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054A - 도어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폐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7054A KR20160057054A KR1020140157496A KR20140157496A KR20160057054A KR 20160057054 A KR20160057054 A KR 20160057054A KR 1020140157496 A KR1020140157496 A KR 1020140157496A KR 20140157496 A KR20140157496 A KR 20140157496A KR 20160057054 A KR20160057054 A KR 201600570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ixing
- unit
- fir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 주변의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문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법이 쉽고, 나아가 화재감지부로서, 제조단가가 낮고, 제품수리가 용이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틀 주변의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문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법이 쉽고, 나아가 화재감지부로서, 제조단가가 낮고, 제품수리가 용이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도어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이상의 건물은 건축 관련 규정에 따라 피난로에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방화문은 화재발생시 화재의 열 또는 연기가 화재구역에서 인접구역 또는 계단실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막고,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는 화재시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이러한 방화문에는 도어클로저가 설치되어 일시적으로 열린 경우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에 의해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되어 있으며, 학교의 복도나 계단처럼 학생의 통행이 빈번하여 평상시 방화문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는 방화문에 방화문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시 방화문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고 있다.
학교의 경우는 상당수 방화문에 방화문자동폐쇄장치의 일종인 방화용도어클로저가 설치되어 있다.
방화용도어클로저는 도어클로저의 링크암에 도어클로저의 구동축을 구속하는 저온용융성금속소재의 휴즈블링크가 설치된 구조로서, 화재시 열에 의해 휴즈블링크가 녹으면 도어클로저의구동축이 해정되고, 도어클로져의 폐쇄력에 의해 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이다.
방화용도어클로저는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방화문에 많이 설치되어 있다.
문제는 방화용도어클로저는 도어클로저의 링크안의 회전축을 구속하는 방식이어서 구속력이 약하고, 여닫음이 빈번한 문의 경우는 구속장치가 쉽게 고장 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효성의 문제(화재시 신속하게 문을 닫지 못함)로 관련 규정이 개정되면서 더 이상 설치할 수 없게 되었다.
※ 관련 규정: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개정된 규정에 따른 방화문자동폐쇄장치는 화재감지기에 연동하는 구조이어야 하는데, 방화용도어클로저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설치과정이 복잡하다.
이러한 이유로 방화용도어클로저가 고장나도 수리하지 않고 방치하여 소방점검에 적발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화재감지기능 및 배터리가 내장된 방화문자동폐쇄장치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8979호)
이 제품은 문틀에 설치되어 도어클로저의 링크암을 구속 또는 해정하는 기증을 가진 본체에 화재감지기능 및 밧데리 등을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본체에 너무 많은 기능을 포함시켜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문틀 주변의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문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음과 더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법이 쉽고, 나아가 화재감지부로서, 제조단가가 낮고, 제품수리가 용이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도어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문틀의 내측에 구비된 개방된 상태인 도어와 접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개방유지부와; 상기 도어개방유지부의 도어개방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문틀의 내측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되는 방화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와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부고정날개판과 하부고정날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날개판과 상기 하부고정날개판 사이에 상기 지지부의 후측이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날개판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 상부 및 상기 하부고정날개판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 하부에 각각 서로 맞물림결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축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생태로 유지시키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감지하는 홀더부재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축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생태로 유지시키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감지하는 홀더부재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홀더부재의 타측에 상기 도어와 접하는 자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홀더부재의 타측에 상기 도어와 접하는 흡착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전측관통구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부재와 함께 상기 슬리브는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도어의 폐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부를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화재감지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의 하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후측관통구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화재감지부를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화재감지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대의 하부를 수직관통하는 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상기 고정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상기 축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부는 단독경보형감지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문틀 주변의 벽체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문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음과 더불어 도어개방유지부의 구동부재 및 배터리의 용량이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법이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감지부로서, 제조단가가 낮고, 제품수리가 용이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화재감지부의 화재감지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개방유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어개방부와 화재감지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문틀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수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자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벽체와 화재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개방유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어개방부와 화재감지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문틀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수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자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벽체와 화재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0), 고정부(20), 도어개방유지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사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0)는 문틀(도 11의 2)의 전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문틀(2)의 상부 전면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문틀(2)의 내측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된 도어 (도 5의 21)의 여닫이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상기 문틀(2)에 고정되면 족하다.
상기 고정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210)과 고정날개판(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210)은 상기 문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판(220)은 상부고정날개판(221)과 하부고정날개판(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은 상기 고정판(210)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2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날개판(222)은 상기 고정판(21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판(2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과 상기 하부고정날개판(222) 사이에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이 축부재(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는 고정볼트(51)와 너트(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는 상기 하부고정날개판(222)의 중심부, 상기 지지부(10)의 후측 중심부 및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의 중심부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2)는 상기 고정볼트(5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의 하부면 중심부와 상기 지지부(10)의 후측 상부면 및 상기 하부고정날개판(222)의 상부면 중심부와 상기 지지부(10)의 후측 하부면 중심부에는 서로 맞물림결합되는 기어치(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52)의 조임력이 커질수록 상기 상부고정날개판(221)과 상기 하부고정날개판(222)이 상기 지지부(10)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맞물림 된상태로 결합되는 상기 기어치(7)의 결합력이 점차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이 좌우회전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는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문틀(2)의 내측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된 개방된 상태인 도어(21)와 면접촉하여 상기 도어(21)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문틀(2)의 내측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된 상기 도어(21)는 출입을 위한 여닫이식 도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판부재(310), 구동부재(320), 홀더부재(330) 및 홀더부재 감지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는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는 상기 지지부(10)의 전측 하부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부재(3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11)는 고정볼트(311a)와 너트(3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11a)는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가 보다 원활하게 정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와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어개방유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다.
