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354A -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354A
KR20160056354A KR1020140155396A KR20140155396A KR20160056354A KR 20160056354 A KR20160056354 A KR 20160056354A KR 1020140155396 A KR1020140155396 A KR 1020140155396A KR 20140155396 A KR20140155396 A KR 20140155396A KR 20160056354 A KR20160056354 A KR 2016005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agnitude
electrode
unit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354A/ko
Publication of KR2016005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는,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을 감압하여 제1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A STERILIZED WATER CREATION DEVICE, BIDE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수준이 높아져서 음용수뿐만 아니라 세정수 등 일반 생활용수 등에서도 더 깨끗한 것을 원하거나 고품질 용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용수의 정수 및 살균에 대한 관심이 커져 다양한 정수 및 살균 작용을 하는 장치가 게시되어 있는바, 일반적으로 정수 작용은 여러가지 다양한 필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살균 작용은 주로 염소계로 대표되는 화학적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오존, 자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살균장치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살균장치는 화학적 살균제를 사용하는 경우 살균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살균을 하기 때문에 여과공정을 부가적으로 실시해야 되며, 살균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존이나 자외선 등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물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이온을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로 이용하는 살균수 제조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다만, 상기 전기분해방식의 경우, 물속에 포함된 TDS(Total Dissolved Solids) 즉, 총용존고형물의 양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물 속에 포함된 TDS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TDS의 농도가 높을 때에는 상기 살균수 제조장치 내부에 과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살균수 제조장치 내 트랜지스터 등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물을 저장하여 살균수를 제조하는 저탕식 살균수 제조장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입력전원의 듀티비를 제어함으로써 전기분해전류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듀티비 제어에 의한 전기분해전류의 크기 조절하는 살균수 제조 장치는 낮은 듀티비부터 듀티비를 제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직수식 살균수 제조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어 TDS가 높은 물이 공급되면, 갑자기 전류가 상승하게 되어 부품이 파손될 수 있으며, 갑자기 높은 전류를 소모하게 되므로, 전원을 공유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이 순간적으로 부족하게 되어, 상기 장치가 리셋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살균수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61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극에 제공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원공급부에 입력전압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물속에 함유된 총용존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 과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는,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을 감압하여 제1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입력전압을 감압하여 상기 제1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감지된 전기분해전류의 크기를 기준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기분해전류의 크기가 상기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컨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1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1 피드백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버터부는,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입력전원이 제공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2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2 피드백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은, 이산화이리듐(IrO2)과 탄탈륨(Ta)의 합금을 재료로 하는 양전극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SUS(Steel Use Stainless)를 재료로 하는 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는,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을 감압하여 제1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1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1 피드백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컨버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입력전원이 제공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 제어방법은,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제1 전압으로 감압하여 전극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기분해전류의 크기가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입력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극에 제공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원공급부에 입력전압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물속에 함유된 총용존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 과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내의 부품이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전원공급부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극, 전원공급부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10)는 전극(100), 전원공급부(200) 및 제어부(300)을 포함한다.
전극(100)은 전원공급부(20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V1)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10)은,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전극들과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양전극(110)과 음전극(120)으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양전극(110)은 IrO2와 Ta의 합금을 재료로 하여 구비될 수 있고, 음전극(12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SUS(Steel Use Stainless)를 재료로 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양전극(110)과 음전극(120) 사이의 간격은 3 내지 7mm일 수 있다.
전극(100)에 제1 전압(V1)을 인가하면 전극(100) 주위에 존재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이온(Cl-), 오존(O3), 과산화수소(H2O2), 차아염소산(HClO), 수산화기(OH-) 등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생성된 살균수의 산화반응, 환원반응 및 중화반응 등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소독하거나, 상기 대상물에 있을 수 있는 세균 등의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는 입력전원(Vcc)을 감압하여 제1 전압(V1)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압(V1)을 전극(100)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전원(Vcc)은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200)에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200)가 전극(100)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물속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전극(1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이온은 양전극(110)에 전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이 양이온은 상기 음전극(120)으로부터 전자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결국 양전극(110)으로 들어온 전자가 음전극(120)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전극(100)의 내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전기분해전류라고 한다.
따라서, 전기분해전류(IEW)는 상기 물속에 존재하는 이온의 양 즉, 총용존고형물(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TDS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전기분해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00)는 제1 전압(V1)이 전극(100)에 인가되면, 전극(100)으로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과 비교하여,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가 상기 기준전류값 이상인 경우,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00)는 제1 전압(V1)의 크기가 0이 될 때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 전압(V1)의 크기에 상관없이 출력 전류의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감지부(210) 및 컨버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210)는 컨버터부(220)와 전극(100) 사이에서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부(2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전극(100)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IEW)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1 피드백 전압(Vf1)을 컨버터부(220)로 피드백하는 제1 피드백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분해전류(IEW)는 저항 R2, R3 및 R4를 통해 흐르게 되고, 여기서, 전기분해전류(IEW)에 의해 R4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 피드백 전압(Vf1)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드백 전압(Vf1)은 컨버터부(220)로 피드백될 수 있다.
컨버터부(220)는 입력전원(Vcc)을 제1 전압(V1)으로 감압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부(220)는 제1 감지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피드백 전압을 상기 기준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피드백전압(Vf1)이 상기 전압값 이상인 경우,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에 따라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1 전압(V1)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전원공급부(200)로 제공되는 입력전원(Vcc)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도 2에서와 같이, 스위칭부(310), 제2 감지부(320) 및 마이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310)는 입력전원(Vcc)이 컨버터부(220)로 제공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마이컴(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부(310)는 저항(R1), 커패시터(C1) 및 트랜지스터(Q)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는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는 턴온되어 입력전원(Vcc)이 컨버터부(2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감지부(320)는 컨버터부(220)에 의해 전극(100)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감지부(3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전극(100)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2 피드백 전압(Vf2)을 마이컴(330)으로 피드백하는 제2 피드백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압(V1)은 R5, R6 및 R7에 분배되고, 여기서, R7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피드백 전압(Vf2)이 될 수 있으며, 제2 피드백 전압(Vf2)은 마이컴(330)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마이컴(330)은 제2 감지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제2 피드백 전압(Vf2)을 기준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피드백전압(Vf2)이 상기 기준전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스위칭부(310)의 트랜지스터(Q)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컨버터부(220)로 제공되는 입력전원(Vcc)을 차단할 수 있다.
물의 TDS값이 커질수록 전기분해전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전기분해전류의 값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면 내부 부품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살균수기(10)를 포함하는 기기(예를 들면, 비데 또는 정수기)의 내부의 다른 장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물의 TDS값이 적정범위에 포함된 경우에만 컨버터부(220)에 입력전원을 공급하여 살균수기(10)를 동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 TDS값의 상한선(예를 들면, 500 ppm)을 설정하고, 상기 TDS값에 따라 컨버터부(220)에 의해 감소된 제1 전압(V1)의 값을 기준전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도 1 내지 도3의 살균수기(10)를 포함하여, 전극(100)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비데(미도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살균수기의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살균수기(10)에서 수행되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기의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200)가 입력전압(Vcc)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전압(Vcc)을 제1 전압(V1)으로 감압하여 전극(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전원공급부(200)가 전극(100)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IEW)를 감지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전원공급부(200)가 상기 감지된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를 기준전류값과 비교하여(S130), 전기분해전류(IEW)의 크기가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S140).
다음으로, 제어부(300)가 상기 제1 전압(V1)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S150).
다음으로, 제어부(300)가 상기 제1 전압(V1)의 크기를 기준전압값과 비교하여(S160), 상기 제1 전압(V1)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전원공급부(200)에 제공되는 입력전압(Vcc)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17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살균수기
100: 전극
110: 양전극
120: 음전극
130: 커넥터
200: 전원공급부
210: 제1 감지부
220: 컨버터부
300: 제어부
310: 스위칭부
320: 제2 감지부
330: 마이컴

