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92Y1 - 도어클로우져 - Google Patents

도어클로우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92Y1
KR200307192Y1 KR20-2002-0036724U KR20020036724U KR200307192Y1 KR 200307192 Y1 KR200307192 Y1 KR 200307192Y1 KR 20020036724 U KR20020036724 U KR 20020036724U KR 200307192 Y1 KR200307192 Y1 KR 200307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drive motor
lin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원희섭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희섭, 이동명 filed Critical 원희섭
Priority to KR20-2002-0036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내의 화재나 가스누출시에 연기나 가스, 온도 등이 감지되면 비상통로나 피난구 등에 설치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거나 닫힌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화재 및 가스누출 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클로우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클로우져는,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와, 상기한 장력발생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고정구조물에 설치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부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이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한 링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와, 상기한 구동모터 및 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클로우져{door-closer}
본 고안은 도어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내의 화재나 가스누출시에 연기나 가스, 온도 등을 감지하여 비상통로나 피난구 등에 설치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화재 및 가스누출 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클로우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클로우져(door closer)는 건축물의 여닫이형태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어 축적된 회전장력과 링크절운동으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부드럽게 하고 특히, 항상 도어가 닫힌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도어클로우져는 도어의 일측과 이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면에서 소정의 링크동작이 행해지면서 도어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한 도어클로우져의 장력발생부재로는 주로 코일스프링이나 유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에서 장력발생부재가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클로우져는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상기한 유압식 도어클로우져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장력부재로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도어클로우져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래크가 형성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내측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상기한 케이스 일측면에 지지되는 장력발생부재와, 상기한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한 슬리브의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설치된 제1링크로드와, 이 제2링크로드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도어와 인접한 벽면에 고정되는 제2링크로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어클로우져는 도어를 열게되면 상기한 링크로드들이 서로 링크동작되면서 상기한 제1링크로드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로드에 설치된 피니언기어가 래크와 치합되면서 상기한 슬리브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된 장력발생부재 즉,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더욱 증대되어 상기한 도어를 개방시킨 후 별도의 차단동작을 행하지 않고도 상기한 탄성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도어클로우져는 단순하게 일정한 장력으로 도어를 차단시키는 구조로만 이루어져서 부가적인 기능구현에 의한 상품성을 향상시키기에는 구조상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도어클로우져는 도어의 닫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건축물 내부의 화재나 가스누출시에 연기나 가스의 누출구역이 더욱 확대될 수 있으며, 특히 비상통로 등에 연기나 가스 등이 유입되면 통로의 이용이 어렵게 되므로 대형의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더욱 향상된 도어의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내의 화재나 가스 누출시에 도어의 차단력을 더욱 향상시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부가적인 방범 및 보안효과도 얻을 수 있는 도어클로우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와, 상기한 장력발생부에 일측단이연결되고 타측단은 고정구조물에 설치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부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이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한 링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와, 상기한 구동모터 및 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가 건축물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장력발생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클로우져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장력발생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장력발생부가 작동되어 도어가 차단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평단면도.
도 7은 도 3의 클러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클러치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는, 도어(D)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4)와, 상기한 장력발생부(4)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고정구조물에 설치되는 링크부(6)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부(6)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8)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한 케이스(2)와 장력발생부(4), 링크부(6)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케이스(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가 일련의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일측이 라운드진 단면을 가지며 장방형(長方形)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도어(D)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케이스(2)의 일측면에는 이 케이스(2)가 도어(D)에 원활하게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10)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0)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12)들이 뚫려진다.
상기에서는 케이스(2)의 재질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벼우면서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장력발생부(4)는, 상기한 케이스(2)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14)와, 이 슬리브(14)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6)를 포함한다.
상기한 슬리브(14)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한 케이스(2) 내측에서 이동가능한 길이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슬리브(14)의 내측에는 탄성부재(1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8)이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0)에 끼워져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도 4참조)
상기한 슬리브(14)의 재질은 상기한 케이스(2)와 동일한 재질 즉, 알루미늄 또는 황동과 같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이면 더욱 좋다.
상기한 슬리브(14)의 외주면에는 이 슬리브(14)의 길이방향으로 평판기어 즉, 랙기어(22)가 형성되며, 이 랙기어(22)는 상기한 케이스(2)의 슬라이드홈(20) 일측에 형성된 보조홈(24)을 향해 돌출되도록 셋팅된다.
상기한 슬리브(14)의 가이드홈(18)에는 탄성부재(16)가 설치되는데, 이 탄성부재(16)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한 슬리브(14)의 가이드홈(18) 내측에 삽입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은 상기한 슬리브(14)의 가이드홈(18)에 일측단이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한 슬라이드홈(20)의 일측벽에 지지되도록 셋팅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탄성부재(16)는 도어(D)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한 슬리브(14)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링크부(6)에 의해 도어(D)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 한다.
