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67A - 광섬유 파지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67A
KR20160055667A KR1020150025307A KR20150025307A KR20160055667A KR 20160055667 A KR20160055667 A KR 20160055667A KR 1020150025307 A KR1020150025307 A KR 1020150025307A KR 20150025307 A KR20150025307 A KR 20150025307A KR 20160055667 A KR20160055667 A KR 2016005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ressing
cover portion
cov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719B1 (ko
Inventor
가쓰미 사사키
노리유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6005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섬유 파지 장치는, 개폐 가능한 테이블부 및 커버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폐쇄 상태 시에 광섬유를 협지함으로써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체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을 발생하고, 상기 압압력에 의해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광섬유를 상기 테이블부와 협지하여 파지한다.

Description

광섬유 파지 장치{OPTICAL FIBER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 파지(把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광섬유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광섬유의 피복을 제거하여 누드 광섬유를 노출시킨 후, 이 누드 광섬유에 절단날을 가압하여 초기 상흔을 형성하고, 이 상흔을 성장시킴으로써 광섬유를 절단한다. 이 때, 광섬유는, 광섬유 파지 장치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된다. 상기 광섬유 파지 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把持部)를 구비하고, 한 쌍의 파지부의 한쪽에 의해 광섬유의 피복층을 파지하고, 다른 쪽에 의해 누드 광섬유를 파지한다. 상기 파지부는, 예를 들면, 테이블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테이블부 상에 탑재된 광섬유를 커버부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광섬유를 파지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광섬유의 축심(軸心)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섬유를 인장하여, 상기 광섬유에 장력을 가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부의 사이에 가로누운 누드 광섬유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날을 가압하여 초기 상흔을 형성하고, 이 상흔을 성장시킴으로써 광섬유를 절단한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상기 광섬유 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06―160662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파지부에 의해 광섬유를 파지할 때, 예를 들면, 인력(人力) 등을 이용하여 테이블부와 커버부를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테이블부 및 커버부에 광섬유를 파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테이블부와 커버부를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경우, 강하게 체결하면 광섬유가 파손되고, 한편, 체결이 느슨하면 광섬유를 인장시켰을 때, 광섬유가 미끄러져 버려, 필요한 장력을 광섬유에 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나사를 체결할 필요가 있지만, 광섬유의 절단 시에, 한 쌍의 파지부 양쪽에 토크 렌치에 의해 나사를 체결하고, 또한 광섬유의 절단 완료 후, 체결한 나사를 해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광섬유를 파지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해결 수단으로서, 개폐 가능한 테이블부 및 커버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폐쇄 상태 시에 광섬유를 협지(sandwich)함으로써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체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押壓力)을 발생하고, 상기 압압력에 의해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광섬유를 상기 테이블부와 협지하여 파지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1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력으로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이며, 상기 압압부는, 상기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을 행함으로써 압압력을 발생하는 나사 부재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하여 상기 회전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직선 운동을 정지하여 상기 압압력을 유지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2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나사 부재의 직선 운동에 의해 이동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와,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압압부에 의한 압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4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3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제어량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광섬유의 종류에 관한 종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종류 정보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5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4 해결 수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광섬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선택 지시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선택 지시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지시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6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4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어 있는 광섬유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광섬유 검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7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4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직경에 따라 깊이가 상이한 V홈을 가지고, 상기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V홈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홈부에 끼워맞추어진 상기 V홈 테이블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V홈 테이블 검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8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3∼제7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한 쌍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섬유의 피복층을 파지하기 위한 한쪽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시킨 후에, 상기 광섬유의 누드 광섬유를 파지하기 위한 다른 쪽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9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제8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압압부로부터 주어진 압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력 전달부와, 상기 압압력 전달부와 상기 커버부를 접속 가능한 동시에 상기 파지부의 폐쇄 상태 시에 접속을 해제 가능한 접속구(接續具)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구에 의한 접속이 해제되면, 압압력 전달부를 퇴피시키지 않고, 개폐 가능해지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0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제9 중 어느 하나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광섬유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기구와,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압압부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구동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가능한 테이블부 및 커버부를 가지는 동시에 테이블부 및 커버부의 폐쇄 상태 시에 광섬유를 협지함으로써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로서, 파지부는, 탄성체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와,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을 발생하고, 압압력에 의해 탄성체를 통하여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고, 커버부는, 탄성체를 통하여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면, 탄성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광섬유를 테이블부와 협지하여 파지함으로써,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테이블부 및 커버부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압압력을 탄성체를 통하여 커버부에 가하기 때문에, 광섬유를 보호하여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나사를 체결할 필요가 없어, 광섬유를 파지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파지 장치의 파지부가 폐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파지 장치의 파지부가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지부 및 회전 기구(機構)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지부, 회전 기구, 조작부 및 제어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해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가 연결된 상태의 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해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가 연결된 상태의 파지부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한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의 접속이 해제되고 또한 폐쇄 상태인 경우의 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한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의 접속이 해제되고 또한 개방 상태인 경우의 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한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의 접속이 해제되고 또한 개방 상태인 경우의 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에 의한 커버부 및 압압력 전달부의 접속이 해제되고 또한 개방 상태인 경우의 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구 및 압압력 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지부의 모터가 상하 이동 기구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파지 장치(A)는, 광섬유(B)의 절단 시에, 광섬유(B)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장치이다. 광섬유 파지 장치(A)에 의해 파지된 광섬유(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날(C)을 가압하여 절단된다.
