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477B1 - 양봉용 화분 채분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화분 채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77B1
KR101794477B1 KR1020170063325A KR20170063325A KR101794477B1 KR 101794477 B1 KR101794477 B1 KR 101794477B1 KR 1020170063325 A KR1020170063325 A KR 1020170063325A KR 20170063325 A KR20170063325 A KR 20170063325A KR 101794477 B1 KR101794477 B1 KR 10179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es
pollen
entranc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170063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6Devices for extracting wax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벌통 출입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벌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고정하우징의 이동경로와 연결되어 벌들의 출입시 채집한 화분을 탈리시키도록 하는 화분탈리부와, 상기 화분탈리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와, 상기 포집용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들이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착륙판을 포함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화분탈리부는,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전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벌에 붙어있는 화분을 탈리하도록 된 탈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전면에 벌들이 벌통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를 복수 개 형성하되, 상기 콘형 출구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봉용 화분 채분기{Pollen Beekeeping collector}
본 발명은 양봉용 화분 채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탈리부의 진입구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를 복수 개 형성하여 벌들이 화분채집기를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하고, 화분탈리부에 설치하는 탈리수단으로서의 원형고리를 벌들이 통과할 때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몸집이 큰 벌이 좁은 원형고리를 통과할 때에도 원형고리의 직경이 신축되어 벌의 날개나 다리가 부상당하지 않고 신속히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꿀과 함께 유충벌의 성장과 발육이나 성충벌의 정상적인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섭취하는 중요한 식량 중의 하나로서, 사람에게도 유용한 건강식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화분은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의해 채집된다. 즉, 통상 벌통의 출입구(소문)에 설치되어 외역에서 화분을 채집하여 돌아온 벌들이 채분판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분농의 화분하(花粉荷)가 떨어지면서 그 하부에 설치된 수거함으로 모으는 방식으로 채집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사용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403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적재된 벌통에 단일품으로 제작되어 벌들이 출입시 충돌없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분을 채집함과 동시에 채집되어 포집된 화분 쪽으로 벌들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76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벌통의 출입구 상에서 상기 벌통 내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으로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비로 인해 다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860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벌들이 출입하는 입구와 출구를 별도로 각각 형성하여, 채집기로 별들의 출입시 간섭됨을 최소화함가 아울러 지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벌들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분을 깨끗하게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채분기에 벌들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벌들이 채집한 화분을 깨끗하게 채집하지 못 하는 단점을 가짐은 물론 특히 벌통 내의 폐사된 벌이나 각종 이물질 등을 벌들이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된 화분채집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는 단점은 물론 그 쌓여지는 이물질로 인해 오히려 화분채집기의 출입구를 막는 문제점이 있고, 채집기가 벌통의 내부로 설치됨으로 인해 많은 양의 벌들이 출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관계로, 화분의 채집 효율성이 저하되며, 채집기가 벌통의 내부로 설치됨으로 인해 많은 양의 벌들이 출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관계로, 화분의 채집 효율성도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7181호의 양봉용 화분 채분기가 제안된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기술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의 채분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화분채집기(1)는 벌통(2) 출입구(3)의 전방에 고정부(15)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하우징(10)은 전,후방과 밑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양측면이 막혀져 벌통의 출입구가 형성된 전면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하우징(10)의 전면에 벌들이 출입시 채취한 화분을 탈리되도록, 즉 벌들의 다리에 채취된 화분이 통과시 떨어지되록 힌지부(25)에 의해 회동되는 채분판(20)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25)는 상기 고정하우징(10)의 상부 전방에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힌지축(26)과, 상기 힌지축(26)으로 결합되는 채분판(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상적인 고리 형태의 힌지고리(27)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채분판(20)의 하부 고정하우징(10) 전방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한 슬라이딩 결합되어 벌들이 내려앉는 망판(30)이 결합되고 상기 채분판(20)으로부터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는 포집용기(40)를 포함하되, 상기 망판(30)의 후방에는 벌들에 의해 벌통 내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이물질 수용공간부(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포집용기(40)는 망판(30)의 하부에 벌들의 다리로부터 탈리된 화분이 떨어져 쌓이는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가지는 화분 포집공간(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망판(30)은 포집용기(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상적인 슬라이드 받침턱(42)에 의해 받쳐지면서 슬라이딩 결합된다.
