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79A -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179A
KR20190106179A KR1020180027294A KR20180027294A KR20190106179A KR 20190106179 A KR20190106179 A KR 20190106179A KR 1020180027294 A KR1020180027294 A KR 1020180027294A KR 20180027294 A KR20180027294 A KR 20180027294A KR 20190106179 A KR20190106179 A KR 2019010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mall
pair
plate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274B1 (ko
Inventor
김성훈
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to KR102018002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이 집을 지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꿀을 얻도록 하는 인공 소초이며, 벌집에 채집된 꿀의 채밀 작업을 간편하면서 빠른시간 안에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봉용 소초 장치로서, 내측에 소초 부재(200)가 수용되는 소초공간(101)을 갖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소초공간(101)에 벌방(211)이 마련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대칭으로 맞닿을 수 있게 결합되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으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막혀 폐쇄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벌어지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개방되는 소초 부재(200)와;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사이로 축부(310)를 이용해 축 결합되며,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캠부(320)의 캠 작용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을 밀어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2캠부(330)의 캠 작용으로 벌어진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당겨 다시 맞닿게 함으로 상기 개구부(211a)를 선택적 개폐하는 구동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Honey comb structure plate for bee keeping}
본 발명은 벌이 집을 지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꿀을 얻도록 하는 인공 소초이며, 벌집에 채집된 꿀의 채밀 작업을 간편하면서 빠른시간 안에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용 소초는 인위적으로 꿀을 얻기 위해 벌이 집을 쉽게 지을 수 있도록 기초 틀을 제공하는 것이며, 소초는 꿀, 꽃가루, 알, 번데기, 애벌레 등을 담는 육각형의 방이 벌집 형태로 다수 형성된 판재로 제작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초는 벌집과 함께 꿀을 식용하기 위해 소초가 식용가능한 천연밀랍으로 이루어지는데, 천연밀랍으로 제작된 소초는 채집되는 꿀의 무게로 쳐지기 쉽고, 온도에 민감하며, 변형이 잦아 양봉 효율이 떨어지는 동시에 벌집과 함께 꿀을 채밀함으로 천연밀랍 소초는 일회성의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천연밀랍 소초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꿀만 채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초를 개발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61753호를 살펴보면, 양봉시 꿀을 채밀하기 위해 벌통 내로 삽입되는 소초광에 있어서, 상기 소초광은 밑면에 인입홈이 형성된 상틀과 그 상틀의 좌,우측에 밑면으로 각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좌틀 및 우틀이 목재로 제작되는 소광틀부재와; 상단이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고 전면과 배면에는 벌집 모양의 단위 육각홈이 사방으로 연결 접하면서 밀납 코팅층이 형성되는 채밀판이 형성되고, 밑면에는 양단이 상기 좌,우틀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밀틀이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소초부재와; 상기 좌,우틀에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그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초부재의 채밀판 양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되, 이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면서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고정핀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헤드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69197호를 살펴보면,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에 있어서, 육각의 방이 형성되는 소초와; 상기 소초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상,하틀과 좌,우틀로 형성되며 그 단면이 "ㄷ"자로 형성되는 제1소광틀과; 상기 제1소광틀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상,하틀과 좌,우틀로 형성되는 제2소광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소광틀을 따라 서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고, 끼움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기 제1,2소광틀은 초음파로 융착되어 일체되고; 상기 제1,2소광틀의 좌,우틀은 각 소초광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의 상부 끝단은 곡면부 또는 오목부로 형성하고 간격유지부의 내측을 라운드 처리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벌이 집을 짓는 판 형태의 소초와, 그 소초를 지지하기 위해 소초 외측에 결합되는 틀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기 때문에 꿀이 채집된 소초를 채밀하기 위해서는 소초를 벌통에서 꺼내는 작업, 꺼내진 소초에서 틀을 분리하는 작업, 틀이 분리된 소초를 채밀 후 다시 틀을 조립하는 등의 매우 복잡한 작업공정을 갖게 되고, 틀이 분리된 소초는 별도의 채밀기에 넣어 꿀을 뜨는 채밀작업을 수행함으로 채밀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61753호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69197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초를 벌통에서 꺼내는 작업, 꺼내진 소초에서 틀을 분리하는 작업, 틀이 분리된 소초를 채밀 후 다시 틀을 조립하는 등의 매우 복잡한 작업공정을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채밀기에 소초를 넣어 꿀을 뜨는 채밀작업으로 채밀에 소용되는 작업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봉용 소초 장치로서,