상기 광섬유(B)는, 누드 광섬유(b1)와, 누드 광섬유(b1)를 덮는 내측 피복층과, 내측 피복층을 다시 덮는 외측 피복층(b2)이 동심형으로 형성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누드 광섬유(b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각종 광섬유, 예를 들면, 싱글 모드 광섬유, 멀티 모드 광섬유, 편파(偏波) 유지 광섬유, 홀리 파이버(holey fiber) 등의 각종 누드 광섬유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누드 광섬유(b1)는, 그 외경(外徑)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외경 125㎛의 누드 광섬유이다.
내측 피복층은, 누드 광섬유(b1)의 외주에 피착(被着)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피복층(b2)은, 내측 피복층의 외주에 피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측 피복층 및 외측 피복층(b2)은, 예를 들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 피복층의 외경은, 예를 들면, 250㎛이다. 한편, 외측 피복층(b2)의 외경은, 예를 들면, 500㎛이다. 상기 구성의 광섬유(B)는, 예를 들면, 스트리퍼(stripper) 등의 기구(器具)에 의해 내측 피복층 및 외측 피복층이 제거되면 누드 광섬유(b1)가 노출된다.
광섬유 파지 장치(A)는,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한 쌍의 파지부(a1, a2), 회전 기구(a3), 기대(基臺)(a4) 및 조작부(a5) 및 제어부(a6)를 구비한다.
한 쌍의 파지부(a1, a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인 파지부(a1)에 의해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파지하고, 다른 쪽인 파지부(a2)에 의해 외측 피복층(b2)을 파지한다. 한 쌍의 파지부(a1, a2)는, 그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파지부(a1)에 대하여만 설명을 행하고, 파지부(a2)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파지부(a1)는, 도 2,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부(11), V홈 테이블(12), 회전축 지지부(13), 커버부(14), 광섬유 가압부(15), 폐 모터(16), 모터 기어(17), 제1 감속 기어(18), 제2 감속 기어(19), 마이크로미터 기어(20), 마이크로미터(21)(나사부), 탄성체 압입부(押入部)(22), 코일 스프링(23), 탄성체 수용부(24), 압압력 전달부(25), 접속구(26), 자석(27) 및 상하 이동 기구(2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a1, a2)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섬유(B)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섬유를 인장하고, 상기 광섬유에 장력을 가하는 좌우 이동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가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파지부(a1)의 폐쇄 상태라고 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가 중첩되어 있지 않고, 테이블부(11)의 상방의 상면(11a)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광섬유 파지 장치(A)의 개방 상태라고 한다. 또한, 이하 설명의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에 대해서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다.
테이블부(1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을 한 것이다. 테이블부(11)의 상면(11a)에는, Y방향에서의 중간부에, X방향을 따라 테이블부측 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블부측 홈부(11b)에는, V홈 테이블(12)이 끼워넣어져 있다. V홈 테이블(12)에 대해서는,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지만, 테이블부(11)의 상면(11a)의 테이블부측 홈부(11b)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부(11)는, Y방향의 2개의 측면(11c, 11d)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1e)은, 측면(11c)으로부터 측면(11d)을 향해 계단형, 즉 XZ면의 단면(斷面)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마이크로미터 기어(20) 및 마이크로미터(21)를 수용한다.
또한, 관통공(11e)의 측면(11d) 측은, 후술하는 마이크로미터(21)의 수용통(21b)을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미터(21)를 지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1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부(11)는, 상면(11a)과 측면(11d)으로 이루어지는 정점부(頂点部)를 절결(切缺)하도록 상기 정점부를 따라 절결부(1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1g)에는, 커버부(14)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4a)을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V홈 테이블(12)은, 예를 들면,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나 외측 피복층(b2)의 피복(92)에 대하여 높은 정지 마찰계수를 가지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V홈 테이블(12)은, 테이블부(11)의 테이블부측 홈부(11b)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테이블부측 홈부(11b)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V홈 테이블(12)은, 상면(12a)에 X방향을 따라 V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B)는, 광섬유 파지 장치(A)에 의해 파지될 때, V홈(12b)에 의해 협지된다. 따라서, V홈 테이블(12)은, 광섬유(B)가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Y방향으로 구르지 않도록, 협지(sandwich)한다.
