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770B1 -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70B1
KR102037770B1 KR1020190034727A KR20190034727A KR102037770B1 KR 102037770 B1 KR102037770 B1 KR 102037770B1 KR 1020190034727 A KR1020190034727 A KR 1020190034727A KR 20190034727 A KR20190034727 A KR 20190034727A KR 102037770 B1 KR102037770 B1 KR 10203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late glass
blower
conveyor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걸
Original Assignee
(주)세명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유리 filed Critical (주)세명유리
Priority to KR102019003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85Drying; Dehydroxy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하는 판유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판유리를 이송 배출하는 컨베이어(200) 상부에 판유리(2)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10)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 내부에 노즐체(20)를 설치하되, 상기 노즐체(20)에 송풍기(30)의 토출구(31)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체(10)에 송풍기(30)의 흡입구(32)를 연결하여 열풍이 판유리를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송풍기로 회수시켜 순환 사용하므로 열풍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히터의 가동 시간, 전기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경제성 및 효율성을 종래보다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a flat glass}
본 발명은 판유리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하는 판유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송풍기에 의해 컨베이어 상부의 커버체 내부로 송풍기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여 판유리를 건조시킨 후 다시 송풍기로 회수하여 순환 시키면서 건조 작동하므로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이 우수한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는 대형 사이즈로 제작되는 대형 판유리를 필요 규격으로 절단한 후 절단 부위를 연마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판유리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대형 판유리를 필요 규격의 판유리로 절단하고, 이를 면취 설비에 투입하여 판유리의 절단 부위, 즉 각 측면 부위를 연마 가공하여 완성된 판유리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판유리 이외에 거울 유리 등도 판유리와 동일하게 제조하나 거울 유리의 경우에 거울을 위한 금속 박막 부분의 코팅 과정을 별도의 후 과정으로 더 추가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판유리는 연마 가공이나 코팅 가공 또는 판유리의 세척 가공 후 판유리에 뭍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발생시키는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 처리하였다.
즉, 종래에는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발생하는 열풍을 노즐체로 공급하되, 상기 노즐체를 판유리가 이송 배출되는 컨베이어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노즐체의 노즐공에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판유리의 물기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판유리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발생하는 열풍을 판유리 상부에서 분사시켜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할 때 송풍기와 히터가 새로운 공기를 계속적으로 흡입하면서 가열시켜 열풍을 새롭게 만들어 공급하기 때문에 열 손실이 크고 히터의 가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전기 소모가 심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건조장치 주변의 작업 환경이 열풍에 의해 온도 상승되어 작업 환경이 열악해지고,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작업 환경이 더욱 열악해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43495호(2018년03월23일) 공개특허 제10-2016-53767호(2016년05월13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상부의 커버체 내부로 송풍기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여 판유리를 건조시킨 후 다시 송풍기로 회수하여 순환시키면서 건조 작동하므로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로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체크하여 히터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면서 열풍의 온도를 일정하게 공급함은 물론 히터의 가동 시간, 전기 소모를 최소화하므로 경제성 및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유리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배출하면서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판유리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 내부에 판유리 상부로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체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노즐체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열풍 공급관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는 송풍기의 흡입구와 열풍 회수관으로 연결 설치하여 열풍이 판유리 건조 작동 후 다시 송풍기로 회수되어 순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는 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하고, 상기 좌우 송풍기의 토출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토출관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토출공에 커버체 내부에 컨베이어 진행 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설치되는 노즐체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측 송풍기에 연결되는 노츨체와 우측 송풍기에 연결되는 노즐체를 컨베이어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되게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체는 장 방형 형태의 몸체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공 하부에 노즐공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하되, 상기 몸체 하부 양측면에는 좌우 경사부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좌우 경사부에 가이드판을 고정 부재로 고정 설치하여 상기 좌우 경사부의 가이드판을 내외측으로 이동 설치하는 간격 조절에 의해 노즐공의 개폐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는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송풍기에 재 순환 공급되는 열풍을 가열하는 히터를 온,오프 제어하면서 열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유리를 이송 배출하는 컨베이어 상부에 판유리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 내부에 노즐체를 설치하되, 상기 노즐체에 송풍기의 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체에 송풍기의 흡입구를 연결하여 열풍이 