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88B1 -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 Google Patents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88B1
KR101874088B1 KR1020160125804A KR20160125804A KR101874088B1 KR 101874088 B1 KR101874088 B1 KR 101874088B1 KR 1020160125804 A KR1020160125804 A KR 1020160125804A KR 20160125804 A KR20160125804 A KR 20160125804A KR 101874088 B1 KR101874088 B1 KR 10187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rotation
plate
flap whe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556A (ko
Inventor
윤기태
김대열
Original Assignee
(주)서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정공 filed Critical (주)서진정공
Priority to KR102016012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rot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와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면취, 사상, 폴리싱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 부품의 피니싱 장치 및 피니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니싱 장치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활주 가능한 활주판에 의해 피니싱부가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고, 활주판 상에 설치되는 회전지지부재에 의해 피니싱부가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니싱 방법은, 피니싱 장치를 제1피니싱 장치와 제2피니싱 장치 및 제3피니싱 장치의 3세트로 구비하여, 제1피니싱 장치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 중 전면을 황삭하고, 제2피니싱 장치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 중 후면을 황삭하며, 제3피니싱 장치로 상기 전면을 정삭함과 아울러 플레이트 부품을 뒤집은 상태에서 후면을 정삭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Finishing apparatus adjustable angle and distance for plate phase part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나 궤도 차량의 판브레이크 부품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피니싱 작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와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피니싱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 부품의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나 에어 클러치(air clutch) 또는 유압 클러치의 디스크라든가, 전차, 자주포, 중장비와 같은 궤도 차량의 판브레이크 부품 등은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이하, '플레이트 부품'이라 함)은 가공 과정에서 외경과 내경 및 단면 부위가 날카롭게 형성됨으로 인해 작동시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품의 제작시 최종 공정에서는 피니싱 공정으로서 면취, 사상, 폴리싱의 세 가지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즉, 면취 공정에서는 플레이트 부품에 형성되어 있는 날카로운 부위를 제거하고, 이렇게 면취된 부위는 사상 공정에서 뒷마무리를 하며, 최종적으로 폴리싱 공정에서 연마함으로써 플레이트 부품의 표면조도를 높이면서 곡면 상태를 구현하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면취, 사상, 폴리싱의 세 가지 공정을 작업자가 '에어루터기'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진행하여 왔으나, 가공량이 불일정하고 많은 불량이 발생함은 물론 공수가 과다하게 투입됨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플레이트 부품을 자동적으로 피니싱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는데, 이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 구조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의 장치는 회전 구동되는 회전반 상에 플레이트 부품을 제1면이 위를 향하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피니싱부에 구비된 제1플랩휠을 이용하여 면취와 사상 및 폴리싱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제1피니싱부에 인접한 위치의 제2피니싱부에 구비된 제2플랩휠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부품의 내경부 또는 외경부를 연속하여 면취와 사상 및 폴리싱하게 된다. 따라서, 면취와 사상 및 폴리싱의 세 가지 공정을 별도의 장비 교환이나 세팅 없이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고, 피니싱 작업시 가공량이 일정하게 되며, 가공부의 표면조도가 우수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는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제1플랩휠과 제2플랩휠의 각도와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품의 최초 표면 상태나 크기 등에 따라 제1플랩휠과 제2플랩휠의 각도와 거리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힘든 문제가 발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53564호(2015년 9월 17일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제1의 목적은, 플레이트 부품을 피니싱 작업할 때 플레이트 부품의 최초 표면 상태나 크기 등에 따라 제1플랩휠과 제2플랩휠의 각도와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공부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종래의 피니싱 장치에 비하여 피니싱 가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니싱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작업대와, 이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이 위를 향하도록 안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반과, 작업대 상에서 회전반 측을 상대로 길게 설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 레일과, 이 제1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활주판과, 이 제1활주판 상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제1회전중심축을 구비하여 제1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1회전지지부재와, 이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면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의 외경부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어 플레이트 부품이 회전반 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반이 회전할 때 가공면의 외경부를 피니싱 가공하되 제1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활주판이 활주함에 따라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거리가 조절됨과 아울러 제1회전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가 조절되는 제1플랩휠을 구비한 제1피니싱부와, 작업대 상에서 회전반을 중심으로 제1가이드 레일과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 레일과, 이 제2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활주판과, 이 제2활주판 상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제2회전중심축을 구비하여 제2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2회전지지부재와, 