회전축 지지부(13)는, 커버부(14)의 제1 회전축(14a)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테이블부(11)의 절결부(11g)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 지지부(13)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절결부(11g)의 X방향의 중앙부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13)의 각각에는, 커버부(14)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4a)을 삽통(揷通) 가능한 삽통공(揷通孔)(13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14)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또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14)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 조작편(14b) 및 제2 조작편(14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조작편(14b)은, Y방향에서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조작편(14c)은, Y방향에서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조작편(14b) 및 제2 조작편(14c)을 손가락에 당겨 걸어 조작함으로써, 커버부(14)를 제1 회전축(14a) 주위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테이블부(11)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4)에는, 제2 조작편(14c)의 X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접속구(2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1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14d)의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은, 접속구(26)의 형상에 맞추어 대략 T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수용공(14d)에는, 접속구(2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회전축(14e)이 설치되어 있다. 즉, 수용공(14d)은, 접속구(26)가 회동 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회전축은, 수용공(14d)에 있어서, X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축은, 접속구(26)에 형성되는 삽통공(26a)에 삽통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4)는, 제2 조작편(14c)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하방에, 후방을 향해 볼록부(14f)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4f)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볼록부(14f)의 X방향의 측면에는, X방향을 따라 제1 회전축(14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축(14a) 각각은,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13) 각각의 삽통공(13a)에 삽통된다. 커버부(14)는, 제1 회전축(14a) 주위를 회동시킴으로써, 테이블부(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4)의 하면(14g)에는, Y방향에서의 중간부에, X방향을 따라 커버부측 홈부(14h)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측 홈부(14h)에는, 광섬유 가압부(15)가 끼워넣어져 있다. 광섬유 가압부(15)에 대해서는,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지만, 커버부(14)의 하면(14g)의 커버부측 홈부(14h)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광섬유 가압부(15)는, V홈 테이블(12)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나 외측 피복층(b2)에 대하여 높은 정지 마찰계수를 가지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 가압부(15)는, 커버부(14)의 커버부측 홈부(14h)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커버부(14)의 커버부측 홈부(14h)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광섬유 가압부(15)는, 하면(15a)에 X방향을 따라 오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 가압부(15)의 하면(15a)은,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가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V홈 테이블(12)의 상면(12a)과 대향하여 접촉한다. 즉, 테이블부(11)의 테이블부측 홈부(11b)와, 커버부(14)의 커버부측 홈부(14h)는,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가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V홈 테이블(12)과 광섬유 가압부(15)가 대향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V홈 테이블(12)의 V홈(12b)과 광섬유 가압부(15)의 오목부(15b)는, 테이블부(11)와 커버부(14)가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맞닿아, 광섬유(B)를 수용하기 위한 공극부(空隙部)를 구성한다.
폐 모터(16)는, 마이크로미터(21)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이다. 또한, 폐 모터(16)는, DC 브러시레스 모터 등의 정밀 모터라도 된다. 이 폐 모터(16)는, 후술하는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지지되고,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폐 모터(16) 및 상하 이동 기구(28)는, 함께 기대(a4) 내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 기어(17)는, 폐 모터(16)의 회전축에 동축(同軸)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1 감속 기어(18)에 맞물리고, 폐 모터(16)로부터 얻은 회전력을 제1 감속 기어(18)에 전달한다. 또한, 모터 기어(17)는, 폐 모터(1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폐 모터(16)와 함께,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모터 기어(17)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모터 기어(17)와 제1 감속 기어(18)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즉,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모터 기어(17)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모터 기어(17)와 제1 감속 기어(18)가 맞물린다.
제1 감속 기어(18)는, 모터 기어(17)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제2 감속 기어(19)와 동축에 연결된 기어이다. 즉, 이 제1 감속 기어(18)는, 모터 기어(17)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력을 제2 감속 기어(19)에 전달하여 상기 제2 감속 기어(19)를 회전시킨다.
제2 감속 기어(19)는, 제1 감속 기어(18)와 동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마이크로미터 기어(20)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기어이다. 즉, 이 제2 감속 기어(19)는, 제1 감속 기어(18)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력을 마이크로미터 기어(20)에 전달하여 상기 마이크로미터 기어(2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속 기어(18) 및 제2 감속 기어(19)는, 동축에 연결되어 있지만, 그 회전축에 대해서는, 테이블부(11)의 형성된 삽통공(11h)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이크로미터 기어(20)는, 제2 감속 기어(19)에 맞물리는 동시에, 마이크로미터(21)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2 감속 기어(19)로부터 얻은 회전력을 마이크로미터(21)에 전달한다.
마이크로미터(21)는, 암나사 홈이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 홈이 주위면에 형성된 봉형(棒形)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정밀한 나사 부재를 가지는 것이다.
마이크로미터(21)의 암나사부는, 마이크로미터 기어(20)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직선 운동을 행한다.