판유리를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송풍기로 회수시켜 순환 사용하므로 열풍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작업 환경도 쾌적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송풍기로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체크하여 히터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면서 열풍의 온도를 일정하게 공급함은 물론 히터의 가동 시간, 전기 소모를 최소화하므로 경제성 및 효율성을 종래보다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설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발췌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요부 발췌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노즐체의 저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노즐체의 측 단면 구성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2)를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 배출하면서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200) 상부에 판유리(2)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10)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10) 내부에 판유리(2) 상부로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공(22)이 형성된 노즐체(20)를 내장 설치하되, 상기 노즐체(20)는 송풍기(30)의 토출구(31)와 열풍 공급관(41)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10)는 송풍기(30)의 흡입구(32)와 열풍 회수관(42)으로 연결 설치하여 열풍이 판유리 건조 작동 후 다시 송풍기로 회수되어 순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30)는 컨베이어(200)의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하고, 상기 좌우 송풍기(30)(30)의 토출구(3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33a)이 형성된 토출관(33)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토출공(33a)에 커버체 내부에 컨베이어 진행 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설치되는 노즐체(20)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좌측 송풍기(30)에 연결되는 노츨체와 우측 송풍기(30)에 연결되는 노즐체를 컨베이어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노즐체(20)는 장 방형 형태의 몸체(21)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공(23) 하부에 노즐공(22)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하되, 상기 몸체 하부 양측면에는 좌우 경사부(24)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좌우 경사부에 가이드판(25)을 고정 부재(26)로 고정 설치하여 상기 좌우 경사부의 가이드판을 내외측으로 이동 설치하는 간격 조절에 의해 노즐공의 개폐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가이드판(25)에는 고정 부재(26)가 삽입되는 삽입공(25a)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가이드판의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기(30)의 흡입구(32)에는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50)를 설치하여 송풍기에 재 순환 공급되는 열풍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온,오프 제어하면서 열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50)의 설치 위치는 흡입구 이외에 열풍이 회수되는 열풍 회수관 등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단순 설치 위치의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판유리 건조장치(100)는 전 공정 위치에 판유리 가공장치 또는 세척장치 등을 설치하여 판유리(2)의 가공 또는 세척 후 건조 과정이 요구되는 위치로 배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 부호로서, 5는 설치 브라켓, 38은 송풍기의 임펠라(39)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판유리(2)의 연마 가공, 코팅 가공과 같은 가공 후 또는 판유리의 세척 후 컨베이어(200)에 이송 배출하면서 판유리에 뭍어 있는 물기를 건조 처리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판유리(2)가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 배출하면서 컨베이어 상부의 커버체(10)에 커버되는 구간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유리(2)는 컨베이어(200)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송 배출하거나 일정 시간 이송 배출을 지연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상부 양 측방에 설치되는 좌우 송풍기(30)(30)의 토출구(31)로 송풍을 행하되, 히터에 의해 가열시켜 열풍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배출되는 열풍은 송풍기의 토출구(31)에 연결된 토출관(33)의 토출공(33a)을 통해 다수의 열풍 공급관(41)으로 분기되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열풍 공급관(41)은 커버체(10) 내부에 컨베이어 진행 방행을 따라 다수 이격 설치되는 노즐체(20)에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는데, 상기 좌우 송풍기(30)(30)에 연결된 열풍 공급관(41)이 컨베이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노즐체(20)에 번갈아 연결되어 좌측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체와 우측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체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 송풍기(30)(30)에서 공급되는 열풍은 노즐체(20)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열풍 공급공(23)을 통해 하부의 노즐공(22), 즉 노즐체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노즐공(22)을 통해 판유리 상부의 폭 방향 상부에서 동시에 분사되어 판유리(2)를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격 설치되는 노즐체(20)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면서 판유리(2)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체(20)에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판유리(2)를 건조시킨 열풍은 종래와 같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노즐체 외부의 커버체(10)에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10)와 송풍기(30)의 흡입구(32)를 연결하는 열풍 회수관(42)을 통해 송풍기로 회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32)가 석션 작용하면서 판유리의 건조 과정을 마친 열풍을 커버체(10) 내부에서 흡입하여 다시 송풍기(30)로 회수키켜 순환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32)로 흡입되는 열풍을 판유리(2)를 건조시켜 온도가 좀 낮고 습도가 높은 상태이지만 이를 다시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시켜 재 순환 공급하면서 외부 공기를 새로 흡입 가열시켜 공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히터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송풍기(30)의 흡입구(32)에서 온도 감지 센서(50)가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면서 송풍기에서 다시 재 순환 공급되는 열풍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건조 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노즐체의 노즐공(22) 사이즈, 즉 개폐 사이즈(도 5에 도시된 "T")를 조절하여 