이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면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의 내경부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어 플레이트 부품이 회전반 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반이 회전할 때 가공면의 내경부를 피니싱 가공하되 제2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2활주판이 활주함에 따라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거리가 조절됨과 아울러 제2회전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가 조절되는 제2플랩휠을 구비한 제2피니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제1활주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제1회전중심축이 고정되는 제1고정패널과, 제1회전중심축이 삽입된 상태로 제1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고정패널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피니싱부가 설치되는 제1회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는, 제2활주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제2회전중심축이 고정되는 제2고정패널과, 제2회전중심축이 삽입된 상태로 제2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고정패널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2피니싱부가 설치되는 제2회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휠은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제1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고, 제1지지프레임에는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제1플랩휠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공압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2플랩휠은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제2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고, 제2지지프레임에는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제2플랩휠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공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휠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되, 제1스토퍼는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고정되는 제1너트부재와 이 제1너트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1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2플랩휠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되, 제2스토퍼는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고정되는 제2너트부재와 이 제2너트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2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동일한 구성의 제1피니싱 장치와 제2피니싱 장치 및 제3피니싱 장치의 3세트로 구비하여, 제1피니싱 장치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 중 전면을 황삭하고, 제2피니싱 장치로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 중 후면을 황삭하며, 제3피니싱 장치로 상기 전면을 정삭함과 아울러 플레이트 부품을 뒤집은 상태에서 후면을 정삭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싱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레이트 부품을 피니싱 작업할 때 플레이트 부품의 최초 표면 상태나 크기 등에 따라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제1플랩휠과 제2플랩휠의 각도와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니싱 가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니싱 방법에 따르면, 피니싱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싱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니싱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니싱 장치에서 제1피니싱부와 제1가이드 레일, 제1활주판, 제1회전지지부재 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싱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피니싱 장치의 배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싱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니싱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피니싱 장치에서 제1피니싱부와 제1가이드 레일, 제1활주판, 제1회전지지부재 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피니싱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로 제시된 피니싱 장치는 피니싱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110)를 구비하며, 안정적인 피니싱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대(110)는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작업대(110) 상의 중앙부에는 플레이트 부품(P)이 안착되는 회전반(120)이 일정 높이로 구비된다. 이 회전반(120)은 제1구동모터(121)에 의해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 구동이 된다. 따라서, 회전반(120)에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이 위를 향하도록 안착되고, 회전반(120)이 제1구동모터(1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에 대하여 피니싱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업대(110) 위의 일측에는 회전반(120) 측을 상대로 길게 한 쌍의 제1가이드 레일(1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1가이드 레일(131)에는 제1활주판(132)이 회전반(120) 쪽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활주판(132)의 저면부에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레일(131)이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1가이드 레일(13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활주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홈(13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가이드홈(132a)에 제1가이드 레일(13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활주판(132)을 밀거나 당기면 제1활주판(132)이 제1가이드 레일(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제1활주판(132) 상에는 제1회전지지부재(140)가 설치되는데, 이 제1회전지지부재(140)는 상하 방향으로 제1회전중심축(141)을 중앙부에 구비함으로써 제1회전중심축(141)을 기준으로 회전(즉, 자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회전지지부재(140)는 도 3에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활주판(132) 상에 고정이 되면서 중앙에는 제1회전중심축(141)이 고정되는 제1고정패널(142)과, 제1회전중심축(141)이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제1회전중심축(14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면서 제1고정패널(142) 위에 결합이 되는 제1회전패널(14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제1회전패널(143) 상에는 후술하는 제1피니싱부(150)가 설치된다.