마이크로미터(21)의 암나사부의 선단부인 원통 형상의 맞닿음부(21a)는, 탄성체 압입부(22)와 맞닿고, 탄성체 압입부(22)에 Y방향의 압력을 가한다. 또한, 마이크로미터(21)는, 맞닿음부(21a)를 수용 가능한 관형의 수용통(21b)을 가진다. 이 수용통(21b)은, 테이블부(11)의 고정공(11f)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마이크로미터(21)는, 수용통(21b)이 테이블부(11)의 고정공(11f)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테이블부(1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탄성체 압입부(22)는, 전체로서 통형상을 하고 있다. 탄성체 압입부(22)는, 코일 스프링(23)의 한쪽의 단면측(端面側)을 수용하기 위해, 한쪽의 단면측에 통형상의 수용 스페이스(22a)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은, 한쪽의 단면측이 탄성체 압입부(22)의 수용 스페이스(22a)의 바닥면(22b)에 접촉하도록 수용된다. 또한, 탄성체 압입부(22)는, 다른 쪽의 단면측의 중앙부에 돌기형인 동시에 마이크로미터(21)의 맞닿음부(21a)와 맞닿아 압압되는 돌기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 압입부(22)의 돌기부(22c)의 주위는, 플랜지형의 플랜지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체 압입부(22)는, 마이크로미터(21)와 코일 스프링(23)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력은, 탄성체 압입부(22)를 통하여 코일 스프링(23)에 전달된다. 코일 스프링(23)은, 탄성체 압입부(22)를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력이 전달되면, Y방향으로 수축한다.
코일 스프링(23)은, 통형상을 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23)은, 한쪽의 단면측이, 탄성체 압입부(22)의 수용 스페이스(22a)의 바닥면(22b)과 맞닿도록 수용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23)은, 다른 쪽의 단면측이, 후술하는 탄성체 수용부(24)의 통형상의 수용 스페이스(24a)의 바닥면(24b)에 접촉하도록 수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23)을 사용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23)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23) 이외의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의 연질 수지라도 된다. 코일 스프링(23)은, 탄성체 압입부(22)를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력이 전달되면, 수축한다.
탄성체 수용부(24)는, 통형상을 하고 있고, 한쪽의 단면측을 개구부(24c)로 하는 통형상의 수용 스페이스(24a)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스페이스(2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의 다른 쪽의 단면(端面)을 바닥면(24b)에 접촉하도록 수용하는 동시에, 탄성체 압입부(22)도 수용한다. 탄성체 압입부(22)의 돌기부(22c)는, 개구부(24c)를 통하여 노출된다. 수용 스페이스(24a)의 XZ면의 단면은, 개구부(24c)보다 확경되어 있다. 탄성체 압입부(22)의 플랜지부(22d)는, 탄성체 수용부(24)의 수용 스페이스(24a)의 전방측의 내벽인 제한부(24d)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압압력 전달부(25)는, X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달벽(25a)을 가지고, 탄성체 수용부(24)의 상면(24e)에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로부터 주어진 압압력에 기초하여 커버부(14)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압압하는 것이다. 한 쌍의 전달벽(25a)은, Z방향에서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25b)와,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25c)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전달벽(25a)의 각각에는, 커버부(14)의 제1 회전축(14a)을 삽통 가능한 삽통공(25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25b)는, 하방측의 단면이 탄성체 수용부(24)의 상면(24e)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돌출부(25c)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13)의 사이의 간극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돌출부(25c)의 사이에는, 커버부(14)의 볼록부(14f)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커버부(14)의 볼록부(14f)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4a) 각각은, 한 쌍의 전달벽(25a) 각각의 삽통공(25d)을 통하여,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13) 각각의 삽통공(13a)에 삽통된다. 한 쌍의 전달벽(25a)은, 제1 회전축(14a) 주위를 회동한다.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에 접속구(26)가 삽입되면, 커버부(14), 압압력 전달부(25) 및 접속구(26)는, 서로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접속된다.
접속구(26)는, 강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고, Y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의 조작 레버(26b)와, 조작 레버(26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26c)로 이루어진다. 접속구(26)는, 커버부(14)의 수용공(14d)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공(14d)에는, 접속구(2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회전축(14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축은, 접속구(26)의 조작 레버(26b)에 X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삽통공(26a)에 삽통되어 있다.
접속부(26c)는, 전방측의 X방향에서의 중앙부에 돌출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에 접속구(26)가 삽입되면, 커버부(14), 압압력 전달부(25) 및 접속구(26)는, 서로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속된다. 여기서, 돌출부(26d)는,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 맞닿는다. 이 결과, 접속부(26c)의 단이 커버부(14)에 편(片)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접속구(26)로부터 커버부(14)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구(26)는, 테이블부(11) 및 커버부(14)의 폐쇄 상태 시에, 조작 레버(26b)가 하방측으로 눌러지면,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로부터 벗어나 접속을 해제한다.
자석(27)은, 영구 자석이며, 접속구(26)의 접속부(26c)와 대향하도록,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에 접속구(26)가 삽입되었을 때, 자석(27)에 의해 접속구(26)를 흡인한다.
상하 이동 기구(28)는, 폐 모터(16) 및 폐 모터(16)에 연결되는 모터 기어(1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하 이동 기구(28)는, 기대(a4) 내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 기어(17)는, 폐 모터(1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폐 모터(16)와 함께,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모터 기어(17)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모터 기어(17)와 제1 감속 기어(18)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즉, 상하 이동 기구(28)에 의해 모터 기어(17)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모터 기어(17)와 제1 감속 기어(18)가 맞물린다.
상하 이동 기구(28)는, 랙(rack) 피니언 기구(41), 상하 이동 모터(42), 폐 모터 수용부(43) 및 수용부 이동 가이드(44)를 구비한다.