열풍의 분사 량을 조절하므로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노즐체의 몸체(21) 하부 양측의 좌우 경사부(24)에 설치되는 가이드판(25)을 좌우 경사부(24)를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가이드판의 내측 단부에 노즐공(2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면서 노즐공(22)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 량을 조절하면서 판유리을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유리를 이송 배출하는 컨베이어(200) 상부에 판유리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10) 내부에 노즐체(20)를 설치하되, 상기 노즐체(20)에 송풍기의 토출구(31)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체(10)에 송풍기의 흡입구(32)를 연결하여 열풍이 판유리를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송풍기로 회수시켜 순환 사용하므로 열풍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작업 환경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판유리 10: 커버체
20: 노즐체 21: 몸체
22: 노즐공 23: 열풍 공급공
24: 경사부 25: 가이드판
26: 고정 부재 30: 송풍기
31: 토출구 32: 흡입구
33: 토출관 33a: 토출공
41: 열풍 공급관 42: 열풍 회수관
50: 온도 감지 센서 200: 컨베이어

Claims (5)

  1. 판유리(2)를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 배출하면서 송풍기(30)와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하는 판유리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00)의 상부에는 판유리(2)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체(10)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는 판유리(2)의 상부로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공(22)이 형성된 노즐체(20)가 내장 설치되되,
    상기 노즐체(20)는 상기 송풍기(30)의 토출구(31)와 열풍 공급관(41)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10)는 상기 송풍기(30)의 흡입구(32)와 열풍 회수관(42)으로 연결 설치되어, 열풍이 판유리 건조 작동 후 다시 송풍기(30)로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체(20)는, 장 방형 형태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공(23)과, 상기 열풍 공급공(23)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노즐공(22)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21)의 하부 양측면에는 좌우 경사부(24)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좌우 경사부(24)에 가이드판(25)이 고정 부재(26)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우 경사부(24)의 가이드판(25)을 내외측으로 이동 설치하는 간격 조절에 의해 상기 노즐공(22)의 개폐 사이즈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30)는 상기 컨베이어(200)의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되고,
    상기 좌우 송풍기(30)(30)의 토출구(3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33a)이 형성된 토출관(3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토출공(33a)에는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 상기 컨베이어(2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다수 이격 설치되는 노즐체(20)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송풍기(30)에 연결되는 노즐체(20)와 상기 우측 송풍기(30)에 연결되는 노즐체(20)는 상기 컨베이어(2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30)의 흡입구(32)에는 회수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50)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30)에 재순환 공급되는 열풍을 가열하는 히터를 온,오프 제어하면서 열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5. 삭제
KR1020190034727A 2019-03-27 2019-03-27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KR10203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27A KR102037770B1 (ko) 2019-03-27 2019-03-27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27A KR102037770B1 (ko) 2019-03-27 2019-03-27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70B1 true KR102037770B1 (ko) 2019-10-29

Family

ID=6842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27A KR102037770B1 (ko) 2019-03-27 2019-03-27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3B1 (ko) * 2012-01-27 2012-07-23 장근수 판 가열로
KR20160053767A (ko) 2015-09-15 2016-05-13 (주) 세명유리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JP2017032233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八光電機 熱風乾燥炉
KR101843495B1 (ko) 2017-11-21 2018-03-29 (주)세명유리 연마휠 압력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판유리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73B1 (ko) * 2012-01-27 2012-07-23 장근수 판 가열로
JP2017032233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八光電機 熱風乾燥炉
KR20160053767A (ko) 2015-09-15 2016-05-13 (주) 세명유리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KR101843495B1 (ko) 2017-11-21 2018-03-29 (주)세명유리 연마휠 압력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판유리 면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49B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974943B1 (ko) 컨베이어 방식의 농산물 건조장치
JPH01503552A (ja) 紙等のシート状物の乾燥方法
KR20080098860A (ko) 건조기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US20170150868A1 (en) Air blower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102037770B1 (ko) 열풍 순환 방식 판유리 건조장치
CN104213380B (zh) 被褥烘干装置中的循环风道
JP4348607B2 (ja) 塗装乾燥炉
CN206377972U (zh) 风机盘管换热器水检自动吹水装置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CN109137375A (zh) 壁装式洗衣机
KR101025216B1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130041811A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KR102395909B1 (ko) 열풍 교차 순환식 필름 건조기
JP2013516590A (ja) 連続的に搬送されるシート材料を熱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4392903A (zh) 一种紧促型涂装闪干工艺及系统
KR101005097B1 (ko) 직물가공 라인용 급속건조장치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CN109863272B (zh) 用于连续条料的热处理的对流罩
CN219890082U (zh) 一种喷气式干燥机
CN2196766Y (zh) 立式干燥用的热风抽湿装置
CN219032219U (zh) 一种干燥效果好的皮革干燥机
KR200178523Y1 (ko) 피혁지용 건조장치
US120071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