桑果馅料及其制备方法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Saibhavani et al. Chapter-7 role of traditional foods for immunity boosting
KR101508720B1 (ko) 천마 및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간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