내측에 소초 부재(200)가 수용되는 소초공간(101)을 갖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소초공간(101)에 벌방(211)이 마련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대칭으로 맞닿을 수 있게 결합되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으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막혀 폐쇄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벌어지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개방되는 소초 부재(200)와;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사이로 축부(310)를 이용해 축 결합되며,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캠부(320)의 캠 작용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을 밀어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2캠부(330)의 캠 작용으로 벌어진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당겨 다시 맞닿게 함으로 상기 개구부(211a)를 선택적 개폐하는 구동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칭으로 접하는 한 쌍의 소초 부재를 마련하는데, 그 한 쌍의 소초 부재가 구동축의 캠 작용에 의해 꿀 채밀 과정에서는 펼쳐지면서 꿀이 배출되는 개폐공간을 형성하고, 꿀 채집 과정에서는 맞붙어 개폐공간을 폐쇄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되게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소초 부재의 준비작업 없이 캠 동작으로 채밀을 곧바로 행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매우 단순화되고, 개폐공간을 이용한 자유 낙하로 채밀하여 채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의 작동 실시 상태의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소초 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소초공간(101)을 갖는 본체 부재(100); 개구부(211a)를 갖는 벌방(211)이 마련되어 소초공간(10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초 부재(200); 한 쌍의 소초판(210) 개구부(211a)를 개폐하는 구동축(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소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소초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소초 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내측에 소초 부재(200)가 수용되는 소초공간(101)을 갖으며, 소초 부재(200)를 지지 및 보호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소초 장치(1)를 별도로 제작하는 벌통에 간편하게 삽입되게 하면서 하나 이상의 소초 장치(1)를 벌통에 임의 간격으로 배치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부재(100)는; 상판(110), 하판(120), 측판(130)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100)는; 소초판(210)에 마련된 제1가이드홈(221)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111)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111)에 삽입된 제1가이드홈(221)이 제1가이드(111)에 의해 안내되면서 한 쌍의 측판(130)의 개폐동작을 지지하는 상판(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판(110)은 소초 부재(200)의 상단부를 차폐하면서 소초판(2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단면의 모양이 '┏┓' 형상의 판재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적용되는 수에 대응한 길이로 제작되면서 내측에 소초판(2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차폐되는 공간을 갖는다.
이때, 상기 상판(110)의 내측 공간의 좌,우측에는 소초판(210)의 상걸이부(220)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홈(221)의 위치 및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지고, 다시 맞닿는 이동범위에 대응한 크기로 판형 돌기 형태의 제1가이드(111)가 상판(110)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가이드(111)에 삽입된 소초판(210)을 지지하는 동시에 개폐 동작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소초판(210)에 마련된 제2가이드홈(231)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121)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121)에 삽입된 제2가이드홈(231)으로 제2가이드(121)에 의해 안내되면서 한 쌍의 측판(130)의 개폐동작을 지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측판(130)이 벌려진 상태에서 자유낙하 하는 꿀을 유입되게 하는 하판(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판(120)은 소초 부재(200)의 하단부를 차폐하면서 소초판(2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단면의 모양이 '┗┛' 형상의 판재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적용되는 수에 대응한 길이로 제작되면서 내측에 소초판(2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차폐되는 공간을 갖는데, 그 하판(120)의 내부 공간은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져 자유 낙하하는 꿀이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는 공간이며, 상기 하판(120)에 임시 저장된 꿀을 간편하게 채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하판(120)의 내측 공간의 좌,우측에는 소초판(210)의 하걸이부(230)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홈(231)의 위치 및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지고, 다시 맞닿는 이동범위에 대응한 크기로 판형 돌기 형태의 제2가이드(121)가 하판(120)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가이드(121)에 삽입된 소초판(210)을 지지하는 동시에 개폐 동작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의 양측단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판(110) 및 하판(120) 사이로 소초공간(101)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구동축(300)이 삽입되는 체결홀(131)을 이용해 구동축(30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판(130)은 상판(110) 및 하판(120) 양측단을 각각 덮어서 결합되어 상판(110) 및 하판(120) 사이로 소초 부재(200)가 삽입되는 소초공간(101)을 마련되게 하는데, 상기 측판(130)은 소초 부재(200)의 상하 길이에 대응한 판재로 제작되며, 측판(13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동축(300)의 양단부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지지되게 하는 체결홀(131)이 관통구멍으로 각각 마련된다.
