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767A -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767A
KR20160053767A KR1020150130376A KR20150130376A KR20160053767A KR 20160053767 A KR20160053767 A KR 20160053767A KR 1020150130376 A KR1020150130376 A KR 1020150130376A KR 20150130376 A KR20150130376 A KR 20150130376A KR 20160053767 A KR20160053767 A KR 2016005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polishing
fine adjustment
conveyor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442B1 (ko
Inventor
박준걸
Original Assignee
(주) 세명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명유리 filed Critical (주) 세명유리
Priority to KR102015013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4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 B24B7/2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or polishing opposite faces of continuously travelling shee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통해 절단된 판유리를 이송 처리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 및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속적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를 포함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 및 상기 연마부로 판유리의 투입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된 판유리를 컨베이어 상에 도입하여 이송 처리할 시 이송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측면 가이드롤러의 후방에 위치하여 연마부의 투입구 측에 배치되고 판유리를 상기 연마부의 투입구 상에서 정렬 배치 및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주기 위해 설치되는 미세조정수단을 포함되게 하며; 상기 미세조정수단은 좌우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에 비해 장치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판유리의 연속 투입이 가능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AUTOMATIC GRINDING APPARATUS FOR FINISHING SIDE OF CUTTING PART OF PLATE GLASS}
본 발명은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자동 연마하여 다듬질 가공하기 위한 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기능 및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연마작업에 따른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절단된 판유리를 자동 연마장치 내에 투입시 판유리에 대해 연마작업 시작 전 단계에서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Plate Glass)는 주로 건설업체 및 가구업체의 수요에 의해 생산되는 유리로서, 대형 판유리를 일정하게 절단 가공한 것이다.
판유리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대형 판유리를 테이블에 투입하여 셋팅한 상태에 직사각형태의 완제품 규격으로 절단하고,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여 다듬질 가공하며, 이후 세척 및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여 다듬질하는 절단부 측면 연마공정은 직사각형 판유리 절단부의 날카로운 측면을 연마장비로 다듬질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종래에는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를 통해 판유리의 양측 절단부 측면을 동시에 연마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연마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를 통한 연마작업으로는 규격화를 위해 절단 처리된 판유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처리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판유리에 대해 절단부 측면(수직방향)과 상부 모따기(45˚방향) 및 하부 모따기(45˚방향) 등 양측 각 3부분에 대해 연속적으로 다듬질하도록 연마하고 있다.
또한, 종래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연마공정용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는 판유리의 장비 내 투입시 장비 내에 투입되는 판유리를 일정 속도로 구동되어 이송 움직임을 갖는 컨베이어에 의해 정확한 가공 위치에 투입 및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연하면, 종래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에는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2개의 하향 구동용 스토퍼가 장비의 투입 측에 구비되고, 장비에 판유리를 투입시키면 컨트롤러의 제어시스템을 통해 장비의 투입 측 양측부에 구비된 2개의 스토퍼를 하향 구동시켜 3초간 판유리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움직임에 의해 장비 내 연마가공 위치에 정확히 투입 및 장착되게 하고 있다.