제1피니싱부(150)는 제1회전지지부재(140) 상에 설치되면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의 외경부(본 명세서에서, '외경부'란 플레이트 부품의 외경과 인접한 가장자리 둘레를 말한다)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제1플랩휠(15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플랩휠(151)은 통상적인 연마수단으로서 제2구동모터(152)에 의해 회전 구동이 되며, 플레이트 부품(P)이 회전반(120) 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반(120)이 회전할 때 가공면의 외경부를 피니싱 가공하게 된다.
특히, 제1가이드 레일(131) 상에서 제1활주판(132)를 밀거나 당겨서 활주시키면, 제1플랩휠(151)이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멀어짐으로써 플레이트 부품(P)과의 수평 방향 거리가 조절이 된다. 또한, 제1회전지지부재(140)를 회전시키면 제1플랩휠(151)이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수평한 위치에서 각도가 조절이 된다.
이러한 제1플랩휠(151)은 제1회전지지부재(140) 상에 제1지지프레임(153)을 매개로 설치되며, 제1지지프레임(153)에는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제1플랩휠(151)의 상하 거리를 조절하는 제1공압기(154)가 설치된다.
또,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플랩휠(151)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155)가 제1회전지지부재(140)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제1스토퍼(155)는 제1회전지지부재(140) 상에 고정되는 제1너트부재(155a)와 이 제1너트부재(155a)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1볼트부재(15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제1플랩휠(151)의 하강 높이를 플레이트 부품(P)의 두께에 따라 제1스토퍼(155)의 제1볼트부재(155b)를 조이거나 풀어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대(110) 상에는 회전반(120)을 중심으로 제1가이드 레일(131)과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2가이드 레일(161)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2가이드 레일(161) 상에는 제2활주판(162)이 회전반(120) 쪽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활주판(162)의 저면부에도 제1활주판(132)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가이드 레일(161)이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2가이드 레일(16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활주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제2활주판(162) 상에는 제2회전지지부재(170)가 설치되는데, 이 제2회전지지부재(170)는 상하 방향으로 제2회전중심축(171)을 중앙부에 구비함으로써 제2회전중심축(171)을 기준으로 회전(즉, 자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회전지지부재(170)는, 제2활주판(162) 상에 고정이 되면서 중앙에는 제2회전중심축(171)이 고정되는 제2고정패널(172)과, 제2회전중심축(171)이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제2회전중심축(17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면서 제2고정패널(172) 위에 결합이 되는 제2회전패널(17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제2회전패널(173) 상에는 후술하는 제2피니싱부(180)가 설치된다.
제2피니싱부(180)는 제2회전지지부재(170) 상에 설치되면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의 내경부(본 명세서에서, '내경부'란 플레이트 부품의 내경과 인접한 가장자리 둘레를 말한다)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제2플랩휠(18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플랩휠(181)은 통상적인 연마수단으로서 제3구동모터(182)에 의해 회전 구동이 되며, 플레이트 부품(P)이 회전반(120) 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반(120)이 회전할 때 가공면의 내경부를 피니싱 가공하게 된다.
특히, 제2가이드 레일(161) 상에서 제2활주판(162)를 밀거나 당겨서 활주시키면, 제2플랩휠(181)이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멀어짐으로써 플레이트 부품(P)과의 수평 방향 거리가 조절이 된다. 또한, 제2회전지지부재(170)를 회전시키면 제2플랩휠(181)이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수평한 위치에서 각도가 조절이 된다.
