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997A - 양봉용 화분채취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화분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997A
KR20160052997A KR1020140148976A KR20140148976A KR20160052997A KR 20160052997 A KR20160052997 A KR 20160052997A KR 1020140148976 A KR1020140148976 A KR 1020140148976A KR 20140148976 A KR20140148976 A KR 20140148976A KR 20160052997 A KR20160052997 A KR 2016005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bees
pollen
beehi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918B1 (ko
Inventor
장봉환
Original Assignee
장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환 filed Critical 장봉환
Priority to KR102014014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화분채취시에 벌들이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화분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통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분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화분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채취바디(30)와;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채취공(43)에 구별되어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된 채분판(40)과; 상기 채분판(40)을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과;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취공(43)을 통과하는 벌들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봉용 화분채취기{Pollen collecting device for a beekeeping}
본 발명은 양봉용 화분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화분채취시에 벌들이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화분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통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분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화분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개화기에 개화장소로 벌통을 이동시켜 일정 기간동안 정착하면서 꿀벌들이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과 같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화분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양봉인은 이러한 화분의 일부를 비개화기에 벌들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채취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화분채취기는 양봉용 벌통의 벌출입구 상에 장착되도록 다수의 채취공이 형성된 채분판과 이 채분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화분함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채분판에 형성된 채취공을 통해 벌통의 내부로 들어갈 때에 화분이 묻은 뒷다리가 일부 걸림으로 인해 화분이 낙하하여 화분함으로 수집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분채취기는 화분의 채취가 용이하도록 채취공의 크기를 벌이 간신히 통과할 수 있도록 협소하게 형성됨에 따라 채취공의 통과과정에서 벌들의 날개나 다리가 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이 부서져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벌들이 협소한 채취공을 힘들게 통과함에 따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화분채취 도중에 꽃이 많은 개화장소를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벌통으로부터 화분채취기를 분리하고, 별도의 환기창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화분채취기에 의해서는 환기창 기능이 불가능하여 이동시에 화분채취기를 분리하는 작업과 환기창을 설치하는 작업 및 이동후에 화분채취기를 재차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 인해 작업상의 불편함이 따른 것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실2000-0018403호) 2000. 10. 1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벌들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통과과정 중에 벌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분채취시에 벌들이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화분을 용이하게 구비되어 벌들의 스트레스 예방과 우수한 품질의 화분을 채취할 수 있으며, 간단한 회동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화분채취와 환기작업을 행하도록 구비되어 벌통의 이동시에도 별도의 분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화분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채취바디(30)와;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채취공(43)에 구별되어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된 채분판(40)과;
상기 채분판(40)을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과;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취공(43)을 통과하는 벌들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공(43)에는 얇은막 형태로 된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과공(48)과, 이 통과공(48)에 연통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로 연장된 디딤턱(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취바디(30)와 화분함(70)에는 각각의 하단부와 양측면에 상호 대응된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공(43)이 다수로 배열된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다수로 배열된 출구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봉용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결합되는 채취바디(30)에 다수의 채취공(43)이 형성된 채분판(40)과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을 선택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화분채취시에는 상기 채분판(40)에 의해 화분을 채취하고, 화분채취 과정에서 채취장소를 이동할 때에는 상기 채취바디(30)를 벌통(10)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환기판(60)을 정위치시킴에 따라 화분의 채취작업 도중에 별도의 개화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화분채취기(20)를 벌통(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재설치하는 