랙 피니언 기구(41)는, 피니언 기어(41a) 및 랙 기어(41b)로 이루어진다. 피니언 기어(41a)는, 상하 이동 모터(42)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랙 기어(41b)에 맞물리고, 상하 이동 모터(42)로부터 얻은 회전력을 랙 기어(41b)에 전달한다.
랙 기어(41b)는, Z방향을 따라 폐 모터 수용부(43)에 고정되어 있다.
상하 이동 모터(42)는,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이다. 상하 이동 모터(42)는, DC 브러시레스 모터 등의 정밀 모터라도 된다.
폐 모터 수용부(43)는, 상하 이동 모터(42)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며, 수용부 이동 가이드(44)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다.
수용부 이동 가이드(44)는, 폐 모터 수용부(43)를 상하 방향(Z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회전 기구(a3)는, 테이블부(11), V홈 테이블(12), 회전축 지지부(13), 커버부(14), 광섬유 가압부(15), 제1 감속 기어(18), 제2 감속 기어(19), 마이크로미터 기어(20), 마이크로미터(21)(나사부), 탄성체 압입부(22), 코일 스프링(23), 탄성체 수용부(24), 압압력 전달부(25) 및 접속구(26)를, 광섬유(B)의 주위 방향으로 회동하는 기계 기구이다.
광섬유(B)에 경사의 절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 절단을 행하는 경우, 회전 기구(a3)에 의해 상기 각 부를 소정 각도 회동함으로써, 광섬유(B)를 주위 방향으로 비튼다. 광섬유(B)를 비튼 상태에서, 절단날(C)에 의해, 광섬유(B)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면, 광섬유(B)에 경사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기대(a4)는, 한 쌍의 파지부(a1, a2)의 일부 및 제어부(a6)를 수용하는 동시에, 표면에 회전 기구(a3) 및 조작부(a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a5)는, 하드웨어 버튼으로서 물리적으로 구비된 것이며, 예를 들면, 시작 버튼이나 리셋 버튼 등이 있다. 조작부(a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각 버튼이 눌러지면, 각 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제어부(a6)에 출력한다.
제어부(a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각 부와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부(a6)는, 상기 ROM에 기억된 각종 연산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각 부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광섬유 파지 장치(A)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a6)의 동작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파지 장치(A)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광섬유(B)를 절단하는 경우, 광섬유 파지 장치(A)에 광섬유(B)를 파지시킨다. 즉, 사용자는, 한쪽인 파지부(a1)에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파지시키는 동시에, 다른 쪽인 파지부(a2)에 외측 피복층(b2)을 파지시킨다.
여기서, 먼저, 사용자는, 한쪽인 파지부(a1)에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세팅하는 동시에, 다른 쪽인 파지부(a2)에 외측 피복층(b2)을 세팅한다. 이 단계에서는, 광섬유(B)가 파지부(a1, a2)에 의해 완전히 파지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
이어서, 사용자는, 접속구(26)를 조작하여, 접속구(26)를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결과, 커버부(14), 압압력 전달부(25) 및 접속구(26)는, 서로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속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광섬유(B)의 절단면이 경사로 되는 경사 절단을 행하는 경우, 상하 이동 기구(28)에,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상하 이동 기구(28)에,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a6)는, 조작부(a5)가 하방향으로의 이동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 상하 이동 기구(28)에,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회전 기구(a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각 부를 소정 각도 회동함으로써, 광섬유(B)를 주위 방향으로 비튼다. 이 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상하 이동 기구(28)에,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a6)는, 조작부(a5)가 하방향으로의 이동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 상하 이동 기구(28)에, 폐 모터(16) 및 모터 기어(17)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광섬유(B)의 종류[예를 들면, 광섬유(B)의 직경 등]를 나타내는 선택 지시를 조작부(a5)에 입력한다. 이 때, 조작부(a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섬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선택 지시를 제어부(a6)에 출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조작부(a5)의 시작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시작 버튼은, 광섬유 파지 장치(A)에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버튼이다.
제어부(a6)는, 광섬유(B)의 종류에 따라 폐 모터(16)의 제어량을 제어량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a6)는, 조작부(a5)의 시작 버튼이 눌러지면, 선택 지시를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폐 모터(16)의 제어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제어량에 기초하여 폐 모터(16)를 제어한다. 이 결과, 커버부(14)는,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해 압압되고,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광섬유(B)를 테이블부(11)과 협지하여 파지한다. 그리고, 제어부(a6)는, 폐 모터(16)의 제어량에 대하여, 예를 들면, 폐 모터(16)에 설치되는 회전 검출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폐 모터(16)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a6)는, 광섬유(B)의 외측 피복층(b2)을 파지하기 위한 다른 쪽의 파지부(a2)에 파지시킨 후에,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파지하기 위한 한쪽의 파지부(a1)에 파지시키도록 폐 모터(16)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파지부(a1, a2)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섬유(B)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섬유(B)를 인장하고, 상기 광섬유(B)에 장력을 가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부(a1, a2)의 사이에 가로누운 누드 광섬유(b1)에, 절단날(C)을 가압하여 초기 상흔을 형성하고, 이 상흔을 성장시킴으로써 누드 광섬유(b1)를 절단한다.