상기 체결홀(131)은 구동축(300)이 적용되는 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측판(130)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 또는 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판(130)의 하부에는 하판(120)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배출홀(132)이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132)은 평상시 별도 마개에 의해 막힌 형태로 유지되어 하판(120)의 내부 공간으로 꿀이 임시 저장되게 하고, 채밀 작업에서 배출홀(132)을 막고 있는 마개를 분리하여 배출홀(132)을 통해 하판(120)에 임시 저장된 꿀을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소초 부재(2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소초공간(101)에 벌방(211)이 마련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대칭으로 맞닿을 수 있게 결합되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으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막혀 폐쇄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벌어지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개방되며, 벌방(211)을 이용해 꿀을 채집되게 하면서 그 채집된 꿀을 간편하게 채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소초 부재(200)는; 한 쌍의 소초판(210), 상걸이부(220). 하걸이부(2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소초 부재(200)는; 내측에 다수의 벌방(211)이 마련되며, 소초공간(101)에 대칭으로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소초판(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은 본체 부재(100)의 소초공간(101) 내측 전,후방에서 각각 서로 대칭으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걸이부(220) 및 하걸이부(230)에 의해 상판(110) 및 하판(120)에 지지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소초판(210)은 내측에 꿀, 꽃가루, 알, 번데기, 애벌레 등을 담는 방으로 꿀을 채집하는 목적의 벌방(211)이 관통구멍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측의 벌방(211) 입구로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211a)가 마련되고, 상기 벌방(211)은 소초판(210)에 임의 형태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소초판(210)은 벌방(211)이 임의 각도를 갖는 하향 경사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개구부(211a)가 개방되면 경사를 따라 꿀이 자유낙하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벌방(211)은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임의 각도의 하향 경사를 갖는데, 그 벌방(211)의 하향 경사를 갖는 임의 각도는 40°~ 50°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45°로 형성되어 꿀이 최적의 각도로 자유 낙하되게 하며, 상기 벌방(211)의 하향 경사각이 40°이하이면 꿀이 자유 낙하가 매우 더디고, 벌방(211)의 하향 경사각이 50°이상이면 벌방(211)에 담긴 알, 번데기, 애벌레 등의 유입량이 늘어나 꿀의 채밀량이 줄어든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은 한쪽 소초판(210)의 벌방(211)의 개구부(211a)가 반대쪽 소초판(210)의 벌방(211) 상단부에 막혀 폐쇄되게 하면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요철형태로 맞닿아 결속력이 발휘되도록 한 쌍의 소초판(210)이 맞닿는 면으로 지그재그 홈으로 형성된 체결면(2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면(212)은 벌방(211)의 개구부(211a)를 기준으로 벌방(211)의 직각방향으로 지그재그 면을 갖는 홈으로 한쪽 소초판(210) 및 반대쪽 소초판(21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면이 체결면(212)에 의해 서로 요철 형태로 맞물림에 따라 한쪽 소초판(210)의 개구부(211a)가 반대쪽 소초판(210)의 벌방(211) 상단부에 막히는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체결면(212)을 이용해 한 쌍의 소초판(210)이 맞닿는 부분이 맞물려 체결되면서 결속력이 발휘되고, 다수의 벌방(211)은 체결면(212)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됨에 따라 벌방(211)에 꿀을 채집할 수 있는 담는 공간을 매우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체결면(212)에 의한 결속력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의 상하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개구부(211a)를 견고하게 밀폐함에 따라 꿀 채집 중 의도치 않은 개구부(211a)의 틈으로 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초 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 상단부에 각각 대칭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며, 그 돌출된 부분 일측에 마련된 제1가이드홈(221)이 상판(110)의 제1가이드(111)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소초판(210)을 본체 부재(100)에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상걸이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상걸이부(220)는 한 쌍의 소초판(210) 상단부에 판 형태로 각각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고, 한 쌍의 상걸이부(220)는 소초판(210)이 소초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110) 내측에 상걸이부(220)가 위치 가능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한 쌍의 상걸이부(220)는 소초판(210)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복수로 마련된다.