즉, 스토퍼를 통해 투입되는 판유리를 지지토록 함으로써 판유리가 장비 내에 비틀어져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제품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후, 판유리를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 이송 처리하면서 절단부 측면과 상부 모따기 및 하부 모따기 등의 다듬질 가공을 연속적으로 자동 실시하는 연마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종래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연마공정용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는 스토퍼를 장비의 투입 측에 구비 및 판유리를 투입시 이를 작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작업이 잠시 지연되는 드웰 타임(dwell tim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드웰 타임으로 인해 생산을 위한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키는데 상당한 애로점이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드웰 타임의 발생으로 판유리의 연속적인 투입이 어렵고, 3초간의 드웰 타임이 지난 후에 판유리를 다시 투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전반적으로 생산을 위한 사이클 타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나아가, 생산량이 떨어지므로 납기일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고, 생산물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함께 늘어나는 등 작업자의 피로도까지 동반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덧붙여, 상술한 문제점을 만회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높이는 시도를 행하고 있으나, 오히려 연마작업에 따른 품질 불량이 초래되고 연마 휠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 가공을 위한 자동 연마장치 관련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70523호에서 판유리 이송방식의 판유리 연마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판유리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두 쌍의 흡착 이송부를 사용하여 하나의 흡착 이송부가 n번째 판유리를 연마할 때 또 다른 하나의 흡착 이송부가 n+1번째 판유리를 연마할 준비를 함으로써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판유리 이송 방식의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과는 상당한 기술적 차이를 갖는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0523호 (2009.07.0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연마장치의 기능 및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연마작업에 따른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규격화를 위해 절단된 판유리를 장치 내 투입시 판유리에 대해 연마작업 시작 전 단계에서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할 수 있도록 하며, 균일한 품질을 갖게 하면서 작업성 및 연마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유리의 장치 내 투입에 따른 지연시간 없이 연속적인 투입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도 품질 불량 및 연마 휠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 발생이 없도록 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절단된 판유리를 이송 처리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 및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속적으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를 포함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 및 상기 연마부로 판유리의 투입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된 판유리를 컨베이어 상에 도입하여 이송 처리할 시 이송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측면 가이드롤러의 후방에 위치하여 연마부의 투입구 측에 배치되고 판유리를 상기 연마부의 투입구 상에서 정렬 배치 및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주기 위해 설치되는 미세조정수단을 포함되게 하며; 상기 미세조정수단은 좌우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수가 간격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 상기 이동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에 가이드되어 연마부의 투입구로 유도되는 판유리에 대해 절단부 측면을 다듬질 연마하기 전에 위치 정렬하여 공급 및 연마부의 투입구 상에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주기 위한 미세조정롤러가 구비되는 미세조정수단; 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조정수단은, 수동 조작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 및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조정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서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대;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 선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근접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미세조정롤러;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나산이 형성되는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 상기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외나사산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조정대; 상기 이동조정대의 후단에 고정 결합되고, 이동조정대를 회전 조정하기 위한 이동조정핸들; 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조정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서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대;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 선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근접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미세조정롤러;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나산이 형성되는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 상기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외나사산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조정대; 상기 이동조정대의 후단에 연결되고, 이동조정대를 회전 조정하기 위한 구동모터; 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연마 휠을 갖는 제1 연마부; 상기 제1 연마부를 거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해 상부 모따기를 실시하기 위해 45˚방향으로 상측 경사지게 설치된 연마 휠을 갖는 제2 연마부; 상기 제2 연마부를 거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해 하부 모따기를 실시하기 위해 45˚방향으로 하측 경사지게 설치된 연마 휠을 갖는 제3 연마부; 상기 제3 연마부를 거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다시 연마하여 마무리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연마 휠을 갖는 제4 연마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컨베이어 타입 자동 연마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자동 연마장치의 전반적인 기능 및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균일한 품질을 갖게 하면서 작업성은 물론 연마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한 연마 작업시 장치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스토퍼 메커니즘을 제거 및 개선하는 구조설계로서 판유리의 장치 내 투입에 따른 지연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다듬질 가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변동 요인에도 불구하고 연마 가공의 품질 불량 및 연마 휠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없앨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스토퍼 작동 메커니즘에 비해 판유리의 연속 투입 및 연속 이송이 가능하고 판유리 간의 투입 및 연마 진행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 1대당 생산성을 2배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있어 가이드롤러부의 미세조정수단을 나타낸 개략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있어 가이드롤러부의 미세조정수단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와 연마부(200) 및 가이드롤러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규격화를 위해 절단된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을 연속적으로 연마하여 다듬질 가공할 수 있도록 판유리(G)를 자동 이송 처리하기 위한 이송기구이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좌우 양측에 위치 및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어느 일측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판유리(G)의 규격에 따른 간격 조절 및 대응이 가능토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좌측을 고정측으로 하고 우측을 이동측으로 구성한다 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200)는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 처리되는 절단된 판유리(G)에 대해 절단부 측면을 연속적으로 연마하여줌으로써 절단에 의해 거칠어진 측면을 다듬질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연마 휠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마부(200)는 판유리(G)가 컨베이어(100)에 도입되는 도입부 이후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위치되어 이송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양측을 동시에 연마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마부(200)는 좌우 양측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 및 대칭구조로 구비되며,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수직방향)을 연마하기 위한 측면 연마용 연마 휠로 이루어진 제1 연마부(210)와,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한 상부 모따기(45˚방향)를 실시하기 위한 상부 모따기용 연마 휠로 이루어진 제2 연마부(220)와,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한 하부 모따기(45˚방향)를 실시하기 위한 하부 모따기용 연마 휠로 이루어진 제3 연마부(230), 및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수직방향)을 다시 연마하여 마무리하기 위한 측면 연마용 연마 휠로 이루어진 제4 연마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마부(200)를 통해서는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 처리되는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에 대해 제1 연마부(210) → 제2 연마부(220) → 제3 연마부(230) → 제4 연마부(240)를 순차 및 연속 통과하면서 연마하도록 구비된다.
