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98B1 -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 Google Patents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98B1
KR101775398B1 KR1020160137830A KR20160137830A KR101775398B1 KR 101775398 B1 KR101775398 B1 KR 101775398B1 KR 1020160137830 A KR1020160137830 A KR 1020160137830A KR 20160137830 A KR20160137830 A KR 20160137830A KR 101775398 B1 KR101775398 B1 KR 10177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forerunner
essential element
fir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훈 filed Critical 신상훈
Priority to KR102016013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부; 전방 및 후방으로 복수의 제1소방격벽이 형성되며 상부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소방격벽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의 전방 측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 측에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소초부; 및 상기 제1소초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3소방격벽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의 후방 측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의 후방 측에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소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A BEEKEEPING BEEHIVES IS EASY TO HARVESTING HONEY}
본 발명은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벌꿀은 감미료부터 약제, 영양제, 공업 및 화장품 원료로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는 우수한 자연식품으로서, 종합 영양제로 불릴 만큼 맛과 영양, 효능 및 향이 뛰어나다.
이러한 벌꿀을 얻기 위한 양봉은 농업의 한 분야로서, 벌을 사양하여 벌꿀, 로얄제리, 화분 및 밀랍 등을 생산하는 산업이며, 우리나라의 양봉산업 역사는 삼국시대 때부터 시작되었고, 현재도 전국적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양봉은 벌꿀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식재된 꽃에서 벌꿀과 화분을 수집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 때문에, 유익한 밀원인 꽃을 찾아 산간오지 등으로 이동하면서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소초라 함은 벌들이 벌집을 지을 때 쉽게 지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밀랍을 이용하여 육각형태로 제작되는 얇은 판을 가리키며, 소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틀 형태를 소광이라 하고, 소초와 소광을 합친 것을 소초광이라 한다.
종래의 양봉 작업에서는 벌들이 벌집을 쉽게 짓도록 하기 위해 육각 형태의 돌기를 지닌 소초에 소초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소광을 결합시켜 벌통 내부에 직립으로 삽입하여 고정시켰다.
이후 벌들의 활동에 의해 벌집이 형성되고, 벌의 활동에 의해 벌집에 벌꿀이 모이게 되면 소초광을 수집한 뒤에, 채밀작업을 통해 벌꿀을 채밀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양봉산업은 산간오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기계화가 더디게 진행되며, 주로 양봉 전문가인 기술 인력으로 양봉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556288호에는 양봉용 소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봉용 소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양봉용 소비를 설명하자면, 별도의 장비 없이 소비에서 생성되는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양봉용 소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베이스 뼈대를 이루며 격벽 슬롯(1a)이 마련되는 소광부(1), 소광부(1)에 마련되어 벌집의 베이스 형상의 토대를 이루며 벌집에 마련되는 벌꿀이 소광부(1)의 상측부에서 하측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소초부(2) 및 격벽 슬롯(1a)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소초부(2)의 일 측부 개방 영역을 밀폐하여 벌꿀이 소광부(1)의 바닥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부(3)로 구성되어, 소초부(2) 내부에 마련되는 벌꿀이 일정 수준으로 모이게 되면 격벽부(3)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소초부(2) 내부의 벌꿀이 소광부(1)의 바닥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초부(2)에 모여지는 벌꿀은 격벽 슬롯(1a)에 결합된 격벽부(3)의 양 측면에도 묻게 되어 소초부(2)에서 흘러내리는 벌꿀뿐만 아니라, 격벽부(3)의 양 측면에 묻은 벌꿀도 채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소초부(2)에 모여지는 벌꿀을 포집하기 위해 격벽부(3)를 격벽 슬롯(1a)에서 분리시키거나, 격벽 슬롯(1a)에 격벽부(3)를 결합시킬 때 소초부(2) 내부의 애벌레가 격벽부(3)에 의해 죽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556288 호(2015.09.22.) 등록특허공보 제 10-0479192 호(2005.03.17.) 등록특허공보 제 10-1093261 호(2011.12.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는, 소광부; 전방 및 후방으로 복수의 제1소방격벽이 형성되며 상부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소방격벽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의 전방 측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 측에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소초부; 및 상기 제1소초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3소방격벽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의 후방 측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의 후방 측에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소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는,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상기 제2소초부의 복수의 제2소방격벽이 선 접촉되고, 상기 제1소초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과 상기 제3소초부의 복수의 제3소방격벽이 선 접촉되어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소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 3소초부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소방에서 흐르는 벌꿀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소초부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홈부; 및 상기 관통홈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의 제1결합돌기와 제3소초부의 제2결합돌기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의 제1결합홈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의 제1결합돌기와 제3소초부의 제2결합돌기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광부에는, 내부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소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상기 소광부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광부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는, 