또, 상기 고정하우징(10)으로 포집용기(40)의 결합은 상기 고정하우징(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턱(12)으로 상기 포집용기(4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44)이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된다.
고정부(15)는 고정하우징(10)의 후방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리이브(16)와, 상기 고정하우징(10)의 양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돌기(17)와, 상기 벌통(2의 전면 상부에 통상적인 스크류 체결이나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리이브(16)를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편(18) 및 상기 벌통(2)의 바닥면 양측에 상기 삽입돌기(17)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블록(19)을 포함한다.
망판(30)은 포집용기(40)의 상면으로 양측단이 그 포집용기(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받침턱(42) 상에서 슬라이딩 결합되고, 채분판(20)은 고정하우징(10)으로부터 힌지부(25)에 의해 상부로 회동시 둔각 범위 내로 회동된다.
이물질 수용공간부(32)는 망판(30)의 후방 상부에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및 하부가 폐쇄된 수용홈(32a)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기(40)의 후방면은 벌통으로 밀착시 벌들의 압사 방지를 위한 경사면(45)이 더 형성된다.
채분판(20)은 통상적인 테두리를 이루는 틀프레임(22)과, 상기 틀프레임(22)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로대(23) 및 상기 가로대(23)에 벌들이 통과하도록 통상의 철사 등과 같은 와이어로 매입된 복수의 출입링(24)을 포함한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채분판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채분판(20)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간격유지대(20a)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 고정되는 전,후 프레임(20A)(20B)을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대(20a)에 벌들이 통과하도록 통상의 철사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에 의해 벌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출입홀(20c)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출입부재(20C)를 포함한다. 상기 전, 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한 힌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화분채집기를 벌통에 결합한 후에는 사양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출입링(24)은 벌이 드나들 수 있는 직경이 고정되어 있어 몸집이 큰 벌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날개나 다리가 부상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71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분탈리부의 진입구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를 복수 개 형성하되, 상기 콘형 출구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원할히 돕기 때문에 벌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사육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벌꿀 생산량과 화분채집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하우징 몸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벌의 먹이인 사양을 하기 위해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사양소문을 형성함에 있다. 꿀벌의 습성중에 먹이를 먹으면 외역방사 능력배가성을 이용한, 벌통을 직접 열지 않고도 사양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탈리부에 설치하는 탈리수단으로서의 원형고리를 벌들이 통과할 때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몸집이 큰 벌이 좁은 원형고리를 통과할 때에도 원형고리의 직경이 신축되어 벌의 날개나 다리가 부상당하지 않도록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시 화분탈리부의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손쉽게 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리수단을 거치하기 위해서 제2프레임의 진입구 이면의 상측 테두리에 거치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탈리수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벌통 출입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벌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고정하우징의 이동경로와 연결되어 벌들의 출입시 채집한 화분을 탈리시키도록 하는 화분탈리부와, 상기 화분탈리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와, 상기 포집용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들이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착륙판을 포함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화분탈리부는,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전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벌에 붙어있는 화분을 탈리하도록 된 탈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전면에 벌들이 벌통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를 복수 개 형성하되, 상기 콘형 출구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형 출구의 말단을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형출구를 상하에 각각 배치하는 경우, 상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의 말단보다 하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의 말단을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전면에 제2프레임의 진입구와 연결되는 진입구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 연결통로 양측으로 제2프레임의 콘형 출구와 연결되는 출구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리수단은 탄성와이어를 이용해 원형고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도록 성형하되, 벌들이 원형고리를 통과할 때 원형고리가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원형고리는 상측이 개구된 "C"자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진입구 이면의 상측 테두리에 탈리수단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돌기는 탈리수단의 원형고리와 원형고리의 연결부를 거치하도록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의 상측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테두리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날개의 상면 중심부를 제1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화분탈리부 전체를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불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은 벌의 먹이인 사양을 하기 위해 몸체 측면에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사양소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분탈리부의 진입구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를 복수 개 형성하되, 상기 콘형 출구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원할히 돕기 때문에 벌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사육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벌꿀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정하우징 몸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벌의 먹이인 사양을 하기 