부연하여, 상기 연마부(200)는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에 대한 연속성을 위한 연마작업의 효율성 및 품질 확보를 고려하여 제1 연마부(210)와 제4 연마부(24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연마 휠 3개를 연속 배열 및 일직선으로 간격 배열함이 바람직하고, 제2 연마부(220)는 45˚방향으로 상측 경사 설치된 연마 휠 2개를 연속 배열 및 일직선으로 간격 배열함이 바람직하며, 제3 연마부(230)는 45˚방향으로 하측 경사 설치된 연마 휠 2개를 연속 배열 및 일직선으로 간격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부(200) 또한 어느 일측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판유리(G)의 규격에 따른 간격 조절 및 대응이 가능토록 구비된다 할 것인데, 컨베이어(100)와 동일하게 좌측을 고정측으로 하고 우측을 이동측으로 구성한다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3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부 측면에 각각 위치 및 상기 연마부(200)로 판유리(G)의 투입을 유도 및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마부(200)의 이전에 설치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100) 상에 도입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는 판유리(G)의 장치 내 도입부 측에 설치된다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300)는 자동 연마장치의 가동 전에 사전 조율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데, 장치 상에 적용되는 절단 판유리의 해당 규격에 따라 균일한 품질 확보 및 불량 방지를 위해 좌우 간격 조절 및/또는 미세하게 간격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300)는 규격화를 위해 절단된 판유리(G)를 연마하기 위해 컨베이어(100) 상에 도입하여 이송 처리할 시 이송을 가이드 및 연마부(200)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330)는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다수가 간격 배열 및 판유리의 투입방향에 대해 동일직선상으로 일직선 배열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300)는 다수 구비되는 측면 가이드롤러(330)의 후방에 위치하여 연마부(200)의 투입구 측에 배치되고 판유리(G)를 상기 연마부(200)의 투입구 상에서 정렬 배치 및 연마작업 이전에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주기 위한 미세조정수단(350)을 포함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좌우 방향에 대해 미세하게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롤러부(3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 및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이동프레임(310) 및 고정프레임(320)과, 상기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수가 간격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330)와,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340)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330)에 가이드되어 연마부(200)의 투입구로 유도되는 판유리(G)에 대해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여 다듬질하기 전에 위치 정렬하여 공급 및 연마부(200)의 투입구 상에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주기 위한 미세조정롤러(352)가 구비되는 미세조정수단(3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고정프레임(320)은 컨베이어와 연마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된다 할 것이다.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수동 조작 또는 모터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 및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340)의 결합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좌우측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대(351)와, 상기 롤러지지대(351)의 상면 선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근접 배치 및 판유리(G)의 투입방향으로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미세조정롤러(352)와, 상기 롤러지지대(351)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나산이 형성되는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과, 상기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에 나사 결합되는 외나사산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조정대(354)와, 상기 이동조정대(354)의 후단에 고정 결합되고 이동조정대를 회전 조정하기 위한 이동조정핸들(355)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좌우측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대(351)와, 상기 롤러지지대(351)의 상면 선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근접 배치 및 판유리의 투입방향으로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미세조정롤러(352)와, 상기 롤러지지대(351)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나산이 형성되는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과, 상기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에 나사 결합되는 외나사산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조정대(354)와, 상기 이동조정대(354)의 후단에 연결되고 이동조정대를 자동으로 회전 조정하기 위한 구동모터(356)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나사산의 형성 간격에 따른 피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미터방식을 적용한 구성이라 할 수 있고, 좌우측 방향으로 미세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롤러지지대(351)에 대해 이동프레임(310)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브래킷 연결 구조를 적용하는 등 구조적인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는 컨베이어(100)와 연마부(200) 및 가이드롤러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좌측) 방향에 대해 고정 설치하는 고정측과 타측(우측)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동측으로 나누어 구성한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연마장치(1)를 가동하기 전에 장치 상에 적용되는 절단 판유리(G)의 해당 규격에 따라 컨베이어(100)와 연마부(200)의 이동측을 비롯하여 가이드롤러부(300)의 이동측에 대한 위치를 동일하게 이동하여 사전 조율하되, 가이드롤러부(300)의 이동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330)의 위치를 조정함과 더불어 미세조정수단(360)의 미세조정롤러(332)에 대한 위치 또한 사전 조율한다.