좌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우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상기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의하면,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봉용 소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소광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포집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채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복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소광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포집튜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는, 소광부(10),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로 구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벌통에는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미도시)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중량이 일정 수치 이상이 되어 채밀 시점이 되면,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시켜 벌꿀을 채밀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향표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면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소광부(10)는 소비를 만들기 위한 나무 재질의 틀로서,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수용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 2에서는 소광부(10)의 전면 및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광부(10)의 전면 및 상부는 밀폐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벌들이 드나들기 위한 복수의 출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소초부(20)는, 전방 및 후방으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이 형성되며 상부에 제1결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소초부(30)는,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소방격벽(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22)의 전방 측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측에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소초부(40)는,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3소방격벽(4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22)의 후방 측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 측에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소광부(10),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은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접촉면이 파손되거나 노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랍(Bees wax)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소초부(20)에 제1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에 제1결합돌기(32) 및 제2결합돌기(42)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소초부(20)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에 제1결합홈(22)이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은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상기 제2소초부(30)의 복수의 제2소방격벽(31)이 선 접촉되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상기 제3소초부(40)의 복수의 제3소방격벽(41)이 선 접촉되어 복수의 소방(50)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방격벽(21)과 제2소방격벽(31) 및 제1소방격벽(21)과 제3소방격벽(41)이 선 접촉되어 이루어지는 소방(50)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방(50)의 육각 형상은 실시 예에 따라 삼각 형상, 사각 형상, 오각 형상 및 팔각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소초부(20)의 일면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우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3결합돌기(2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타면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좌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제3결합돌기(25)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소초부(20)의 제3결합돌기(25) 및 제2결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20)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방(50)에서 흐르는 벌꿀이 상기 소광부(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별도의 포집튜브(60)가 삽입되는 포집로(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의 일면 상부 양측에는 우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소초부의 타면 상부 양측에는 좌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제3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2소초부(30)의 제2소방격벽(31)이 선 접촉되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3소초부(40)의 제3소방격벽(41)이 선 접촉됨으로써 소방(50)이 형성되며, 상기 소방(50) 내부의 벌꿀은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2소초부(30)의 제2소방격벽(31)이 어긋나게 되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3소초부(40)의 제3소방격벽(41)이 어긋나게 되어 상기 제1소초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집로(23)에 벌꿀이 흐르게 되고, 상기 소광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3)를 개방하여 별도의 포집튜브(6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포집로(23)의 벌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소광부(10)에는 내부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20)의 양측 말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림되어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를 지지하는브라켓(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80)은 후술되는 조작막대(70)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소초부(20)의 결합홈(22)의 형상과 동일하게 홈(미도시)이 뚫려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올바른 실시 예로는, 후술되는 조작홈(12)과 인접한 브라켓(80)에만 상기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홈(12)과 이격 배치되는 브라켓(80)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광부(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11)는, 좌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우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림되는 상기 