이러한 제2플랩휠(181)은 제2회전지지부재(170) 상에 제2지지프레임(183)을 매개로 설치되며, 제2지지프레임(183)에는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제2플랩휠(181)의 상하 거리를 조절하는 제2공압기(184)가 설치된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플랩휠(181)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185)가 제2회전지지부재(170)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제2스토퍼(185)는 제2회전지지부재(170) 상에 고정되는 제2너트부재(185a)와 이 제2너트부재(185a)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2볼트부재(18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제2플랩휠(181)의 하강 높이를 플레이트 부품(P)의 두께에 따라 제2스토퍼(185)의 제2볼트부재(185b)를 조이거나 풀어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피니싱 장치에서는 제1피니싱부(150)가 제1가이드 레일(131)과 제1활주판(132)에 의하여 플레이트 부품(P)이 놓여진 회전반(120)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품(P)의 크기 등에 따라 제1피니싱부(150)와 플레이트 부품(P)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제1피니싱부(150)의 제1지지프레임(153)을 두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기는 간편한 조작만 행하면 되므로, 제1피니싱부(150)와 플레이트 부품(P)간의 거리 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피니싱 가공을 위한 세팅 작업을 짧은 시간 안에 끝낼 수가 있다.
또한, 제1피니싱부(150)는 제1회전지지부재(140) 상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수평 상태에서 제1플랩휠(15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도 작업자가 제1피니싱부(150)의 제1지지프레임(153)을 두 손으로 잡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플랩휠(151)의 각도 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에 대한 제1플랩휠(15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피니싱부(180)의 경우에도, 제2피니싱부(180)가 제2가이드 레일(161)과 제2활주판(162)에 의하여 플레이트 부품(P)이 놓여진 회전반(120)을 상대로 근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품(P)의 크기 등에 따라 제2피니싱부(180)와 플레이트 부품(P)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도, 작업자가 제2피니싱부(180)의 제2지지프레임(183)을 두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기는 간편한 조작만 행하면 되므로, 제2피니싱부(180)와 플레이트 부품(P)간의 거리 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피니싱 가공을 위한 세팅 작업을 짧은 시간 안에 끝낼 수가 있다.
또한, 제2피니싱부(180)는 제2회전지지부재(170) 상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플레이트 부품(P)을 상대로 수평 상태에서 제2플랩휠(18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도 작업자가 제2피니싱부(180)의 제2지지프레임(183)을 두 손으로 잡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2플랩휠(181)의 각도 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에 대한 제2플랩휠(18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싱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피니싱 장치의 배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피니싱 방법」은 전술한 피니싱 장치를 이용하여 피니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배치와 각 장치를 이용한 피니싱 가공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니싱 방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를 3세트로 구비한다. 즉, 제1피니싱 장치(100)와 제2피니싱 장치(200) 및 제3피니싱 장치(300)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각각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들이다.
특히, 제1피니싱 장치(100)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을 황삭하고, 제2피니싱 장치(200)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후면을 황삭하며, 제3피니싱 장치(300)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을 정삭함과 아울러 플레이트 부품(P)을 작업자가 뒤집은 상태에서 후면을 정삭하게 된다.
여기서 제1피니싱 장치(100)는, 제1피니싱부(150)에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의 외경부를 황삭하고, 제2피니싱부(180)에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의 내경부를 황삭한다.
제2피니싱 장치(200)는, 제1피니싱부(250)에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후면에 대하여 외경부를 황삭하고, 제2피니싱부(280)에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후면에 대하여 내경부를 황삭한다.
제3피니싱 장치(300) 경우에는, 제1피니싱부(350)에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에 대하여 외경부를 정삭하고, 제2피니싱부(380)에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에 대하여 내경부를 정삭한다. 이후, 플레이트 부품(P)을 뒤집은 상태에서, 제1피니싱부(350)에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후면에 대하여 외경부를 정삭하고, 제2피니싱부(38)에서는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후면에 대하여 내경부를 정삭한다.