이때, 이동측 가이드롤러(330)는 실린더(340)의 구동을 통해 이동프레임(32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켜 좌우측 간격을 조절하면 되며, 이러한 조정에 따라 컨베이어(100) 상에 도입되어 이송되는 판유리(G)의 양쪽 측면을 접촉 지지되게 할 수 있고, 판유리에 대해 컨베이어(100)로부터 이탈 없이 연마부(200)를 향하여 이송 처리되도록 가이드 및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정롤러(352)는 수동 구성인 경우 핸들(355) 조작을 통해 미세하게 위치 이동 및 그에 따른 좌우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는 자동 구성인 경우 구동모터(356)의 구동을 통해 미세하게 위치 이동 및 그에 따른 좌우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미세조정롤러(352)는 핸들(355) 또는 구동모터(356)를 통해 이동조정대(35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나사 결합된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을 좌우로 피치 이동시켜 롤러지지대(351)를 미세하게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미세하게 간격을 조절하면 되며, 이러한 조정에 의해 연마부(200)의 투입구 상에 위치되는 판유리(G)에 대해 정렬 배치 및 연마 가공을 위한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의 이동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330)와 미세조정수단(350)의 미세조정롤러(352)를 위치 조정하여 사전 조율을 마친 상태에 컨베이어(100)를 가동하고, 컨베이어(100) 상에 판유리(G)를 연속 투입하면 된다.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 처리되는 판유리(G)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위치 조율된 이동측 가이드롤러(330)에 의해 연마부(200)를 향하여 가이드 및 유도되어 연마부(200)의 투입구 측에 도달되며, 이때 미세조정롤러(352)는 연마부(200)의 투입구 측에 도달 및 이송중인 판유리(G)에 대해 비틀림 없이 절단부 양쪽 측면이 연마부(200)가 갖는 연마 휠 측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 및 연마 가공을 위한 정확한 장착 위치로 셋팅하여준다.
이어, 판유리(G)는 연마부(200)의 연마작업 공정으로 정확히 위치되어 투입 및 이송되며, 제1 연마부(210) 내지 제4 연마부(240)를 순차 및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절단부 측면이 연마되어 다듬질 가공된다.
즉, 제1 연마부(210)를 경유시 이송중인 판유리(G)의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여 다듬질하고, 제2 연마부(220)를 경유시 이송중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해 상부 모따기를 실시하고, 제3 연마부(230)를 경유시 이송중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해 하부 모따기를 실시하며, 제4 연마부(240)를 경유시 이송중인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다시 한 번 연마하여 매끄럽게 마무리 처리한다.