상기 회전판부재(31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자리에서 정역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너트(311b)는 상기 고정볼트(311a)의 상부에 느슨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하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20)는 구동모터(321)와 기어박스(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1)의 전측에 상기 기어박스(322)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330)의 일측은 상기 구동부재(320)의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330)의 타측은 개방된 상태인 도어(21)의 외면과 접합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330)의 타측내에는 금속재질의 상기 도어(21)와 접하는 자력부재(331)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가 제자리에서 정역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홀더부재(330)의 타측과 상기 자력부재(331)는 상기 도어(21)와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홀더부재(330)의 타측내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금속재질의 상기 도어(21)와 접하는 흡착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는 상기 축부재(311)의 고정볼트(311a)가 수직관통하는 전측관통구(100)가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어개방부와 화재감지부가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가령,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와 벽체(1)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10)가 상기 벽체(1)의 전방방향으로 전후연장된 경우, 상기 축부재(311)의 고정볼트(311a)는 복수의 상기 전측관통구(100) 중 어느 하나를 수직관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가 상기 지지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도어(21)와 상기 도어개방부(30)의 홀더부재(330)의 타측과 상기 자력부재(331)의 면접촉지점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가 상기 벽체(1)와 멀어질수록 상기 도어(21)를 개폐시키는 사용자는 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홀더부재(3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가 상기 벽체(1)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도어(21)를 개폐시키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홀더부재(3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3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320)의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320)의 기어박스(322)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홀더부재(33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340)로서, 상기 홀더부재(330)와 접하여 상기 홀더부재(330)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홀더부재(330)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도어개방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21)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회전판부재(310)의 하부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3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320)의 구동모터(32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50) 또는 상기 도어(21)의 폐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도 10의 60)가 구비되거나 상기 화재감지부(50)와 상기 타이머(60) 모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부(50)로서,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화재감지부(50)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제품승인을 받고, 시중에서 저렴한 가격에 유통되고 있으며,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의 수명 또한 10년정도로 반영구적일 뿐만 아니라 음향경보기능 및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의 감시기능을 내장한 연동형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동형 단독경보형 감지기에는 상기 연동형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고장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누름동작하는 점검버튼(510)이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가 상기 점검버튼(510)이 누름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연동형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60)는 보다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겠으나, 일예로, 상기 제어부(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화재감지부(50)의 감지신호와 방범을 위해 상기 타이머(60)에 설정된 상기 도어(21)의 폐쇄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구동부재(320)의 구동모터(321)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부(50)를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의 상부에는 상기 화재감지부(5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는 상기 고정대(7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는 고정부재(80)에 의해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2개의 고정볼트(810)와 2개의 너트(820)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고정볼트(810)는 상기 지지부(10)의 후측과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를 일정간격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2개의 상기 너트(820)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의 후측에는 상기 고정부재(80)의 2개의 고정볼트(810)가 각각 수직관통하는 후측관통구(101)가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는 상기 문틀(2)의 상부 주변 벽체(1)를 타고 흐르기 때문에 상기 화재감지부(50)는 최대한 상기 문틀(2)의 상부 주변 벽체(1)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문틀(2)의 상부 주변 벽체(1)를 타고 흐르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대(70)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80)의 2개의 상기 고정볼트(810)는 복수의 상기 후측관통구(101) 중 2개의 상기 후측관통구(101)를 각각 수직관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어 폐쇄장치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는 슬리브(300), 상기 회전판부재(310), 상기 구동부재(320), 상기 홀더부재(330) 및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300)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300)는 상기 지지부(10)의 전측에 고정부재(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리브(300)는 상기 회전판부재(310)와 함께 작업자에 의해 상기 지지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9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어개방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부재(90)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슬리브(30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의 전측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는 상기 슬리브(300)의 하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부재(3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11)는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의 전측 하부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310)가 보다 원활하게 정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300)의 하부와 상기 회전판부재(310)의 상부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문틀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수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도어(21)의 폐쇄를 위해 수동으로 직접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홀더부재(330)로부터 상기 도어(2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어개방유지부로부터 도어가 자동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부(50)가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거나 상기 타이머(60)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어부(40)에 내장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부(410)의 전원을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구동모터(321)로 공급하여 상기 구동모터(321)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이 정역회전하도록하여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으로부터 상기 홀더부재(3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으로부터 상기 홀더부재(330)가 분리되면 상기 도어(21)는 공지된 도어클로저(도 11의 211)에 의해 자동폐쇄될 수 있다.