이때, 상걸이부(220)의 일측으로 제1가이드(1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제1가이드홈(221)이 제1가이드(111)의 크기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221)을 이용해 제1가이드(111)에 끼워져 상걸이부(220)를 상판(110)에 체결시키고, 상걸이부(220)의 체결구조에 의해 소초판(21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소초 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 하단부에 각각 대칭으로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며, 그 돌출된 부분 일측에 마련된 제2가이드홈(231)이 하판(120)의 제2가이드(121)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소초판(210)을 본체 부재(100)에 지지되게 하는 한 쌍의 하걸이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하걸이부(230)는 소초판(210)의 하단부에 판 형태로 각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고, 한 쌍의 하걸이부(230)는 소초판(210)이 소초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판(120) 내측에 하걸이부(230)가 위치 가능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한 쌍의 하걸이부(230)는 소초판(210)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복수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걸이부(230)의 일측으로 제2가이드(1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제2가이드홈(231)이 제2가이드(121)의 크기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231)을 이용해 제2가이드(121)에 끼워져 하걸이부(230)를 하판(120)에 체결시키고, 하걸이부(230)의 체결구조에 의해 소초판(210)을 받치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상걸이부(220) 및 한 쌍의 하걸이부(230)는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지거나, 또는 다시 맞닿는 작동과정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221)은 제1가이드(111)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231)은 제2가이드(121)를 따라 안내되어 한 쌍의 소초판(210)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상걸이부(220) 및 복수의 하걸이부(230)는 구동축(300)의 축부(310)가 축 결합으로 연결되는 축홀(241) 및 제1캠부(320)가 축 결합으로 연결되는 캠홀(242)이 독립적으로 각각 마련된다.
상기 축홀(241) 및 캠홀(242)은 구동축(300)이 적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걸이부(220) 및 하걸이부(23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걸이부(220)와 하걸이부(230)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홀(241)은 한 쌍의 상걸이부(220) 또는 한 쌍의 하걸이부(230)가 서로 대향된 측 사이에 원형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축(300)의 축부(310)가 축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축부(3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에 마련되며, 상기 축부(310)의 제자리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캠홀(242)은 한 쌍의 상걸이부(220) 또는 한 쌍의 하걸이부(230)가 서로 대향된 측 사이에 장홀인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축(300)의 제1캠부(320)가 축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제1캠부(3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캠홀(242)은 축부(310)에 대응한 회전부(242a)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242a)의 일측에 제1캠부(320)의 크기에 대응한 여유부(242b)를 갖는데, 상기 여유부(242b)에 제1캠부(320)가 위치하면 편심 회전에 의한 캠 작용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부(242a) 측으로 제1캠부(320)가 회전하면 그 회전부(242a)가 제1캠부(320)에 밀리면서 캠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42a)는 구동축(300)의 축부(310)와 동일한 직경의 관통 구멍으로 축부(310)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여유부(242b)는 회전부(242a)의 상부로 한 쌍의 소초판(210)이 맞닿는 상태에서 제1캠부(320)가 삽입될 수 있는 여유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유부(242b)에 제1캠부(320)가 삽입되면 캠 기능이 수행되지 않게 되며, 여유부(242b)의 양측 직경은 회전부(242a)와 동일함으로 제1캠부(320)가 회전부(242a) 측으로 회전하면 제1캠부(320)에 의해 캠홀(242)이 밀리면서 소초판(210)이 벌어지는 캠 작용을 수행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상걸이부(220) 또는 하걸이부(230)는 제2캠부(330)의 회전 중 접촉 가능한 위치로 마련되는데, 제2캠부(330)가 회전 중 접촉되면서 소초판(210)을 당기는 힘이 발휘되고, 그 당기는 힘을 이용해 소초판(210)을 움직여 제1캠부(320)에 의해 벌려진 