광섬유 파지 장치(A)에서는, 광섬유(B)를 당김으로써 파지부(a1, a2)에 가해지는 광섬유(B)의 축심 방향의 압력을, 파지부(a1, a2)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는 로드셀(load cell) 등의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한다. 제어부(a6)는, 상기 로드셀 등의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광섬유(B)가 절단되었는지의 여부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a6)는, 광섬유(B)가 절단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그 후, 마이크로미터(21)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폐 모터(16)에 역회전시킨다.
이 결과, 압압력 전달부(25)에 대한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이 해제되므로, 압압력 전달부(25)는, 접속구(26)의 접속부(26c)를 압압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광섬유(B)에 대한 파지부(a1, a2)에 의한 파지력(把持力)은, 커버부(14)의 자중(自重)만에 의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조작편(14b) 및 제2 조작편(14c)에 손가락을 당겨 걸어 커버부(14)를 개방하도록 해도, 접속구(26)의 접속부(26c)가,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에 걸려, 커버부(14)를 개방할 수 없다.
여기서, 사용자가 접속구(26)의 조작 레버(26b)를 하방측으로 누르면, 압압력 전달부(25)의 제2 돌출부(25c)의 전방측의 단면(25e)과 커버부(14)의 수용공(14d)의 전방측의 측면(14j)과의 사이로부터 접속구(26)의 접속부(26c)가 벗겨져 커버부(14)와 압압력 전달부(25)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커버부(14)는, 압압력 전달부(25)를 후방으로 퇴피시키지 않아도, 개폐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조작편(14b) 및 제2 조작편(14c)에 손가락을 당겨 걸어, 커버부(14)를 개방하여, 절단한 광섬유(B)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압압력 전달부(25)가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해 압압된 상태, 즉 커버부(14)가 압압력 전달부(25) 및 접속구(26)를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해 압압된 상태인 경우, 접속구(26)에 의한 접속을 해제하려고 하면, 커버부(14)와 접속구(26)의 접속부(26c)와의 마찰력이 강하므로, 해제하기 위해 큰 힘이 필요해진다. 또한, 접속구(26)에 의한 접속을 해제했다고 해도, 코일 스프링(23)의 힘에 의해, 압압력 전달부(25)가 튀어오른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폐 가능한 테이블부(11) 및 커버부(14)를 가지는 동시에 테이블부(11) 및 커버부(14)의 폐쇄 상태 시에 광섬유(B)를 협지함으로써 파지하는 파지부(a1, a2)를 구비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A)로서, 파지부(a1, a2)는, 코일 스프링(23)과 구동력을 발생하는 폐 모터(16)와, 폐 모터(16)에 의한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을 발생하고, 압압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커버부를 압압하는 마이크로미터(21)를 구비하고, 커버부(14)는,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해 압압되면,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광섬유(B)를 테이블부와 협지하여 파지함으로써, 폐 모터(16)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테이블부(11) 및 커버부(14)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압압력을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커버부(14)에 가하기 때문에, 광섬유(B)를 보호해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나사를 체결할 필요가 없어, 광섬유(B)를 파지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광섬유 파지 장치(A)에 직경이 상이한 광섬유(B)를 파지하는 경우, 토크 렌치의 토크 설정을 작업자가 변경할 필요가 있어, 설정 미스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a6)는, 조작부(a5)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지시를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폐 모터(16)의 제어량을 결정하므로, 토크 렌치의 토크 설정 작업이 필요 없어, 설정 미스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토크 설정 미스를 없애는 방법으로서, 모터에 파지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행해지지만, 필요한 파지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터에 전압을 계속 공급하고, 모터에 구동력을 계속 발생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결과, 모터에 의한 소비 전력이나, 모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마이크로미터(21)가, 폐 모터(16)에 의한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을 행함으로써 압압력을 발생하는 나사 부재를 가지고, 폐 모터(16)가 정지하여 회전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직선 운동을 정지하여 압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폐 모터(16)에 전압을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어, 폐 모터(16)에 의한 소비 전력이나, 폐 모터(16)의 발열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에 있어서, 커버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커버부가 광섬유의 피복층에 접촉하고, 피복층을 압궤(押潰)하여 가는 과정에서,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여, 광섬유가 아주 약간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광섬유의 누드 광섬유를 파지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여, 광섬유를 매우 약간 회전시킨다. 단, 피복층을 변형시켜 압쇄하면서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은, 누드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보다 커진다. 특히,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 경우, 급격하게 압력이 변화되어, 압력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어려워, 피복층을 변형시켜 압쇄하면서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은, 누드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보다 커져, 광섬유에 비틀림이 발생한다.