연동형 단독경보형 감지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화재감지부(50)가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할 경우 상기 화재감지부(50)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322)의 회전축(322a)으로부터 상기 홀더부재(330)가 완전분리되어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340)가 상기 홀더부재(33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2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구동모터(321)이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70)의 상부에 상기 화재감지부(50) 또는 상기 타이머(60)가 고정되거나 상기 화재감지부(50)와 상기 타이머(60) 모두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를 수직관통하는 상기 축부재(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의 고정볼트(51)는 상기 고정부(20)의 하부고정날개판(222), 상기 지지부(10)의 후측, 상기 고정부(20)의 상부고정날개판(221) 및 상기 고정대(7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의 너트(52)는 상기 고정볼트(201)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70)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벽체와 화재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화재감지부(50)가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문틀(2)의 상부 주변 벽체(1)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7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대(7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710)내에 상기 축부재(5)의 고정볼트(51)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는 상기 가이드슬릿(710)을 따라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7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문틀(2) 주변의 벽체(1)를 훼손하지 않고 상기 문틀(2)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음과 더불어 상기 도어개방유지부(30)의 구동부재(320) 및 제어부(40)에 내장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부(410)의 용량이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법이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부(50)로서, 제조단가가 낮고, 제품수리가 용이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화재감지부(50)의 화재감지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지지부,
20; 고정부,
30; 도어개방유지부, 40; 제어부.
30; 도어개방유지부, 40; 제어부.
Claims (18)
-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문틀의 내측에 구비된 개방된 상태인 도어와 접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개방유지부와;
상기 도어개방유지부의 도어개방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문틀의 내측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되는 방화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와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부고정날개판과 하부고정날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날개판과 상기 하부고정날개판 사이에 상기 지지부의 후측이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날개판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 상부 및 상기 하부고정날개판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측 하부에 각각 서로 맞물림결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 하부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축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생태로 유지시키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감지하는 홀더부재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하부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축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회전판부재와;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축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생태로 유지시키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감지하는 홀더부재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부재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타측에 상기 도어와 접하는 자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타측에 상기 도어와 접하는 흡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상기 축부재가 관통하는 전측관통구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부재와 함께 상기 슬리브는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도어의 폐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의 감지신호 및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를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화재감지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의 하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후측관통구가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를 상기 지지부의 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화재감지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의 하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고정대의 하부를 수직관통하는 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상기 고정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상기 축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단독경보형감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폐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496A KR101736546B1 (ko) | 2014-11-13 | 2014-11-13 | 도어 폐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496A KR101736546B1 (ko) | 2014-11-13 | 2014-11-13 | 도어 폐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7054A true KR20160057054A (ko) | 2016-05-23 |
KR101736546B1 KR101736546B1 (ko) | 2017-05-17 |
Family
ID=561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7496A KR101736546B1 (ko) | 2014-11-13 | 2014-11-13 | 도어 폐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5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221Y1 (ko) * | 2017-02-22 | 2018-08-27 | 윤선웅 | 창문 자동 개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6238B2 (ja) | 1991-07-17 | 2000-03-27 | 三菱東京製薬株式会社 | 新規な4−メトキシ−2−(2−テトラヒドロピラニルオキシメチル)ピリジ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中間体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KR200307192Y1 (ko) * | 2002-12-09 | 2003-03-12 | 원희섭 | 도어클로우져 |
JP2007303184A (ja) * | 2006-05-12 | 2007-11-22 | Tsuchikawa Zenji | 折り戸開閉装置 |
-
2014
- 2014-11-13 KR KR1020140157496A patent/KR10173654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221Y1 (ko) * | 2017-02-22 | 2018-08-27 | 윤선웅 | 창문 자동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6546B1 (ko) | 201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2100B1 (en) | Door warning system | |
US20060049938A1 (en) | Warning unit | |
AU2135499A (en) | Fire door operator | |
KR101736546B1 (ko) | 도어 폐쇄장치 | |
KR101021339B1 (ko) |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 |
JP4835133B2 (ja) |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 |
CA3060795A1 (en) | Automatic emergency door closure | |
KR20080093729A (ko) |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 |
KR100576807B1 (ko) |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 |
KR200410354Y1 (ko) |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 |
JP5294823B2 (ja) | 開閉体装置 | |
CN207158565U (zh) | 一种消防电梯轿厢内爬梯装置 | |
US7122987B2 (en) | Safety garage door | |
CN109621268A (zh) | 一种带有预警功能的消防器材放置箱 | |
JP2004324333A (ja) | 規制用可動安全柵 | |
KR200458979Y1 (ko) |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 |
KR101690242B1 (ko) | 베벨기어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 |
KR102671903B1 (ko) | 안전도어손잡이 | |
KR102421191B1 (ko) |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 |
KR200279145Y1 (ko) | 방화문 | |
JP2012132178A (ja) | 開閉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 |
KR102421188B1 (ko) |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 |
KR102121370B1 (ko) | 자동 멈춤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선풍기 | |
JPH066852B2 (ja) | 電動ガレ−ジ扉 | |
CN221487100U (zh) | 一种消防电源用消防应急电源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