상태의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다시 맞닿게 하는 캠돌기(2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캠돌기(243)는 구동축(300)의 제2캠부(330)가 제1캠부(320)에 대하여 반대되는 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캠부(330)의 회전에 접촉가능한 연계 위치로 돌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축홀(241)의 외측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캠돌기(243)가 한 쌍의 소초판(210)을 벌어지게 하는 캠 기능의 제1캠부(320)에 반대되는 캠 작용을 수행가능한 위치에서 제2캠부(330)에 연계된 캠 작동을 수행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벌어진 한 쌍의 소초판(21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을 매우 간편하게 다시 맞닿게 할 수 있어 채밀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300)은;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사이로 축부(310)를 이용해 축 결합되며,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캠부(320)의 캠 작용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을 밀어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2캠부(330)의 캠 작용으로 벌어진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당겨 다시 맞닿게 함으로 상기 벌방(211)의 개구부(21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축(300)은; 축부(310), 제1캠부(320), 제2캠부(3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축(300)은; 소초 부재(200)의 축홀(241)에 관통삽입되어 축 연결되면서 제자리 회전하는 축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부(310)는 한 쌍의 상걸이부(220) 또는 한 쌍의 하걸이부(230)가 서로 대향된 측 사이에 축 결합되는데, 본체 부재(100)의 양 측판(130) 사이에 축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으면서 체결홀(131), 축홀(241)에 축 결합되는 직경을 갖는 환봉으로 제작되며, 상기 체결홀(131), 축홀(241)에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작동한다.
이때, 상기 축부(310)는 측판(130) 외측으로 일부 노출된 부분을 돌려 회전시키거나, 별도 공구를 축부(310)에 연결시켜 회전시키거나,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연결하여 자동 방식으로 선택적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300)은; 상기 축부(31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축부(310)를 통해 캠홀(242)에 축 결합으로 연결되어 축부(310)의 회전 중 캠홀(242)과 연계된 캠 작용을 수행하는 제1캠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캠부(320)는 소초 부재(200)의 캠홀(242)에 대응한 위치에서 축부(310)의 일측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판 형태로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캠홀(242)의 여유부(242b)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으며, 축부(310)의 회전 중 캠홀(242) 측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라운드 면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캠부(320)가 축부(310)에 의해 하향 회전하면 제1캠부(320)의 라운드 면이 캠홀(242)을 압박하면서 밀어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300)은; 상기 축부(310)의 일측으로 제1캠부(320)의 캠 작용에 반대되는 캠 작용을 수행가능한 위치로 캠돌기(243)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며, 축부(310)의 회전 중 캠돌기(243)와 연계된 캠 작용을 수행하는 제2캠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캠부(330)는 제1캠부(320)의 캠 작용에 반대되는 위치에서 축부(310)의 회전 중 소초 부재(200)의 캠돌기(243)에 접촉가능한 위치로 축부(310) 일측방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판 형태로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는데, 한 쌍의 소초판(210)의 벌려지도록 축부(310)가 회전 후 다시 맞닿기 위해 축부(3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소초 부재(200)의 캠돌기(243)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캠부(330)가 축부(310)에 의해 상향 회전하면 제2캠부(330)의 회전면이 소초 부재(200)의 캠돌기(243)에 접촉되면서 캠돌기(243)를 밀고, 그 캠돌기(243)가 밀리면서 벌려진 상태에서 한 쌍의 소초판(210) 중 일측이 당겨져 다시 맞닿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의 작동 실시 예를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소초 장치(1)는 별도로 제작되는 벌통에 하나 이상 삽입시켜 다수의 소초 장치(1)를 운용할 수 있게 하고, 최초 소초 장치(1)는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이루어져 그 소초판(210)의 벌방(211)에 양봉에 의한 꿀을 채집되게 한다.