덧붙여, 이러한 연마 가공 중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컨베이어(1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작업할 수도 있는데, 이는 종래 스토퍼 메커니즘을 없애고 구조 개선에 의해 부가한 미세조정수단(350)을 포함하는 가이드롤러부(300)의 구성에 기인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그로 인한 동작을 통해 살펴봄과 같이, 판유리(G)를 자동 연마장치(1) 내에 지연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속적인 연마 가공 및 생산을 실시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연마작업에 따른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에 대한 다듬질용 연마시 균일한 품질을 갖게 하면서 연마작업의 효율성까지 도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컨베이어 200: 연마부
210: 제1 연마부 220: 제2 연마부
230: 제3 연마부 240: 제4 연마부
300: 가이드롤러부 310: 이동프레임
320: 고정프레임 330: 가이드롤러
340: 실린더 350: 미세조정수단
351: 롤러지지대 352: 미세조정롤러
353: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 354: 이동조정대
355: 핸들 356: 구동모터
G: 판유리

Claims (1)

  1. 컨베이어와, 연마부,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마부 및 가이드롤러부는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좌측) 방향에 대해 고정 설치하는 고정측과, 타측(우측)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동측으로 나누어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310) 및 이동프레임(320) 각각의 상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수가 간격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 가이드롤러(330); 상기 이동프레임(32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340);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다수 구비되는 측면 가이드롤러(330)의 후단과 연마부(210)의 투입구 직전에 사이에 위치되어 연마부(210~240)에서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을 연마하기 직전에 컨베이어(100) 상부에서 이송되는 상태의 판유리의 투입 위치를 최종 정렬하여 연마부(210)로 투입하되 상기 연마부(210)의 투입구에 판유리 진입시에 좌우측의 비틀림 편차 없이 정확한 투입 위치로 보정 및 셋팅해 주도록 미세간격으로 상기 판유리의 측면과 접면하게 일렬배치된 다수개의 미세조정롤러(352)를 포함하는 미세조정수단(350);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조정수단(350)은, 이중 구조의 위치 조정 및 미세 조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프레임(320)의 상면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대(351);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 선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근접 배치 및 일직선 배열되는 다수의 미세조정롤러(352); 상기 롤러지지대의 상면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고, 내주면에 내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353); 상기 이동조정용 지지브래킷에 나사산 결합되는 외나사산이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조정대(354); 상기 이동조정대의 후단에 고정 결합되고, 이동조정대를 회전시켜 상기 미세조정롤러(352)의 이동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핸들(3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KR1020150130376A 2015-09-15 2015-09-15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KR10211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76A KR102119442B1 (ko) 2015-09-15 2015-09-15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76A KR102119442B1 (ko) 2015-09-15 2015-09-15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26 Division 2014-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67A true KR20160053767A (ko) 2016-05-13
KR102119442B1 KR102119442B1 (ko) 2020-06-08

Family

ID=5602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376A KR102119442B1 (ko) 2015-09-15 2015-09-15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44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6125A (zh) * 2018-05-14 2018-08-31 东莞市银泰丰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导光板侧面抛光装置
KR20190058236A (ko) * 2017-11-21 2019-05-29 (주) 세명유리 연마휠 압력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판유리 면취장치
CN109848812A (zh) * 2016-08-29 2019-06-07 夏爱玉 一种水磨石抛光工艺
KR102037770B1 (ko) 2019-03-27 2019-10-29 (주)세명유리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KR102075798B1 (ko) 2019-03-27 2020-02-10 (주)세명유리 방향 전환에 의해 가로 및 세로 방향 연속 면취 가능한 판유리 면취장치
CN111487259A (zh) * 2020-04-24 2020-08-04 上海帆声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丝印外观检测设备及检测算法
CN112388323A (zh) * 2020-11-06 2021-02-23 株洲精工硬质合金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材料切割抛光装置
CN114055328A (zh) * 2022-01-18 2022-02-18 江苏九为新材料有限公司 铝合金板材抛光装置