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중에 환기판(60)에 의해 벌통(10) 내부의 열을 용이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여왕벌이 벌통(10)으로부터 날아가 분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공(43) 상에 얇은막 형태의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하는 과정에 화분을 떨어지도록 된 탈공(4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들이 통과할 때에 상기 탈막(47)이 탄성적으로 스침으로 인해 벌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분의 탈락이 용이하여 탈락과정에서 화분이 부서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공(43) 상에 탈막(47)의 전후로 디딤턱(50)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벌들이 채취공(43)을 통과할 때에 상기 디딤턱(50)에 다리를 지탱하여 채취공(43)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들이 채취공(4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가이드홈(36)이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6)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편(72)이 형성된 화분함(7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화분함(70)의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상태의 화분을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분판(40)은 채취공(43)이 배열된 채취부(41)와 출공(44)이 배열된 출구부(42)로 구획됨으로써, 벌통(10)으로 들어오는 벌들과 벌통(10)으로부터 나가는 벌들이 분리되어 질서정연하게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됨에 따라 벌통(10)으로부터 나가는 벌들이 출구를 용이하게 찾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출공(44)을 빠져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는 벌통(10)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인위적으로 수집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벌통(10)에 나사(S) 등에 의해 결합되는 채취바디(30)가 구비되고, 상기 채취바디(30) 상에는 전면을 가리도록 된 판형태로 구비되어 벌들이 벌통으로 들어가거나 벌통으로부터 나갈 수 있도록 된 채분판(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채취바디(30) 상에는 상기 벌통(10)의 이동시에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채취바디(30)의 전면을 가리도록 된 환기판(60)이 결합되고,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통형상의 화분함(70)이 구비되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취바디(30)는 일정 면적의 개구부(31)가 형성되도록 좌우에 직립된 측벽(32)과 이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벽(33)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측벽(32)은 일정 면적으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면상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채분판(40)을 결합하도록 된 결합공(34)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32)의 하부에는 상기 환기판(60)을 결합되도록 된 다른 결합공(35) 및 상기 화분함(70)을 결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36)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36)의 상부에는 상기 화분함(70)을 상기 가이드홈(36)에 결합할 때에 상기 환기판(60)을 상기 결합공(35)으로부터 분리하여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된 다른 가이드홈(3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33)에는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하도록 상기 채분판(40)을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걸림턱(38)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채분판(40)은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되는데, 상기 채취공(43)과 출공(44)은 상호 구별된 상태로 배열되도록 상기 채취공(43)이 배열되는 판형상의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일렬로 출구부(42)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양측에 상기 채취바디(30)의 결합공(34)에 끼움결합되는 힌지축(45)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에 상기 결합공(34)에는 상기 힌지축(4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45)이 결합공(3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된 별도의 체결구(80)가 구비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구(80)는 상기 채취바디(30)의 측벽(32)의 내외에서 상기 결합공(34)에 상호 끼움결합되는 핸들부(81)와 걸림부(82)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체결구(80)는 상기 결합공(34) 상에서 회동 가능함과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82)에는 일측에 걸림편(83)이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판(60)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 형성된 다른 결합공(35)에 끼움결합되도록 판부재의 일단 양측에 힌지축(61)이 돌출형성되고, 면상에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되는데, 이 환기판(60)은 상기 힌지축(61)이 결합공(35)에 헐거운 끼움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채취바디(30) 상에서 회동되어 상기 채분판(4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31)를 가리도록 정위치되거나 상기 화분함(70)에 하단이 내장되도록 상기 개구부(31)로부터 퇴피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채취바디(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37)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함(70)은 일정 면적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전방에 손잡이(7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채취바디(30)의 가이드홈(36)이 슬라이드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편(7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는 수집된 화분에 습기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기가 가능한 미세공(7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받침대(74)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에 따른 설치상태와 다양한 작동상태 등을 도 3 내지 도 8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채취기(20)는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상기 