상기한 탄성부재(16)의 탄성력이 너무 작으면 도어(D)의 차단효과가 저하되고 상기한 탄성부재(16)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상기한 링크부(6)에 과다한 회전력이 전달되어 도어(D)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케이스(2)에는 상기한 장력발생부(4)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도어(D)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링크부(6)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링크부(6)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링크부(6)는, 회전로드(26)와, 이 로드(26)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한 케이스(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링크로드(28)와, 이 제1링크로드(2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로드(30)를 포함한다.
상기한 회전로드(26)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스(2)에서 이 케이스(2) 내부에 설치된 슬리브(14)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에 설치되는 회전로드(26)는 상기한 케이스(2)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뚫려진 지지홀(32)들에 끼워져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홀(32)들에는 부시(B1)와 같은 축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한 회전로드(2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부시(B1)가 설치되면 상기한 회전로드(26)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 및 지지됨은 물론 상기한 회전로드(26)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지지홀(32)들의 보스부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로드(26)에는 이 로드(26)의 회전시에 상기한 슬리브(1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34)가 설치되며, 이 피니언기어(34)는 상기한 회전로드(2)에서 상기한 슬리브(14)의 랙기어(22)와 치합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로드(26)와 슬리브(14)가 피니언기어(34)와 랙기어(22)로 연결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도어(D)의 개방동작에 의해 상기한 회전로드(26)가 회전하여 이 로드(26)의 피니언기어(34)가 상기한 슬리브(14)의 랙기어(22)와 치합되면서 상기한 슬리브(14)가 일방향 즉, 탄성부재(16)가 길이방향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한 탄성부재(16)의 반발력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도어(D)의 개방동작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한 탄성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슬리브(14)가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면서 상기한 회전로드(26)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도어(D)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링크로드(28) 및 제2링크로드(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로드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서는 이들 링크로드(28,30)들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구조 즉, 메인로드의 양측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리드각을 가지는 나사축들이 나사결합되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구조로 연결되는 제1링크로드(28)의 일측단은 상기한 회전로드(26)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한 제2링크로드(30)의 일측단은 도어(D)와 인접한 벽면(W)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트(3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링크로드(28)와 제2링크로드(30)는 도어(D)의 개방동작시에 상기한 회전로드(26)의 피니언기어(34)가 랙기어(22)와 치합되면서 상기한 슬리브(14)가 탄성부재(16)의 반발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링크동작이 이루어지게 셋팅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링크로드(28) 및 제2링크로드(30)가 각각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한 케이스(2)의 슬라이드홈(20)에 설치되는 슬리브(14)의 셋팅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탄성부재(16)의 탄성력이 저하되더라도 상기한 제1링크로드(28) 및 제2링크로드(30)의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기한 슬리브(14)의 셋팅위치를 조절하여 상기한 탄성부재(16)의 장력이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셋팅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2)의 일측에는 구동부(8)가 설치되어 상기한 링크부(6)의 회전로드(26)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부(8)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구동부(8)는, 구동모터(M)와, 이 구동모터(M)의 동력을 상기한 링크부(6)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C)와, 센싱에 의해 상기한 구동모터(M) 및 클러치부(C)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싱부재(S)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동모터(M)는 전동 기어드모터(electric 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어드모터는 전동기와 감속장치가 하나로 조합된 것으로서 일정한 감속비율로 감속되어 출력축을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므로서 일정한 토우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모터축에 회전토우크가 전달되어도 모터축이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동모터(M)는 상기한 케이스(2)의 일측면에 설치된 후 외부로 과다하게 돌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소형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링크부(6)의 회전로드(26) 선단부에 대응하여 동일한 축선상에서 클러치부(C)를 사이에 두고 상기한 케이스(2)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케이스(2) 내부에는 상기한 구동모터(M)축과 회전로드(26) 사이에서 상기한 모터(M) 축의 회전토우크를 상기한 회전로드(26)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부(C)가 설치된다.
상기한 클러치부(C)는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2) 하측면에서 일정한 공간부가 제공되는 보조케이스(2a) 내부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클러치부(C)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드럼(38)과, 이 마그네틱드럼(38)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M)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디스크(40)와,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한 입력디스크(40)의 동력을 상기한 링크부(6)로 출력하는 출력디스크(42)를 포함한다.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베어링(B2)과 같은 축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이 베어링(B2)의 내륜에 구동모터(M) 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관통될 수 있다.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의 외주연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태로 코일이 감겨진다.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의 일측면에는 이 디스크(38)의 자력에 의해 상기한 구동모터(M)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입력디스크(40)가 배치되는데, 이 입력디스크(40)는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에 대응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상기한 구동모터(M) 축이 관통하는 가이드홀(44)이 뚫려진다.