위해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사양소문을 형성함으로써, 벌통을 직접 열지 않고도 사양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화분탈리부에 설치하는 탈리수단으로서의 원형고리하고, 상기 원형고리를 벌들이 통과할 때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몸집이 큰 벌이 좁은 원형고리를 통과할 때에도 원형고리의 직경이 신축되어 벌의 날개나 다리가 부상당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 화분탈리부의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손쉽게 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탈리수단을 거치하기 위해서 제2프레임의 진입구 이면의 상측 테두리에 거치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탈리수단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의 채분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화분채집기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화분채집기의 측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2프레임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2프레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양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화분채집기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포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a, 도 14b는 본 발명의 탈리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착륙판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화분채집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화분채집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9a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2프레임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 채분판의 제2프레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사양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화분채집기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포집용기를 도시한 사시이고, 도 14a, 도 14b는 본 발명의 탈리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착륙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6,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봉용 화분채집기는 크게 고정하우징(110), 화분탈리부(120), 포집용기(140), 착륙판(150)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8a, 도8b를 참조하여 고정하우징(1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하우징(110)은 벌통 출입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벌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좌우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ㄷ"형상의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벌의 먹이인 사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사양소문(111)을 형성한다.
상기 사양소문(111)에는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평판형태의 개폐도어(11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양소문(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양소문(111) 양측에는 개폐도어(113)를 결합시켜 안내하는 슬라이드돌기(111a)가 형성된다.
상기 사양소문(111)을 통한 본 발명은 벌통을 직접 열지 않고, 사양작업은 물론 화분채집기를 설치하고도 사양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벌통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력감소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 상면 전방쪽에는 복수개의 고정형 탈리부 회전축(115)이 형성된다.
상기 탈리부 회전축(115)은 화분탈리부(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분탈리부(120) 전체가 탈리부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탈리부 회전축(115)은 2~3개가 등간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110) 몸체 상면 후방쪽에는 하우징 장착돌기(11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장착돌기(116)는 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판형의 돌기구조로서, 벌통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수단(160)과 대향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하우징(110)이 벌통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화분채집기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고정수단(160)은 블록형태로 제작되며, 전면에는 나사를 이용해 벌통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161)이 형성되고, 이면 하단에는 단차부(162)를 형성하여 하우징 장착돌기(116)가 측면에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화분탈리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분탈리부(120)는 상기 고정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고정하우징(110)의 이동경로와 연결되어 벌들의 출입시 채집한 화분을 탈리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1프레임 전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123과, 상기 제1프레임(121)과 제2프레임(123) 사이에 설치되어 벌에 붙어있는 화분을 탈리하도록 된 탈리수단(125)을 포함한다.
먼저, 제1프레임(121ㅍ에 대해 도9a, 도9b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 제1프레임(121)은 제2프레임(123)과 대향 결합되는 판체형상으로서, 전면에 제2프레임(123)의 진입구(123a)와 연결되는 진입구 연결통로(121a)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 연결통로(121a) 양측으로 제2프레임(123)의 콘형 출구(123c)와 연결되는 출구 연결통로(121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21)은 제2프레임(123)의 상측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테두리 날개(121c)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날개(121c)의 상면 중심부를 제1프레임(12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화분탈리부(120) 전체를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부(121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작업시 화분탈리부(120)의 손잡이부(121d)를 한 손으로 잡고 손쉽게 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것으로서, 기존에는 화분탈리부(120)를 개방하기 위해 화분탈리부(120)의 양쪽 측면을 잡고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두 손을 다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손에서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날개(121c의 상면 손잡이부(121d)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다수의 회전아암(121e)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아암(121e)은 고정하우징(110)의 탈리부 회전축(115)을 감싸도록 결합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아암(121e)은 단면이 "C"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개구된 부위를 강제로 벌려서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축 결합구조를 통해 화분탈리부(120) 전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21)에는 제2프레임(123)의 체결리브와 맞닿아 나사가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다수 형성된다.