Claims (16)

  1.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을 감압하여 제1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살균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입력전압을 감압하여 상기 제1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감지된 전기분해전류의 크기를 기준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기분해전류의 크기가 상기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컨버터부;
    를 포함하는 살균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1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1 피드백 경로를 제공하는 살균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부는,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살균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입력전원이 제공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마이컴;
    을 포함하는 살균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2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2 피드백 경로를 제공하는 살균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살균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이산화이리듐(IrO2)과 탄탈륨(Ta)의 합금을 재료로 하는 양전극;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SUS(Steel Use Stainless)를 재료로 하는 음전극을 포함하는 살균수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10. 인가되는 전압으로 방전하여, 제공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을 감압하여 제1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분해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1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1 피드백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류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컨버터부; 를 포함하는 살균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입력전원이 제공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마이컴;
    을 포함하는 살균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극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에 의하여 인가된 제2 피드백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로 피드백하는 제2 피드백 경로를 제공하는 살균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를 상기 기준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피드백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살균수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이산화이리듐(IrO2)과 탄탈륨(Ta)의 합금을 재료로 하는 양전극; 및
    스테인레스 재질의 SUS(Steel Use Stainless)를 재료로 하는 음전극을 포함하는 살균수기.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16.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제1 전압으로 감압하여 전극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기분해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기분해전류의 크기가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값 이하이면, 상기 입력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살균수기 제어 방법.
KR1020140155396A 2014-11-10 2014-11-10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KR20160056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96A KR20160056354A (ko) 2014-11-10 2014-11-10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96A KR20160056354A (ko) 2014-11-10 2014-11-10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354A true KR20160056354A (ko) 2016-05-20

Family

ID=5610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396A KR20160056354A (ko) 2014-11-10 2014-11-10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212A (en) * 2019-07-30 2021-02-17 Hydracs Global Ltd Liquid measure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212A (en) * 2019-07-30 2021-02-17 Hydracs Global Ltd Liquid measur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447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906343B1 (ko) 전해살균장치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JP2014113517A (ja) 水質制御装置及び水質制御方法
KR20100062596A (ko) 순환 전해살균가능한 정수기
JP2012217917A (ja) 水処理装置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KR20160062685A (ko) 살균수기 및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KR101817093B1 (ko) 살균수 생성 장치의 살균수 생성 제어 방법 및 비데의 살균 제어 방법
KR20160056354A (ko) 살균수기, 살균수기를 포함하는 비데 및 살균수기 제어 방법
KR20130076174A (ko) 전기분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CN112603229B (zh) 用于洗碗机的装置及洗碗机
JP6048661B2 (ja) 水分子の加水分解を経てヒドロキシルイオンを生成することにより水を浄化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装置
KR970020966A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20160002488U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JPH09189141A (ja) 水泳用プール水の殺菌消毒装置
WO2016152398A1 (ja) 除菌水生成装置
JP3980720B2 (ja) 塩素発生器
JP7348988B1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水処理装置
KR20060060301A (ko) 이온 농도를 전류로 제어하는 이온수기
JP2004097976A (ja) 貯水槽における微生物増殖抑制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00111428A (ko) 정전류를 이용한 전해 살균제 생성장치
KR20180017994A (ko) 살균수 생성 장치, 살균수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살균수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KR20220140314A (ko) 살균수 생성 장치,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6836944B2 (ja) 電解水生成装置
WO201910842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xidant concentra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