브라켓(80),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광부(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는 상기 소광부(10)에 배치되는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지면으로부터 약 3 ~ 7ㅀ 정도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 및 상기 브라켓(80)의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2소초부(3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소방(50)의 벌꿀이 하부로 흐를 경우, 상기 포집로(23)로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소광부(10)의 걸림돌기(11)에 의해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포집로(23)의 벌꿀이 포집튜브(60)를 통해 외부로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집로(23)의 벌꿀이 상기 제1소초부(20)가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흐르도록 구성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포집로(23)의 형상 자체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벌꿀이 흐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80)에는, 상기 브라켓(80)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의 사이 간격으로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돌기(8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돌기(81)는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 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벌이 용이하게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50)으로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초부(20)의 제1결합홈(22)은, 상기 제1소초부(20)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홈부(22a) 및 상기 관통홈부(22a)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30)의 제1결합돌기(32)와 제3소초부(40)의 제2결합돌기(42)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홈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소초부(20)의 제1결합홈(22)은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2소초부(30)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2소초부(30)의 슬라이드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바람직한 슬라이드 이동 거리(l)는 상기 제1소방격벽(21), 제2소방격벽(31) 및 제3소방격벽(41)의 두께(t)의 1.5배 ~ 5.5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2.5배 ~ 4.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채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의 복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광부(10)에는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20)에서 상기 제1소초부(20)에 결합되는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소방(50)의 벌꿀을 포집하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소초부(30)의 제1결합돌기(32)와 제3소초부(40)의 제2결합돌기(42)의 사이에 별도의 조작막대(70)를 삽입하고, 첨부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막대(7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막대(70)는 회전된 이후의 전후 폭이 회전되기 전의 전후 폭 보다 넓도록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조작막대(70)의 회전 반경만큼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2소초부(30)의 제2소방격벽(31) 및 제1소초부(20)의 후방 측 제1소방격벽(21)과 제3소초부(40)의 제3소방격벽(41)에 의해 형성된 소방(50)이 어긋나게 되면서 상기 소방(50) 내의 벌꿀이 하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22)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30)의 제1결합돌기(32)와 제3소초부(40)의 제2결합돌기(42)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24)은 전술한 제1결합홈(22)의 제한홈부(22b)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홈(22)의 제한홈부(22b)와 걸림턱(24)이 상기 제2소초부(30)와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유는, 상기 소방(50)의 벌꿀을 모두 포집한 이후에는 상기 제2소초부(30)와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되기 전 위치로 복귀시켜 다시 상기 소방(5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d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소초부(30)와 제3소초부(4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소방격벽(21), 제2소방격벽(31) 및 제3소방격벽(41)이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소초부(30)와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시켰던 조작막대(70)를 상기 소광부(10)와 슬라이드 이동된 제2소초부(30)의 사이에 삽입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소광부(10)와 슬라이드 이동된 제3소초부(40)의 사이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홈(22)의 제한홈부(22b)와 걸림턱(24)은 상기 제2소초부(30)와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소광부(10)와 제2소초부(30)의 사이 및 상기 소광부(10)와 제3소초부(40)의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작막대(7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벌통에서 벌꿀을 포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조작막대(70)를 이용하여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벌통 내에서 벌꿀을 포집할 수 있게 되며, 원상태로의 복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3소초부가 서로 어긋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의 벌꿀을 간단하게 채취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제1소초부와 제2소초부 및 제1소초부와 제3소초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방에 서식하는 벌의 애벌레가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소광부 11 : 걸림돌기
12 : 조작홈 13 : 배출구
20 : 제1소초부 21 : 제1소방격벽
22 : 제1결합홈 22a : 관통홈부
22b : 제한홈부
23 : 포집로 24 : 걸림턱
25 : 제3결합돌기
30 : 제2소초부 31 : 제2소방격벽
32 : 제1결합돌기
40 : 제3소초부 41 : 제3소방격벽
42 : 제2결합돌기
50 : 소방 60 : 포집튜브
70 : 조작막대
80 : 브라켓 81 : 간격유지돌기

Claims (10)

  1. 소광부(10);