한편, 양봉에 의한 꿀을 채집한 후 채밀 작업을 요구하면, 소초 장치(1)의 일측으로 노출된 구동축(300)의 축부(310)를 하향 회전시키는데, 그 회전에 의해 캠홀(242)의 여유부(242b)에 위치된 제1캠부(320)가 회전부(242a) 측으로 회전하면서 캠홀(242)을 밀어 그 밀리는 캠 작용에 의한 힘에 의해 한 쌍의 소초판(210) 중 한쪽이 서서히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캠돌기(243)에 접촉된 제2캠부(330)는 캠돌기(243)로부터 이격되는 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캠부(320)의 캠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소초판(210)이 벌어지면 그 벌어진 틈에 의해 벌방(211)의 개구부(211a)가 개방되어 채집된 꿀이 한 쌍의 소초판(210) 사이로 자유 낙하하면서 하판(120) 내측에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고, 그 하판(120)에 저장된 꿀을 배출시켜 채밀을 완료한다.
또한, 채밀이 완료되면 구동축(300)의 축부(310)를 반대방향 즉 상향 회전시키는데, 그 회전에 의해 캠돌기(243)로부터 이격된 제2캠부(330)가 캠돌기(243) 측으로 회전 접촉되면서 당기는 힘이 발휘되어 벌려진 상태의 소초판(210)이 다시 맞닿게 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다시 맞닿은 상태의 소초 장치(1)를 이용해 다시 꿀 채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서로 대칭으로 접하는 한 쌍의 소초 부재(200)를 마련하는데, 그 한 쌍의 소초 부재(200)가 구동축(300)의 캠 작용에 의해 꿀 채밀 과정에서는 펼쳐지면서 꿀이 배출되는 개구부(211a)가 개방되고, 꿀 채집 과정에서는 개구부(211a)가 폐쇄되는 선택적 동작을 수행가능함에 따라 소초 장치(1)의 준비작업 없이 캠 동작으로 채밀을 곧바로 행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매우 단순화되고, 개구부(211a)를 이용한 자유 낙하로 채밀하여 채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소초 장치 100; 본체 부재
110; 상판 120; 하판
130; 측판 200; 소초 부재
210; 소초판 220; 상걸이부
230; 하걸이부 300; 구동축
310; 축부 320; 제1캠부
330; 제2캠부

Claims (5)

  1. 양봉용 소초 장치로서,
    내측에 소초 부재(200)가 수용되는 소초공간(101)을 갖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소초공간(101)에 벌방(211)이 마련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대칭으로 맞닿을 수 있게 결합되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으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막혀 폐쇄되고,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벌어지면 벌방(211)의 안쪽 개구부(211a)가 개방되는 소초 부재(200)와;
    상기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맞닿는 사이로 축부(310)를 이용해 축 결합되며,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캠부(320)의 캠 작용으로 한 쌍의 소초판(210)을 밀어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축부(310)의 일측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2캠부(330)의 캠 작용으로 벌어진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당겨 다시 맞닿게 함으로 상기 개구부(211a)를 선택적 개폐하는 구동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초 부재(200)는 축부(310)에 대응한 회전부(242a)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242a)의 일측에 제1캠부(320)의 크기에 대응한 여유부(242b)를 갖는데, 상기 여유부(242b)에 제1캠부(320)가 위치하면 편심 회전에 의한 캠 작용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부(242a) 측으로 제1캠부(320)가 회전하면 그 회전부(242a)가 제1캠부(320)에 밀리면서 캠 작용을 수행하는 캠홀(242)을 더 포함한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초 부재(200)는 소초판(210)에 벌방(211)이 임의 각도를 갖는 하향 경사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개구부(211a)가 개방되면 경사를 따라 꿀이 자유낙하 하는 것을 더 포함한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초 부재(200)는 한쪽 소초판(210)의 벌방(211)의 개구부(211a)가 반대쪽 소초판(210)의 벌방(211) 상단부에 막혀 폐쇄되게 하면서 한 쌍의 소초판(210)이 서로 요철형태로 맞닿아 결속력이 발휘되도록 한 쌍의 소초판(210)이 맞닿는 면으로 지그재그 홈으로 형성된 체결면(212)을 더 포함한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초 부재(200)는 제2캠부(330)의 회전중 접촉 