매우 적어도 광섬유에 비틀림이 존재하면, 광섬유의 절단 단면을 수직으로 정밀하게 절단할 수가 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압압력을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커버부(14)에 가함으로써, 급격하게 압력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내측 피복층 및 외측 피복층(b2)을 변형시켜 압쇄하면서 광섬유(B)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과 누드 광섬유(b1)를 회전시키는 힘(회전 각도)과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래도 광섬유(B)를 회전시키는 힘이 발생하므로, 이하의 방법에 의해, 광섬유(B)를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먼저, 사용자가 다른 쪽인 파지부(a2)에 광섬유(B)의 외측 피복층(b2)을 세팅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광섬유(B)의 외측 피복층(b2)은, 파지부(a2)에 의해 완전히 파지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 그 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a6)가 파지부(a2)의 폐 모터(16)를 제어하여 파지부(a2)에 광섬유(B)의 외측 피복층(b2)을 파지시킨다.
여기서, 광섬유(B)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비틀림이 발생하지만, 당분간 방치하면, 광섬유(B)의 비틀림은, 자연적으로 해소된다.
그 후, 사용자가 한쪽인 파지부(a1)에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세팅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는, 파지부(a1)에 의해 완전히 파지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 그 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a6)가 파지부(a1)의 폐 모터(16)를 제어하여 파지부(a1)에 광섬유(B)의 누드 광섬유(b1)를 파지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섬유 파지 장치(A)는, 광섬유(B)를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로서 마이크로미터(21)를 사용하고 있지만, 폐 모터(16)에 의한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을 발생시키고, 압압력에 의해 탄성체인 코일 스프링(23)을 통하여 커버부(14)를 압압하면, 마이크로미터(21)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폐 모터(16)를 제어함으로써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력을 제어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미터(21)의 나사 부재의 직선 운동에 의해 이동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a6)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폐 모터(16)를 제어함으로써 마이크로미터(21)에 의한 압압력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나사 부재의 위치를 항상 측정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a6)는, 설정된 위치에 나사 부재가 정지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나사 부재의 위치의 원점을 감지하는 위치 검출 센서, 구체적으로는, 포토 센서 등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나사 부재의 원점을 측정한다. 제어부(a6)는, 나사 부재의 정지 위치를, 원점에서 나사 부재의 몇회전분만 전진한다는 형태로 검지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부(a5)를 조작함으로써, 광섬유(B)의 종류[예를 들면,광섬유(B)의 직경 등]를 나타내는 선택 지시를 조작부(a5)에 입력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지부(a1, a2)에 파지되어 있는 광섬유(B)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a6)에 출력하는 광섬유 검출 센서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섬유의 직경에 따라 깊이가 상이한 V홈을 가지는 V홈 테이블(12)과, 테이블부(11)에 형성되는 V홈 테이블(12)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a6)에 출력하는 V홈 테이블 검출 센서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V홈 테이블 검출 센서는, 예를 들면, V홈 테이블(12)에 설치되는 바코드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를 제어부(a6)에 출력한다.
A…광섬유 파지 장치, B…광섬유, C…절단날, b1…누드 광섬유, b2…외측 피복층, a1, a2…파지부, a3…회전 기구, a4…기대, a5…조작부, a6…제어부, 11…테이블부, 12…V홈 테이블, 13…회전축 지지부, 14…커버부, 15…광섬유 가압부, 16…폐 모터, 17…모터 기어, 18…제1 감속 기어, 19…제2 감속 기어, 20…마이크로미터 기어, 21…마이크로미터, 22…탄성체 압입부, 23…코일 스프링, 24…탄성체 수용부, 25…압압력 전달부, 26…접속구, 27…자석, 28…상하 이동 기구, 11a…상면, 11b…테이블부측 홈부, 11c, 11d…측면, 11e…관통공, 11f…고정공, 11g…절결부, 11h…삽통공, 12a…상면, 12b…V홈, 13a…삽통공, 14a…제1 회전축, 14b…제1 조작편, 14c…제2 조작편, 14d…수용공, 14e…제2 회전축, 14f…볼록부, 14g…하면, 14h…커버부측 홈부, 14j…측면, 15a…하면, 15b…오목부, 21a…맞닿음부, 21b…수용통, 22a…수용 스페이스, 22b…바닥면, 22c…돌기부, 22d…플랜지부, 24a…수용 스페이스, 24b…바닥면, 24c…개구부, 24d…제한부, 24e…상면, 25a…전달벽, 25b…제1 돌출부, 25c…제2 돌출부, 25d…삽통공, 25e…단면, 26a…삽통공, 26b…조작 레버, 26c…접속부, 26d…돌출부, 41…랙 피니언 기구, 42…상하 이동 모터, 43…폐 모터 수용부, 44…수용부 이동 가이드, 41a…피니언 기어, 41b…랙 기어

Claims (10)

  1. 개폐 가능한 테이블부 및 커버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폐쇄 상태 시에 광섬유를 협지(sandwich)함으로써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구동력에 기초하여 압압력(押壓力)을 발생하고, 상기 압압력에 의해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광섬유를 상기 테이블부와 협지하여 파지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력으로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이며,
    상기 압압부는, 상기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을 행함으로써 압압력을 발생하는 나사 부재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가 정지하여 상기 회전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직선 운동을 정지하여 상기 압압력을 유지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나사 부재의 직선 운동에 의해 이동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 및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압압부에 의한 압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제어량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광섬유의 종류에 관한 종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종류 정보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광섬유의 종류를 나타내는 선택 지시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선택 지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지시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어 있는 광섬유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광섬유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직경에 따라 깊이가 상이한 V홈을 가지고, 상기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V홈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홈부에 끼워맞추어진 상기 V홈 테이블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종류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V홈 테이블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제어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한 쌍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섬유의 피복층을 파지하기 위한 한쪽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시킨 후에, 상기 광섬유의 누드 광섬유를 파지하기 위한 다른 쪽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압압부로부터 주어진 압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부를 압압하는 압압력 전달부; 및
    상기 압압력 전달부와 상기 커버부를 접속 가능한 동시에 상기 파지부의 폐쇄 상태 시에 접속을 해제 가능한 접속구(接續具);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구에 의한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압압력 전달부를 퇴피시키지 않고, 개폐 가능해지는, 광섬유 파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광섬유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기구; 및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압압부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구동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파지 장치.