    전방 및 후방으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이 형성되며 상부에 제1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20);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소방격벽(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22)의 전방 측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측에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소초부(30); 및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3소방격벽(4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결합홈(22)의 후방 측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 측에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소초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소광부(10),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밀랍(Bees wax)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상기 제2소초부(30)의 복수의 제2소방격벽(31)이 선 접촉되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소방격벽(21)과 상기 제3소초부(40)의 복수의 제3소방격벽(41)이 선 접촉되어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소방(5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소방(50)에서 흐르는 벌꿀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로(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의 일면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우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3결합돌기(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소초부(20)의 타면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좌측 방향에 이웃하는 다른 제1소초부의 제3결합돌기(25)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22)은,
    상기 제1소초부(20)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홈부(22a); 및
    상기 관통홈부(22a)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30)의 제1결합돌기(32)와 제3소초부(40)의 제2결합돌기(42)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홈부(2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초부(20)의 제1결합홈(22)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각각 상기 제1소초부(20)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소초부(30)의 제1결합돌기(32)와 제3소초부(40)의 제2결합돌기(42)가 걸림되어 상기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광부(10)에는,
    내부 양측에 각각 걸림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소광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은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린 상태로 상기 소광부(1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광부(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11)는,
    좌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우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림되는 상기 제1소초부(20), 제2소초부(30) 및 제3소초부(4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KR1020160137830A 2016-10-21 2016-10-21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KR10177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30A KR101775398B1 (ko) 2016-10-21 2016-10-21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30A KR101775398B1 (ko) 2016-10-21 2016-10-21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98B1 true KR101775398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30A KR101775398B1 (ko) 2016-10-21 2016-10-21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917A (ko) * 2016-12-27 2018-07-05 정혁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KR20190106179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3B1 (ko) * 2015-08-19 2016-02-01 (주)프레스코 소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3B1 (ko) * 2015-08-19 2016-02-01 (주)프레스코 소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917A (ko) * 2016-12-27 2018-07-05 정혁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KR101966937B1 (ko) * 2016-12-27 2019-04-08 정혁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KR20190106179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102047274B1 (ko) * 2018-03-08 2019-11-21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556288B1 (ko) 양봉용 소비
EP2693871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plants
KR101775398B1 (ko) 벌꿀 채밀이 용이한 소비 구조
EP2888934B1 (en)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PL218923B1 (pl) Pułapka do monitorowania obecności owadów
KR101833244B1 (ko) 양봉용 소비
Kaitala et al. Ant predation and the cost of egg carrying in the golden egg bug: experiments in the field
EP29506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lants
Rau The nesting habits of the little carpenterbee, Ceratina Calcarata
Strickland Honey hunting by the Gurungs of Nepal
Goncalves et al. Experimental evidence that chronic outgroup conflict reduces reproductive success in a cooperatively breeding fish
Gillaspy Behavioral observations on paper-nest wasps (genus Polistes; family Vespidae; order Hymenoptera)
Rogers Female choice predicts the best father in a biparental fish, the Midas cichlid (Cichlasoma citrinellum)
CN101116430A (zh) 专捕中底层鱼的方法
van der Meeren et al. Sexual and aggressive interactions in a mixed species group of lobsters Homarus gammarus and H. americanus
KR200186570Y1 (ko) 꿀벌먹이통 겸용 채유광
Frafjord Agonistic behaviour and dominance relations of captive arctic foxes (Alopex lagopus) in Svalbard
Warder The True Amazons: Or, The Monarchy of Bees. Being a New Discovery and Improvement of Those Wonderful Creatures
KR100998438B1 (ko) 다용도 부화통
Schmidt et al. Preliminary studi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feeding vampire bats, Desmodus rotundus, under natural and laboratory conditions
Gardi et al. Ailanthus Altissima (Mill.) and Varroa Destructor (Anderson & Trueman)-Two Alien and Invasive Species With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On the “Hive System”
KR102049079B1 (ko) 기생 해충 포집용 트랩이 설치된 양봉용 소비
KR102476577B1 (ko)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CN208402887U (zh) 一种用于收集蜜蜂的试验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