KR20220030561A (ko) 2020-09-03 2022-03-11 (주) 세명유리 판유리 제조설비용 브러쉬 세척기
CN115008291A (zh) * 2022-07-13 2022-09-06 天津市景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边缘打磨设备
CN115106890A (zh) * 2022-06-30 2022-09-27 宁波铭晨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铁设备门板连接车体装置的加工成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448A (ko) * 1999-06-21 2001-01-26 바벨로니 프랑코 유리, 석재류 재료 등의 플레이트 에지를 기계 가공하는양면 자동 기계
KR100897750B1 (ko) * 2008-08-18 2009-05-15 배경원 가이드롤러 위치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 양각면기
KR20090070523A (ko) 2007-12-27 2009-07-0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판유리 이송 방식의 판유리 연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448A (ko) * 1999-06-21 2001-01-26 바벨로니 프랑코 유리, 석재류 재료 등의 플레이트 에지를 기계 가공하는양면 자동 기계
KR20090070523A (ko) 2007-12-27 2009-07-0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판유리 이송 방식의 판유리 연마 장치
KR100897750B1 (ko) * 2008-08-18 2009-05-15 배경원 가이드롤러 위치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 양각면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8812A (zh) * 2016-08-29 2019-06-07 夏爱玉 一种水磨石抛光工艺
KR20190058236A (ko) * 2017-11-21 2019-05-29 (주) 세명유리 연마휠 압력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판유리 면취장치
CN108466125A (zh) * 2018-05-14 2018-08-31 东莞市银泰丰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导光板侧面抛光装置
CN108466125B (zh) * 2018-05-14 2023-10-20 东莞市银泰丰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导光板侧面抛光装置
KR102037770B1 (ko) 2019-03-27 2019-10-29 (주)세명유리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KR102075798B1 (ko) 2019-03-27 2020-02-10 (주)세명유리 방향 전환에 의해 가로 및 세로 방향 연속 면취 가능한 판유리 면취장치
CN111487259B (zh) * 2020-04-24 2023-10-13 上海帆声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丝印外观检测设备及检测算法
CN111487259A (zh) * 2020-04-24 2020-08-04 上海帆声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丝印外观检测设备及检测算法
KR20220030561A (ko) 2020-09-03 2022-03-11 (주) 세명유리 판유리 제조설비용 브러쉬 세척기
CN112388323A (zh) * 2020-11-06 2021-02-23 株洲精工硬质合金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材料切割抛光装置
CN112388323B (zh) * 2020-11-06 2022-07-29 株洲精工硬质合金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材料切割抛光装置
CN114055328A (zh) * 2022-01-18 2022-02-18 江苏九为新材料有限公司 铝合金板材抛光装置
CN115106890A (zh) * 2022-06-30 2022-09-27 宁波铭晨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铁设备门板连接车体装置的加工成型装置
CN115008291A (zh) * 2022-07-13 2022-09-06 天津市景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边缘打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442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3767A (ko)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KR101564217B1 (ko) 양면 가공 밀링장치
KR20180005504A (ko) 석재 양두 절단 장치
KR101874088B1 (ko)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JP5798994B2 (ja) 鋳片サンプルの切削研磨装置
JPH0717734A (ja) ガラス板加工機械
CN107921600B (zh) 用于板状元件、特别是瓷砖和板、天然石材、玻璃或类似物的研磨机
JP2005519785A (ja) マテリアルプレートの加工のための装置
US20050074306A1 (en) Template device for the control of the movements of diamond milling cutters or the like, to be mounted on stone or marble slab border polishing machines
KR20160035323A (ko) 석재 쌍방향 가공 장치
KR101712323B1 (ko) 자동인터록킹 금속판 표면 연마장치
CN105345653A (zh) 玻璃磨边机粗磨磨头结构及其磨边工艺
EP2910335A1 (en) Glass plate grinding method and grinding device
KR101201396B1 (ko) 보도블럭 가공장치
KR20160125474A (ko) 유리 처리 장치 및 방법
CN211890271U (zh) 一种砂光机
CN104647879A (zh) 一种建筑装饰板覆膜设备
KR20160139714A (ko) 철판 자동면취기
KR20230066269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EP2806998A1 (en) Method for grinding glass sheets
WO2019244021A1 (en) A machine for grinding slabs
WO2021099918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an edge of a slab-shaped element and machine comprising said detection device
KR101469743B1 (ko)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
CN218452841U (zh) 一种卧式玻璃磨边设备
CN111376139A (zh) 输送带可调型玻璃倒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