상기한 입력디스크(40)의 가이드홀(44)은 상기한 구동모터(M)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가이드홀(44)에는 키이홈(47)이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모터(M) 축에는 키이부재(46)가 설치되어 이들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상기한 입력디스크(40)가 상기한 구동모터(M)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자력이 발생되면 상기한 가이드홀(44)의 키이홈(47)에 의해 구동모터(M) 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한 출력디스크(42)와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한 출력디스크(42)에 전달하게 된다.(도 8참조)
상기에서는 입력디스크(40)의 가이드홀(44)과 구동모터(M) 축이키이부재(46)에 의해 끼움결합된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구동모터(M) 축과 가이드홀 (44)이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형태로 끼움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끼움결합 구조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입력디스크(40)의 재질은 일정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구비되고 상기한 마그네틱드럼(38)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출력디스크(42)는 상기한 보조케이스(2a) 내측에서 상기한 입력디스크(4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로드(26)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한 입력디스크(40)에 대응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출력디스크(42)는 상기한 회전로드(26) 선단부와 끼움결합 또는 세트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회전로드(26) 선단에 결합된 고정디스크(48)에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상기한 회전로드(2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셋팅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출력디스크(42)의 일측면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입력디스크(40)와 접촉할 때에 일체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 표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셋팅되는 출력디스크(42)는 상기한 입력디스크(40)와 일정한 이격거리(L)를 가지며 셋팅되는데, 이 이격거리(L)는 상기한 입력디스크(40)에 의해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상기한 이격거리(L)가 너무 가깝게 셋팅되면 상기한 출력디스크(42)가 회전로드(26)에 의해 자유회전할 때에 상기한 입력디스크(40)와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D)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상기한 이격거리(L)가 너무 멀게 셋팅되면 상기한 입력디스크(40)가 자력에 의해 구동모터(M) 축을 따라 출력디스크(42)를 향해 과다하게 이동하여야 하므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출력디스크(42)가 입력디스크(40)와 직접 접촉하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한 출력디스크(42)에 별도의 마찰디스크(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를 설치하여 이 마찰디스크가 상기한 입력디스크(40)와 접촉하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별도의 마찰디스크를 설치하면 상기한 출력디스크(42)와 입력디스크(40)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M)와 클러치부(C)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보조케이스(2a)의 일측에는 센싱부재(S)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 센싱부재(S)는 외부의 유해가스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허용범위 이상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로 보내서 이 제어부를 통해 상기한 구동모터(M) 및 클러치부(C)가 작동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싱부재(S)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서 제어부로부터 구동모터(M)나 클러치부(C)의 구동이 제어되는 전기적 연결구조는 해방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구동부(8)가 센싱부재(S)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가 원격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센싱부재(S)가 상기한 보조케이스(2a)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건축물의 복도나 비상통로, 계단 등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건축물의 구조를 감안하여 최적의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는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는 건축물의 도어(D, 예를들면, 비상문이나 방화문 등)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나 가스 누출시에 연기나 가스, 온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에 감지신호가 보내지면 이 제어부가 상기한 구동부(8)를 다음과 같이 작동시킨다.
먼저, 상기한 센싱부재(S)의 센싱에 의해 클러치부(C)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 클러치부(C)의 마그네틱드럼(38)에 자력이 발생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한 입력디스크(40)가 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한 출력디스크와(42) 접촉하면서 상기한구동모터(M) 축의 회전력을 상기한 회전로드(26)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M) 축이 회전하게 되면 이 구동모터(M)의 회전력이 상기한 입력디스크(40)를 통해 출력디스크(42)로 전달되면서 회전로드(2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구동모터(M) 축의 회전방향은 상기한 회전로드(26)에 의해 상기한 제1링크로드(28) 및 제2링크로드(30)에 의해 도어(D)가 차단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셋팅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해 상기한 회전로드(26)가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로드(26)에 연결된 제1 및 제2링크로드(28,30)들이 링크동작되면서 도어(D)가 강제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도 6참조)
이때, 상기와 같이 구동부(8)에 의해 도어(D)가 차단된 후 구동모터(M)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동모터(M)가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져서 역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도어(D)가 물리적인 외력에도 개방되지 않고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구동부(8)가 화재나 가스누출시에 상기한 센싱부재(S)에 의해 허용범위 이상의 연기나 가스, 온도 등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면서 도어(D)를 차단시키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한 케이스(2)의 내측에서 도어(D)의 개폐동작시에 직선운동이나 회전운동을 하는 슬리브(14) 또는 회전로드(26)들의 물리적인 동작을 감지하는 보조센서(S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보조센서(S1)는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이외에도 이미 잘 알려진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보조센서(S1)는 상기한 회전로드(26)나 슬리브(14)의 동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도록 셋팅되며, 이때, 상기한 제어부는 보조센서(S1)에 의해 센싱신호가 인가되면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부(8)를 작동시켜서 도어(D)를 강제로 차단하거나 시각이나 청각을 통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고등이나 비상벨 등이 작동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4)나 회전로드(26)의 동작을 감지하는 보조센서(S1)가 설치되어 센싱을 행하게 되면, 화재나 가스누출 외에도 야간시에 도어(D)의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침입자 또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도어(D)가 개방될 때에 이를 강제로 차단하게 되므로 부가적인 방법 및 보안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우져는 건축물내의 화재나 가스누출시에 이를 감지하여 도어를 강제로 차단시켜서 화재구역이나 가스누출 구역의 확대를 방지하여 대형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서 부가적인 방범(防犯) 및 보안(保安)효과를 얻을수 있다.