채취바디(30)가 나사(S)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는 상기 벌통(10)의 벌출입구(11)에 연통된 상태로 위치되고, 화분채취시에 상기 개구부(31)의 전면을 상기 채분판(40)에 의해 가리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환기판(60)은 하부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31)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위치되는데, 상기 환기판(60)은 일측에 절곡부(6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화분함(70) 내부에 놓인 상태로 경사지게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설치상태에 따르면, 상기 채분판(40)을 통해 벌통(10)의 내외로 출입되는 벌들은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통(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뒷다리가 걸림으로 인해 그에 뭉친 상태로 채취된 화분이 탈락되면서 상기 화분함(70)에 수집되는데, 상기 채취공(43)은 벌통(10)으로 들어가는 입구단이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장되어 벌들을 용이하게 유도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채취부(41)의 면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공(44)은 상기 채취공(43)에 비해 상향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벌통(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아갈 때에 장애물이 없이 터진 것처럼 하늘이 보이도록 형성되어 벌들에 의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되는데, 이 콘형상부(46)는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나가는 벌들을 상기 출공(44)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하여 상기 채취공(43)을 통해 벌통(10)의 내부로 들어오는 벌들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질서정연한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채취공(43)에는 벌들이 벌통(10)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벌들의 날개나 다리 등이 다치거나 화분이 부서지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벌들이 편리하게 다리를 지탱하여 채취공(43)을 통과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도 4와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채취공(43) 상에는 채취공(43) 자체의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박막 형태의 탈막(47)이 형성되는데,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의 머리와 몸통 등이 전체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48)이 형성되고, 이 통과공(48)의 하부에는 벌들의 뒷다리에 대응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탈막(47)은 벌들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스침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벌들이 특별한 어려움없이 편리하게 통과 가능하면서도 상기 탈공(49)에 의해 뒷다리가 몸통에 의해 눌림이 없는 상태로 용이하게 통과되어 그에 뭉쳐진 화분이 부서지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탈락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에 각각 위치되어 벌들이 발을 지지하여 전진하는 힘을 쓸 수 있는 디딤턱(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디딤턱(50)은 벌들이 상기 채취공(43)에 도달할 때에 앞다리를 디딜 수 있도록 상기 탈막(47)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디딤턱(51)과 상기 탈막(47)을 통과한 벌들이 앞다리를 걸어 몸통을 진행방향의 전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벌통(10) 내부측으로 연장된 후방디딤턱(5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디딤턱(52,53)은 돌출길이가 짧은 제1 후방디딤턱(52)과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2 후방디딤턱(53)으로 이루어져 벌들이 용이하게 채취공(43)을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채취 도중에 날씨가 좋지 않거나 벌들의 활동이 더딘 오후시간에는 벌들에 의해 화분의 채취량이 적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채분판(40)을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상기 채분판(43)은 상기 채취바디(30)에 형성된 걸림턱(38) 상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를 개방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벌들이 자유롭게 벌통(10)의 내외로 출입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채취 도중에 개화장소를 변경하여 벌통(10)을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채취바디(30)를 벌통(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채분판(40) 대신에 상기 환기판(60)을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31)를 가리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바디(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화분함(70)에 더블어 별도로 보관한 상태에서 이동장소에서 상기 채취바디(30)에 간단한 끼움에 따라 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환기판(60)은 상기 개구부(31)를 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구(80)에 형성된 걸림편(83)에 의해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기판(60)은 이동중에 벌통(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꿀벌이나 일벌들이 상기 통공(62)을 통해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면서도 여왕벌은 상기 통공(62)을 통해 벌통(10)의 외부로 나갈 수 없도록 가둠으로 인해 분봉을 방지하지 벌들의 손실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6)이 끼워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날씨가 습하거나 바람이 부는 날에 화분함(70)을 지면에 설치하게 되면 먼지나 이물질 또는 습기 등이 화분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함(70)을 채취바디(3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지면으로부터 화분함(70)을 이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불순물의 혼입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채분판(40)에 화분함(70)을 접근된 상태로 배치하여 화분을 청결한 상태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3에서와 같이 화분함(70)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날씨가 화창하게 좋을 때에 화분의 건조가 빠르면서도 벌들에 의해 화분의 채취량이 많을 때에 상대적으로 큰 화분함(70)이나 대용의 