KR1020150025307A 2014-11-10 2015-02-23 광섬유 파지 장치 KR101627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8325A JP5705365B1 (ja) 2014-11-10 2014-11-10 光ファイバ把持装置
JPJP-P-2014-228325 201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67A true KR20160055667A (ko) 2016-05-18
KR101627719B1 KR101627719B1 (ko) 2016-06-07

Family

ID=5243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07A KR101627719B1 (ko) 2014-11-10 2015-02-23 광섬유 파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18511B1 (ko)
JP (1) JP5705365B1 (ko)
KR (1) KR101627719B1 (ko)
CN (1) CN1060331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6450A1 (en) * 2018-10-22 2020-04-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aling enclosure arrangements for optical fiber cab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0128A (zh) * 2017-07-27 2017-12-08 邹辉 一种光纤切割装置及切割方法
CN209181998U (zh) * 2017-09-27 2019-07-30 吴志坚 检测光纤自动耦合及自清洁机构
KR20230144644A (ko) 2021-05-21 2023-10-1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섬유 절단 장치 및 광섬유 절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662A (ja) 1992-11-20 1994-06-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心線の把持装置
JP2000241652A (ja) * 1999-02-23 2000-09-08 Fujikura Ltd Pmファイバ融着接続時のファイバクランプ方法及びその機構
JP2004347986A (ja) * 2003-05-23 2004-12-09 Kyocera Corp 光ファイバカッ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
JP2011183504A (ja) * 2010-03-08 2011-09-22 Thk Co Ltd 電動把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274A (ja) * 2003-04-23 2004-11-1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カッタ用クランプ
CN101639550A (zh) * 2009-09-11 2010-02-03 中南大学 一种制造阵列光纤的方法与装置
KR101038195B1 (ko) * 2010-07-08 2011-06-0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WO2013145904A1 (ja) *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EP2884318B1 (en) * 2013-03-25 2017-05-31 Fujikura Ltd. Reinforcement heating device for optical fiber connection part
CN203688843U (zh) * 2013-08-05 2014-07-02 株式会社藤仓 光纤把持装置以及光纤熔接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662A (ja) 1992-11-20 1994-06-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心線の把持装置
JP2000241652A (ja) * 1999-02-23 2000-09-08 Fujikura Ltd Pmファイバ融着接続時のファイバクランプ方法及びその機構
JP2004347986A (ja) * 2003-05-23 2004-12-09 Kyocera Corp 光ファイバカッ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
JP2011183504A (ja) * 2010-03-08 2011-09-22 Thk Co Ltd 電動把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6450A1 (en) * 2018-10-22 2020-04-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aling enclosure arrangements for optical fiber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33138B (zh) 2017-10-27
EP3018511A1 (en) 2016-05-11
KR101627719B1 (ko) 2016-06-07
EP3018511B1 (en) 2018-02-21
JP2016090943A (ja) 2016-05-23
CN106033138A (zh) 2016-10-19
JP5705365B1 (ja)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19B1 (ko) 광섬유 파지 장치
EP2700989B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CN103930056B (zh) 医疗处置工具和包括该医疗处置工具的操纵器
KR101568241B1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01113486A (ja) 電動ハンド
JP5091488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30949A (ko) 내시경 장치
TW201544266A (zh) 數位扭力扳手
KR101998646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WO2015012184A1 (ja) 内視鏡処置具用操作入力装置
WO2014043375A1 (en) Fiber cleaving tool
US10653492B2 (en) Medical instrument and surgical system
EP3064460B1 (en) Printer
JP2010012087A (ja) 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およびマニピュレータの制御方法
JP2006162317A (ja) 引張試験用グリップ
CN217256367U (zh) 一种视觉机器人的抓取装置
CN115201975B (zh) 一种尾纤插拔旋转工具
JP7452248B2 (ja) 開放補助装置
EP3074163A1 (en) Bar feeder
JP7113609B2 (ja) マイクロマニピュレータ
JP7053230B2 (ja) マイクロマニピュレータ
JP2011133787A (ja) 光ファイバ斜め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斜め切断方法
JP2005334995A (ja) 止め輪挿入治具
EP2826362B1 (en) Hand-held binding apparatus for use in agriculture
WO2020161921A1 (ja) 巻取装置、クレードル及び装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