Claims (3)

  1.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와, 상기한 장력발생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고정구조물에 설치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부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이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한 링크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와, 가스, 연기,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싱부재로 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 및 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클러치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드럼과, 이 마그네틱드럼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입력되는 입력디스크와, 상기한 마그네틱드럼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한 입력디스크의 접촉 또는 분리동작에 의해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한 링크부로 출력하는 출력디스크를 포함하는 도어클로우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도어클로우져는, 도어의 개폐동작을 센싱하는 보조센서를 더 포함하고 이 보조센서는 상기한 케이스에서 장력발생부, 링크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져.
KR20-2002-0036724U 2002-12-09 2002-12-09 도어클로우져 KR200307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24U KR200307192Y1 (ko) 2002-12-09 2002-12-09 도어클로우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24U KR200307192Y1 (ko) 2002-12-09 2002-12-09 도어클로우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740A Division KR20040050126A (ko) 2002-12-09 2002-12-09 도어클로우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92Y1 true KR200307192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724U KR200307192Y1 (ko) 2002-12-09 2002-12-09 도어클로우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343A (ko) * 2015-05-03 2016-11-11 박준우 자동 폐쇄 장치
KR101728297B1 (ko) 2016-07-13 2017-04-19 이현구 자동 도어 개폐장치
KR101736546B1 (ko) * 2014-11-13 2017-05-17 박환영 도어 폐쇄장치
KR101761661B1 (ko) 2016-04-26 2017-07-26 (주) 금강씨에스 소방용 방화문 자동 구속장치
KR20200109526A (ko) 2019-03-13 2020-09-23 최용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KR20230116151A (ko) 2022-01-27 2023-08-04 주식회사 도어즈 피동축이 중앙에 배치된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546B1 (ko) * 2014-11-13 2017-05-17 박환영 도어 폐쇄장치
KR20160130343A (ko) * 2015-05-03 2016-11-11 박준우 자동 폐쇄 장치
KR101692149B1 (ko) 2015-05-03 2017-01-02 박준우 자동 폐쇄 장치
KR101761661B1 (ko) 2016-04-26 2017-07-26 (주) 금강씨에스 소방용 방화문 자동 구속장치
KR101728297B1 (ko) 2016-07-13 2017-04-19 이현구 자동 도어 개폐장치
KR20200109526A (ko) 2019-03-13 2020-09-23 최용환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KR20230116151A (ko) 2022-01-27 2023-08-04 주식회사 도어즈 피동축이 중앙에 배치된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389B2 (en) Line belt driven retrofittable door opener, system, and method of retrofitting thereof
US4403449A (en) Gate-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CA2651270C (en) Overhead door locking operator
US7246647B2 (en) Overhead door locking operator
CA3022938C (en) Pet door system having semi-flexible pet door
KR101018205B1 (ko) 차량 가동 파티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960011190A (ko) 클러치 제어를 가지는 위치 조정
US20200011131A1 (en) Pet door system having semi-flexible pet door
CA2626845A1 (en) Device for monitoring motion of a movable closure
KR200307192Y1 (ko) 도어클로우져
KR101841357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0899783B1 (ko) 도어체크의 분리형 방화문 폐문장치
KR20040050126A (ko) 도어클로우져
KR102247217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자동 개폐장치
KR102277140B1 (ko) 와이어 텐션이 유지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KR200307825Y1 (ko) 도어 개폐제어장치
KR102137022B1 (ko) 여닫이 자동문
AU2008250340B2 (en) Roller Door Drive Assembly
US20210214973A1 (en) Planetary gearbox system
JP2007211452A (ja) ドア開閉装置
KR100205790B1 (ko) 버티컬 타입 브라인드와 이의 구동장치
KR20050001690A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ITMI982748A1 (it) Apparecchiatura antiintrusione per la protezione particolarmente diappartamenti e simili
KR200251733Y1 (ko) 여닫이식 자동문
IT9011724U1 (it) Porta antirapina autogestita con tornello girevole automaticamente e manual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