다음, 제2프레임(123)에 대해 도10a, 도10b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 제2프레임(123)은 판상의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 전면에는 벌들이 벌통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123a)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123a)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123c)를 복수 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진입구(123a)는 횡방으로 길게 천공된 슬릿홈 형태이며, 횡방향격자리브를 하향경사지게 한 그릴 형태로 형성한다.
이처럼 횡방향격자리브(123b)를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면, 벌들이 경사면을 기어올라 쉽게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형 출구(123c)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처럼 출구를 콘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벌들이 벌통에서 외부로 나올 때는 깔때기 구조의 통로를 넓은 곳에서 좁은 곳을 통과해 손쉽게 빠져나올 수 있지만, 역으로 바깥에서 좁은 통로를 통해 들어오는 것은 들어오는 것은 차단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깔때기를 정상적으로 이용해 물을 좁은 병에 담는 것은 쉽지만, 깔때기를 역으로 뒤집어서 병에 물을 담는 것은 할 수 없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벌통 내부의 벌들은 콘형 출구(123c)를 통해 나올수는 있지만 들어갈 수는 없기 때문에 밖에 나갔던 벌들은 탈리수단(125)이 마련된 진입구(123a)를 통해서만 벌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형과 장공형의 차이는 벌들이 나올 수 있는 문의 크기로서, 문이 넓으면 벌이 많이 나올 수 있고, 좁으면 적게 나오는데 기인한 것이다.
원형의 경우, 벌이 한번에 1마리가 통과할 수 있다면, 장공형의 경우는 한번에 2마리나 3마리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벌들이 정체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형 출구(123c)를 상하에 각각 배치하는 경우, 도 10a 및 도 10b에서 볼 수 있듯이, 상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보다 하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더 넓게 형성하되, 상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하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벌들의 특성상 높이 있는 출구보다는 아랫쪽에 출구로 더 많은 벌이 몰려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원할히 돕는 것으로서, 벌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123)은 진입구(123a) 이면의 상측 테두리에 탈리수단(125)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돌기(123d)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돌기(123d)들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의 탈리수단(125)의 설명에서 자세히 한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123) 이면에는 다수의 체결리브들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는 제1프레임(121)과의 결합시 나사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23)의 좌우측면에는 돌출날개(123e)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날개(123e)는 제2프레임(123)을 제1프레임(121)으로 분리시킬 때, 손으로 집어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탈리부(120)를 들어 올릴 때,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123)은 불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해 일체형으로 사출 제작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14a, 도 14b를 참조하여 탈리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리수단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탈리수단(125)은 탄성와이어를 이용해 원형고리(125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도록 성형 제작된다.
상기 원형고리(125a)를 벌들이 통과할 때, 다리에 붙어 있는 화분이 걸려셔 탈리되도록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벌들이 원형고리(125a)를 통과할 때 원형고리(125a)가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125a)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부(125b)를 형성한다.
이는, 벌의 종류나 태어난 시기에 따라 몸집의 차이가 나는 것을 감안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예컨대, 기존에는 몸집이 큰 벌이 좁은 원형고리(125a)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통과하는 도중에 날개나 다리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원형고리(125a)의 직경이 신축되어 몸집이 큰 벌이 통과할 때에도 날개나 다리가 불구되어 일벌의 손실을 막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원형고리(125a)는 도1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원형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C"자 형태로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탈리수단(125)을 거치하기 위해서 제2프레임(123)의 진입구(123a) 이면 상측 테두리에 거치돌기(123d)를 형성한다.