큰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채분판(40)의 채취부(41)와 출구부(42)는 각각 별체로 제작하여 상호 대응된 체결공(54)과 체결편(55)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채취부(41)와 출구부(42)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기 화분판(40)과 환기판(60)은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구조나 채취바디(30)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되는 분리구조에 의해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서 제거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화분판(40)과 환기판(60)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식이나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방식 등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채취바디(30)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채취바디(30)는 날개부분에 직접적으로 나사(S)가 체결된 상태로 벌통(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나사(S) 만을 벌통(10)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채취바디(30)의 날개부분이 상기 나사(S)의 머리부분에 의해 밀착시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벌통(10)의 벌출입구(11) 상에 장착되어 벌들에 의해 채취된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채취바디(30)와;
    상기 채취바디(30)의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통(10)의 내부로 벌들이 들어가도록 형성된 다수의 채취공(43)과, 상기 채취공(43)에 구별되어 상기 벌통(10)의 외부로 벌들이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출공(44)이 형성된 채분판(40)과;
    상기 채분판(40)을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31) 상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벌출입구(11)에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환기판(60)과;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채취공(43)을 통과하는 벌들로부터 낙하되는 화분을 수집하도록 된 화분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공(43)에는 얇은막 형태로 된 탈막(47)이 구비되고, 상기 탈막(47)에는 벌들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과공(48)과, 이 통과공(48)에 연통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탈공(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공(43)에는 상기 탈막(47)의 전후로 연장된 디딤턱(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바디(30)와 화분함(70)에는 각각의 하단부와 양측면에 상호 대응된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함(70)은 상기 가이드홈(36)과 가이드편(72)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채취바디(30)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분판(40)은 상기 채취공(43)이 다수로 배열된 채취부(41)와, 상기 채취부(4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공(44)이 다수로 배열된 출구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구부(42)에는 상기 출공(44)에 비해 확경된 상태에서 상기 출공(44) 측으로 점차 축소되는 콘형상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취기.
KR1020140148976A 2014-10-30 2014-10-30 양봉용 화분채취기 KR10167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ko) 2014-10-30 2014-10-30 양봉용 화분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ko) 2014-10-30 2014-10-30 양봉용 화분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997A true KR20160052997A (ko) 2016-05-13
KR101679918B1 KR101679918B1 (ko) 2016-11-28

Family

ID=5602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976A KR101679918B1 (ko) 2014-10-30 2014-10-30 양봉용 화분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581A (zh) * 2018-08-28 2018-12-18 北华大学 蜂王浆移虫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56Y1 (ko) * 2016-12-27 2019-06-07 최훈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KR101812993B1 (ko) * 2017-03-27 2018-01-30 오옥남 양봉 소문 트랜스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362Y1 (ko) * 1999-07-19 2000-03-15 장봉환 분봉방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581A (zh) * 2018-08-28 2018-12-18 北华大学 蜂王浆移虫机
CN109006581B (zh) * 2018-08-28 2020-12-01 北华大学 蜂王浆移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918B1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18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CN110268987B (zh) 一种鼠类科研饲养笼
KR101910479B1 (ko) 애완동물 사료 공급장치
US20120118244A1 (en) Grooming Table with Integrated Hair Collection System
KR101794477B1 (ko) 양봉용 화분 채분기
CA2695591A1 (en) Cat litter box with 3-fold rotational symmetrical cleaning mechanism
WO2011094201A1 (en) Honey bee packaging system
KR20180104365A (ko) 양질 꿀의 채득과 생활터전을 개선한 벌통
US20200288696A1 (en) Rodent Trap
KR20190106179A (ko)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20150107181A (ko) 양봉용 화분채분기
US20080041985A1 (en) Knife and chopping block holder with ultraviolet lights
CN210275472U (zh) 一种新型鼠类科研饲养笼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CN113271769A (zh) 直接从蜂箱中采集蜂蜜的高效系统
KR20090089823A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101812993B1 (ko) 양봉 소문 트랜스기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CN211910139U (zh) 一种阳台养蜂装置
CN109398888B (zh) 一种奶嘴放置盒
KR200431847Y1 (ko) 다기능 휴대용 벌통
KR20150031867A (ko) 조류용 자동 모이통
ES2298021B1 (es) Dispositivo para el cosechado de bayas.
JP2012055217A (ja) 日本みつばち専用のはち採取方法
CN210168491U (zh) 一种菊米采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