이처럼 제1피니싱 장치(100)와 제2피니싱 장치(200) 및 제3피니싱 장치(300)를 차례로 배치한 상태에서, 플레이트 부품(P)의 가공면 중 전면에 대한 황삭에 이어 후면에 대한 황삭을 한 후, 전면과 후면을 정삭하는 방법으로 플레이트 부품(P)의 피니싱 작업을 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에 비하여 피니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두 세트의 피니싱 장치, 즉 제1피니싱 장치와 제2피니싱 장치를 차례로 배치하고 있는데, 제1피니싱 장치는 제1피니싱부와 제2피니싱부를 구비하고, 제2피니싱 장치는 제3피니싱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피니싱부에서 플레이트 부품의 전면을 황삭한 데 이어 제2피니싱부에서 플레이트 부품의 전면을 정삭을 하고, 플레이트 부품을 제3피니싱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후면에 대한 황삭을 하고 이어서 정삭을 하게 된다.
예컨대, 직경이 450mm인 하나의 플레이트 부품을 피니싱 가공할 때, 특허문헌 1의 피니싱 방법에 따르면 8분이 소요된 데 비해, 본 발명의 피니싱 방법에 따르면 그 절반인 4분이 소요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제1피니싱 장치 110 : 작업대
120 : 회전반 121 : 제1구동모터
131 : 제1가이드 레일 132 : 제1활주판
132a : 가이드홈 140 : 제1회전지지부재
141 : 제1회전중심축 142 : 제1고정패널
143 : 제1회전패널 150 : 제1피니싱부
151 : 제1플랩휠 152 : 제2구동모터
153 : 제1지지프레임 154 : 제1공압기
155 : 제1스토퍼 155a : 제1너트부재
155b : 제1볼트부재 161 : 제2가이드 레일
162 : 제2활주판 170 : 제2회전지지부재
171 : 제2회전중심축 172 : 제2고정패널
173 : 제2회전패널 180 : 제2피니싱부
181 : 제2플랩휠 182 : 제3구동모터
183 : 제2지지프레임 184 : 제2공압기
185 : 제2스토퍼 185a : 제2너트부재
185b : 제2볼트부재 200 : 제2피니싱 장치
300 : 제3피니싱 장치 P : 플레이트 부품

Claims (5)

  1. 피니싱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이 위를 향하도록 안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반과, 상기 작업대 상에서 상기 회전반 측을 상대로 길게 설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활주판과, 상기 제1활주판 상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제1회전중심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1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1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의 외경부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플레이트 부품이 상기 회전반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이 회전할 때 상기 가공면의 외경부를 피니싱 가공하되 상기 제1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1활주판이 활주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거리가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가 조절되는 제1플랩휠을 구비한 제1피니싱부와, 상기 작업대 상에서 상기 회전반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활주판과, 상기 제2활주판 상에 설치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제2회전중심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2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2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 부품의 가공면의 내경부에 접촉하도록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플레이트 부품이 상기 회전반 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반이 회전할 때 상기 가공면의 내경부를 피니싱 가공하되, 상기 제2가이드 레일 상에서 제2활주판이 활주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거리가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각도가 조절되는 제2플랩휠을 구비한 제2피니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플랩휠은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제1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상기 제1플랩휠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공압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2플랩휠은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제2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플레이트 부품을 상대로 상기 제2플랩휠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공압기가 설치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휠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 상에 고정되는 제1너트부재와 이 제1너트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1볼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플랩휠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 상에 고정되는 제2너트부재와 이 제2너트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제2볼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제1활주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회전중심축이 고정되는 제1고정패널과, 상기 제1회전중심축이 