상기 거치돌기(123d)는 탈리수단(125)의 원형고리(125a)와 원형고리(125a)의 연결부(125b)를 거치하도록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서, 탈리수단(125)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화분탈리부(120)의 저면에 결합되어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140)와, 상기 포집용기(1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들이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착륙판(150)을 포함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있어서,
이하, 포집용기(140)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포집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포집용기(140)는 사각의 함체로 제작되며, 화분탈리부(120) 하부에 결합되어 화분을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집용기(140)의 내부 양 측벽 상단에는 착륙판(150)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141)가 형성된다.
다음, 착륙판(1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착륙판(150)은 조질한 통공이 망 형태로 형성된 판체로 제작된다.
상기 착륙판(150)은 포집용기(140) 후방에서 끼워지도록 하는데, 포집용기 후단 양측에는 포집용기(140)의 가이드레일부(141)에 대향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51)가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착륙판(150)을 최대한 전방으로 당겨서 개방했을 때, 포집용기(140)의 가이드레일부(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153)가 형성된다.
상기한 착륙판(150)은 포집용기(1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집용기(140)의 덮게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벌들이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고정하우징 111: 사양소문
111a: 슬라이드돌기 113: 개폐도어
115: 탈리부 회전축 116: 하우징 장착돌기
120: 화분탈리부 121: 제1프레임
121a: 진입구 연결통로 121b: 출구 연결통로
121c: 테두리 날개 121d: 손잡이부
121e: 회전아암 123: 제2프레임
123a: 진입구 123b: 횡방향 격자립
123c: 콘형 출구 123d: 거치돌기
123e: 돌출날개 125: 탈리수단
125a: 원형고리 125b: 연결부
140: 포집용기 141: 가이드레일부
150: 착륙판 151: 가이드돌기
153: 이탈방지돌기
160: 고정수단 161: 나사홀
162: 단차부

Claims (10)

  1. 벌통 출입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벌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하우징(110)과, 상기 고정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고정하우징(110)의 이동경로와 연결되어 벌들의 출입시 채집한 화분을 탈리시키도록 하는 화분탈리부(120)와, 상기 화분탈리부(120)의 저면에 결합되어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140)와, 상기 포집용기(1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들이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착륙판(150)을 포함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화분탈리부(120)는 고정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121); 상기 제1프레임 전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123); 및 상기 제1프레임(121과 제2프레임(123) 사이에 설치되어 벌에 붙어있는 화분을 탈리하도록 된 탈리수단(125)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123)은 전면에 벌들이 벌통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123a)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123a) 양측으로 벌들이 빠져나오기 위한 콘형 출구(123c)를 복수 개 형성하되, 상기 콘형 출구(123c)는 벌들이 빠져 나오는 말단이 점차 좁아져서 벌이 1~2마리만 순차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콘형 출구(123c)를 상하에 각각 배치하는 경우, 상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보다 하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더 넓게 형성하되, 상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하측에 배치된 콘형 출구(123c)의 말단을 장공형으로 형성하여, 벌들의 특성상 높이 있는 출구보다는 아랫쪽에 출구로 더 많은 벌이 몰려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하우징(110)의 몸체 좌우측면에는 각각 벌의 먹이인 사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사양소문(111)을 형성하되, 상기 사양소문(111)에는 평판형태의 개폐도어(11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양소문(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사양소문(111) 양측에는 개폐도어(113)를 결합시켜 안내하는 슬라이드돌기(111a)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사양소문(111)을 통한 벌통을 직접 열지 않고, 사양작업은 물론 화분채집기를 설치하고도 사양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벌통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21)은 전면에 제2프레임(123)의 진입구(123a)와 연결되는 진입구 연결통로(121a)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구 연결통로(121a) 양측으로 제2프레임(123)의 콘형 출구(123c)와 연결되는 출구 연결통로(121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수단(125)은 탄성와이어를 이용해 원형고리(125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반복되도록 성형하되, 벌들이 원형고리(125a)를 통과할 때 원형고리(125a)가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형고리(125a) 간에 신축변형을 위한 여유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부(125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원형고리(125a)는 상측이 개구된 "C"자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123)은 진입구(123a) 이면의 상측 테두리에 탈리수단(125)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돌기(123d)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돌기(123d)는 탈리수단(125)의 원형고리(125a)와 원형고리(125a)의 연결부(125b)를 거치하도록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21)은 제2프레임(123)의 상측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테두리 날개(121c)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날개(121c)의 상면 중심부를 제1프레임(12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화분탈리부(120) 전체를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부(121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123)은 불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화분채집기.