가능한 위치로 마련되는데, 제2캠부(330)가 회전 중 접촉되면서 소초판(210)을 당기는 힘이 발휘되고, 그 당기는 힘을 이용해 소초판(210)을 움직여 제1캠부(320)에 의해 벌려진 상태의 한 쌍의 소초판(210)을 다시 맞닿게 하는 캠돌기(243)를 더 포함한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1020180027294A 2018-03-08 2018-03-08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10204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94A KR102047274B1 (ko) 2018-03-08 2018-03-08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94A KR102047274B1 (ko) 2018-03-08 2018-03-08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79A true KR20190106179A (ko) 2019-09-18
KR102047274B1 KR102047274B1 (ko) 2019-11-21

Family

ID=6807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94A KR102047274B1 (ko) 2018-03-08 2018-03-08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280A1 (en) * 2020-01-09 2021-07-15 Paradise Honey Oy Structure of a honeycomb frame
WO2023115242A1 (zh) * 2021-12-20 2023-06-29 台州蜂收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苦蜂蜜养殖设备
KR102632581B1 (ko) 2022-10-11 2024-02-01 한승희 비대면 스마트 벌꿀 채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53B1 (ko) 2007-04-23 2008-10-06 금 석 오 양봉용 소초광
KR100969197B1 (ko)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70781A1 (en) * 2011-12-21 2014-12-18 Cedar Anderson Apiculture
KR101775398B1 (ko) * 2016-10-21 2017-09-06 신상훈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53B1 (ko) 2007-04-23 2008-10-06 금 석 오 양봉용 소초광
KR100969197B1 (ko)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70781A1 (en) * 2011-12-21 2014-12-18 Cedar Anderson Apiculture
KR101775398B1 (ko) * 2016-10-21 2017-09-06 신상훈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280A1 (en) * 2020-01-09 2021-07-15 Paradise Honey Oy Structure of a honeycomb frame
WO2023115242A1 (zh) * 2021-12-20 2023-06-29 台州蜂收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苦蜂蜜养殖设备
KR102632581B1 (ko) 2022-10-11 2024-02-01 한승희 비대면 스마트 벌꿀 채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274B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74B1 (ko)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CN111418526B (zh) 一种中蜂蜂箱、割蜜刀及巢脾过箱条
KR101227309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CN206547611U (zh) 分离式自流蜜巢脾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EP1581048A2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mb honey
KR102178345B1 (ko)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KR101794477B1 (ko) 양봉용 화분 채분기
CN113271769B (zh) 直接从蜂箱中采集蜂蜜的高效系统
KR100716520B1 (ko) 개량식 토종벌통
KR20150107181A (ko) 양봉용 화분채분기
CN103719058B (zh) 马蜂诱捕装置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CN212306513U (zh) 一种能够有效避免蜂蜇的蜜蜂养殖箱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RU2156570C2 (ru) Секционный улей пчеловода-любителя
KR100861753B1 (ko) 양봉용 소초광
KR200410878Y1 (ko) 개량식 토종벌통
KR20180002028U (ko) 채분이 용이한 조립식 채분기
KR20200132180A (ko) 로열젤리 채취용 알 수집기
CN216906433U (zh) 一种蜜蜂不规则蜜脾摇蜜盒
CN214431086U (zh) 一种养蜂用巢脾脱蜂装置
CN217364263U (zh) 一种防胡蜂多功能蜂箱
CN218587963U (zh) 一种新型多功能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