삽입된 상태로 제1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고정패널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피니싱부가 설치되는 제1회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제2활주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고정되는 제2고정패널과,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삽입된 상태로 제2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고정패널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피니싱부가 설치되는 제2회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25804A 2016-09-29 2016-09-29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KR10187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04A KR101874088B1 (ko) 2016-09-29 2016-09-29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04A KR101874088B1 (ko) 2016-09-29 2016-09-29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56A KR20180035556A (ko) 2018-04-06
KR101874088B1 true KR101874088B1 (ko) 2018-07-10

Family

ID=6197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804A KR101874088B1 (ko) 2016-09-29 2016-09-29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9073A (zh) * 2018-05-17 2018-11-13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生产用快速抛光装置
CN108890510A (zh) * 2018-08-06 2018-11-27 江门市新会区爱邦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水壶抛光装置
CN109434629A (zh) * 2019-01-24 2019-03-08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机械装备加工用抛光机床
CN110842665A (zh) * 2019-11-26 2020-02-28 杨培土 一种铝合金轮毂打磨设备
CN111993252A (zh) * 2020-09-08 2020-11-27 李赵和 一种汽车制造用车身除锈装置
CN112405236A (zh) * 2020-11-21 2021-02-26 江西中奥塑胶有限公司 一种眼镜胶板的打磨机构
CN114523358A (zh) * 2022-03-15 2022-05-24 重庆建设车用空调器有限责任公司 一种椭圆端面双面倒棱去毛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46A (ja) * 1993-12-20 1995-07-11 Mitsui High Tec Inc 平面研削盤
KR20040093298A (ko)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장수기계 연삭기
KR20070100933A (ko) * 2005-02-25 2007-10-12 롤로매틱 에스에이 드릴 및 드릴 비트 제조를 위한 자동 공작 기계
KR20130029174A (ko) * 2011-09-14 2013-03-22 희 수 황 각도조절타입 드레싱 툴
KR101553564B1 (ko) * 2015-01-26 2015-09-17 주식회사세운하이테크 플레이트 부품의 자동 피니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46A (ja) * 1993-12-20 1995-07-11 Mitsui High Tec Inc 平面研削盤
KR20040093298A (ko) * 2003-04-29 2004-11-05 주식회사 장수기계 연삭기
KR20070100933A (ko) * 2005-02-25 2007-10-12 롤로매틱 에스에이 드릴 및 드릴 비트 제조를 위한 자동 공작 기계
KR20130029174A (ko) * 2011-09-14 2013-03-22 희 수 황 각도조절타입 드레싱 툴
KR101553564B1 (ko) * 2015-01-26 2015-09-17 주식회사세운하이테크 플레이트 부품의 자동 피니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56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88B1 (ko) 각도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피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니싱 방법
KR102119442B1 (ko) 판유리의 절단부 측면 다듬질용 자동 연마장치
CN105328538A (zh) 汽车方向盘打磨装置
JP2016104508A (ja) 研削盤、具体的にはコンパクト設計の心なし研削盤
US9011208B2 (en) Dual-spindle grinder
KR101553564B1 (ko) 플레이트 부품의 자동 피니싱 장치
CN103978431B (zh) 一种砂轮修整装置
TWI580520B (zh) Vertical wheel finisher
KR20160047282A (ko) 휠 연마장치
US8167680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edging an ophthalmic lens for machining the edge face of the lens to a desired curve
KR20160035323A (ko) 석재 쌍방향 가공 장치
CN210757183U (zh) 角度可调砂轮修整器以及具有角度可调砂轮修整器的磨床
CN205394010U (zh) 车磨复合机
KR20130084759A (ko) 기판연마장치 및 방법
CN109176272B (zh) 一种多功能打磨装置
JP2010042484A (ja) ねじ研削方法及びねじ研削盤
KR101484513B1 (ko) 캘리퍼 밀링머신의 구동방법
JP6197567B2 (ja) ツルーイング方法及びツルーイング装置
CN104308696A (zh) 工件槽底专用磨床
CN209157961U (zh) 转盘轴承轴向滚道软带区域打低处理装置
JPH0752007A (ja) ロータリ研削盤及び研削方法
US3138998A (en) Surface finishing apparatus
CN219767895U (zh) 一种塑料包装制品的定位夹持机构
KR101759278B1 (ko) 가공장치
KR101606194B1 (ko) 드릴의 선단각 가공용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