  10. 삭제
KR1020170063325A 2017-05-23 2017-05-23 양봉용 화분 채분기 KR10179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25A KR101794477B1 (ko) 2017-05-23 2017-05-23 양봉용 화분 채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25A KR101794477B1 (ko) 2017-05-23 2017-05-23 양봉용 화분 채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477B1 true KR101794477B1 (ko) 2017-11-06

Family

ID=603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25A KR101794477B1 (ko) 2017-05-23 2017-05-23 양봉용 화분 채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113B1 (ko) * 2018-02-22 2018-11-09 김명동 양봉용 화분 채집기
KR101971710B1 (ko) 2018-07-13 2019-04-25 윤준민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KR200489665Y1 (ko) * 2018-04-04 2019-10-01 윤현호 채분기 고정장치
KR102106224B1 (ko) 2018-10-19 2020-04-29 박우열 화분채집기 일체형 양봉용 사양기 및 화분채집기 일체형 양봉용 사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362Y1 (ko) * 1999-07-19 2000-03-15 장봉환 분봉방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362Y1 (ko) * 1999-07-19 2000-03-15 장봉환 분봉방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113B1 (ko) * 2018-02-22 2018-11-09 김명동 양봉용 화분 채집기
KR200489665Y1 (ko) * 2018-04-04 2019-10-01 윤현호 채분기 고정장치
KR101971710B1 (ko) 2018-07-13 2019-04-25 윤준민 교환 장착이 가능한 벌통용 다용도 양봉기구
KR102106224B1 (ko) 2018-10-19 2020-04-29 박우열 화분채집기 일체형 양봉용 사양기 및 화분채집기 일체형 양봉용 사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477B1 (ko) 양봉용 화분 채분기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723346B1 (ko) 말벌 수집 장치
KR101932741B1 (ko) 벌꿀자동채취모듈 및 이를 갖는 벌꿀자동채취장치
JP2012502662A (ja) げっ歯動物を捕獲する生け捕り罠
US4337541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KR102047274B1 (ko) 양봉용 자동 채밀형 소초 장치
KR20150107181A (ko) 양봉용 화분채분기
CN108967268B (zh) 一种人工授精用雄蜂捕捉机构及雄蜂捕捉装置
KR101758637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KR101679918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DE202011103876U1 (de) Klapp- und teilbare Großraum-Bienenwohnung auf einem Standfuß mit Haltevorrichtung für Ein- und Mehrvolkbetrieb
CN106804542B (zh) 有进无出的网箱
CN201797845U (zh) 一种鸟屋
JP2005168488A (ja) 捕虫装置
CN209995134U (zh) 一种蜜蜂自然分蜂或飞逃蜂群自动收捕装置
KR200383074Y1 (ko) 양봉용 화분 채취기
KR20210051916A (ko)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KR101916113B1 (ko) 양봉용 화분 채집기
CN215603028U (zh) 红枣去核分级装置
CN113080142B (zh) 一种生物立体高密度饲养方法
KR200497413Y1 (ko) 홀태
JPH0740841B2 (ja) 蜜蜂による花粉の受粉方法及びその受粉交配装置
CN216492778U (zh) 一种便携式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